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슬림 여성과 이슬람 선교의 새로운 방향

        안신(Shin Ah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5 No.-

        본 논문은 무슬림 여성에 대한 기존의 두 가지 여성주의 흐름을 극복하기 위하여 민속 이슬람을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종교현상학적 연구는 가능한 한 가치 판단의 중립을 지향하지만 기독교 선교에 적용하기 위하여 기독교 여성이 무슬림 여성을 위한 선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세와 일상생활에서 무슬림 여성들 가운데 실천할 수 있는 대화와 기도의 선교 방식을 함께 검토한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기존의 한국 여성주의자들이 진행해 온 무슬림 여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했다. 기독교 선교학자 전재옥의 연구를 무슬림 공동체의 외부자의 입장에서 시도한 해석으로 규정하였다. 그녀는 이슬람을 ‘이웃 종교’로 인식하며 공감적 이해를 시도하지만, 이슬람 세계를 근본적으로 변혁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선교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무슬림 여성주의 학자 조희선은 무슬림 공동체의 내부자의 입장에서 무슬림 여성 담론이 지닌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는 데 노력했다. 서구에서 형성되어 유포된 무슬림 여성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비판하며 후 기식민주의의 접근을 이용하여 무슬림 여성의 상정이 지닌 저항과 변혁의 의미를 재발견했다. 기존의 두 관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종교현상학의 해석을 제안하며, 특히 민속 이슬람과 관련된 무슬림 여성의 세계관을 소개했다. 복잡성과 일상성이 강조되는 무슬림 여성의 민속 이슬람은 정통 이슬람과 무슬림 남성을 기준으로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선교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기독교 여성이 무슬림 여성을 향해서 실천할 수 있는 ① 친교, ② 나눔, ③ 연계, ④ 스토리텔링, ⑤ 기도의 선교 방식을 검토했다. 결론에서 필자는 21세기 무슬림 여생에 대한 이해와 선교의 방향으로 세 가지 제안을 했다. 첫째 무슬림 여성의 다양성과 차이를 고려한 상황적 선교 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무슬림 여성의 일상과 관심에 공감적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무슬림 여성이 기독교 공동체로 유입되는 개종의 주요 원인을 찾아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독교인의 정체성과 기독교 공동체의 내적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Muslim women’s worldviews, expecially their relation with Folk Islam, from a phenomenology of religion. Comparing a Christian feminist interpretation with an Islamic one, the author claims tha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Muslim women will overcome these existing approaches in Korean feminists. First, in Qur’an and Hadith, we find several references on the discrimination of Muslim women in terms of their relation with men. Second, Jeon Jae Ok, a Christian woman missiologist, tries to understand Islamic worldview as a neighbor’s religion, but within Islam she didn’t find any necessary power to transform social structures. Regarding Muslim women as the objects of Christian mission, Jeon emphasizes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 women. Third, Jo Hee Seon, a Muslim woman feminist, redefines Muslim women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gainst Wester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Exploring the reality of polygamy, hijab, honor crime, woman circumcision, she criticizes the Western invention of Islamic distorted images. She pays attention to the political meaning of Muslim women. Fourth, in order to overcom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outsider’s and insider’s approaches,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Muslim women and their worldviews, which are based on Folk Islam, is performed. Compared with Formal/Orothox Islam, Folk/Popular Islam has characteristics such as its concern with everyday human problems, magic, healing, dream and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Fifth, the Christian women has a significant role of transmitting Christian message to Muslim women. We examines basic attitudes to Muslim women and practical ways of dialogue and prayer as Christian missions to Muslim women in everyday life.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Christian mission for Muslim women. First, Christian mission for Muslim women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for Muslim men. Second, we should understand Muslim women’s concern and situation from their viewpoints. Third, we should strengthen the elements of Christian community which make Muslim women become new Christians.

