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주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김월덕(Kim, Wol-du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民俗硏究 Vol.0 No.20

        이 글의 목적은 무주지역 구비문학 가운데 민요와 설화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비문학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문학이므로 무주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무주지역의 역사ㆍ문화적 특징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무주의 자연환경과 생업, 역사ㆍ문화적 전통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토대로 무주지역 구비문학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삼도(三道) 접경지역에 위치한 무주는 생태적으로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삼도의 다양한 특성이 교차하는 곳이다. 무주지역에 다양한 문화권역의 민요가 공존하는 것은 이러한 지리적 위치에서 비롯된 특성이다. 무주지역 농요는 전반적으로 영남권 문화의 영향력이 강한 가운데 전라도와 충청도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어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다. 무주지역 농요의 지역적 특성은 지역의 생태적 환경과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된 생산활동 및 생활문화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농요의 핵심은 남녀 가창자가 함께 부르는 〈모심는소리〉와 여성 가창자 위주의 〈밭매는소리〉이다. 무주지역 농요의 이러한 이원적 전승양상은 기본적으로는 산간농업 지역인 무주의 자연환경의 제약적 요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무주지역에서 여성이 가창주체가 되는 노동요로서 특히 〈나물뜯는소리〉는 산촌 여성들의 삶의 체험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노래로 주목할 만하다. 또, 장례절차는 유교적 방식에 따르면서도 의식요로서 상여소리는 불교적 세계관을 담고 있는 회심곡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마을에 따라서는 상여소리 전통이 여성 앞소리꾼에 의해서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무주는 사방이 험준한 산으로 둘러싸인 자연요새였기 때문에 전란이 생겼을 때 피난지나 은둔처로 인근 백성과 역사적 기록물을 지키는 역할을 했다. 덕유산, 적상산, 구천동과 십승지지 등에 얽힌 이야기들은 모두 무주의 험준한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덕유산은 무주지역의 상징으로서, 백성을 난리로부터 보호해주는 신성한 산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신앙적 대상물로 상징화된다. 십승지지는 은둔의 땀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와 미래세상의 도래를 준비하는 땅으로 이야기된다. 최영 장군의 자취가 서려 있는 적상산은 난리로부터 백성과 관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호국적 성격의 지역상징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무주지역 풍수설화는 다른 지역에서처럼 명당에 대한 민중적 욕망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야기 화자들은 풍수적 사유의 진실성과 이야기의 사실성을 적극적으로 강조하려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전국에 분포하는 설화가 지역 지명이나 장소의 유래담과 결합되면, 그 지역의 삶의 터전의 의미를 적극 해명해 주는 기능을 한다. This paper examines regional features and cultural transmission of oral literature, specifically the folk songs and folk tales in Muju, Jeonbuk province. Historical and cultural features can be observed by investigating cultural transmission of oral literature, as it reflects regional features. In this paper I have shown how the Muju region is reflected in oral literature through highlighting the descrip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occupation,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Muju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Jeolla-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so it has some ecolog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all three regions. It is this confluence that has fostered Muju’s diverse folk cultural elements. In the case of folk songs, the Gyeongsang-do cultural influences are strong, but those of Jeolla-do and Chungcheong-do ate also evident. Regional features of fanning songs from Muju can be understood as manifestation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natural environment, rural work, life am culture. The most famous farming songs in Muju are rice-planting songs which were sung by men and women, and dry field weeding songs which were mostly sung by women. This results from natural environment of Muju, a mountainous region. In addition, women sang when they were gathering wild greens. These songs ate worthy of notice because the experiences of women living in mountain region are expressed truthfully. Funeral rites follow the Confucian norm, but the rites songs sung during the funeral betray a Buddhist world view. In some villages, female singers sang the rites songs at the funeral, although that was not always the case. Muju, surrounded by high mountains, served as a safe haven whenever war broke out. The high mountains protected the people as well as historical records. The folk tales about Dukyu-mountain, Juksang-mountain, and Gucheon-dong make the tough and Dukyu-mountain was thought to be sacred because it protected the people against wars andr rebellions. Geomantically Muju was a blessed region, and folk tales about the feng shui in Muju reflect the people’s desire for the ideal spot. The folk tale storytellers have a tendency to insist on the troth of the exceptional geomancy of the region, The folk tales that tell about the origin of the names of various places can explain the meaning the locals attached to various specs.

