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자율성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추스란 ( Chu Seu Ran ),조한익 ( Cho Han Ik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현대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자율성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고, 미래지향목표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3개 대학교의 재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다집단 분석(Multi group analysis) 등을 실시하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자율성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미래지향목표는 자율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재적 미래지향목표는 자율성과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외재적 미래지향목표가 자율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지만, 내재적 미래지향목표가 자율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자율성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년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내재적 미래지향목표를 설정하고 자율적일수록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대학 내에서 취업 관련 프로그램만 진행할 것이 아니라, 자율적으로 내적 가치를 만족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들의 내재적 미래지향목표만으로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반드시 자율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행동적인 측면을 위해서는 반드시 인지적인 측면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환경 자체의 개선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와 취업 문제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진로나 취업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진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진로와 관련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is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uture-oriented goals,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to verify mediation effect of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goa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basis of those research questions, 623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in Gyeongnam area were selected. In analyzing the data, basic statistics, maximum likelihood, multi-group analysis were employ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future-oriented goals,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found out to be appropriate. While the impact of external future-oriented goals on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ternal future-oriented goals are foun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utonomy and a nega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s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in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goa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t turns out that external future-oriented goal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ia autonomy, but internal future-oriented goal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ia autonomy. Third, in the relationship among future-oriented goals, autonom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turned o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ades. In the last parts, researchers provided a discussion on the research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유매,강영순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목표지향성(학습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수행회피목표지향성)과 주도적 행동 및 직무수행(OCB-I, 혁신행동)의 선형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및 OCB-I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한국인과 중국인 표본을 대상으로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표본은 제주지역 기업종사자 및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인 192명, 중국인 184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한국인과 중국인 모두에서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은 두 연구대상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에서 한국인의 경우, 목표지향성과 OCB-I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중국인의 경우 목표지향성(학습, 수행접근)과 OCB-I의 관계가 주도적 행동에 의해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목표지향성(학습, 수행접근)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은 양국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한국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중국인은 학습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은 부분매개, 수행접근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은 완전매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의 관계에 작용하는 행동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개인성향과 직무수행 관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행동매커니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에 작용하는 행동메커니즘의 차별성을 규명함으로써, 양국 종사자의 직무수행 촉진하기 위한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comprehensively three parts. First, the effects of goal orientation(learning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proved to proac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OCB-I, innovative behavior. Second,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the links between goal orientation(learning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job performance. The total data 376, which collected from Korean 192 and Chinese 184, was applied to analysis The results are 1) both of learning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active behavior in both sample, whereas no significant effect to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2)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results in the links goal orientation and OCB-I in case of Korean sample, whereas in chinese case, mediation was supported in the links learning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OCB-I each. In further, mediation of proactive behavior was supported as partial mediator in the links learning goal, prove goal and innovative behavior in both cases except for prove goal-innovative relationship was proved full mediation. Findings were that the mechanism of behavior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was demonstrated, such the result contribute to the study on behavior mechanism of personal disposition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esent results provide practitioners with different management style to the Korean and the Chinese so as to come to job performance.

      • KCI등재

        지원인식, 목표지향성 및 종업원 행동

        박노윤(Park, Rho Y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종업원을 대상으로 (1) 조직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대한 지원-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의 영향 (2) 세 가지 지원의 상대적 영향력 (3) 목표지향성-학습목표성향, 주도적 성과목표성향, 회피적 성과목표성향-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지원인식은 비정규직 종업원의 조직에 대한 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사지원인식은 대인간 시민 행동, 종업원 몰입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동료지원인식은 조직에 대한 시민행동,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 가지 지원유형 중에서 동료지원인식이 조직이나 상사지원인식보다 비정규직 종업원의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업원 행동에 대한 지원유형 간 영향력 차이는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서만 비교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목표지향성 중에서는 학습목표성향이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주도적 성과목표성향은 종업원 몰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분석에서는 학습목표성향만이 조직지원인식이 대인간 시민행동과 종업원 몰입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원과 목표지향성이 비정규직 종업원의 행동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가 주는 실무와 이론적인 측면에서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support (organizational, supervisor, coworker support) on contingent workers' behavio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ployee engagement), (b) tested the relative impact of three types of perceived support on their work behaviors, and (c) analyzed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prov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 goal orientation) in relation to their work behavio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O. Perceived supervisor support(PS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I and employee engagement. And perceived coworker support(PC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O, OCBI and employee engag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erceived support for contingent workers is related to work outcomes and PCS is mo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ntingent workers' work behaviors than POS and PSS.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O, OCBI, and employee engagement, and performance-prove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engagement. And only learning goal orien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 and OCBI, and POS and employee engag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erceived support in organization and goal orientation are usefu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contingent workers' behaviors.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집단 내 갈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지은(Yoo JiEun),이상민(SangMin Lee),이아영(Lee AhYo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1

