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권숙진(Sukjin Kwon),박선희(Sunhee Par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분야에서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를 H대학 사례를 통하여 실행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학전공교수 3인과 교육학 교수 1인이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설문에 응답한 졸업생 31명, 면담에 참여한 졸업생 15명, 설문에 응답한 고용주 9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졸업생이 평가한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은 교육목표1, 3, 4의 경우 평균 3.3점~3.4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3 "평생 자기 혁신을 통해 기독 전문직업인으로서 사회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다하고 있는가?"의 경우 평균 2.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답자 중 개인적으로 종교관이 다른 경우 낮은 점수를 표시한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은 교육목표별 3.7점~4.0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이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졸업생대상 교육과정 적절성에 관한 면담의 경우, 전공교과목에 대한 의견으로 현장교육강화, 발표수업 및 실험수업 내실화, 기초역학수업 정교화, 최신동향이 적용된 수업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동아리 활동의 경우 전공동아리 활동이 기업현장에서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영어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전공관련 차별화된 영어 교과목, 영어로 발표하는 연습 및 외국인과 의사소통 등을 위주로 하는 등의 교육내용 개선을 요구하였다. 셋째, 고용주의 경우 각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은 3.8점~4.1점으로 나타났고,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은 4.2점~4.3점으로 나타났다. 고용주의 경우 교육목표 개선을 제시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 the evaluation about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aims to draw the reform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t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in H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invented a research instrument with three professors at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one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 survey and interview were adopted. The participants included 31 graduated students (survey respondents), 15 students (interview respondents) and 9 employers. According to the data, first, the mean scores of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1, 3, 4) elicited from the graduated students ranged from 3.3 to 3.4.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3 "As a christian and specialized professionalist, do you fulfill your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scored 2.7 (5 total score). This means that individuals with different religious faith showed low scores. The mean scor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3.7 to 4.0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Mostly,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cored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econd, regarding the employers,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3.8 to 4.1, a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4.2 to 4.3. It is interpreted that the employers did not offer the improvement of each educational objectives. Finally, regarding the interview data about the appropriacy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elicited from the graduated students,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e classes with a focus on the reinforcement of work-experience, lessons with a focus on presentation, elaboration of the experiment lecture, refinement of basic dynamics, and the application of up-to-dated contents. Concerning the club activities, clubs related to one"s majors seem to play an influential role in business field, thus, club activities should be reinforced. Lastl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y required the English curriculum different from majors and lessons with a focus on English presentation as well as the conversation with native speaker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 재고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 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 / 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 KCI등재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평가 방법의 양상 연구 - 평가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김정숙 ( Kim Jeong-sook ),백윤경 ( Baek Yun-kyu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논문은 대학 글쓰기교육의 평가 관련 연구의 현황 및 평가의 실태와 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 관련 연구논문 72편에 언급된 평가 방법을 총망라해 제시하였고, 이중 평가 방법을 명시적으로 선택한 51편을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제시한 평가 방법의 양상과 의미, 그리고 글쓰기교육을 위해 선택한 평가방법의 유형을 분류하고 시대별 추이와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평가관련 연구 논의들은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의 평가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크게 ①평가시기에 따라 과정중심과 결과중심으로, ②평가개입 정도에 따라 직접평가 와 간접평가로, ③평가주체에 따라 교수자와 학습자(학습자는 다시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로, ④평가 범위에 따라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로, ⑤평가 활용방식에 따라 첨삭과 피드백으로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평가 방법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피드백과 첨삭 그리고 튜터링, 형성평가와 진단평가, 포트폴리오 등은 네 영역 중 과정중심 평가의 요소들로 평가 관련 연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중 피드백은 대학 글쓰기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활동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글쓰기교육이 본격화된 지 30여 년에 이른 시점에 글쓰기의 유형을 다양하게 하는 동시에 평가방법도 다각화할 필요를 인식하게 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evaluation of research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 total of 72 evaluation paper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aspects and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methods mentioned in the paper, and the types of evaluation methods selected for writing education. Research discussions related to evaluation are primarily conducted to achieve the evaluation goals of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learners partake in self-assessment and peer evaluation), and total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based on evaluation criteria. In particular, feedback, correction, tutoring, formative evaluation, diagnostic evaluation, and portfolio, which represent a significant number of evaluation methods, also feature in a significant portion of evaluation-related research as elements of process-based evaluation. Double feedback is the most important activity i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field.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diversifying the types of writing as well as evaluation methods since more than 30 years, whe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egan.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의 재고