      • KCI등재

        대승경전에 나타난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정운스님 (신명희)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1

        대승불교도들은 석가모니부처님이 수많은 과거생에 보살로서 자비를 실천함[因行]으로써 부처가 되었음[果德]을 본 따서 자신들도 ‘보살’이라고 지칭했다. 그러면서 대승불교 보살들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실천 방법을 모색했다. 보살행 가운데서도 이타의 대비행(大悲行)인데, 이 대비에서 발로(發露)된 최상의 보살행이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이다. 이전 부파불교 교도들의 최고 이상적인 경지는 육도윤회(六道輪迴)에서 벗어나 적정(寂定) 경지에 머물러 있는 열반세계이다. 그런데 대승불교 보살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열반에 들지 않고[無住涅槃], 사바세계로 되돌아와 중생들과 함께 하기 위해 차안(此岸)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즉 보살은 중생을 보살피기 위해 원력[願力, 誓願]을 세우고 사바세계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한다. 『유마경』이 시작되는 연원은 유마거사의 발병(發病) 때문이다. 유마거사가 병이 난 원인은 ‘중생이 병들어 있어 보살도 병이 났음’을 주제로 하는 대비심이 나타나 있다. 유마[大乘]와 성문[小乘]들과의 대화로 경전 내용이 전개되는데, 대승불교를 상징하는 유마의 설법은 곧 보살로서의 대비심을 설파한다. 곧 중생에 대한 이분법적 차별심이 없는 대비심으로 무집착·무주심(無住心)의 공관적(空觀的) 바라밀행을 기반으로 한다. 이 무주열반 사상은 『유마경』 이외에도 대승불교 사상에 대비천제(大悲闡提)·동사섭(同事攝)·십우도의 열 번째 그림[入纏垂手] 등에도 나타나 있다. By modeling after the fact that the Sakyamuni Buddha became the Buddha by putting into practice the mercy as the Bodhisattva in the many past lives, the Mahayana Buddhists called themselves, too, as the “Bodhisattvas”. Meanwhile, the great Buddhist Bodhisattvas had sought after a method for putting into practice the Zaririta. Among the Bodhisattva’s journeys, too, it is an altruistic, great flight. The best Bodhisattva’s journey that had been manifested in this daebi is the thought of the Non-mainstream Nirvana. The top, ideal state of the previous Bupa Buddhists is the Nirvana world that has been staying in the proper state by coming out of the ryukdoryunhwe. But, regarding the Mahayana Buddhism Bodhisattva, in order to save the world, without entering into Nirvana, by returning to this world, in order to be together with the people, he has been remaining in this world. Or, in other words, in order to take care of the people, Bodhisattva establishes a Seowon and saves the world while remaining in the world of the people. This is because the origin where the Vimalakirti Sutra begins is the occurrence of an illness of Yumageosa. Regarding the cause of the illness of Yumageosa, the Daebishim, which has ‘Because the people are ill, the Bodhisattva, too, is ill’ as the topic, becomes unfolded. The scripture gets unfolded with a conversation between Yuma and Seongmun. The Buddhist sermon of Yuma, which symbolizes the Mahayana Buddhism, preaches the Daebishim as a Bodhisattva, indeed. Indeed, with the Daebishim that does not have a dichotomic sense of discrimination regarding the people, it is based on the gonggwan baramilhaeng of the non-obsession and the sense of being ownerless. This thought of the Nirvana without the maintenance is the same thought as daebicheonje and dongsaseop (one between dongsaseop and saseolbeop) other than the Vimalakirti Sutra. And, after completing the performance in the ten oxherding picture, too, of the Songdae Gwakamseonsa, the salvation of the people is described as the last tenth picture [Ipjeonsusu].