      • KCI등재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

        홍석준(Hong, Seok-Joo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이 글은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을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적 함의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무슬림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사회에의 정착과 적응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국에 국제결혼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결혼과 혼인에 대한 인식이 한국사회에 정착하여 적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이들의 대응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무슬림의 정체성 문제를 무슬림 여성결혼 이주자들의 한국사회에의 적응과 전략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러한 접근은 날로 늘어나는 무슬림 여성들의 한국 사회에서의 생활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이를 문화적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넘어 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라는 문화적 실천의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학술적 실험을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국제결혼이민자들의 적응력을 높이는 실질적인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무슬림 여성들의 정체성은 국제이주 과정에서 항상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들의 정체성이 한국 사회와 같은 낮선 곳에 이주하여 살아갈 때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적 갈등과 대립을 넘어 정착 또는 적응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매우 유의미한 결론을 제공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무슬림 여성들이 이주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 사회의 문화적 환경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사례 연구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무슬림 여성 이주자들의 성공적인 적응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학술적, 실천적 작업은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요소가 문화적 환경, 특히 혼인과 가족이라는 사회관계의 틀 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준거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문화 간 접촉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지역연구 나아가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slim women’s identity from the development and use of adaptation and copying strategies of Muslim migrant women in rural area of Korea. For this purpose, I intend to develop and u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Muslim 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 in contemporary Korea. Basically, this paper is based upon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adaptation model for Muslim women in Korea. In this sense,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pilot study. In this study, I hope that this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velop and use pra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uccessful and meaningful adaptation of these Muslim women to Korea. It is obvious that the Muslim women’s identity will chang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migration. Muslim women in Korea are not exception. Their identities are (re)form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adaption and conflict in the everyday lives of Muslim women in Korea. Especially, as Muslim women, their perceptions of family and marriage are always changing in the new and different cultural situations in Korea, where not so many Muslim women live in. In this paper, I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in rural area of contemporary Korea. And I try to constru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for Muslim women to adapt successfully to Korean cultural environment.

      • 말리 공화국 여성의 이슬람교 종교 실천 문제 함의

        장훈태 ( Chang Hun-tae ) 아프리카미래학회 2023 아프리카와 미래 Vol.3 No.0

        7세기에 무함마드가 아라비아에서 창시한 이슬람교는 11C와 12C 경 북아프리카에서 건너온 베르베르족에 의해 말리에 소개되었다. 말리의 이슬람교는 급속하게 확산되어 오늘날 말리는 95%가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무슬림 여성들이 이슬람교의 교리를 실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말리 공화국 전국 무슬림여성협의회는 각 주와 도시의 여성 무슬림 협의회와 정부와의 조정기구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정부 당국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감으로써 이슬람교의 확장과 ‘무슬림 여성’의 행복한 삶을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본 고에서는 말리 공화국에서 만난 무슬림 여성들 사이에 참여하여 진행한 관찰과 인터뷰, 가이드를 통한 분석을 기준으로 무슬림 여성이 이슬람교의 교리를 실천하는 데 어려움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말리 무슬림 여성은 사회적 상황과 문화, 전통으로 인해 무슬림 여성이 종교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무슬림 여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슬림 여성협의회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말리 이슬람 여성들의 문제를 효과적이고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슬림 여성의 어려움은 무엇인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세계 인권위원회가 여성 인권과 평등을 위한 방안을 말리 정부와 세계 이슬람 협력기구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여성 교육과 사회활동을 보장하는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Islam was founded in Arabia by Muhammad in the 7th century, and was introduced to the Republic of Mali by Berbers from North Africa around the 11th and 12th centuries. Islam in Mali spread rapidly, and today Mali is a country where 95% believe in Islam.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for Muslim women to practice the creeds of Islam. The National Muslim Women’s Council of the Republic of Mali is a coordination body between the Muslim Women’s Councils of each state and city and the government, and maintains continuous dialogu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with government authorities to achieve their goals. They also strive to expand Islam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uslim women’.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difficulties that Muslim women face in practicing the creeds of Islam based on observations, interviews, and analysis conducted through guides among Muslim women met in the Republic of Mali.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lian Muslim women have difficulty practicing their religion due to their social situation, culture and traditions. And we looked into what the Muslim Women's Council could do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Muslim women. First, in order to effectively and fundamentally resolve the difficulties faced by Malian Muslim women, the actu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alian women should be analyzed. Second, the World Human Rights Commission should continue to request measures for women’s human rights and equality from the Malian government and the Organization of Islamic Cooperation, and develop a movement to guarantee women’s education and social activities.

