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 무량사無量寺의 17세기 재건再建과 조영 계획造營 計劃

        오세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3

        부여 무량사無量寺의 17세기 재건再建과 조영 계획造營 計劃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는 임진왜란 이후 무량사의 재건 과정과 후원 세력 등을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재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극락전의 건축적 특징과 의장 계획 등을 함께 살펴 볼 수 있었다. 무량사의 재건 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량사의 1624~1636년까지 1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된 중창 순서를 재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극락전의 재건시기를 1633년에서 1624년으로 조정하여 전체적인 무량사의 불사 순서가 1624년 극락전 중창, 1627년 괘불 조성, 1636년 소조삼존불 조성, 1636년 범종 조성으로 이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무량사 재건은 일반 사찰에 비해 13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진행되고 있어 강력한 후원 세력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특 히 완주 송광사 불사를 주도적으로 이끈 진묵대사가 무량사 불사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진묵대사의 불사를 지원 했던 송광사 후원 세력인 왕실 신씨 일가의 영향이 무량사까지 미친 것으로 보았다. 셋째, 무량사 재건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는 극락전의 건축적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무량사 극락전을 다른 중층 불전과 비교 를 통해 건축형식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특히, 공포와 가구의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무량사 극락전과 완주 화암사 극락전이 동일한 계통의 장인이 만들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극락전을 조영하는데 사용한 309mm의 용척을 중심으로 건물의 의장 계획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극락전은 일 반 조선후기 중층 불전에 비해 완벽한 비율이 확인되고 대체로 1 : 1.41의 황금비율이 건물의 곳곳에 남아있다. 또한 극락전의 안정적 인 의장은 조선후기 무량사 재건 당시 이미 전체적인 가람의 조영 계획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d reconstruction and building plan of Buyeo Muryang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and reviewed its construction process and supporting power since the Imjin War of 1592. In addition,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design plan of Geukrakjeon that i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reconstruction were examined.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Muryangsa Temple is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reviewed the reconstruction order of Muryangsa Temple that was progres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1624 to 1636. In doing so, the reconstruction period was adjusted from 1633 to 1624 so that the construction order of Muryangsa Temple might be the reconstruction of Geukrakjeon in 1624, Gwaebul in 1627, Sojosamjonbul in 1636 and Beomjong in 1636. Secondly, as the re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 was progres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f 13 years, it was assumed there was great supporting powe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Jinmukdaesa who lead the construction of Wanju Songgwangsa Temple had an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It was conjectured that Shin family of the royal family as the supporting power of Songgwangsa through the support of Jinmukdaesa had an impact on Muryangsa Temple. Thirdly, the study reviewed architectural features of Geukrakjeon which has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re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 By comparing other reconstructed temples, the architectural style of Muryangsa Temple was examined. In particular, features of Gongpo and furniture were reviewed. In doing so, Muryangsa Temple, the study proposed a possibility that Geukrakjeon would be constructed by an artisan in the same genealogy of Wanju Hwasamsa Temple Geukrakjeon. Finally, the design plan of the building was reviewed with Yongcheok of 309mm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Geukrakjeon. Geukrakjeon had perfect proportion compared with other reconstructed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golden ratio of 1:1.41 was applied in many areas of building. the study also proposed that the stable design of Geukrakjeon was carried out by the building plan of overall Garam at the time of re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 몇 가지 -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최영성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39 No.-