        이명실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진단 평가의 현황

        조광순,전병운,박혜준,강미라,이준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4

        Unlike the screening process to identify children who may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e assessment procedur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are recommended to use curriculum-based assessment tools or criterion-referenced tests in order to develop IEP goals and to find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specific instructions. However, the assessment practices are considered difficult and challenging for mo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ECSE) teachers. The use of curriculum-based approaches are extremely limited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1) how ECSE teachers utilize various assessment tools to develop and monitor the IEP, 2) how curriculum-based assessments are put into practices, 3) how long-term goals and the short-term objectives are developed for IEP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put into practice, and 4)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EP. Two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used to collec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or the quantitative data, an on-line self survey was conducted by 49 teachers from various ECSE programs. For the qualitative data, five teachers from five different ECSE programs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indicate that a majority of the assessments used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norm-referenced measures. The curriculum-based measures that could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IEP goals and evaluation are rarely used. Some teachers reported the use of screening instruments, even though those instruments are not appropriate to assess individual needs and develop IEPs, demonstrating limited knowledge on screening. The teachers also demonstrated the development of IEP goals that do not relate to their curriculum. This problem seems to be related to the limited numbers of curriculum-based measur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ECSE teachers emphasize the functional goals and the use various curricula that provide specific activities to achieve curriculum goals.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use anecdotal recording for child progress monitoring, demonstrating less use of various observation methods. Overall, the ECSE teachers demonstrated limited knowledge and practic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quality IE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1) specific assessment procedures need to be mandated through special education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plan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IEPs, and monitor the effectiveness of services provided, 2) there is an urgent need for comprehensive curriculum-based assessment tools that reflect various developmental aspects as well as diverse special needs, and 3)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ro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in-service workshops or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EPs for young children who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유아특수교육 기관에서 표집된 49명의 유아특수교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양적 자료와 각기 다른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5명의 교사들로 구성된 핵심집단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유아특수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평가 도구의 유형과 특성, 교육과정 중심의 진단․평가의 실제, IEP의 장․단기 목표의 개발과 IEP 평가의 실제, IEP의 개발과 운영 과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IEP 개발과 단기목표 수행 평가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규준지향적 도구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선별 및 진단․평가 절차와 방법에 대한 제한적 지식을 나타내 보였고, 적절한 도구 사용 및 평가에 있어서의 실제는 질적인 면에서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기능적 목표와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구체적인 활동이 제시된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특성에 적절한 진단․평가 절차와 방법의 제시, 다양한 발달 영역을 총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진단․평가 도구 및 중재 유용도와 수렴타당도가 높은 교육과정의 개발, IEP의 개발과 운영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과 자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및 관련 행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S대 교과기반 평가(CEA) 사례를 중심으로

