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적인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목회진단 방안

        이승진 ( Seung Jin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2 생명과 말씀 Vol.6 No.-

        현재 한국기독교의 신학교육은 교회를 목양하는 유능한 목회자를 양성하지 못하고 목회 현장으로부터 이탈되어 사변화된 이론 신학으로 변질되었다. 그 결과 신학교와 목회 현장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론과 실천, 학문과 목회 현장으로서의 상황 사이의 분리되어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이러한 신학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종교개혁자들로부터 전수받은 개혁주의신학을 교회와 목회 현장에서 올바로 구현하는 것을 추구한다. 본 논문은 사변화된 신학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전략적인 방안의 하나로 현대 실천신학 연구가 목회자 패러다임에서 회중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였음에 주목하면서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는 프락시스 실천신학 방법론을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프락시스 실천신학 방법론은 이론신학과 목회실천을 통합하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현재 상황을 비평적으로 성찰함과 동시에 특정한 지역 교회에게 부여된 거룩한 지향성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목회적인 전략을 모색한다. 이를 위한 통합적인 목회 진단 방법은 현재 교회가 처한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로부터 시작하여 개혁주의 신학과 교회론의 관점의 분석과 해석, 교회가 추구해야 할 개혁주의 신학의 규범에 대한 정립, 그리고 특정한 지역 교회에게 부여된 신학적인 전망과 목회적인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목회 전략 마련의 네 단계로 진행된다. Theological education of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 has failed to train the capable pastors who are able to minister the church, and corrupted to the speculative theory derailed from the pastoral context. As a result, theological seminaries are separated from the pastoral context, theoretical theology separated from the pastoral practice. Reformed Life Theology seeks to overcome the speculative theological education irrelevant to the pastoral ministry context, and to embody rightly the original Reformed theology in the church and pastoral contex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ntemporary practical theology focus has been moved from the pastoral paradigm to the congregational paradigm, this paper suggests praxis practical theological methodology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speculative theological education. Praxis practical theological methodology not only take the critical reflection to the contemporary situation based upon the Word of God which integrates the theoretical theology and the pastoral practice, but also seek to the pastoral strategy suitable to achieve the holy directivity endorsed to the specific regional church. For this purpose in mind, integrated pastoral diagnosis progresses from the objective description about the comtemporary church situation, analyses and interpretation in terms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ecclesiology, confirmation of the normative theological foundation, and pastoral strategy to achieve the theological perspective and pastoral possibility from the pastoral standpoint of the specific regional church.

      • 한국 장로교회 목회적 양성 원리와 신학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정일웅 한국장로교신학회 2010 장로교회와 신학 Vol.7 No.-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교육을 어떻게 실천하는 것이 이 시대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며 특별히 장로교회 신학교들이 신학 교육을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를 교육 신학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크게 세 가지라고 볼 수 있다. 첫째 장로교회의 목회자 양성교육의 전제 조건에 대한 것이다. 장로교회 목회자 양성 교육의 전제인 인문교육에 대한 요구가 무너지고 있는 현실에서 목회자들의 인문교육부재현상은 한국 교회의 목회자의 질을 하락시키고 한국 교회 내 이단들이 공생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되어 신학 교육의 전제 조건인 인문학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교육의 3단계 과정 신설 적용에 관한 논의로, 1단계는 신학의 학문(이론)적 토대를 놓는 신대원의 신학교육과정이며, 2단계는 강도(설교)사의 목회 실습과 훈련과정이며, 3단계는 목사의 계속 교육 과정을 언급하였다. 셋째, 신학 교육 과정의 개선에 대한 몇 가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of the pastor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ology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For that purpose, 1 discussed three points. First is the presupposition of pastoral education. Even though liberal arts should be emphasized as the primary subjects for the pastoral education, current curriculum are tend to neglect that point. As thε rεsult of that our church experiences degrading of the quality of pastors. Therefore, 1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as the foundation of pastoral education. Second, 1 propose the three steps of theological education. First step is the theology education in the seminary as academic foundation of future ministry. Second step is practical training period in the church before ordination. Last step is the continuing education of pastors. In the last parts of the paper 1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ological curriculum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 KCI등재