      • KCI등재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적 함의-

        홍석준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slim women’s identity from the development and use of adaptation and copying strategies of Muslim migrant women in rural area of Korea. For this purpose, I intend to develop and u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Muslim 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 in contemporary Korea. Basically, this paper is based upon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adaptation model for Muslim women in Korea. In this sense,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pilot study. In this study, I hope that this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velop and use pra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uccessful and meaningful adaptation of these Muslim women to Korea. It is obvious that the Muslim women’s identity will chang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migration. Muslim women in Korea are not exception. Their identities are (re)form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adaption and conflict in the everyday lives of Muslim women in Korea. Especially, as Muslim women, their perceptions of family and marriage are always changing in the new and different cultural situations in Korea, where not so many Muslim women live in. In this paper, I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in rural area of contemporary Korea. And I try to constru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for Muslim women to adapt successfully to Korean cultural environment. 이 글은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을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적 함의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무슬림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사회에의 정착과 적응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국에 국제결혼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결혼과 혼인에 대한 인식이 한국사회에 정착하여 적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이들의 대응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무슬림의 정체성 문제를 무슬림 여성결혼 이주자들의 한국 사회에의 적응과 전략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러한 접근은 날로 늘어나는 무슬림 여성들의 한국 사회에서의 생활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이를 문화적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넘어 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라는 문화적 실천의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학술적 실험을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국제결혼이민자들의 적응력을 높이는 실질적인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무슬림 여성들의 정체성은 국제이주 과정에서 항상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들의 정체성이 한국 사회와 같은 낮선 곳에 이주하여 살아갈 때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적 갈등과 대립을 넘어 정착 또는 적응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매우 유의미한 결론을 제공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무슬림 여성들이 이주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 사회의 문화적 환경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사례 연구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무슬림 여성 이주자들의 성공적인 적응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학술적, 실천적 작업은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요소가 문화적 환경, 특히 혼인과 가족이라는 사회관계의 틀 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준거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문화 간 접촉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지역연구 나아가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여성주의 운동 참여와 정체성 형성