        강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turn of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have accelerated. Changes in the era and social needs have led to inevitable shifts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signal that shows that the function and role of education also need to be changed.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ort of trendy, educational discourse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large part due to its substantive character. As a result, the methodology of how to implemen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he attempt to set the learner's competency development a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design and operate the curriculum,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et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To be sure, there is no curriculum that does not require some improvement or modification. Improvement is based on evaluation. This is why we ne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any given curriculum. Competency-based assessments in course units serve as a mechanism for continually improving the curriculum. This is why we have course embedded assessments of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e fo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lecture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improvement plan (CQI) for the evaluatio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introduce conceptual model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s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ADDIE model. Next,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competency-based courses are introduced. The case study consists of analyzing and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ecture.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등장한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지식이나 정보의전수에서 기존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변화될 필요가있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한 조건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교과기반 평가, 즉 CEA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량 형성을 교육의 핵심가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설정된 역량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교육의질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교과목 단위에서 관련 핵심 역량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의운영과 개선에 반영하는데 있다.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역량기반 교육은실체적 성격을 띠며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역량 기반 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것인가 하는 방법론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평가를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보고,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CEA 모델을 참고하여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수업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교과목 학습목표 중심의 평가, 즉 CEA에 기초한역량기반 교양교육 운영 사례(practice)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운영에 기초한 개선의 사례로서 미국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교과목 기반 역량평가 소개, 서울소재S대학에서 2017년 2학기부터 시도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역량 기반교양 교과목 수업설계, 평가방법, 개선안 도출방안에 대한 소개, CEA 적용 교과목 담당 교수의 인식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대학에 맞는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육의실행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 KCI등재

        교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의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고상숙 ( Sang Sook Koh ),한혜숙 ( Hye Sook Han ),이창연 ( Chang Yean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제 7차 교육과정이후 학생들의 수학 학습을 돕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 방법으로 학습 과정 및 수학 수준 등에 대하여진단해야하는 평가의 중요성이 꾸준히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인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구를 활용한 평가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교구를 활용한 평가에 적합한 평가원리를 설정하여 각 영역별로 문항과 채점기준표를 개발하고 예비 연구를 실시한 결과 관찰체크리스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나아가 예비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된 평가모델을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한 결과, 수학적과정인 각 영역별 특성에 따른 채점기준표에 의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목표지향평가가 용이해짐을 알 수 있었다. Students` learning processes and mathematical levels should be correctly diagnosed in many different methods of assessment to help students learn mathematics. The study developed the model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while using manipulatives in the middle school in order to improve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emphasized in 2009 reformed curriculum as the areas of mathematical process. Identifying the principles of assessment,we created the assessment model for each area and carried out a preliminary study. Based on this, we revised the representative items and the observation checklist and then conducted a main study. Through the results of assessment,we found that students` thinking processes were well presented in scoring rubric for their responses on each item. It meant that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as a criterion-referenced test was achieved.

      • KCI등재후보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김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proposes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check up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enhance its quality level in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omprises <Introspection of Human and Society> and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s>. The objectives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t helps students blend knowledges crossing over the boundary of learning and raise their capability to solve the complicated problems. Second, it helps students have broad visions and balanced discernments toward human and society through more systematic curriculum. And the professors who teach these subjects should clearly present ‘educational obj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t this momen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can realize an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evaluation method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objectiv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Introspection of Human and Society> i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s> is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on ability’. What should be institutionally supplemented to run these subjects a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e-learning system’ and the opening a center to instruct a communicative competence. 본 논문에서는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열악한 상황을 점검하고, 교양교육의 질적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계열간 통합교과체계인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계열을 통합한 <인간과 사회의 성찰>, 그리고 과학과 예술 계열을 통합한 <과학과 예술의 융합>으로 구성된다.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의 목적은, 첫째, 학생들로 하여금 학문 간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지식을 융합하여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 보다 체계적인 교양교육을 제공하여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폭넓은 시야와 균형 잡힌 안목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합형 교육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서 해당 과목들의 담당교수는 ‘교육목표’,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이때 ‘교수학습방법’은 ‘교육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평가방법’은 ‘교육목표’의 성취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과 사회의 성찰>의 교육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이고, 교수학습방법은 문답법과, 고전읽기·비평문쓰기·토론활동의 유기적 운영이다. 그리고 <과학과 예술의 융합>의 교육목표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협업능력’의 함양이고, 교수학습방법은 ‘문제기반학습(PBL)’과 ‘팀별 프로젝트 수행’이다. 이 교육과정을 통해 소기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과 의사소통능력 지도를 위한 전담기구 설립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신행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A de-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being accelerated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the three-year bachelor's degree, five years of Bachelor-Master as linked courses. Als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s improved because undergraduate colleges, liberal arts have been introduced and need to strengthe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However, many universities try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ttempt to improve and to develop quickly, so they trend to emphasize operational aspects and to neglect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alyzed the liberal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status of those liberal education courses. I reflected the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tep to build rat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In other words, first, it should stat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econd, it should organize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lated to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Third, it should configure contents should be lear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ctivities. During curriculum to build, it should explicitly state objectives for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based on Bloom’s objectives, those objectives should match competences across such as higher order cognitive thinking skills,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and psychomotor skills. In addition, I proposed to run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uch that discussion, observation, demonstration etc. that is reasonable assessment because of connection with its objective.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attain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re faithful to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빠르게 생성되는 지식들을 끊임없이 학습해야하는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국내 대학에서는 전문대학의 3년제 학사과정, 4년제 대학의 5년 학·석사 연계과정 등 교육체제의 탈규격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학부대학, 교양학부 등이 도입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와 융·복합 교육 도입 필요성으로 교양교육과정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을 조속히 개선·발전시키려고 하려다 보니 운영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교양교육 자체의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양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와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고찰한 대학 교양교육 본질을 반영하여 선행 연구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단계를 제시하였다. 즉, 교양교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명시적으로 진술하고, 그 연관성을 기술한다. 목표 달성 수단이 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교양교육과정 구축시 교과목과 비교과활동 프로그램들의 학습목표는 고차의 인지적 사고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 경험을 통해 성취되는 정의적 태도와 가치, 그리고 심동적 기술들을 아우르는 본질적인 교양교육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Bloom의 교육목표 진술법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제언하였다. 또 그 목표와 연계된 타당한 평가를 위해 토론, 관찰, 실험·실습, 시연 등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하도록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체제는 교양교육 본질에 충실한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타일러 모형의 학습자 중심 관점에 대한 고찰

