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몸 이미지의 전형과 내면화 과정의 시각 체계적 상호작용 : 몸매관리산업 광고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안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1

        후기산업사회에서 몸에 대한 관심은, 몸의 개념을 단순히 건강한 몸으로부터 스타일을 구현하는 도구로서, 개인의 품격을 드러내주는 외피로서,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을 수행하는 터전으로 확장시켜 나가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이에 따라 몸 이미지(body image)는 물질적 몸 그 자체에 못지 않게 중요한 하나의 재현으로서 존재론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경향은 여성에 있어서 극대화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통념은 여성들의 몸 이미지의 전형을 제시하면서 이를 내면화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몸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요한 학문적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는 몸 이미지 개념은 정신, 육체, 개인과 사회의 특성에 대한 인식론적 가정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요 학문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는 몸 이미지의 이원론적 형성과정, 즉 사회문화적 전형(stereotype)화와 이 전형들이 시각 체계(the scopic regime)를 통해 주관적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의 상호 역동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 상호작용이 실제 몸매관리산업 광고에 등장하는 몸 이미지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검증해보았다. 분석대상은 다국적 몸매관리업체인 M사 광고 이미지와 광고 문안, 그리고 보도자료 등 홍보 문건이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의 몸 이미지의 전형이 서구화되어 있고 이에 남성적 응시가 다각도로 용해되어 있으며 이의 내면화가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써 여성 몸 이미지의 건강한 생산과 확산이 여성의 주체적 노력에 의하여 이루어져야할 것이라는 당위성이 대두되었다.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concerns about the body have devoted to extend the concept of body from its physical level to the spiritual and corporeal level. Now body is not only an instrument which expresses one's personal character, but also an abstract concept which shows one's identity. Through this tendency, body image as a representation becomes notable as much as physical body itself. This tendency has been exaggerated especially for women and the socio-cultural common notion is forcing them to internalize it by presenting several stereotypes of body image. The concept of body image, a rising academic subject becoming a socio-cultural matter of interest, bears an epistemological base about spirit, body, and individual/social character. As the discussion about body develops in the field of women's studies, deepened discussions about body image are in progress. In this article interaction between the making of stereotypes of the female body in the socio-cultural circumstance and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these stereotypes is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is interaction constructs the making process of body image. The analyzed materials are images and texts for advertisements, and other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which are posted on the homepage of body-line consulting company 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to summarize as follows; the stereotypes of the female body image in Korea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westerners, and male gaze plays a bi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female body image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gaze by wome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ort that women should strive to produce and to develop healthy female body images.

      • KCI등재

        소비문화산업의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

        이수안 한독사회과학회 200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8 No.2

        영상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이미지는 문자의 영향력을 뛰어넘은 지 오래다. 몸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시대보다도 증폭되어 있는 지금의 소비사회에 있어서 대중매체를 통하여 유통되는 몸 이미지는 다양한 부가 산업을 융성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몸에 대한 이미지는 자신의 내면에 대한 반영이기도 하지만 우선적으로는 외부적으로 재현되는 자아를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기반으로 인식되는 추세다. 여성의 몸 이미지는 대체로 ‘섹시한’ 몸매로 집약되고 또한 이러한 이미지는 사회적으로 생산, 재생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의 몸 이미지가 형성되고 유통되는 과정에서 광고 매체에서 젠더화된 응시가 어떻게 자기 감시의 기제를 작동시키는지 이론적으로 분석해보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소비문화산업에서 보여주는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의 이론화 작업을 목표로 구성되었다. 즉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분석과, 이 개념적인 이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산업, 특히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매스미디어에서 광고나 영화에서 여성이 어떻게 젠더화된 응시를 내면화하는가를 예시를 통하여 천착함으로써 이론화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이론적 분석에서는 몸 이미지의 개념적 정의를 살펴봄과 동시에 몸 이미지의 내면화와 소비상품화 과정에서 대중매체에서 재현되는 이미지의 유통이 가지는 의미,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젠더화된 응시가 여성에게 어떻게 내면화를 초래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성애화되고 왜곡된 몸이미지 형성에 여성의 행위성이 어떻게 관여되는지 분석해보았다. Recently, there have been noticeable increases in academic and popular interests for body image. The sociology of body became an established discipline in the 1990s, with the term 'somatic society' to describe the newfound importance of the body in contemporary sociology. The interest in body became the starting point to prosper for the diverse related industries, for example advertisement, health industry, fitness industry, plastic surgery, body-line correction industry etc. The typical body image of women is closed up to 'sexy body-line', and this image is through mass-media rapidly spread, and reproduced with the circulation of the gendered gaze and internalization of the body image by women themselves. This paper is a theoretical analysis on body image and gendered gaze in consumption culture industry, especially in the area of advertisemen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ach to the theorizing through the methodology of literacy as followings: the conception of body image, the power relation of gaze, advertisement as a kind of culture industry, and self-surveillance of women. Concludingly to say, it is very important to gain the possibility of women as an agency in the production of the body image of women.