        긍정심리학에 대한 목회신학적 비평과 목회상담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창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역사적으로 목회신학(pastoral theology)과 목회상담(pastoral care and counseling)은 고통 중에 있는 사람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당대의 다양한 심리치료기법들—예를 들면, 정신분석학, 행동주의이론, 인지이론, 인간중심이론, 이야기이론 등—을 목회상담의 실제와 적용에 사용해 왔다. 그러나 목회신학자(pastoral theologian)와 목회상담자(pastoral counselor)의 과제는 유력한 심리치료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이론들에 대한 목회신학적비평과 해석을 통해 그 적합성을 미리 검토하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그 이론을 채택하고 사용하는데 있다. 이 부분에 있어서 과거의 목회신학자들이 늘 성공했던 것은 아니다. 목회신학의 역사를 통해 보면, 목회상담이 심리학의 포로가 되었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기에 심리이론이나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목회신학적 비평은 우리 시대 목회신학자들에게 요청되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긍정심리학—인간의 긍정적인 심리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돕는 학문—에 대한 목회신학적 평가와 해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긍정심리학을 목회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긍정심리학의 정의, 발달배경, 주요 강조점, 기본 전제 및 입장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이 제공되었고, 그 이후 긍정심리학이 목회신학에 던져주는 가능성과 유용성 및 긍정심리학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약점, 그리고 목회신학적 비평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on positive psychology, which has gathered significant interest among clinicians as well as psychologists since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Contrary to the so called "disease model," a medical model which focuses solely on a person's illnesses, disorders, and psychopathologies, positive psychology has emphasized human goodness, virtues, and strengths a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and psychological endeavor. From a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positive psychology's basic assumption that human goodness and excellence are as authentic as disease and distress resonates with biblical teachings that humanity i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y has contributed to explorations of human flourishing, a field of study closely related to pastoral theological studies on human experiences such as hope, resilience, play, and joy. Furthermore, positive psychology's virtues have deeply connected to biblical teachings (e.g. Philippians, Galatians, etc.). One of the pitfalls of positive psychology, however, is its tendency to ignore human sinfulness, along with its perhaps restrictive focus on human virtue. There is a danger to studying the exclusively good. Indeed, positive psychology's core endeavor of constructing a meaningful life without God at its center fundamentally contradicts the natur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ositive psychology also lacks sensitivity as to cultural contexts and diversity. Its emphasis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methodologies rather than qualitative approaches often oversimplifies cultural differences and traits. Although positive psychology has significant weaknesses and shortcomings, the field provides important insigh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o take goodness seriously does not necessitate the denial of the daunting realities of human suffering. In fact, it is in the middle of hardship that the awareness of the goodness of life or of God dawns, in the forms of hope, longing, and joy. Pastoral theologians and caregivers will do well to supplement the practice of the medical model with the insights and methods of positive psychology.

      • KCI등재

        한국 개신교 목회자 양성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정근 한국기독교학회 202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32 No.-