      • 全羅道 茂朱地域의 동학농민혁명 전개 양상

        李眞榮 한국동학학회 2002 동학연구 Vol.12 No.-

        이 글은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무주ㆍ진안ㆍ장수 등 전라도 북동부 산간지역 중에서, 무주지역의 농민혁명 전개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무주지역에서 전개된 농민혁명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인 내용을 보였다. 첫째, 무주지역의 농민혁명은 동학농민혁명의 전체적인 전개와 단계별로 흐름을 같이 하였다. 즉 전라도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동이 약하기는 했지만, 무주 농민군은 1893년초 보은집회 참여로부터 3월봉기 동참, 집강소 설치와 民政의 실시, 9월재봉기 동참에 이르기까지 전체 농민군 활동과 큰 틀에서 일치된 움직임을 보였다. 둘째 무주지역은 수성군의 활동이 매우 두드러진 곳이었다. 무주 수성군의 강세는 이 곳 농민군의 세력이 그만큼 약했음을 의미하며, 무주와 거의 같은 시기에 수성군이 결성된 진안ㆍ장수ㆍ용담지역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전라ㆍ충청ㆍ경상 삼도의 경계에 위치하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무주 농민군은 삼도의 경계를 넘나들었고 무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그런 境界性의 영향으로 무주지역에서는 대체로 산발적이고 주변적인 활동이 전개되었을 뿐, 전체 농민혁명의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사건이 펼쳐지지는 못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peasant revolution in Muju area in northeast Cholla province which encompasses Muju, Jinan and Jangsu area. Those areas were not the focus of existing researches topic in Donhak Peasant Revolution. The peasant army in Muju responded the military development of the peasant army head quarter, though their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area, the anti-peasant defensive army prevailed. Since the Muju area was located at the border of there provinces, the peasant army activities could be observed in various forms. However, those activites were separate and maginal.

      • KCI등재

        『유마경』에 나타난 무주심(無住心) 사상

        신명희(정운)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7 No.-

        The Vimalakīrti Sūtra is a scripture that was composed around the 1st century B.C.E. At the point when the idea of prajña was understood the Vimalakīrti Sūtra was established and practical aspects of emptiness and wisdom were developed. Since the Vimalakīrti Sūtra reached China, the scripture was recognized as a scripture of the Zen tradition. Furthermore, Yumageosa was recognized as a Zen practitioner who helped to popularize the text. This was in part due to the concept of non-abiding mind (無住心), which was put forth by numerous Buddhist monks who expressed this state of realiz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e Diamond Sūtra also developed the idea of prajña and although it was composed earlier than the Vimalakīrti Sūtra both scriptures contain similar ideas about non-abiding mind, no-mind, etc. In the Diamond Sūtra, the phrase that “one should generate a mind that is not fixed on anything” (應無所住而生其心) and the unintended Buddhist alms (無住相布施) are emphasized. In other words, the state of non-abiding that is free of obsession references the non-abiding mind. Furthermore, the non-abiding mind references no-mind. Non-abiding mind is explain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Vimalakīrti Sūtra. It refers to an indiscrete mind that is not obsessed and that does not distinguish (無分別心). It is an innocent mind that seeks but is not obsessed with saving (無求心), a mind that does not receive and has no concept of obtaining (無所得心). It is a mind of non-duality, which is of absolute equality, beyond words, and without causing any distinction between right and wrong (不二心). 본 논문은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에 나타난 무심사상을 주제로 한다. 『유마경』은 기원전 1세기 무렵, 결집된 반야부 경전이다. 『유마경』은 반야 사상이 완성되어가는 시점에 결집된 경전으로서 공ㆍ반야사상의 실천적인 측면이 전개되었다. 이 경전은 대승을 표방하는 유마거사와 성문승을 표방하는 비구들의 대화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서 『유마경』에서는 유마거사의 병을 방편으로 (대승 보살로서) 중생에게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에 대해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이 점은 보살이 중생을 제도했으되 (자신이 제도했다는 것에) 집착하지 않는 무주심(無住心)이 드러나 있다. 이 경전이 중국으로 유입된 이래, 『유마경』은 선경(禪經)으로서, 유마거사는 선 수행자로서 인식되어 수많은 이들에게 애독되었다. 『유마경』에는 선사들의 깨달음의 경지를 표현하는 무주심(無住心) 사상이 여러 각도로 언급되어 있어서다. 『금강경』은 『유마경』과 같은 반야부계 경전으로 『유마경』보다 일찍 결집되었다. 두 경전은 무주심ㆍ무심 사상 등에서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금강경』에서 응무소주(應無所住) 이생기심(而生其心)과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강조한다. 즉 집착하지 않는 무주상(無住相)은 곧 무주심(無住心)을 말하는 것이요, 무주심은 곧 무심이다. 『유마경』은 무심 사상을 다양한 각도로 설하고 있다. 집착하거나 분별심을 내지 않는 무분별심(無分別心), 구하되 구함에 집착하지 않는 무구심(無求心), 얻었다는 것조차 집착하지 않는 무소득심(無所得心), 시비분별을 일으키지 않고 언어조차 여읜 절대평등한 경지인 불이심(不二心) 등이다.