      • KCI등재

        한국 남성의 몸 이미지와 몸 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이채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몸은 사회가 형성한 외모규범과 관련지어져 하나의 소비대상이자 자기표현의 장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몸관리 행동은 성별 및 연령, 직업 등에 상관없이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의복은 동시대인들의몸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며 그 조형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의류 산업에서도 소비자들의 몸에 대한 의식의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20~30대 남성의 몸 이미지 발현 및 변화과정을 사회·문화적, 개인적 영향의 맥락 안에서 고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아메데오 지오르지(Amedeo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현대사회의 몸에 대한 의미를 분석한 결과 사회문화적구성물로 보는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중심의 시각과 주체적 표현의 장으로 보는 앤소니 기든스(Anthony Giddens) 중심 시각으로 양분되었다. 푸코는 몸의 자유적 실천이 극단적으로 제한됨으로써 의도성, 강제성, 비 자율성, 불변성의 특성을 띤다고 하였고, 반대로 기든스는 몸이 잠재성, 가변성, 자율성, 주체성의 특성을띤다고 보았다. 둘째, 한국 남성의 몸 이미지 발현은 개인의 자아표현이 중요시된 현대에도 집단의식, 외모에의한 평가 그리고 매체의 영향과 같은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건강관리추구 요인과 성취적 외모관리추구 요인이 한국 남성의 몸 이미지 발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 남성들은 몸 관리 행동 실천 결과에 따라 몸 이미지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긍정적인 변화로는 자기정화, 자기성취가 있으며, 부정적 변화로는 몸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몸감시의 강화, 몸에 대한 지속적인 통제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몸 이미지의 발현 및 변화를 통해 개인의 몸이미지를 의식하는 수준이 매우 높아지는 것은 의복 태도의 변화와 직결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남성 소비자들의 몸 이미지에 대한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몸에 대하여 민감해지는 현대 한국 남성 집단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몸의 의미가 중요한 남성 의류 시장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body has been adopted as a consumer object or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that is associated with the social norms of appearance and body management is actively practiced by most individuals,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vocation. Clothes reflect the recognition of their body of contemporary men, along with their changing influence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hanging body image is critical to the clothing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ccurrence and transition of a body image among 20~30s Korean men and investigate it in the context of social, cultural, and individual influence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nd Amedeo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ppli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cus on Foucault, which views the body as a sociocultural construct, whereas the second focus on Giddens, which views the body as a means of subjective expression. Second, even in modern times, when considerable stress is placed on individual self-expression, the manifestation of the body image among Korean men is influenced by sociocultural characteristic factors, including group consciousness, evaluation of appearance, and media. With regard to individual factors, there are pursuit of health care eliminating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Third, Such a behavior positively or negatively changes body im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ody management. Positive changes in the body image include improvement in emotional satisfaction and self-catharsis. Negative changes include increased body observation accompanied by stricter evaluation, dissatisfaction with the body, and increased sensitivity to the body.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males’ body manag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changes in their clothing attitude. H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the sensitivity of contemporary men to their body and provides consumer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and designing body-conscious fashion products for men.