        국내 신학교는 초대와 중세 시대 신학교육의 특성을 잇고, 종교개혁 시기형성된 개신교 신학교육의 전통을 계승하며, 북미 세미너리의 신학교육의 강조점을 수용 발전시키는 종합적인 신학교육과 성직자 양성제도를 모색하고있다. 구체적으로 신학교는 사중 양식의 신학교육, 개인의 영성과 인성형성, 목회 현장과의 연계성을 위한 목회실습의 교육과정을 통해 신학생을 훈련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신학교육을 위한 개선의 목소리는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고, 교회는 전문성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훈련된 목회자를 원하고 있다. 지금의3년 신학대학원 과정으로는 교회 역사에서 축적된 다양한 신학적 학문과 목회실습을 소화해 낼 수 없다는 것에서 그 하나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본고의 방향성은 신대원 3년 신학교육의 비효율성의 문제 제기와 함께 개신교목회자 양성을 위한 전문 신학 수업과 목회실습이 구분된 이원화 과정과 목회자가 된 이후의 목회자계속교육과정을 포괄하는 ‘신학 수업, 목회실습, 목회자계속교육’의 삼 단계 과정의 필요성 그리고 신학생, 목사 후보생, 목회자의 전반적인 신학교육을 담은 로드맵 제시의 필요성에 있다. Korean seminaries seek a comprehensive theological education and clergy training system that continues the characteristics of theo- logical education in the early and medieval eras, which inherits the tradition of Protestant theological education formed during the Reformation, and embraces and develops the emphasis of theolog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n seminaries. Specifically, the seminary trains theology students through a curriculum of fourfold patterns theological education, personal spirituality, character formation, and pastoral practice for connection with the pastoral field. Nevertheless, calls for improvement in theological education continue, and the church wants pastors who a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ally trained. One reas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current three-year theo- logical graduate school program cannot include the various theo- logical studies and pastoral practices accumulated throughout church history.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paper is to raise the issue of the inefficiency of the three-year seminary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dualizing professional theological classes and pastoral practice. Furthermore,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for a three-stage process of ‘theological classes, pastoral practice,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pastors’ that includes theological education after ordination.

      • KCI등재

        신학함의 과정으로서의 목회돌봄과 상담

        정연득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8

        이 논문은 목회돌봄과 상담의 실천이 어떻게 신학함의 과정이 될 수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 연구되었다. 전통적으로 기독교 신학에서는 목회돌봄 및 상담의 실천과 체계적 신학의 형성이 분리된 과정으로 존재해 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임상목회교육의 발전과 함께 새롭게 대두된 목회신학은 사람들의 경험을 신학함의 출발점으로 삼는 새로운 신학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흐름은 안톤 보이슨의 ‘살아있는 인간문서의 연구’라는 제안에 잘 담겨져 있다. 시워드 힐트너는 이러한 제안을 받아들여서 목양적 관점이 이끌어가는 신학으로 목회신학을 정립했다. 힐트너는 목회신학을 다른 신학분야와 동등한 중요성을 가지며 그 나름의 학문적 체계를 가진 분야로 자리매김 하고자 노력했다. 힐트너의 노력은 목회신학이 신학교육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도록 하는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철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실천적 이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던 1980년대 후반의 상황을 배경으로 브라우닝은 실천적 지혜를 도출해 내는 학문으로서의 목회신학의 방법론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브라우닝은 이론에서 실천으로 향하던 전통적인 실천신학에 대한 이해에 도전하면서 실천으로부터 출발해서 이론으로 들어가서 비평적 대화를 거친 다음 확장된 관점을 가지고 다시 실천의 현장을 들어가는 새로운 실천신학 방법론을 제시했다. 동시에 필자는 P목사와 K집사 사이에서 일어난 목회돌봄 사례를 제시하고, 보이슨과 힐트너와 브라우닝이 제안한 목회신학을 기초로 이 사례를 비평적으로 성찰해 보았다. 전통적 형태의 돌봄이 제공되었던 이 사례에 새롭게 제시된 목회신학을 접목해 본다면 어떤 다른 형태의 목회돌봄을 기대해 볼 수 있을지 논의했다. 이 과정을 통해 필자는 한국의 목회자들과 목회상담자들이 자신들이 하는 돌봄의 사역을 신학함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자신 앞에 서있는 사람들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문제에 더욱 깊게 접근하는 것이 결국 신학을 풍성하게 만들어가는 길임을 이해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pursue a way of doing pastoral theology that may help the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t is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that the practices of pastoral care of parish pastors sh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doing theology. However, in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it is not easy to find any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the shaping of the body of theological knowledge. The leaders of the pastoral care movement of 20th century suggested a new methodology of doing theology that begins with human experiences. Anton Bosien’s slogan, “the study of living human documents” nicely denotes this new way of doing theology. Seward Hiltner developed this slogan into his pastoral theology that is guided by pastoral perspective. Hiltner attempted to secure the position of pastoral theology in the faculty of theology by suggesting a systematic methodology. Thanks to his endeavor, pastoral theology began to be considered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theological schools. By enthusiastically utilizing the important debates on practical reason in the field of philosophy, Don Browning further developed a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to the extent that it contains a detailed way of creating knowledge that guides more appropriate practices. Browning suggests the way of doing practical theology beginning from praxis, then moving to theory in order for critical dialogues between questions raised from the praxis and the Christian tradition, and finally going back to praxis with widened horizon from the dialogue. In the course of arguments, I attempt to review the pastoral care of Pastor P from the perspectives of Boisen, Hiltner, and Browning. By doing this, I tried to argue how Pastor P may provide a more helpful pastoral care, if he would be familiar with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ies of these three pastoral theologians.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hat pastoral caregivers come to understand that their practices should be regarded as the process of shaping practical theological knowledge. Thus, providing solicitous pastoral care is not just practice of care but also a process of doing theology by which pastoral careviers can accumulate the practical reason guiding effective practices.