      • KCI등재

        소유자불명인 부동산의 국유화조치에 관한 고찰 - 무주부동산과 유실부동산의 준별 -

        강호칠(Kang, Ho-Chil)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80 No.-

        우리 민법은 무주부동산을 국유로 한다고 하고, 국유재산법은 무주부동산의 국고귀속을위한 집행조항을 두고 있지만 무주부동산의 개념, 국고귀속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준, 국고귀속 후 무주부동산이 아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의 법률관계 등에 대해 침묵하고있다. 이는 법률유보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으며, 실무상 많은 혼란을 초래한다. 현실적으로 무주부동산(소유자부재)에 개념적으로 정확히 부합하는 것은 상속인의 부존재, 소유권의포기 및 법인의 해산이라는 현상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실제 민법 제252조제2항 및 국유재산법 제12조에 의해 무주부동산이라는 이름으로 규율되는 것은 사실 소유자불명의 부동산이다. 결국 소유자불명인 부동산(유실부동산)이 소유자부재인 부동산(무주부동산)라는 이름으로 규율되니, 규범과 현실이 불일치하게 된다. 무주부동산과 유실부동산은 그 실체가 다르지만, 유실부동산에 대하여는 물론이고 무주부동산에 대한 개념과 유형조차 제대로 논의된적이 없다. 유실부동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그 실체에 맞는 법률규정을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써 무주부동산에 대한 이해 또한 분명해 질 것이다. Obwohl das koreanische bürgerliche Gesetzbuch vorsieht, dass das herrenlose Grundstück in Staatlichen Besitz ist und dass das Staatseigentumsgesetz Durchführungsbestimmungen für die Aneignung des herrenlosen Grundstücks zum Fiskus hat, schweigt es doch über das Konzept des herrenlosen Grundstücks und konkrete Kiterien für die Beurteilung, ob der Fiskus es aneignet oder nicht sowie die rechtlichen Beziehungen des Falles, in dem sich das Grundstück nach der Aneignung zum Fiskus als nicht herrenlos herausstellt. Dies entspricht nicht dem Grundsatz des Rechtsvorbehalts und verursacht in der Praxis große Verwirrung. Realistischerweise wird das Grundstück, das dem Konzept des herrenlosen Grundstücks (Abwesenheit des Eigentümers) genau entspricht, als ein separates Phänomen behandelt, und das Grundstück, das durch den Art. 252 Abs. 2 des bürgerlichen Gesetzbuches und den Art. 12 des Staatseigentumsgesetzes geregelt wird, ist dasjenige Grundstück, dessen Eigentümer unbekannt ist. Infolgedessen wird das Grundstück, dessen Eigentümer unbekannt ist (das verlorene Grundstück), im Namen der Abwesenheit des Eigentümers (das herrenlose Grundstück) geregelt und daher entspricht die Norm nicht der Realität. Obwohl sich das herrenlose Grundstück im Wesen vom verlorenen Grundstück unterscheidet, werden das Konzept und sogar die Art von sowohl dem verlorenen Grundstück als auch dem herrenlosen Grundstück nicht richtig diskutiert. Es ist notwendig, ein genaues rechtliches Verständnis und ordnungsgemäße rechtliche Regeln für das verlorene Grundstück zu etablieren, wodurch auch das Verständnis vom herrenlosen Grundstück klar wird.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군사점령 논리와 냉전