        김은정(Eun-Jeong Kim) 학습전략중재학회 2018 학습전략중재연구 Vol.9 No.2

        타일러는 교육과정의 기본 요소들을 네 가지로 제시하고 이의 단계적 절차를 확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타일러 모형에서 단계적 절차로 제시된 교육과정 목표, 내용선정 및 내용 조직, 그리고 교육평가 네 요소를 고찰하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관점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목적을 수립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세 가지 원천이 듀이의 이론과 동일한 점 그리고 타일러 이론의 네 가지 질문이 카운츠의 영향을 받았음에 근거할 때, 타일러가 진보주의의 영향을 받았을 뿐 아니라 학습자 중심 교육적 사고를 갖게 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둘째, 타일러의 학습경험 선정의 원리는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자가 어떤 학습경험을 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기회의 원리, 만족의 원리, 가능성의 원리, 다양한 경험의 원리, 다성과의 원리, 협동의 원리가 모두 학습목표를 위해 학습자가 하게 될 행동에 중점을 둔다. 셋째, 타일러는 교육과정을 몇 단계로 체계화하고 이들 간의 순환을 효율적으로 표현하였으나, 교육과정 개발에서 이루어지는 복잡다단한 상호작용, 정치적 논의,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풍성하고 질적이며 정서적인 상호작용, 혹은 언어로 표현하거나 계획하기 어려운 문화적, 인격적 목표를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에 그 한계가 있다. Tyler presented the four basic elements of the curriculum and established its phased step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our aspects of curriculum goals, content selec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evaluation in the Tyler model. The main idea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at the three sources that must be traversed to establish curriculum objectives are the same as Dewey s theory and that the four questions of Tyler s theory were influenced by counts, Tyler was not only influenced by progressivism, It can be seen that he had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thinking. Second, the principle of Tyler s choice of learning experiences comes from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 a learner will make to achieve his or her learning goals. The principle of opportunity, the principle of satisfaction, the principle of possibility, the principle of diverse experience, the principle of various achievements, and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all focus on the behaviors that learners will make for learning objectives. Third, Tyler systemizes the curriculum in several stages and efficiently expresses the circulation among them. However, there are limits to the complex interactions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political discussions, and the lack of rich, qualitative and emotional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or cultural and personal goal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or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