        이수인(Lee, Sooin)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1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의 무슬림 가부장제가 여성을 부당하게 억압하고 불평등하게 대우함으로써 이슬람의 진리에서 벗어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이슬람의 정의 아래 여성 억압적 현실과 싸우는 무슬림 여성주의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여성주의 운동조직 참여와 관련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여성주의에 친화적인 자아정체성의 특징들이 성장기 경험 속에 축적되고 있었다. 성불평등한 성역할 훈련과 무슬림 여성으로서의 복장훈육을 매개로 부모와 학교의 종교교사와 갈등을 빚으며 여성억압과 성불평등에 대한 잠재적, 현재적 인식이 형성되고 있었다. 여성주의적 인식 자각의 계기로서 사회운동 역사의 세대전수, 외국문화의 경험, 성적 억압, 여성 운동조직에의 참여 등이 발견되었다. 여성주의 인식의 자각단계는 아직 참여에 이르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지만 여성주의운동에 동조적인 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여성주의운동가 정체성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전 재해석을 통해 중요한 타자인 알라에 대한 이해와 여성주의적 인식을 결합하는 일이었다. 신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재해석에 용이한 경험의 궤적들이 토대가 되는 가운데 개혁적인 무슬림집단과의 연결이 경전재해석을 위한 발판 구실을 했다. 대안적 경전해석을 통해 이들은 무슬림으로서의 정체성을 적극 승인하고, 더 깊어진 신앙을 통해, 그 신앙의 이름으로 무슬림 여성들의 권리와 평등을 위해 싸울 수 있게 된다. 여성주의적으로 해석된 꾸란에 대한 이해는 이렇게 여성주의운동의 강력한 지지기반이 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주체적 역량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 운동가로서의 분명한 정체성 전환이 출현하는데 이 과정은 다양하고 중층적인 정체성 구성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as a feminist activist of Muslim women in Malaysia which is rela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feminist movement. They have belief that Muslim patriarchy suppresses women and gives women unfair treatment, so they are involving in fighting against it for women’s justice and gender equality. Research participants formed feminism-friendly identity during childhood. Conflicts with parents and(religious) teachers formed their latent and manifest perception about women suppression and gender unequality.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was made through the conveyance of social movement―Dakwah movement―experience from parents, sudden experience of foreign culture, experience of gender suppression, participation in women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step of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the identities of participants were constructed so as to enhance the congruence with identity of feminist movement group but not enough to ensur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identity construction as a feminist activist is to merge feminist consciousness with understanding of Allah through feminist interpretation about Quran. Joining in the reformative muslim group takes decisive role in conducting that. Alternative interpretation strengthens Muslim identity, stronger belief gives Muslin feminists the power for fighting against gender unequality. Feminist interpretation for Quran empowers research participants and works as stronger base for feminist activities than prevailing interpretation. In the process of combining feminist consciousness with new interpretation of Allah, identity transformation appeared through various and multipl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 KCI등재

        조선 개화기 여성 기독교 선교를 통한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

        K.Myria,소윤정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58 No.-

        This study investigated missionary strategies for Muslim women through the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for Chosu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t was like fabrics were moving on the road since they were wrapping their bodies with the fabrics, exposing their eyes only.” This was not a confession of missionaries who came to the Islamic world but what the women of Joseon looked in the ey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stepped onto the land of Chosun. Social phenomena based on the patriarchal system, such as hetaerism, early marriage, the separation of space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carried out in Chosu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share many similarities with society in the modern Islamic world.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times, the looks of the lives of the women of Chosun created by patriarchal society can also be found in the modern Muslim women’s lives. These sociocultural limitations have made missions in the Islamic world centered around men. There were changes in perceptions as time flowed; however, still, the centrality of mission for Muslim men in Islamic missions pointed out by Miriam Adeney has continued. On the other hand, the mission for Muslim women, half of the population, is sometimes considered not the main missionary work.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fforts and methods for preaching the Gospel to the women of Chosun of difficult access for the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in Chosun to meet through the missionaries’ records and examine missionary strategies for Muslim women in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difference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the missions for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carried out in women’s lives in the patriarchal social environment and the closed social environment for wome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Pakistani Muslim women since it would be impossible to unify Islamic countries. Later,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positions and social activities of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Pakistani women,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propose missionary strategies for Pakistani women through the methods and results of mission for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본 연구에서는 개화기 조선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활동했던 서양 선교사들의 활동을 통해 무슬림 여성 선교 전략을 살펴보았다.“눈만 드러낸 채 천으로 몸을 감싸고 있어서, 길에는 천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다.”이슬람권 선교사의 고백이 아니라 조선 땅을 밟았던 서양 선교사 눈에 비추어진 조선 여성들의 모습이었다. 개화기 조선에서 행해졌던 축첩과 조혼, 여성과 남성의 공간 분리와 남아선호사상과 같이 가부장 제도의 기초를 둔 사회 현상은 현대의 이슬람권 사회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사회가 만들어낸 조선 여성의 삶의 모습은 현대 무슬림 여성의 삶의 모습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한계는 이슬람권에서의 선교를 남성 중심으로 진행되게 만들어왔다. 시대가 흐르며 많은 인식의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미리암 애드니(Miriam Adeney)가 지적했던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무슬림 남성 선교의 중심성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반면, 인구의 절반인 무슬림 여성 선교는 중심 사역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에서 활동했던 선교사들이 만나기 어려웠던 조선 여성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했던 노력과 방법들을 선교사들의 기록물을 통해서 연구하고, 21세기 무슬림 여성 선교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대적 차이가 존재함에도 개화기 여성 선교가 가부장적인 사회 환경에서 나타나는 여성들의 삶과 여성에게 폐쇄적인 사회 환경 가운데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 국가를 획일화할 수 없기에 파키스탄 무슬림 여성들로 그 연구 범위를 제한하였다. 이어서, 개화기 여성과 파키스탄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사회적 활동 비교를 통하여 유사점을 연구하고, 개화기 여성 선교 방법과 결과들을 통하여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에 맞서는 무슬림 여성주의자들의 실천 전략