        Kim Siseup entered Muryangsa Temple(無量寺) in Hongsan(鴻山), Chungcheong Province around August 1492(23rd year of King Seongjong) and then passed away on March 13th next year. Though his stay was only 7-month long, the relation between Kim Siseup and Muryangsa Temple is profound. Kim Siseup had been related with Muryangsa Temple even before his retirement, o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Buddhist priest Jihee(智熙) at Muryangsa Temple would have played a role as a bridge between Kim Siseup and the temple. After entering Muryangsa Temple, Kim Siseup stayed at Maewoldang(梅月堂) and left the final two pieces of article at the request of Jihee before leaving this world, which are Beophwagyeongyohae(法華經要解) and epilogue on Suneungeomgyeong(首楞嚴經). Kim Siseup thought of ending his life at Muryangsa Temple before entering Muryangsa Temple. After he entered the temple, he lived a life of a Buddhist, focusing on Zen meditation(參禪) and left a will for things to be done after his passing. It was told that there was a grave of Choi Chiwon around Muryangsa Temple, which proves Kim Siseup was to trace back to the origin of his thoughts. As his stupa was formed within Muryangsa Temple area, it made Muryangsa Temple a shrine of integrity ideology(節義思想). The fame of Kim Siseup and the status of Muryangsa Temple has become inseparable. This study first clarifies that the name of room where Kim Siseup stayed was Maewoldang. It is proved that his residence was all named Maewoldang regardless of Suraksan Mountain, Geumosan Mountain or Mansusan Mountain. In addition, the stupa field [浮屠田] where that of Kim Siseup is laid also has stupas of Buddhist priests related to Muryangsa Templ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m cannot be described in detail as of now. It can only be assumed that they would have belonged to Cheongheodang(淸虛堂) Hyujeong (休靜). The Buddhist priest Neungheodang(凌虛堂) Cheoyeong(處英) is a different person with the same name with the Buddhist priest Noemukdang(雷默堂) Cheoyeong. 김시습은 1492년(성종 23) 8월 무렵에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에 들어와 이듬해 3월 13일에 세상을 떠났다. 머문 기간은 약 7개월 정도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는 간단하지 않다. 김시습은 은거 이전부터 무량사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무량사에 주석하던 지희(智熙)라는 승려가 교량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김시습은 무량사에 들어온 뒤 매월당(梅月堂)에서 거처하였으며, 지희의 부탁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에 최후의 글 두 편을 썼다. 『법화경요해(法華經要解)』, 『수능엄경(首楞嚴經)』에 붙인 발문이 그것이다. 김시습은 무량사에 들어오기 전부터 무량사에서 삶을 마칠 생각을 하였다. 들어온 뒤에는 참선(參禪)을 중심으로 한 불교인의 삶을 살았으며, 죽은 뒤의 일처리를 유언하였다. 무량사 부근에는 최치원의 무덤이 있다고 전해왔다. 결국 김시습은 자신의 사상적 연원(淵源)을 찾아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무량사 역내(域內)에 김시습의 부도(浮屠)가 조성됨으로써, 무량사는 절의사상(節義思想)의 성지가 되었다. 김시습의 명성과 무량사의 위상이 상호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다. 김시습이 거처했던 당실(堂室)이 매월당이었음은 본고에서 처음으로 밝혔다. 김시습의 거처는 수락산, 금오산, 만수산 할 것 없이 매월당이었음이 증명되었다. 한편 김시습의 부도가 있는 부도밭[浮屠田]에는 무량사와 관련 있는 승려들의 부도가 함께 있다. 현 단계에서는 그들의 인적 사항을 자세히 밝힐 수는 없다. 다만 청허당(淸虛堂) 휴정(休靜) 계열이었음은 추측할 수 있겠다. 능허당(凌虛堂) 처영(處英) 스님은 뇌묵당(雷默堂) 처영 스님과 동명이인(同名異人)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부여 무량사의 역사와 조선 17세기 중창 불사