      • KCI등재

        대중의 정신건강을 위한 목회상담 : - 공공신학으로서의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

        김경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최근 한국사회에서 각종 중독과 우울증을 비롯한 대중의 정신질환 유병률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높은 정신질환 유병률은 OECD국가 중 한국이 가장 높은 자살률 순위를 고수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WHO는 개인의 정신질환 치유를 위해서는 개인의 주거환경, 교육의 기회, 사회·경제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고, 이러한 관점을 한국의 보건복지부는 대중의 정신건강의 치유, 재활, 예방, 그리고 증진을 위한 정책의 실천에 반영하고 있다. 돌봄의 공동체인 교회는 이렇게 증가하는 인간의 정신적 고통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자기-중심성의 유혹을 극복하고 교회는 역기능적 사회적 환경을 돌보는데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이 논문은 목회신학적 입장에서 한 가지 실천적인 과제를 제시하려 한다. 목회상담이 공공의 영역으로 발돋움하는 것이다. 교회의 한 사역으로서의 목회상담은 대중의 정신건강을 위해 독특한 공헌을 할 수 있는 전문화된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로부터 도입된 이래 아직까지 한국에서 목회상담의 역할은 교회와 연관된 사적인 영역에만 주로 제한됨으로 대중의 정신건강을 위한 자원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목회상담이 대중의 정신건강 치유와 증진을 위한 공공의 자원으로 인식되고 사회적 환경의 돌봄을 위해 발돋움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안내하기 위해 공공신학적인 관점에서 목회신학의 역할을 재정립한다. 목회신학은 보다 효과적인 돌봄의 실제(practice)를 안내하기 위해 목회적 성찰의 범위를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실제로 확장해야 한다. 공공의 영역으로 목회상담이 발돋움하기 위해 시대적으로 중요한 실천적 과제 중 하나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공공기관 및 전문 기관과 협력적 관계를 발전시킴으로 사랑과 정의의 ‘돌봄의 공동체’ 형성을 사회에 확산시켜나가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재 사회에 팽배한 경쟁과 배제의 가치보다는 공존이라는 기독교의 핵심 가치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돌봄의 공동체는 정신건강의 치유, 예방, 그리고 증진을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통전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number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in Korea. The high rate of mental disorder has allowed Korea to maintain a top place in suicidal rates among OECD countries. Lately, the WHO has stressed the need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ocio-economic structures in order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has also begun to reflect upon this point of view in its practices for the healing, rehabilit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public mental health. In response to the suffering in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how should the church, as a caring community, act? How can the church participate in caring for the society and overcome her temptation for self-centeredness? This article proposes a practical task for pastoral counseling, as a ministry of the church, in response to this inquiry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as public theology. In spite of its unique capacity for the caring of mental health in public realms, its role has been confined to church members, individuals, families, and group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pastoral counseling can use social perspectives in assessing the needs of individuals, reach out to the public in need of mental health care, establish partnership with other mental health organizations, and lead for the expansion of ‘communities of caring’ based on love and justice. Som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pastoral counseling to achieve this goal are suggested through a case analysis.