        이수인(Lee, Sooin)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1

        본 연구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는 종교적 근본주의화와 가부장주의의 강화에 대항하는 무슬림 여성주의자들의 실천전략을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무슬림 여성주의 집단인 SIS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실천전략은 첫째, 경전해석이 사회문화적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며, 경전재해석에 기초해 젠더개념을 수정함으로써 이슬람 신앙의 틀을 깨지 않으면서도 여성주의적 실천을 실행하는 것이다. 둘째, 종교적 자유를 추구하며, 근본주의자들과의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고 무슬림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노력한다. 종교적 자유추구를 위한 실천의 방식으로 히잡에 대한 유연한 태도, 종교자유의 언술구성과 실천, 제도종교와 개인종교의 분리, 종교공동체인 가족 및 친밀한 집단과의 충돌 회피, 제도종교와 거리두기 등이 있다. 셋째, 남성 울라마들에게 독점되어 온 신학지식과 경전해석의 남성중심성을 비판한다. 이들은 대안적인 경전해석의 정당성을 자신들의 깊은 믿음과 고등교육에 기초한 높은 종교적 지식에서 찾는다. 넷째, 이슬람 정의의 개념과 언어를 통해 보편적 여성인권과 성평등을 구성함으로써 민족문화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성평등이라는 보편적 요구를 풀어나가고자 노력한다. 뿐만 아니라 과거 서구의 식민지배를 받았던 국가이자 다민족으로 구성된 말레이시아 사회의 현실을 반영해 다양한 주체, 주변적 주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며 차이를 내포한 공감과 공통 경험을 통해 초국적 연대를 추구한다. 이러한 말레이시아 여성 무슬림들의 실천전략은 주체적 관점에서 탈식민적 여성주의의 저항전략을 구성하고자 하는 한국 여성주의의 실천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e strategies of Sisters In Isla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Muslim feminist group in Malaysia. They pursue feminist practices remaining in Muslim faiths and try to reform Islamic fundamentalism. The practice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y insist Islam’s Holy book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ocial, cultural circumstances. They provide the revised gender concept and gender relations within Islamic framework and women’s perspective through alternative interpretation. Second, they try to obtain religious freedom avoiding conflicts with Islamic fundamentalism by flexible religious practices. The ways for religious freedom are the flexible attitudes to wearing hijab, the construction of religious freedom discourse, avoiding conflicts with religious community and keeping distance with institutional religion. Third, they expose male-centric interpretation of Quran and Sharia law. They show their legitimacy of interpreting Quran is grounded on their deep faiths and the high quality of religious knowledge supported with high education. Fourth, they not only constitute universal women’s rights and gender equality but also meet nationalist demands of cultural relativism with Islamic justice and language. They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and marginalized subjects and try to pursue transnational solidarity based on sympathy and common experience including difference. These practice strategi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n feminists who should constitute the resistant practices of postcolonial feminism from subjective perspective.