        이은주(동하스님)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2

        無量寺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수의 성보문화재와 오랜 기간 사세를 유지한 전통사찰로 유명하다. 특히 생육신중의 한명인 雪岑 金時習(1435~1439)이 머 물고 청허휴정(서산대사)의 문도인 震默一玉(1562~1633)이 중창하면서 역사에서 크게 부각되었다. 17세기의 불사는 진묵대사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이는 범해 각안스님이 지은 동사열전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15세기 무량사에서 판각한 다수의 경전에는 세조의 셋째아들 德源郡(1449~1498)이 단월로 등장하며 김시습의 발문과 승려 智熙가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15세기 무량사와 왕실과의 관련성과 당시의 사세를 짐작할 수 있다. 현재 무량사에 남아 있는 주요 유물은 조선후기 17세기에 집중되어 있다. 극락전의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무량사 명부전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은 17세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예술성과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1636년 범종, 1654년 삼전패가 있으며, 현재 조사되지 않은 영산전의 존상들도 연구가 필요한 중요한 유물이다. 특히 이 유물들이 인조(1623~1649년)대에 집중되어 있는 점도 주목된다. 즉 1627년(인조5) 미륵불괘불탱, 1633년(인조11) 극락전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636년(인조 14) 동종이 제작되며, 이는 진묵대사의 무량사 중창과 관련되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명부전의 존상 역시 이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현재 17세기의 무량사와 조선 왕실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앞으로 서산대사의 손제자인 진묵대 사와 왕실을 비롯한 시주자 및 그 계층에 대한 자료의 발굴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uryangsa Temple is famous for a number of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a long-standing traditional temple. The temple particularly emerged greatly in history as Kim Shiseub (金時習, 1435~1439), one of 6 loyal vassals who survived (生六臣), stayed at the temple and the monk Jinmook Ilok (震默 一玉, 1562~1633), one of disciples of great Buddihst Priest Hujeong (休靜, called saint Seosandaesa 西山大師), rebuilt it.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was led by Master Jinmook in the 17th century, which was recorded in the Dongsayeoljeon (東師列傳) written by Beomhae Gakan (梵海覺岸, 1820∼1896). Also, in a large number of scriptures engraved by Muryangsa in the 15th century, there remain records that King Sejo's third son, 德源郡 (1449~1498), appeared as Danwol (檀越), Kim Shiseub’s epilogue and Monk Jihui (智熙) as publisher of scriptures. Those facts implied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Muryangsa temple and the royal family in the 15th century, and the great influence of the temple at that time. Most of main relics remaining in Muryangsa are from the 17th century of late Joseon period. Terracotta Seated Amitabha Triad in Geungnakjeon (極樂殿),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en King sculptures in Myeongbujeon (冥府殿) are works of the 17th century and are known as beautiful statues in terms of formative perspective. In addition, there are the bell of a Buddhist temple (梵鐘) in 1636 and three tablets (三殿牌) in 1654, and many statues of Yeongsanjeon (靈山殿) are important relics to be studied.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se relics are concentrated in the Injo (1623~1649) era. That is, Gwaebultaeng (彌勒佛掛佛幀, large sized Buddhist Painting) in 1627 (5 years of King Injo), Terracotta Seated Amitabha Triad in Geungnakjeon (極樂殿) in 1633 (11 years of Injo), and Bronze Bell in 1636 (14 years of Injo) were produced. Those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Muyangsa Temple by Master Jinmook. It is believed that sculptures enshrined in Myeongbujeon (冥府殿) was also produced during this period. Curr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Muryangsa temple and the royal court of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has not been confirmed. In the future, further study and more detailed material investigation are needed on the subject of the monk Jinmook Ilok (震默一 玉), disciple of great Priest Seosandaesa (西山大師), donator for Buddhist event including the royal court family and their belonging classes.

