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프리카 망명 작가의 불편한 프랑스어 - 몽고 베티의 언어의식 -

        문성욱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8 No.1

        이 논문은 카메룬 출신 소설가 몽고 베티가 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사용에 대해 쓴 몇 편의 글을 다룬다. 한 세대 앞서 태어난 생고르가 프랑스어권과 ‘프랑스성’을 네그리튀드의 필수적 보완물로 삼았던 것과 달리 몽고 베티는 결코 외래의 언어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 않는다. 현지어를 소외시키면서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강제하는 정책은 아프리카인의 문화와 정신에 파국적 결과를 가져오며 동시에 프랑스의 신식민주의적 이해관계에 봉사한다. 그러나 몽고 베티는 프랑스어를 즉시, 완전하게 아프리카의 고유 언어로 대체해야 한다는 언어민족주의적 입장에 빠지지도 않는다. 그는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어 화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근대화의 도구이자 문학의 도구로서 프랑스어의 장점을 인정한다. 프랑스어권이라는 허울을 벗어던지고 그 뒤에 숨은 ‘프랑사프리카’의 수탈 체제를 해체하여 민중의 정치·경제적 해방을 완수할 수 있다면 프랑스어도 아프리카의 언어로서 제 몫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몽고 베티의 이러한 성찰은 일각에서 ‘세계-문학’을 운위하는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다. Cette étude a pour but d’analyser un certain nombre de textes consacrés par le romancier camerounais Mongo Beti au sujet du français en Afrique. Contrairement à Léopold Sédar Senghor, son aîné d’une génération et qui voulait compléter la négritude par la francophonie et la francité, Mongo Beti sera à jamais resté suspicieux à l’égard de cette langue exogène. En effet, la politique qui impose le français comme la seule langue officielle au détriment des vernaculaires, risque de produire des ravages dans la culture et la mentalité des Africains, tout en servant les intérêts de la France comme puissance néocoloniale. Ce n’est pourtant pas que Mongo Beti tombe dans un nationalisme linguistique prônant le remplacement immédiat et total du français par les langues autochtones. Il tient compte de l’accroissement des locuteurs du français en Afrique, aussi bien que des avantages que présente cette langue comme outil de modernisation et véhicule de littérature. Si donc les sociétés africaines arrivent à déconstruire le système pillard de la Françafrique et à accomplir l’émancipation politico-économique populaire, le français se débarrassera à son tour du joug de l’impérialisme linguistique pour devenir enfin une langue africaine. Cette réflexion n’a rien perdu de son actualité au moment même où d’aucuns affirment l’avènement de la littérature-monde.

      • KCI등재

        두 대륙의 깨달음 : 몽고 베티의 『봉바의 불쌍한 그리스도』와 볼테르의『캉디드』

        원종익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32

        아프리카의 카메룬 작가인 몽고 베티가 쓴 『봉바의 불쌍한 그리스도』와 이보다 약 200년 전인 18세기 중엽 볼테르가 쓴 『캉디드』는 성장소설이란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전자의 경우, 드니라는 아프리카 소년이 백인 선교사인 드뤼몽을 따라 다니면서 겪는 여러 가지 일을 일기 형식으로 적은 소설이다. 드니는 드뤼몽이 아프리카에 온 것은 무지몽매한 아프리카 사람들을 깨우쳐 주기 위해서 온 것으로 믿고 그를 마치 그리스도와 동일시하고 있었지만 약 2주간의 선교 여행을 통하여 기독교의 위선과 백인의 횡포, 그리고 아프리카의 현실에 눈을 뜨게 된다. 볼테르의 경우, 주인공 캉디드는 스승 팡글로스의 낙관론의 영향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 닥쳐도 결국은 모든 일이 잘 될 거라는 믿음을 지닌 인물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난관과 시련은 단순함에 사로 잡혀 있던 캉디드의 마음을 흔들리게 한다.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무엇인지, 캉디드는 방황과 번민을 거듭한 끝에 묵묵히 일을 하는 것이 최선임을 깨닫는다. 두 소설 모두 어린 소년이 현실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이 두 소년의 성장과정이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드니는 한 개인이 아니다. 그는 기독교의 탈을 쓰고 서서히 아프리카를 집어 삼키려는 서구의 야욕을 모르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을 대변한다. 작가는 서구 사회의 침탈을 고발함과 동시에 아프리카의 자각을 호소한다. 캉디드 역시 개별화된 인물이 아니다. 볼테르가 내세우고 있는 것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무지몽매함에서 벗어나 실천적 이성을 갖춘 유럽의 보편적 인물이다.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은 결정적인 면에서 차별화된다. 이는 볼테르가 전면에 내세웠던 실천적 이성으로 성장한 유럽 세계가 그로부터 2세기 후 몽고 베티에 의하여 공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볼테르가 보편적 세상으로 여겨 왔던 그 세계에 아프리카는 들어가 있지 않은 것인지, 유럽의 식민지 쟁탈전은 더욱 극심하게 이루어져 왔고, 볼테르가 비난했던 인간의 무지몽매한 잔인함은 아프리카에서 절정을 이룬다. 두 소설 모두 어린 소년의 성장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이 성장이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대륙의 문제로 인식될 때 두 소설은 이처럼 첨예하게 대립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대립각은 작가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두 작가가 처한 지리적, 사회적, 역사적 차이에서 기인하는데 이는 문학 연구가 내적 구조 연구는 물론 작가의 정체성, 작품의 역사성을 충분히 고려해야함을 보여준다. First of all, it is vital to point out that Mongo Béti's Le Pauvre Christ de Bomba and Voltaire's Candide can b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Bildungsroman. Denis, the hero of Béti's novel, believes that Drumond, the French priest, has been in Africa for the purpose of Christianizing and enlightening the Blacks in Africa. For Denis, Drumond is as great as Christ. But, Denis' journey with Drumond makes Denis to realize his own ignorance of the reality. The Christianity is not for the Africans. It is only a strategyl with that the Whites can control the Blacks more skillfully and dexterously. Candide, the hero of Voltaire's novel, is prepossessed with the optimism that Pangloss, his mentor, has taught to him. He believes that all is for the best in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But, lots of hardships and misfortunes help him to change his opinion of the world. Candid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cret of happiness is to cultivate his own garden. In this context, we must not forget that the problems that Denis and Candide suffered are not restricted to an individual one, but two characters represent respectively Africa and Europe. Denis' innocence corresponds to the purity of Africa. His mental growth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the self-knowledge of Africa. It is the same for Candide who looks for the real meaning of life as a typical European in the 18th century. But, what is more important in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novels. Voltaire aimed to show an enlightened citizen by which today's Europe will be established. Voltaire's object, however, is attacked by Mongo Béti. It is such an Europe that Mongo Béti denounces severely. It is true that during the centuries, the European nations scrambled for control over other regions of the world, displacing and oppressing the peoples inhabiting these regions. Although these two novels can be treated under the same category, they are pitted ideologically against each other. This fact shows that the literary critic should understand as fully as possible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from which a given text emerged and ponder how it reveals beliefs and struggles that persist to this da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