      • KCI등재

        무슬림 여성의 히잡착용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해석

        안신(Ahn Sh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2

        무슬림 여성이 착용하는 히잡의 상징성은 여성주의 종교담론에서도 핵심적인 논쟁의 주제로 최근 부상하고 있다. ‘복종과 평화의 종교’로서 이슬람은 그 어원적 의미와는 달리 가부장적인 제도 아래 여성들을 억압하고 고립시켜 그녀의 권리를 유린하는 여성차별적인 종교인가?아니면 다른 종교들보다 앞서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며 여성의 사회참여를 미리 예견하고 실천한 양성평등의 종교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필자는 먼저 이슬람 외부자의 고백론적 입장에서 이슬람과 무슬림 여성의 히잡을 ‘억압’의 상징으로 비판하는 기독교 여성신학자들의 주장을 분석했다. 그들은 기독교의 메시지를 무슬림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히잡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이슬람 내부자의 환원론적 입장에서는 히잡을 서구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항하는 ‘저항’의 상징으로 지지해 왔다. 우리는 상호 충돌되는 두 입장을 동시에 극복하면서 종교현상학적 해석을 통하여 다차원적 종교상징으로서 히잡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7세기에 집성된 꾸란과 9세기에 수집된 무함마드의 언행록(하디스)을 분석하여 히잡이 초기 이슬람 사회에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후기 이슬람의 확산과정에서 유입되면서 가부장적 제도와 결합하여 강화되어 정착된 것으로 설명했다. 꾸란의 남녀유별관은 유대ㆍ기독교 세계관보다 현대 여성주의 관점에 가까운 양성평등론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 일부 언행록은 여성을 본성적으로 남성보다 열등한 유혹자로 간주해 히잡착용의 정당성을 확보했다. 앞으로 다차원적 종교상징으로서의 히잡착용에 대한 여성주의 담론은 이슬람 세계관의 공감적 이해와 상황의 심층적 분석을 균형 있게 시도함으로써 그 다양한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Muslim women's veiling becomes one of the key issues in feminist discourses of religious studies. Has Islam, the religion of submission and peace, oppresse women by isolating them from society and stealing their human rights? Or has i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endere quality by protecting women's rights and strengthening their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author examines two main approaches: outsider's confessional approaches and insider's reductive approaches. Christian feminists and scholars of mission studies criticize the negative dimension of Muslim women's veiling, regarding it as the symbol of oppression. On the contrary, Muslim social scientists focus on the political dimension and emphasize the meaning of resistance in women's veiling. Overcoming these trends,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religious-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Muslim women's veiling as a multi-dimensional religious symbol. The analysis of the Qur'an and Hadith leads us to recognize the different views of woman between early Islam and late Islam. Hijab was originated from pre-Islamic culture and became a part of Islamic tradition. Muslims have transmitted women's veiling and Islamic teaching to other cultures through the process of expansion. We find the gender equality in the Qur'an, but the Hadith contains some elements of gender discrimination concerning the human nature. In conclusion, we need to open ourselves to new approaches balanced by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Islamic worldviews and the contextual analyses.

      • KCI등재

        키르기스스탄에서 히잡 입기: 무슬림 여성들의 동기, 국가와 사회의 반응

        김태연(Kim, Tae Y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아시아여성연구 Vol.59 No.3