      • KCI등재

        몸-두뇌 성취로서의 가상현실 체험과 지각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고찰

        이은아 ( Lee Eunah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3

        디지털 이미지와 가상현실은 이미지 자체 뿐 아니라 이 이미지의 수용자에 대한 관념을 완전히 변화시킨다. 이들은 단순한 관람자가 아닌 능동적 참여자이며, 이 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체이다. 이 기술적 이미지-수용자 상호작용의 조건이자 매개가 되는 것으로 다름 아닌 수용자의 몸이다. 본고는 가상현실 이미지-수용자의 관계가 기술 매개적인 몸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제시하고, 이 과정에서 몸으로서의 두뇌가 단지 정보 처리의 역할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닌 감각운동과 육화를 통해 이 이미지의 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가상현실이 수용자를 몸으로부터 해방시키거나 몸과 유리시킨다는 초기의 주장과 달리 이 이미지 체험에서 몸은 그 어떤 이미지 체험에서보다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개입한다. 그리고 이 몸의 개입이 가상현실 이미지를 가상적인 것으로부터 현실적인 것으로 이행하도록 만든다. 이것은 몸-두뇌가 연루된 육화 과정이며, 또 한편으로는 몸-두뇌의 잠재성을 촉발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몸-두뇌를 통해 기술적 대상과 몸주체, 지각 가능한 영역과 지각 불가능한 영역이 연결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수용자의 몸, 지각은 더 확장된 세계로 개방된다. Digital images and virtual reality completely change the notion on the recipient of the image as well as the image itself. This is an active participant, not merely a spectator, and is the subject that constitutes the image. The condition and mediator in the interaction of the technological image and the recipient is the recipient’s body.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reality images and the recipient is forged on the basis of the technology-mediated-body. It will also discuss that the brain as the body not only plays the role of processing information, but participates actively in the image composition through sensory movement and embodiment. Unlike the earlier claim that virtual reality liberates or frees the recipient from the body, the body acts positively and gets involved in the image experiences. And this body involvement enables virtual reality images transform from virtual to actual. This is an embodiment process that the body-brain gets involved in, and on the other hand, a process that triggers the body-brain potential. The recipient’s body and perception become open to a more extended world while the technological object and the body-subject, and the perceptible area and the imperceptible one are connecting and interacting through the body-brain.