        김득중(Kim Deugjoong)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1

        1945년 8월과 9월에는 한반도에서는 일제의 패퇴와 ‘해방’과 ‘38선 분할과 점령’이라는 두 가지의 결정적 사건이 동시에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은 남북 각각의 정부 수립(1948) 과 한국전쟁(1950)을 결정짓는 구조적 요인이 되었다는 점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1945년 8월과 9월에 발생한 ‘해방’과 ‘점령’이라는 두 가지 계기는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결정짓는 분수령이었다. 군사점령은 미소가 내걸었던 대의명분과는 달리, 식민지 해방으로부터 구 식민지 재점령으로 빠르게 변화되었다. 한반도의 군사점령은 연합국에 맞섰던 적대국가(독일, 일본)에 대한 응보적 점령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 논문은 미군이 1945년 남한 점령을 스스로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 이를 정당화하는 국제법적 근거는 무엇이었는지를 당시 미군정의 법률 고문이었던 에른스트 프랑켈의 글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독일에서 노동법을 전공한 에른스트 프랑켈(Ernst Fraenkel)은 미국 망명 뒤, 『이중국가』를 출판하여 독일 나치 체제를 비판하였다. 1944년 프랑켈은 전략정보국(OSS)에서 일하면서, 제1차 대전시 프랑스의 라인란트 군사점령을 연구하였다. 전쟁이 끝나자, 프랑켈은 국제법 전문가로서 미군정 사법부에서 일하게 되었다. 프랑켈은 1948년 초, 유엔조선임시위원단(UNTCOK)에 제출할 예정으로 「주한미군정의 구조」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에서 프랑켈은 미군의 남한 점령을 ‘국제법적 관점으로 보아, 임자 없는 땅을 점령한 것’이라는 논리를 제기했다. 이는 주권의 부재로 점령을 합리화하는 논리였다. 국제법에서 주권자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을 ‘무주지(無主地, Terra nullius)’로 규정하고, 최초로 점유한 자가 이 땅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다는 이른바 ‘선점의 논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식민지를 지배할 때 유럽 제국주의가 즐겨 사용하던 방식이었다. 군사 점령을 정당화하는 국제법의 무주지론은 식민지에 대한 폭력의 다른 이름에 불과했다. 1951년 프랑켈은 무주지론을 수정했지만, 제국주의 국가가 내세웠던 무주지론을 다시 들고 나와 미군의 남한 점령을 합리화 한 것은 연합국이 전체주의·파시즘 국가와 싸우면서 내걸었던 세계대전의 이념적 좌표를 흔들어버리고, 결국 자국 이익의 확보를 위해 과거로 복귀하는 시도로 비추어질 수 있었다. 미군정이 주장한 것처럼, 조선이 원래부터 무주지인 것은 아니었다. 조선을 무주지로 만든 것은 미군정 통치의 결과였다. 일제 패망 후, 남한에서는 새로운 국가를 수립하려는 자치 활동들(건국준비위원회, 인민위원회)이 계속 나타났다. 이 활동들은 미군정에 의해 제지당했다. 무주지였기 때문에 점령한 것이 아니라, 점령했기 때문에 주권 없는 무주지가 되었다. 주한미군 사령관은 조선총독보다 더 강력한 권한을 소유하고 있었다. 남한에서 미 군정은 절대적 권력이었다. 세계질서를 새롭게 만드는 전후의 혁명적 상황에서 군사 점령은 권력자가 법을 창출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질서를 수립해 나가는 일종의 ‘예외 상태’라고 할 수 있었다. 미소가 주조한 전후 신질서는 군사 점령을 통해 창출된 절대적 권력을 통해 만들어졌다. 군사 점령은 점령 지역 내에서 질서를 굳건하게 다져 나갔고, 자본주의적이고 반공주의적인 미국 주도의 ‘냉전’으로의 급속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 KCI등재

        원효의 보살사상 - 열반의 연기(延期) 관념과 무주처열반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성철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8 No.-