        이 글의 목적은 포스트소비에트 키르기스스탄에서 무슬림 여성들이 히잡을 입기로 결정하는 동기와 그 의미, 무슬림 여성들의 히잡 착용에 대해 국가와 사회가 보이는 반응과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키르기스스탄 무슬림 여성들의 히잡 착용을 추동한 동기는 종교적 이유, 구조적 변동에 대한 대응기제, 심리적 이유, 심미적 이유 등으로 다양하다. 반면에 이슬람 극단주의에 대한 우려, 키르기스 민족주의적 반응, 세속주의 원칙의 주장 등 무슬림 여성들의 히잡 착용에 대해 보이는 키르기스스탄 국가와 사회의 반응은 상당 정도 과거의 인식틀에 의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국가와 사회의 반응과 담론으로는 키르기스스탄 무슬림 여성들의 히잡 착용이 증가하는 흐름이 중단되거나 저지되지 않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Muslim women’s motives for deciding to wear hijab and the meaning of this behavior, and the state and society’s responses to and discourses on Muslim women doing so in post-Soviet Kyrgyzstan. It was found that the motives giving impetus to Muslim women wearing hijab in Kyrgyzstan are diverse: religious reasons, coping mechanisms for structural changes, psychological and aesthetic reasons. Meanwhile, the state and society’s responses to Muslim women wearing hijabs in Kyrgyzstan are, to a large extent, constituted in accordance with the cognitive frameworks of the past and include concerns about Islamic extremism, Kyrgyz nationalistic responses, and the assertion of principles of secularism. The continued increase among Muslim women in Kyrgyzstan wearing hijabs indicates that the state and society’s responses and discourses will not halt or block this trend.

      • KCI등재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 액티비즘의 실천 전략과 특징:파타야(Fatayat) 여성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이수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1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대중적인 조직 기반을 가진 엔우의 여성단체인 파타야는 개혁적인 꾸란 해석을 통해 균형 잡힌 이슬람을 구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파타야 활동가들을 통해 발견한 인도네시아 여성 무슬림 액티비즘의 실천 전략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꾸란의 재해석을 통해 여성권리와 남녀평등의 근거를 꾸란에서 찾음으로써 여성들을 임파워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둘째, 젠더의 사회적 구성을 강조하고 공적 영역에서 여성의 평등한 참여와 권리를 강조한다. 그러나 모유수유의 자연성을 강조함으로써 묵시적으로 양육 문제에 관해서만은 여성의 우선적 책임성이 수용되는 변형된 평등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물론 이 전략이 사적 영역에서의 성불평등 수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셋째, 여성이 공적인 리더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도 리더십을 전적으로 개인적 자질에 귀속시킨다. 공사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공적 영역의 평등을 강조하고 사적 영역은 개인적 선택에 맡기는 전략 때문이다. 사적 영역의 평등은 젠더관점을 공유한 배우자 선택과 배우자와의 사적 계약을 통해 실현된다. 이러한 젠더평등 실천양상은 무슬림 여성주의가 파타야라는 조직의 특성에 매개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다. 내생적 조직을 통해 착근된 젠더평등의 실천방식은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 액티비즘의 주체성과 독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Fatayat, women part of Nahdlatul Ulama which is the most popular religious organization in Indonesia, has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balanced Islam through the gender equal interpretation of Quran. The practical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Fatayat activists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the strategy of empowering women by finding out the grounds for gender equality in Quran. Quran provides muslim women with the energy carrying out the activism. Second, they assert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and the equal rights of women in public sphere. But they highlight the innate nature of breast feeding and have modified gender equality strategy. Though the modified equality strategy accepts the prior obligation of mother to that of father as far as child rearing is concerned, it doesn’t mean gender inequality in domestic sphere. Third, while they claim women can be leader in public sphere, they ascribe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nly to personal qualities. Accepting the innate nature of breast feeding and the personal qualities of leadership is related to the strategy that emphasizes the public equality through the division of public and private spheres. To realize the equality in private sphere, they choose a spouse who has gender perspective and make private agreements with their husbands for conjugal equality. The flexibility in Fatayat activities shows the global muslim feminism has been mediated through Indonesian contexts by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Fatayat. It seems the characteristics of Fatayat activism reveal Indonesian subjectivity and peculiarity which are deeply rooted in local context by Fatayat, the endogenous mass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