      • KCI등재

        미미한 하나님, 아름다운 인간 : 류혜란 시에서 길어 올린 고통의 목회신학

        정연득(Youn-Deuk Je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6

        이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몰고 온 고통의 현실에 대해 목회신학은 어떻게 응답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했다. 피할 수 없는 삶의 현실이 되어버린 고통 앞에서 그 현실을 제대로 직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목회신학적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논문은 사례 연구가 아니라 류혜란의 시로부터 출발한다. 시라는 가장 오래된 문학 장르에는 창조적 놀이의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사람들이 경험하는 고통의 현실에서 출발하는 목회신학도 고통과 함께 창조적으로 놀이할 수 있는 신학적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시인이 제공하는 이미지와 은유는 놀이하듯 목회신학적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해 주리라 기대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이 글은 먼저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글을 통해 시가 목회신학적 상상력을 풍성하게 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요한 하위징아의 이론을 통해 시가 가진 놀이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시가 가진 놀이의 가능성은 시를 통해서 목회신학을 추구하는 과정도 창조적 놀이로 승화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IV장에서는 “여전히 아픈 아침”을 비롯한 류혜란의 시 곳곳에서 나타나는 고통에 대한 이미지를 통해 고통이 없어지는 곳이 아니라 아픈 이웃들과 함께 고통을 살아내는 하나님 나라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V장은 ‘미미한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류혜란이 그려내는 인간관과 이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제시한다. VI장에서는 ‘똥개대통령’에 나타난 시인의 하나님 이미지를 통해서 목회상담실에서 경험하고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미미함의 미학’이 이끌어가는 목회상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서로의 미미한 아름다움이 발견되고 수용되는 현장이 미미함의 목회상담이며, 이 과정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담아낸 것이 미미함의 목회신학이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How can pastoral theology respond to the reality of suffering brought about by the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that can be helpful for properly facing the unavoidable reality of suffering. For this, I start from the poem of Hye-ran Ryu. I hope that the image and metaphor provided by the poet will provide a tool with which to unfold the pastoral theological imagination for those who seek to help those who are suffering.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s Alistair McGrath’s ideas concerning how poetry can enrich the pastoral and theological imagination. Next,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play in poetry through the theory of Johan Huizinga. Just as poetry has the potential for play, doing pastoral theology through poetry can also be sublimated into creative play. The fourth part of the paper tries to discover the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on suffering through Hye-ran Ryu’s poem “Still Painful Morning.” The poet’s image that the kingdom of God is not a place where suffering disappears, but a place where suffering is lived through with neighbors provides pastoral theology with thoughtful insights regarding suffering. The fifth part of the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on human being by drawing on Hye-ran Ryu’s poetic image of “insignificant person.” The sixth part presents the kingdom of God as experienced and realized in the pastoral counseling room through the poet’s image of God in “President Ddonggae.” Finally, the possi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led by the “aesthetics of insignificance” is presented. The space where each other’s insignificant beauty is discovered and accepted is where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of insignificance is practiced.