        Wonhyo is well known not only as a scholar but also as an exemplary model of his public relief activiti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altruism in his academic writings. For this purpose, taking the theory of postponement of nirvāṇa of a bodhisattva, which is a model of altruism widely seen in the Mahāyāna Buddhism, especially in the East Asian tradition, as a clue, I examined the tension between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 ultimate model of altruism in Mahāyāna Buddhism, and examined how Wonhyo solved the problem.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which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criptures of the Pure Land Buddhism, is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 of nirvāṇa that altruistic acts are impossible when entering nirupadhiśeṣa-nirvāṇa. In contrast, prakṛti-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are Mahāyānic versions of nirvāṇa based on the śūnyatā thought of the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 In particular, apratiṣṭhita-nirvāṇa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sopadhiśeṣa-nirvāṇa from the point of view of Mahāyāna, and it is a groundbreaking idea that considers the altruistic acts itself as nirvāṇa while repeating reincarnations. As the Mahāyānic view of nirvāṇa is established,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loses its influence in the Indian Buddhist tradition. Wonhyo seems to have deeply understood the concepts of postponement of nirvāṇa, prakṛti-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and commented on Mahāparinirvāṇa-sūtra, freely quoting the scriptures in which these concepts appeared. However, Wonhyo does not seem to recognize the tension between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 reason is, first of all, that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he comments on does not deal with this issue. Therefore, Wonhyo would not have had to deal with problems that did not appear in the scriptures. Next, it may be because he came across the scriptures at the stage where the tension between apratiṣṭhita-nirvāṇa and postponement of nirvāṇa was resolv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ppears in Vimalakīrti-nirdeśa and Laṅkāvātara-sūtra, which he cites, but it is already reinterpreted by prakṛti-nirvāṇa or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refore, he has no reason to comment on the opposition between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Lastly, it is because Wonhyo creatively resolves the tension between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att is to understand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s a mode of activity of sāṃbhogika-kāya and nairmāṇika-kāya by combining nirvāṇa as tathatā and the theory of kāya-traya of Buddhas. This can be evaluated as Wonhyo's original contribution as an explanatory method that does not appear 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본고는 학자로서뿐만 아니라 대중교화의 모델로도 인정받고 있는 원효의 이타행의 근거를 그의 학문적 저작 안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대승불교 전통, 특히 동아시아 대승불교 전통에 널리 나타나는 이타행의 한 모델로서 보살의 열반연기론을 실마리로 하여, 대승불교 이타행의 궁극적 모델인 무주처열반과의 긴장 관계를 살펴보고, 원효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정토계 경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열반연기론은 무여열반에 들면 이타행이 불가능하다는 전통적 열반관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비해 자성열반과 무주처열반은 반야계의 공사상을 기반으로 한 대승의 열반관이다. 특히 무주처열반은 전통적인 유여열반을 대승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으로서, 윤회를 거듭하면서 이타행을 행하는 것 자체를 열반으로 간주한 획기적인 사상이다. 이와 같이 대승화한 열반관이 확립하면서 인도불교 전통에서 열반연기론은 영향력을 상실해 간다. 원효 또한 열반연기론과 자성열반, 그리고 무주처열반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들 개념이 나타난 경론들을 자유자재로 인용하면서 『열반경』을 주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효에게는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의 긴장관계에 대한 인식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먼저, 그가 주석하는 『열반경』이 이 문제를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효는 굳이 경전에 나타나 있지 않은 문제를 다룰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미 무주처열반 개념의 확립으로 인해 열반연기론의 긴장관계가 해소된 단계의 경론을 그가 접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인용하는 『유마경』과 『능가경』에는 열반연기론이 나타나 있지만, 그것은 자성열반론 혹은 무주처열반론에 의해 이미 재해석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의 대립을 부각하여 해설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효가 독창적으로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의 긴장관계를 해소한 사례가 보인다. 그것은 진여열반론과 붓다의 3신설을 결합하여 보신과 화신의 활동 양상으로 열반연기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점은 인도 찬술 불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설명 방식으로서 원효의 독창적인 기여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조계종 표준본 금강경에 나타난 심법 소고