      • KCI등재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과 남성적 시선, 그리고 몸의 주체성

        선주원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1

        The article focused on the violence of a young woman's body being "seen" or "dirty" by her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reflection of sexual objectivity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overcoming traumas of sexual violence, and looked at the problems of male eyes and body self-reliance in a young woman's body in a young adult novel. The body of a female teenager is imaged as a 'visible body' by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its imprint is viewed through Kim Hye-jeong's 《Diet School.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see how young girls are striving to build and image slim bodies, how they are internalized and imaged their own bodies, and how they reflect on the ideal body image defined by others. Imaging a pregnant female teenager's body as 'dirty' was discussed through a discussion on catching Lim Tae-hee's mouse. Through this discussion, the suicide of a young woman who considers the fetus in her stomach a "rat" and perceives her body to be dirty showed that the body's ideal image was influenced by masculine discipline and the value system. The recognition of the body's original value through reflection on sexual objectification was discussed through Park Hyun-wook's 》unsympathetic world. This shows that the eyes of male teenagers who force their girlfriends to have sex are based on sexual targeting of women's bodies. However, the fact that a teenager is responsible for having sex with a girlfriend and reflect on the fact that her body is of inherent value rather than sexual objec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exuality was the foundation. As a young woman overcame her own sexual violence and trauma, she looked at who Lim Tae-hee's avatar was. This showed that the two young girls who were sexually assaulted by their cousins and their fathers gradually reflected her own will and attitude in recognizing the body's original value by her own eyes, not by her masculine gaze, as she moved away from anger or self-abus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이 글은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 혹은 ‘더렵혀진’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의 폭력성, 그리고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과 성폭력의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몸의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에 대한 남성적 시선과 몸의 주체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과 그것의 각인은 김혜정의 《다이어트 학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자 청소년들이 날씬한 몸만들기와 이미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그 과정에서 남성적 가치체계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몸을 타자화하여 어떻게 이미지화하는지, 그리고 타자에 의해 규정된 이상적인 몸의 이미지에 대해 어떻게 성찰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신한 여자 청소년의 몸이 ‘더렵혀진’ 것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은 임태희의 《쥐를 잡자》를 통해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뱃속의 태아를 ‘쥐’라고 여기면서 자신의 몸이 더렵혀졌다고 인식하는 여자 청소년의 자살에는 남성적 규율과 가치체계에 따른 몸의 이상적 이미지화가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은 박현욱의 《동정 없는 세상》을 통해 논의되었다. 이를 통해 여자 친구에게 섹스를 강요하는 남자 청소년의 시선에는 여성의 몸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시선이 깔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친구와의 섹스에는 책임이 따르며, 여자 친구의 몸이 성적 대상이 아닌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성찰하는 것에는 성주체성의 형성이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자 청소년이 친족의 성폭력과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면서 몸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양상은 임태희의 《나는 누구의 아바타일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촌 오빠와 아버지에게 성폭력을 당한 두 여자 청소년이 상호 간의 소통을 통해 분노감이나 자기학대에서 벗어나 점차 자기 몸의 주체성을 성찰하는 것은 남성적 시선이 아닌, 자신의 시선에 의해 몸이 갖는 본래적 가치를 인식하는 그녀 자신의 의지와 태도가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현대 패션에 표현된 신체의 혼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허정선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1

        현대 패션에 표현된 신체의 혼성적(hybrid) 이미지들을 연구하기 위해, 현대미술에 표현된 신체미술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범주의 인간들이 지니는 몸에 대한 주관적 관찰들을 담고 있으며 억압된 몸, 소외된 몸, 변형된 몸 등의 양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현대 패션에 표현된 신체의 혼성적 이미지들을 분류 해 본 결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눠졌다. 첫째, 사실적인 신체이미지들이 의상에 직접적으로 차용된 유형으로써, 에로티시즘의 표현과 함께 의상과 신체의 경계가 허물어진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의 사물들이 의상과 함께 혼합적으로 섞여 표현된 양상으로써,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들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의상에 도입되어 기존의 전형적인 의상 소재에서 벗어났다. 셋째, 동물의 특징적인 이미지들이 의상 전체에 혹은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 디자인들로 나타났다. 넷째, 테크놀로지와 접목된 신체이미지들로서, 다양한 영상이나, 기계적 움직임을 의상에 도입하여 움직이는 신체, 변하는 의상이미지들로 나타남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여러 종류의 이미지들을 신체와 결합시켜 혼성적 이미지를 형성한 의상들은 특정하고 구체적인 하나의 의미로 해석되지 않고 시각적으로 다양한 이미지들만큼이나 다양한 의미로 해석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중문화에서 기호가치로서 몸 이미지의 소비양식