        최근 집단 내 갈등에 관한 연구에서 과업갈등의 효과가 일관되지 않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갈등을 상황론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접근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창의성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과 환경의 맥락적 특성이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창의성 형성에 기인한다고 보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창의적 행동에 대하여 집단 내 갈등과 개인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 내 갈등과 개인의 목표지향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황요인으로서 갈등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개인 특성 변수인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조직 내 갈등관리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집단 내 갈등 유형을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으로 구분하고, 조절변수로서 개인의 목표지향성을 학습목표지향성, 성과접근목표지향성, 성과회피목표지향성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설문지 유형을 상사 대상 설문지와 부하대상 설문지로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며,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 144명과 근로자의 상사 97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최종적으로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집단 내 갈등 중에 관계갈등의 경험은 창의적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과업갈등의 경험은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지향성 중에서 학습목표지향성은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창의적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내 갈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이 과업갈등과 창의적 행동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하고, 관계갈등과 창의적 행동 간의 부(-)적 관계를 강화하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기존에 연구되었던 갈등 연구가 집단 수준의 혁신이나 창의성에 갖는 효과만을 다루었던 반면, 본 연구는 개인의 집단 내 갈등 경험이 개인 수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집단 내 상황 요인과 개인의 기질적 특성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집단 내 갈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목표지향성의 세 가지 요인이 갖는 상이한 역할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 실무적으로는 집단 내 갈등 관리를 위해 개인의 기질적 특성을 고려한 인사 선발과 배치를 해야 하며 과업갈등과 창의성을 연관 짓는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인적자원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different effect of intragroup conflict types to individual performance and find individual trait which moderates intragroup conflicts effect, so provide insights for managing intragroup conflict properly. this study analysed the independent and joint effects of individual’s intragroup conflict(relationship conflict, task conflict) as contextual factor and goal orientation(learn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void goal orientation) as personal characteristics to employees’ creative behavior. To test hypotheses, data collected from 144 employees and 97 their supervisor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To reduce the common method bias, employees assessed intragroup conflict and their own goal orientation, whereas supervisors assessed their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e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relationship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whereas task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behavior. In addi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and performance-avoid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creative behavior.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only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group conflict and creative behavior. Specifically, relationship conflict was more negative and task conflict was more positive for creative behavior whe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was high. Through the study results, we were able to ensure that each intragroup conflict type have different effect for creative behavior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has important role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group conflict and individual performance.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가 인식하는 주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