      • KCI등재

        만수산 무량사, 그 구성에 담긴 사유

        이성운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3 불교 철학 Vol.12 No.-

        Mansusan Mountain and Muryangsa Temple at Buyeo contain the earnest prayers of the sentient beings, who wished for their infinite longevity. Muryangsa Temple does not have a clear history related to its building. It is said that a National master, Beomil created it in the 9th century and that National Preceptor, Muyeom renovated it. Muryangsa Temple was Wondang(願堂, The Dharma Hall for the royalty) built to achieve the wish for infinite longevity, and Deokwon-gun (1449-1498), a son of King Sejo’s concubine in the late 15th century also participated as a benefactor for the publication of the Lotus Sutra of the Wonderful Dharma (妙法蓮華經,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After Jeongyujaelan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y created the Triad Buddha centering Amitabha and the Buddhist Hanging Scroll of Maitreya in Muryangsa Temple, which is one of the roles of Wondang. Hall of the Judgement of the dea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Amitabha Hall, and the Hall of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is located on its left side and behind Flowery Rain Hall. It has the stone lantern symbolizing Buddhism, thestone pagoda dedicated to the Buddha, and the threefold saints enshrined in Amitabha Hall. All of them are reaping the wish and prayers of all sentient beings. Many monks and hermits stayed at or dropped by Muryangsa Temple, and it seems to have been a temple of the Seon School(禪宗)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past, Seoljam and others stayed at Muryangsa Temple at the foot of Mansusan Mountain as a final settlement of life or a prop for their body and soul. As it was, today the followers are visiting Muryangsa Temple for short and long-term meditation or healing. 원부여 만수산(萬壽山), 무량사(無量寺)는 무량수의 수명 장원을 희원(希願)하는 중생의 간절한 기도가 담겨 있다. 9세기 범일 국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무염 국사가 重修하였다는 설등, 역사가 조금 희미한 편이다. 무량사는 無量壽의 所望 달성을 위해건립된 원당이며, 15세기 후반 세조의 서자 덕원군(德原郡, 1449~1498) 도 묘법연화경 간행의 단월로 참여한다. 정유재란 이후 무량사에 미타 삼존불을 조성하고 미륵괘불탱을 조성하는 것도 원당 기능이다. 극락전을 중심으로 좌측에 명부전이 있고, 그 대가 되는 당우로 ‘원통전’ 이 극락전 우편 우화당 뒤에 자리하고 있다. 불법을 상징하는 석등과불신을 모신 석탑, 극락전에는 극락삼성이 봉안돼 있으며, 중생의 희원을 거두고 있다. 무량사에 머물거나 떠나가는 은현(隱現)의 수행자가 적지 않았으며, 17세기 초반 무량사는 선종의 사찰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옛날 설잠 등이 마지막 삶의 안착지, 영육을 의탁할 곳으로 삶아 만수산 기슭무량사에 들어왔듯이 오늘날에는 장단기 수행(힐링)을 위해 행자들이무량사를 찾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충남지역 불교민속의 전승양상과 성격 -부여의 괘불기우재와 관등놀이를 중심으로-

        강성복 ( Sung Bok Kang ),박종익 ( Jong Ick Park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부여 홍산면에서 거행되었던 괘불기우재(掛佛祈雨齋)와 규암나루초파일 관등놀이를 중심으로 충남지역 불교민속의 전승양상과 성격을 추적한 논문이다. 본연구를 위해 먼저 불교민속의 전승 배경이 되는 각 지역의 전통사찰을 주목하였다. 그 가운데 부여지역에서는 만수산 천년고찰 무량사가 그 선구적인 위치에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30년대 거행된 홍산의 기우제는 민ㆍ관ㆍ사찰이 공동으로 베푼 유교식 기우제와 무량사의 불교식 괘불기우재(掛佛祈雨齋)가 혼합된 독특한 의례였다. 당시 “100년 만에 무량사괘불이 나들이를 했다”는 일화에서 알 수 있듯이 홍산의 기우제는 조선후기 홍산관아에서 주관했던 읍치기우제(邑治祈雨祭)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이와 연계하여 홍산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오일장을 임시로 옮기고 비를 기원하는 ‘사시기우(徙市祈雨)’의 관행도 포착된다. 규암나루 관등놀이는 부처님 탄신일에 집집마다 연등을 걸고 축원하는 조선시대의 사월초파일 세시풍속을 대동놀이로 승화시킨 불교민속이다. 그러나 비록 불교적인 속성을 차용했음에도 규암나루 관등놀이는 종교적인 성격보다 지역축제로 기능했다. 그런가 하면 불교민속의 관점에서 석가모니에 대한 등공양(燈供養)의 의미 및 수륙재(水陸齋)의 성격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었다. 이처럼 민간에서 대규모의 행사가 가능했던 것은 나루와 장시의 부흥을 도모하려는 시장상인들과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This writing focused on Goebul ritual for rain(掛佛祈雨齋) conducted in Hongsan-myeon, Buye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lantern festival in Gyuam port on Buddha``s birthda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er studied on transmission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m folklore in Chungnam area for those two materials. For the transmission background of Buddhism folklore, there is traditional temple which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each area. In Buyeo area, Muryangsa temple, an ancient temple of the foot of Mansuan Mountain, is in the pioneering position. The matter was investigated by this research. Hongsan ritual for rain, conducted in the 1930s, was conducted by privateㆍ publicㆍtemple joint corporation. This ritual for rain was combined by Confucian ritual for rain and Buddhist goebul ritual for rain(掛佛祈雨齋) ofMuryangsa temple. At that time, Hongsan ritual for rain transmitted the tradition of Eupchi ritual for rain(邑治祈雨祭: ritual for rain, supervised by government) supervised by Hongsan govern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f there is no severe drought, the ritual was not conducted at all. In relation to it, Hongsan conducted a practice of ``market-moving ritual for rain(徙市祈 雨)``, which transfers a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 temporally so as to endure drought and hopes for rain. Lantern festival of Gyuam port is Buddhism folklore sublimating seasonalcustom of Buddha``s birthday of Joseon Dynasty to Daedong-nori. Lantern festival of Gyuam port played roles of magnificent regional festival rather than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lantern festival includes strong meaning of lantern offering(燈供 養) for Sakyamuni and characteristics of water-land ritual(水陸齋). But, land festival of Gyuam port could be conducted because of the actual participation of market merchants regional people, promoting revival of the port and market.