        신명희 ( Sin My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금강경』은 대승불교 초기 반야부 경전으로서 空 사상이 중심이다. 이 경전에서는 공의 실천으로 무상·무주·무주심 등으로 공사상을 표현하고 있다. 『금강경』이 선종의 소의경전으로서 반야행인 無住相의 心[→無住心]이 여러 측면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무주상은 경전 서두에서 제시한 `어떤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여기서 `그 마음을 다스리는 가?`의 그 마음이란 번뇌심이다. 이 경에서 는 번뇌를 여읜 무주심의 자리가 깨달음의 경지인 청정심의 경지이다. 이 무주심은 應無所住 而生其心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인간의 지각 대상인 6境에도 집착이나 관념을 두지 말고, 마음을 내라는 뜻이다. 6바라밀에 있어서도 無住相的 行이어야 한다. 또한 이런 無住心이므로 과거ㆍ현재ㆍ미래, 삼세 어떤 시점에서도 마음을 찾을 수 없으며, 파악될 수 없다. 그래서 선사들은 삼세에 마음을 두지도 말고, 마음이 일어났으되 그 일어난 근원자리를 看하라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을 염두에 두고, 『금강경』에 나타난 心을 주제로 선 사상 측면에서 살펴본다. “The Diamond-sutra” is an early Banyabu scripture of Mahayana Buddhism which focuses its idea in “emptiness.” This scripture is a practice of emptiness and expresses the emptiness idea in doctrines such as empty mind, ownerless and ownerless mind. As a Soeui scripture of Zen sect, “The Diamond-sutra” presents emptiness mind which is Banyahaeng in many aspects. This emptiness mind is also a response to a question `what kind of mind should a person keep, how he must control the mind` which is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scripture. The emptiness mind position is in Cheongjeongsim (clean spirit) stage, which is the stage of enlightenment. Such emptiness mind can be described as Eungmusoju Isaenggisim, which means draw out mind without having an obsession or idea in six boundaries which are objects of human`s sense. One must practice a behavior of emptiness mind even in six paramita. Also because it is an emptiness mind, one cannot find its heart and cannot be understood in any stage of three worlds. Therefore, ancestors insisted not to fix mind in the three worlds, but observe the essence of the mind which it was caused.

      • KCI등재

        나집본 『金剛經』의 번역 및 三無에 대한 고찰

        김호귀 한국선학회 2008 한국선학 Vol.19 No.-

        한역 금강경 가운데 구마라집본이 지니고 있는 번역상의 특징은 다른 판본과 비교하여 다양하다. 수보리가 제시한 질문의 가지 수[起問不同], 경문의 누락 및 부분생략[有無不同], 문답의 반복 및 축약[答問不同], 경문의 생략 및 첨가[詳略不同], 경문에 대한 분과의 여부[立分不立分不同]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번역상의 차이는 전체의 대의에 대한 차이로 나타나기도 한다. 구마라집본의 경우 총론적인 수보리의 질문은 두 가지로 나타나 있다. 우선 발심의 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본래부터 타고 난 청정심을 유지하는 문제와, 후천적으로 물들어가는 번뇌심을 다스리는 것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중생에게 自發心은 가능한 가. 이 문제에 대하여 경문에는 발심에 대하여 세 가지 기능을 생각할 수 있다. 云何修行과 云何降伏其心의 부정적인 기능, 云何安住(應云何住)의 긍정적인 기능, 발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安住와 修行과 降伏其心의 초월적인 기능이 그것이다. 곧 발심하기 위하여 안주하고, 안주하기 위하여 수행하며, 수행하기 위하여 마음을 다스린다는 것이 된다. 그리고 경문의 곳곳에서 드러나 있는 무분별심의 無念과 무차별상의 無相 및 무집착의 無住에 대한 三無는 금강경의 사상적인 내용이기도 하다. 無念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佛心에 주하는 데에는 無所住 곧 무집착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것을 일상나집본 금강경 의 번역 및 三無에 대한 고찰 57 생활에서 말하면 색에 집착하지 않고, 성․향․미․촉․법에집착하지 않고, 일체의 모든 相에 집착하지 않고서 보시․지 계․인욕․정진․선정․지혜를 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無相에해당하는 것으로는 바로 어떻게 차별상이 없는 평등심을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그에 대한 답변은 경문의 여러 곳에 나타나 있다. 곧 보시 등을 하는 경우에 보시를 했다는 念을 지니지 않는 것과 수다원 등을 얻고서도 얻었다는 念을 지니지 않는 것 등이 그것이다. 無住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眞心이 발생하는 곳에 妄心은 다스려진다. 때문에 有相이 허망한 줄을 아는 것에서 곧 망심은 사라지고 만다. 이로써 수보리의 질문 전체는 발심을 대 의로 삼고 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이 곧 無念․無相․無住이다. 이 無念은 應云何住(云何應住)에, 無相은 云何修行에, 無住는 云何降伏其心에 각각 해당된다. The Chines texts of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 sũtra are 6kinds. The first is translated by GUMARA-JIVA. The text has two questions by Subuti. had take into accounted doctrines of branch about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sũtra, in China, namely, 12 branch, 6 branch and 3 branch and the like. He studied the errors one by one. Especially he pointed out some matters of the nominals and the ways of classifications about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sũtra. But he excepted of the Sāstras by the Rev. Asaṇga(無著)and Basubandu(天親) in India. And finally he instituted the 3 branch, but he made a partial revision of the trisections, to wit the first part(序分), the second part(正宗分) and the third part(流通分). Also he permitted the 2 rounds(二周說法) in the second part(正宗分). In the exposition of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sũtra by GILJANG(吉藏), we can see the branch about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sũtra is modification of the trisections. The conclusion is that he admitted the doctrines of all at that times about the branch about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sũtra in partially, in spite of he criticized the doctrines. About three-non of Vajracchedikā-prajňā-pāramitā-sũtra are non-remembrance(無念), animitta(無相) namely the realm free from all attachment, no-mind(無住) namely not to have fixed ubstance.