      • KCI등재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에 대한 모색

        정연득(Youn Deuk, Jeong)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이 논문은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실천적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안톤 보이슨에 의해서 제시된 ‘살아 있는 인간문서의 연구’는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된 목회상담운동을 이끌어 오던 슬로건이었다. 하지만 목회상담운동이 발전하면서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상담실에서만 개인을 돌보는 것의 한계에 대한 문제제기가 본격화되었고, 개인과 그를 둘러싼 사회 환경은 결코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이 증대되었다. 그 결과 등장한 새로운 슬로건이 바니 밀러-맥리모어가 제시한 ‘살아 있는 인간관계망’이었다. 새로운 슬로건이 이끌어 가는 목회돌봄과 상담은 개인에 대한 초점을 넘어서 공적 영역에 대한 돌봄으로까지 목회상담운동의 관점을 확대시켰다.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동안 신학계에서도 신학의 공적 역할을 강조한 공공신학이 발전하고 있었다. 미국 공공신학의 중심지였던 시카고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던 단 브라우닝과 밀러-맥리모어등이 이미 주장한 것처럼, 목회상담의 실천을 통해서 신학함을 추구하는 목회신학은 본질상 공공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필자는 개인과 사회를 회복시키고 치유하는 데 관심을 가진 목회신학과 목회상담은 해방적 공공신학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해방적 공공신학으로의 목회상담이 그 공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실천의 장으로 사회적 협동조합을 제시한다. 정부의 인가를 받은 법인체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은 살아 있는 인간관계망인 지역사회를 보다 건강하게 가꾸기 위해 다른 협동조합과 협동하며 지역의 민간 및 공공기관과 협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산책정과 입법을 위한 과정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살아 있는 인간관계망으로서의 목회돌봄과 상담이 추구하는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에 매우 적절하게 부합하는 실천 모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pursues a possible way of the practice of the public role of pastoral counseling. “The study of living human documents” has been a leading slogan for the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beginning from early 20<SUP>th</SUP> century.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critical reflections on the limit of pastoral counseling mostly provided in the counseling room were emerged within the movement. Incorporating these critical reflections, a new slogan was suggested by Bonnie Miller-McLemore, “the study of the living human web.” This new slogan expanded the scope of the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to the extent that it includes the care of public sphere. While the public role of pastoral counseling became the main topic in the movement, the public role of theology also became a significant topic of many theologians in the filed of theology in general. As Don Browning and Miller-McLemore already insisted, pastoral theology as a field of doing theology through the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essentially public theology. I think pastoral theology whose main concern is to heal person and society pursues emancipatory public theology. Pastoral counseling as emancipatory public theology needs appropriate public spheres in which pastoral counselors can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society. I suggest the social cooperative as a model for the practice of the public role of pastoral counseling. The cooperative can be a good meeting place for the cooperations with other cooperatives,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Furthermore, as corporate body approved by government, social cooperatives can contribute much to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community by participating in legislation and budgetary processes. First of all, the provision of democratic and recipient-friendly social services can b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e social cooperative.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목회 방향성 연구

        이성주 ( Sungju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4 생명과 말씀 Vol.39 No.2

        한국교회에 대한 신뢰도가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목회 방향성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목회 방향성에 따른 목표설정과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을 통해 교회의 존재 목적과 사명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성경의 가르침과 개혁주의 신학을 계승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토대로 하는 목회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첫째, 목회에 대하여 사전적 의미보다 맹용길이 정의하는 의미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목회의 주체가 하나님이란 사실과 하나님께서 살리시고 보존하시는 ‘생명’이 목회 방향을 명료화하는 데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생명에서 떠난 이방인들에게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여 그들을 살리고 그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목회에서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개혁주의생명신학을 토대로 하는 목회방향성을 이해하기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시작과 발전에 있어서 목회자 김영철을 통해 전해진 정신들을 역사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둘째, 백석학원의 설립자 장종현 목사의 목회자상과 목회신학을 연구함으로써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목회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그는 목회자 김영철이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품고 말씀과 기도에 힘쓰며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며 살았다고 평가한다. 그리고 그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의미를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는 ‘무릎의 신학’과 가슴 깊은 곳에서부터 그리스도의 생명력이 흘러나오는 ‘가슴의 신학’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목회 방향이 명료해진다. 영적 생명력을 지닌 교회가 세상을 위해 기도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생명력을 뿜어내며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목회방향이다. It is important for Korean churches to find a direction for their ministry, as they lose people’s trust in them these days. Through setting the goal for ministries and making strategies based on the direction, Korean churches can outwardly show the purpose and mission of their existence. This article studies about the direction of ministry based on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follows biblical truths and Reformed theology. In this article, first, I rely on Maeng Yong-gil’s definition on the pastoral ministry, not on its lexical meaning. The first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main agent of the pastoral ministry is God. The other reason is that ‘life’ God gives and preserve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larify the direction of the pastoral ministry.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pastoral ministry to preach Jesus Christ who is life, saves the Gentiles who left God’s life, and maintains their lives.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pastoral ministry based on Reformed Life Theology, I focus on how Kim Young-chul’s spirit and Reformed Life Theology have been inherited by his successors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Second,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e pastoral direc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through studying Rev. Dr. Chang Jong-hyun, the founder of Baekseok schools, his understanding on a pastor, and his theology on the pastoral ministry. Rev. Dr. Chang Jong-hyun highly evaluates Rev. Kim Young-cheol for his whole life embracing the life of Jesus Christ, devoting himself to the Word and prayer, and seeking the glory of God. According to Rev. Chang Jong-hyun,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expressed as “Theology of Knees” and “Theology of Heart.” “Theology of Knees” means that pastors should devote themselves to humble and fervent prayer during their whole life and ministries. Also, “Theology of Heart” means that pastors should gain the life force power of Christ flowing from the deepest part of their heart. I strongly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clarify the direction of the pastoral ministry based on Reformed Life Theology. Also, this direction will motivate Korean churches to have spiritual vitality, to seek the glory of God, and to emit the vitality of Christ by praying for the world.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본 웨인 에드워드 오오츠(Wayne Edward Oates)의 목회신학과 목회상담학에 관한 연구