      • KCI등재

        충남지역 불교민속의 전승양상과 성격-부여의 괘불기우재와 관등놀이를 중심으로-

        강성복,박종익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부여 홍산면에서 거행되었던 괘불기우재(掛佛祈雨齋)와 규암나루 초파일 관등놀이를 중심으로 충남지역 불교민속의 전승양상과 성격을 추적한 논문이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불교민속의 전승 배경이 되는 각 지역의 전통사찰을 주목하였다. 그 가운데 부여지역에서는 만수산 천년고찰 무량사가 그 선구적인 위치에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30년대 거행된 홍산의 기우제는 민․관․사찰이 공동으로 베푼 유교식 기우제와 무량사의 불교식 괘불기우재(掛佛祈雨齋)가 혼합된 독특한 의례였다. 당시 “100년 만에 무량사 괘불이 나들이를 했다”는 일화에서 알 수 있듯이 홍산의 기우제는 조선후기 홍산관아에서 주관했던 읍치기우제(邑治祈雨祭)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이와 연계하여 홍산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오일장을 임시로 옮기고 비를 기원하는 ‘사시기우(徙市祈雨)’의 관행도 포착된다. 규암나루 관등놀이는 부처님 탄신일에 집집마다 연등을 걸고 축원하는 조선시대의 사월 초파일 세시풍속을 대동놀이로 승화시킨 불교민속이다. 그러나 비록 불교적인 속성을 차용했음에도 규암나루 관등놀이는 종교적인 성격보다 지역축제로 기능했다. 그런가 하면 불교민속의 관점에서 석가모니에 대한 등공양(燈供養)의 의미 및 수륙재(水陸齋)의 성격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었다. 이처럼 민간에서 대규모의 행사가 가능했던 것은 나루와 장시의 부흥을 도모하려는 시장상인들과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This writing focused on Goebul ritual for rain(掛佛祈雨齋) conducted in Hongsan-myeon, Buye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lantern festival in Gyuam port on Buddha's birthda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er studied on transmission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m folklore in Chungnam area for those two materials. For the transmission background of Buddhism folklore, there is traditional temple which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each area. In Buyeo area, Muryangsa temple, an ancient temple of the foot of Mansuan Mountain, is in the pioneering position. The matter was investigated by this research. Hongsan ritual for rain, conducted in the 1930s, was conducted by private․public․temple joint corporation. This ritual for rain was combined by Confucian ritual for rain and Buddhist goebul ritual for rain(掛佛祈雨齋) of Muryangsa temple. At that time, Hongsan ritual for rain transmitted the tradition of Eupchi ritual for rain(邑治祈雨祭: ritual for rain, supervised by government) supervised by Hongsan govern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f there is no severe drought, the ritual was not conducted at all. In relation to it, Hongsan conducted a practice of 'market-moving ritual for rain(徙市祈雨)', which transfers a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 temporally so as to endure drought and hopes for rain. Lantern festival of Gyuam port is Buddhism folklore sublimating seasonal custom of Buddha's birthday of Joseon Dynasty to Daedong-nori. Lantern festival of Gyuam port played roles of magnificent regional festival rather than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lantern festival includes strong meaning of lantern offering(燈供養) for Sakyamuni and characteristics of water-land ritual(水陸齋). But, land festival of Gyuam port could be conducted because of the actual participation of market merchants regional people, promoting revival of the port and market.