      • KCI등재

        삼국사기 지리지에 보이는 고대 호남지방 武州의 郡縣 편제 양상

        최일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58

        This study speculated on the aspect Guns(郡) and Hyons(縣) of Muju(武州), one of nine districts of ancient Shilla, were organized. However, as for the a site of Muju,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quantity, class change and concentrated arrangement of Guns and Hyons between Muju of Shillla recorded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Geography Section(地理志)3 and the Mujinju(武珍州) of Baekje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Geography Section(地理志)4 It was recorded that the Muju of Shilla had 14 Guns while the Mujinju of Baekje had 15 Guns. As for the way of military arrangemen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tricts Chisogun(治所郡, the place with an administrative office) was concentrated between Shilla edition and Baekje edition. In the Shilla Edition, to the north of Muju, 1 Gun(Jangseonggun) was added, and to the plain area of South, 1 Gun(Bannamgun) was added. However, in the Baekje edition, four Gun were arranged in Seungju, Nagan, Bosung and Bokne of Bosung that correspond to the southeastern area of Muju. In the Shilla edition, Neungju was abolished. As for the Jindogun case, in the Baekje edition, the entire island area was arranged into a single Gun. However, in the Shilla edition, Injindogun that had been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island was served as a subordinate Hyon of Muangun.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Muan and Jind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us, it was assumed that the basic reasons why the organization of Gun-Hy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periods and records were for ruling goals of Baekje and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according to the ruling goals of Shilla after the three states had been un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rther research will focus on more specific background. 신라의 9주 중 무주의 군현 편제 양상을 살폈다. 그런데 무주라는 동일한 공간이 삼국사기 지리지3 신라편 무주와 지리지4 백제편 무진주 기록간에 군현 숫자, 군현 격의 변경 및 군현의 집중 배치 지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신라편 무주는 14군, 백제편 무진주는 15군이었다. 군의 배치에서는 치소군의 집중 지역이 달랐다. 신라편 무주에는 북쪽에 1개군 추가(장성군), 남쪽 평야지대에 1개군(반남군)이 추가되었다. 반면 백제편 무진주에는 동남쪽에 해당하는 승주, 낙안, 보성 복내, 보성 지역에 4개 군이 배치되었다. 신라편에서는 그 중 보성 복내가 폐지되었다. 진도군은 백제편에서는 섬 지역 전체가 1개의 군으로 편제되었다. 반면 신라편에서는 이전 섬의 치소였던 인진도군이 무안군의 속현으로 변했다. 무안과 진도간의 거리를 고려하면 납득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렇듯 두 기록간 무주라는 동일 공간의 군현 편제 양상이 변화했던 근본적인 원인은 백제 당시의 통치 목적, 삼국 통합 후 신라의 통치 목적에 따른 지방 행정 제도 개편의 결과였을 것이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더 세부적인 배경은 추후 연구에서 밝혀보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