        양병모 ( Byung Mo Y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생명과 말씀 Vol.3 No.-

        웨인 오오츠는 남침례교출신의 목사이며, 목회상담가이자 목회상담학자이다. 그는 현대 목회상담학의 선구자 중의 한 사람으로서 많은 임상 경험과 깊은 신학적 통찰을 통하여 목회상담학과 종교심리학, 그리고 기독교 정신의학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특별히 그의 교회사역으로서의 목회상담에 대한 강조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추구하는 ``교회를 위한 신학``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그의 목회신학과 목회상담학에 관한 연구가 지니는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어린 시절의 가난으로부터의 자유를 시작으로, 열등감으로부터의 해방, 획일화된 사고로부터의 자유, 외로움으로부터의 자유, 그리고 규격화 된 신학교육의 탈피 등으로 이루어진 그의 인생은 자신의 표현대로 ``자유를 향한 투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비록 그가 매우 성경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으나 그렇다고 그가 사람들의 영혼의 유익을 위한 다른 학문, 특히 심리학을 무시하지는 않았다. 그는 학제적 연구에 매우 충실하였던 학자였다. 광범위하고도 심도 있는 학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그의 목회상담 및 목회신학은 매우 성경적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매우 실천적 신학을 강조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과 일치한다. 목회상담학에 끼친 오오츠의 공헌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현대목회상담학을 심리학의 영역이 아닌 신학의 한 영역으로 정립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둘째, 그는 현대 목회상담학이 심리학과 목회전문화의 물결에 의해 교회사역의 영역에서 멀어지는 추세를 비판하고 교회사역으로서의 목회상담학의 위치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셋째, 목회상담학에서의 사회적 관심을 새롭게 조명하였다. 넷째, 그는 자신의 인생을 통하여 신학교육현장에서 임상적 훈련을 통한 신학교육이 교회현장에서 생명을 살리며 실천되는 일에 힘을 기울였다. Wayne E. Oates is a southern baptist pastor, pastoral counselor, and scholar. As a pioneer of modern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Oates, based on many clinical experiences and deep theological reflections, had contributed a lot to the areas of pastoral counseling,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psychiatry. Especially, the meaningful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Oates` emphasis on the pastoral counseling as a church ministry. Oates describes his whole life as ``the struggle to be free`` such as to be free ``from poverty,`` ``from a feeling of inferiority,`` ``from pack thinking,`` of loneliness,`` ``from factory education,`` and, etc. Even though Oates is very biblically oriented, he has never abandoned his interest in the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Based on his broad and solid academic backgrounds, he has been able to cultivate and develop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theology practically as well as biblically. There are several Oates` contribution to pastoral counseling. First, Oates firmly defines pastoral counseling as a part of theology not as of psychology. Second, Oates reestablishes the congregational aspect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has been eroded by modern psychology and ministerial specialization. Third, the social emphasis of pastoral counseling has been refocused by Oates. Fourth, throughout his life, Oates has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heology with clinical training in theological education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