        이수안(Lee, Su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1 No.-

        이 연구는 최근 들어 10대 위주의 아이돌 그룹이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급부상하는 경향과 더불어 모바일 기기까지 포함하여 다양해진 대중매체를 통해서 이들의 선정적인 성적 상징코드가 경쟁적으로 생산되고 빠른 속도로 유포되는 점에 주목하면서 수행되었다. 대중적으로 유포, 확산되는 이미지 정보가 많아질수록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은 선정성을 더욱더 극대화하여 상품화하고 있다. 특히 이른바 ‘걸그룹’으로 대표되는 아이돌 그룹은 이들이 표방하는 ‘섹시한 몸과 감각적이고도 선정적인 몸짓과 춤’을 통해 문화산업에서 특정한 방식의 기호가치로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산업에서 이들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이미지가 소비되는 양식을 동영상 분석과 인터넷 관련 기사 그리고 팬덤 현상과 결부시켜서 이미지와 기호가치 이론을 통하여 분석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몸 이미지의 스펙터클화와 젠더화된 응시에 대한 논의와, 소비사회의 문화 소비와 기호가치를 연결하여 이론화한 바 있는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론과 기호가치 이론을 연결하여 살펴본다. 분석 결과 아이돌 그룹, 특히 ‘걸그룹’은 당대의 유행을 최대한 활용하여 춤과 의상을 통해 선정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과정에서 기획사의 컨셉트와 수익성 창출을 위한 전략 등이 결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대중문화산업에서 형성되는 기호가치는 여성의 이미지를 지극히 편향되고 제한적인 범주로 국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sumption mode of body image as sign value, especially eroticized body image of female idol groups in Korea. Although many of female idol groups consist of teenager members, their performances and dances on stage and in music-video represent eroticism with sexualized gestures and costumes. They show the erotized gestures and performances, and the audience gaze them. In this composition which seems very simple, the precis calculated strategies of the entertainment agencies are operated in the whole process from conceptualizing to the details. This paper aims to show how the sign value of the idol groups body images are taken from consumers and what factors are active in the process of the image consumption. 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theories about body image, the discourses about "visibility" and gaze, and sign value theory of Jean Baudrillard are searched and review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us that the eroticized body images of idol girl-groups play the role of sign value, and the level of eroticism would be higher, if the entertainment agencies and the girl-groups don"t stop to compete fiercely against other groups.

      • KCI등재

        대중매체와 성형의료산업의 연동 구조 속 여성 몸 이미지 전형의 재강화 기제와 포스트페미니즘 해석의 모순적 공존

        이수안(Lee, Suan)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이 논문은 대표적인 메이크오버쇼 프로그램인 〈렛미인〉 시리즈를 중심으로 메이크오버쇼가 여성의 몸을 전시하면서 여성의 미의 기준을 정형화하여 제시하고 이 과정에서 대중매체와 성형의료산업이 연합하여 사회적으로 정형화되고 강제되어 여성에게 내면화된 여성의 몸 이미지를 자본의 도구로 삼는 방식에 대해 비판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로써 분석의 과정에서 몸 이미지와 외모지상주의, 이와 관련한 대중매체의 소비자본주의적 권력 행사, 여성의 몸에 대한 태도와 인식, 한류에 편승한 성형의학의 상업자본주의적 세력 확대와 이의 영향력 범주에 들어있는 여성들의 태도와 행위성 등을 메이크오버쇼의 이미지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쇼 프로그램에서는, 연예인들이 출연하여 진행하는 리얼리티쇼를 분석한 기존 포스트페미니즘 연구에서 논의되는 ‘이미지 주체(image subject)’로서 주체성과 행위성이 포착되기보다는 성형의료산업과의 자본주의적 상호 연동구조 속에서 여성의 정형화된 몸 이미지를 재강화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미디어의 기능이 일종의 문화권력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이 재삼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과정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자발적일지언정 이미지 주체로서 행위성을 발휘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포스트페미니즘적 해석이 때로는 공존하는 듯 보이면서도 내용적으로 보면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how makeover-show like 〈Let Mi-In〉 series presents the standard of women’s beauty by displaying women’s body on television, and ultimately how the alliance of media capital and surgical capital render socially forced, stereotyped and finally internalized women’s body-image as the tool of capital accumulation. For accomplishing this aim of the study, the following aspects are critically examined; the formation of body-image and appearance-centrism (lookism), exercise of consumption-oriented power of mass-media, th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n women’s body, the global influence of surgical medicine jumping on Korean wave, and attitude and their agency of women about cosmetic surgery which are included in the field of this influence. The important point of this analysis lies on whether young women have subjectivity and agency can be interpreted with postfeminist perspective when they participate in the makeover-show on their own initiative as object of cosmetic surgery and treatment for the purpose to remodel their lif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an be resumed that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makeover-show obtain subjectivity and agency in terms of postfeminism even though they persue ‘femininity’ passionately.