      • KCI등재

        기획논문1- 주제: <주제: 한국무형문화재와 공연문화> : 부여 백제수륙재의 전통과 역사

        홍태한 ( Teahan H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이 글은 부여에서 해마다 열리는 백제문화재에서 설행된 부여 백제수륙재의 전통과 역사를 살핀 글이다. 부여는 과거부터 수륙재의 여러 의례집이 간행된 곳이고, 부여 무량사를 중심으로 하여 범패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하여 60년 전부터 백제의 고혼을 위로하고 삼천궁녀들을 위무하기 위해 백제문화재가 거행되면서 수륙재가 함께 시작되었다. 특히 다른 지역의 수륙재와 달리 강상에서 행해지는 수륙재라는 특징이 있다. 의례집이 여러 차례 간행되었고, 독자적인 범패 교육까지 이루어진부여 지역은 수륙재가 오랫 동안 전승된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한 역사적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백제문화제가 거행되면서 위무의식으로 수륙재가 봉행된 것이다. 아울러 부여 백제수륙재는 독특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발의로 시작된 부여 백제수륙재는 현존하는 유일의 수상수륙재로 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차 구성을 넘어서서 재차를 연행하는 장소의 변화에 따라 상당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60년의 뚜렷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통성과 지역성,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부여 백제수륙재이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Baekjesooryukjae(Sooryukjae, one of the Buddhist ritual is called Baekjesooryukjae in Buyeo), which is conducted in Baekje Cultural Festival, the annual festival that is held in Buyeo. Buyeo was a place where various ritual books on Sooryukjae were published, and where Bumpae(Buddhist chants) were taught centering on Mooryang Temple. Based on this tradition, to comfort the lonely spirit of Baekje and pacify the three thousand court ladies, Sooryukjae started to be held 60 years ago. Baekjesooryukjae, unlike Sooryukjae of other regions, have the feature that it is held on the river. In Buyeo, where ritual books were published many times and where there was its own Buyeo education, Sooryukjae is assumed to have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Thanks to such historical tradition, Sooryukjae was held as a ritual of pacification in Baekje Cultural Festival. Baekjesooryukjae has unique characteristics. Baekjesooryukjae, which started with the proposal of the residents, shows off its status as the one and only water Sooryukjae that is currently existent, and it shows there are significa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nging venues of 재차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재차. It is a Sooryukjae with 60 year-long tradition and locality, history.

      • KCI등재

        전통 작법과 수륙의문의 내용과 활용

        이성운,이규봉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1 No.-

        이 글은 15세기 말 부여 무량사에서 간행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에 의거한 전통 ‘수륙재’와 그와 동시에 행해지는 전통 ‘작법절차’를 재 현하거나 복원하기 위해, 1496년 학조 스님이 번역한 『작법절』와 합 편해서 역해한 『전통작법수륙의문』의 해제를 겸해 작성한 글이다. 한국불교의 수륙재는 중국 水陸儀文에서 요점을 뽑아 편집한 儀文에, 疏文·歌詠 등이 추가된 의문으로 설행한다. 또 경전을 염송하는 법석 의례도 그렇다. 서론에서는 施食儀禮의 성립을 정리하여 불교 수륙재 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본론에서는 『결수문』과 『작법절 』의 개요를 정리하고, 두 의문에 의거한 의례의 형태와 의미, 재회에 서의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의례는 시대 상황에 따라 세부 의식이 추가되거나 생략된다. 전통의 법석이나 수륙재를 재현하거나 복원하려는 목적은, 의례의 과거 회귀 가 아니라, 새 시대에 적합한 의례를 창안해 보급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려면 전통의 법석과 수륙의문에 담긴 바른 의미를 찾아의문과 의례에 반영해 수륙재를 설행해야 수륙재가 최상의 불사로 거 듭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