      • KCI등재

        한국 사회의 타자화된 몸 문화와 주체적 몸 윤리 - 외모 가꾸기를 중심으로

        김종갑(Kim, Jong-gab)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2 No.-

        아름다움에 대해 페미니즘은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남성이 여성을 가정의 울타리에 묶어두기 위한 억압의 기제라는 주장이다. 이상적 아름다움의 이미지를 내면화한 여성은 자신의 몸으로부터 소외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름다움에 긍정적인 페미니스트는 아름다움은 힘이며 권력이라고 주장한다. 아름다울수록 행위능력과 자유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페미니즘적 입장은 여성의 몸을 너무나 권력의 관점에서 접근하였기 때문에 외모를 가꾸는 여성의 주체의 몸된 경험을 무시하였다. 중요한 것은 권력이 기쁨이어야 한다. 지나치게 정치화되었던 아름다움을 주체화하고 심미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개념을 빌어서 외모를 가꾸는 주체의 몸과 그러한 가꾸기의 수단들이 만나는 사건에서 발생하는 몸의 변화를 설명할 것이다. 우리는 외모 가꾸기를 무조건적으로 거부할 것이 아니라 그러한 활동에서 생기는 몸의 긍정적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외모 가꾸기를 기쁨의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필자는 외모와 외모 가꾸기를 구분할 것이다. 전자는 정적인 아름다움이라면 후자는 외모를 가꾸는 능동적 활동이다. 우리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외모보다는 이러한 활동의 능동성에 주목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구분에 입각해서 필자는 아름다움과 매력, 시각적 몸 이미지와 운동신경적 몸(몸 스키마), 시각적 외모와 촉각적 가꾸기의 차이도 설명하게 될 것이다. 시각의 장에서 몸은 보는 주체이면서 동시에 보이는 대상이다. 타자화된 몸이란 자신을 몸의 주체가 아니라 타자에게 보이는 수동적 대상으로서 경험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타자화된 몸의 기원은 유아적 엄마와의 애착관계로 거슬러 올라갈 수가 있다. 이 글의 말미에서 필자는 타자화된 시각적 몸을 주체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외모를 가꾸는 몸의 자기 접촉(self touch)을 제안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외모가 아니라 외모를 가꾸는 활동이다. Feminism is divided into two opposing camps about beauty practices. Anti-beauty feminists reject makeup and other beauty practices as masculine ideology imposed on women for their subordination. Women, who internalize ideal female body images, find their body short of these ideals and consequently suffer body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But pro-beauty feminists welcome beauty practices as the free expression of women"s agency. As they become more beautiful, women feel more powerful and competent. These two positions, though contributed to exposing political implications of beauty practice, failed to observe women’s experience of pleasure in their daily beauty practice. It is important to notice the body’s ambiguity: we as subject see but are seen as objects. We have to give justice to such an ambiguous nature of the body in our discussion of beauty practic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politicize and aestheticize beauty; we need to approach beauty practices in terms of their aesthetic affect on the body. The body affects and is affected by other bodies, resulting in either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pleasure. It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the good and evil of beauty in terms of its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body. The positive changes signify that one has agency and freedom, whereas the negative changes imply one’s losing agency and becoming the object of the other’s gaze. In order to elaborate the positivity of beauty practice, I will distinguish beauty practice from beauty image, tactile experience from visual appearance and will conclude that beauty practice, not beauty, will enhance our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