        이희준,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objectives of Housing cont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by three systems of action an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of the teachers have taught the class. The 303 teachers from 183 middle schools replied the mail questionnaire during September, 2003.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The 21 objectives for each system of ac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extbooks, teachers guides, and other related references.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related to communicative system of action was the highest, respectively followed by the ones related to technical and emancipatory systems of action. Indoor Environment & Equipment was more likely to be important than Maintenance & Repairs as the objectives related to communicative system of action, while Usage of Living Space was less likely to be important than the other two sub-units.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was somewhat differ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The older are the more important the objectives related to technical system of action. Female, Home Economics teachers, who learned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n others objectives related to communicative and emancipatory systems of action to be important. This research showed the teachers' perspectives of the objectives of Housing contents were not the same among respondents and generally supported the previous results from other contents of Home Economics. 이 연구의 목적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에 따라 개발한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 영역 목표에 대해 교과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각 목표의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중요도 인식에 대한 자료는 전국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무선 표집을 통해 183개교에서 303부를 우편 설문지법으로 2003년 9월 1일~30일까지 한 달 동안 수집하고,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목표는 9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8종에 실린 주생활 단원의 목표에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교육과정 가이드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제시한 주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기준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각 내용요소별 세 행동체계 목표는 생활공간의 활용 단원 11개 요소, 실내 환경의 조절 단원 7개 요소, 주택의 유지와 보수 단원 3개 요소 등 총 21개 내용 요소에 대해 각각 세 행동체계 목표, 총 63개 목표를 개발하였다.기술가정과 교사들은 세 행동체계에 따라 진술한 목표 가운데 해석적 행동체계로 진술된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은 기술적 행동체계, 해방적 행동체계 순이었다. 주생활 영역 전체에서는 해석적 행동체계 목표가 가장 중요하지만 중단원별로 보면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기술적 행동체계 목표는 세 중단원별로 중요도가 비슷한 반면, 해석적 행동체계 목표는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 보다는 실내 환경과 설비 중단원에서 더 중요하고, 생활공간의 활용 중단원은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다른 두 중단원보다 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과정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세부 목표의 중요도는 기술적 행동체계 중에서는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말한다'를 , 해석적 행동체계 중에서는생활쓰레기가 사회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한다를 , 해방적 행동체계 중에서는좋은 환경 만들기 운동을 통하여 친환경적 가치관을 형성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가정과 교사들은 사회적 목표와 현실에 직면한 실천적 문제로 구성된 목표들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목표 중요도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많거나 교직경력이 긴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기술적 행동체계 목표들을 중요시하였으며, 여성 교사, 가정 전공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석적, 해방적 행동목표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정교육 철학을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천 비판적인 가정 교과의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생활 영역의 교육과정에 기술적, 해석적,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들을 고루 포함하여야 하며 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목표지향 행동모델 적용을 통한 무용전공자의 무용행동의도 분석

        노해진,노정식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목표지향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무용전공자의 무용행동의도를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고 수행하였다. 분 석을 위하여 경기권 Y 대학교 무용학과 재학생 150명과 K 대학교 무용학과 재학생 150명으로, 총 300명을 연 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261부의 표본을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SPSS 및 AMOS 2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 식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지향 행동모델의 구성개념 중 태도, 주관 적 규범, 긍정적 예기정서는 열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목표지향 행동모델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무용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의 열망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전공자의 실천적인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에 있어 의미가 있으며, 현재 무용전공자가 지닌 학업 지속 및 미래 진로 등과 관련한 당면 과제에 대한 대안의 탐색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nce behavioral intention of dance majors by applying the goal-directed behavior model.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total 300 students including 150 students majoring in dance of Y university, and 150 students majoring in dance of K university in Gyeonggi region. Also,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total 261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 AMOS 21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as the constructs of the goal-directed behavior mod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spiration. Secon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 goal-directed behavior mod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ance behavioral intention. Third, the aspiration of the goal-directed behavior mod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practical decision-making process of dance majors,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exploring the alternatives to urgent problems related to academic persistence and future career of dance majors.

      • KCI등재후보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왕단 ( Wang Dan ),정수진 ( Soo-jin Chung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1 혁신기업연구 Vol.6 No.2

        기업 혁신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혁신적인 행동은 자신의 목표지향성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각기 다른 목표 지향성은 구성원들이 다른 혁신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독특한 사회제도의 맥락에서 서방국가의 이론이 중국 기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목표지향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및 변혁적 리더십의 조적효과를 실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증명성과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피성과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드백 추구행동은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변혁적 리더십은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혁신행동의 실현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이론모형을 제공하였다. In the process of corporate innovation, members' innovative behavior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own goal orientation, and different goal orientation enables members to exhibit different innovative behaviors. In the context of China's unique social system, th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theories of western countries are applicable to Chinese enterpri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 the impact of goal orientation on the innovation behavior of Chinese corporate memb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demonstrated. This study also gives some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of Chinese enterprise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learning Orientation and performance - prove goal orientation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Performance - avoid goal orientation i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Moreover, feedback-seeking behavior at work plays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lays a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provided a new research direction and theoretical study model for the realization of member innovation behavior.

      • KCI등재

        학습목표지향성 및 상사의 변화 지향적 행동과 혁신행동간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

        강영순,김영춘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지속학습활동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속경력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인으로 개인특성(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차원 특성(상사 변화지향 행동)을 설정하여 개인특성 및 상사차원 특성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지속학습활동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개인특성(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차원 특성(상사 변화지향 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에서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 서비스직 업종 종사자 241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 변화지향 행동은 지속학습활동의 주요한 원인 변수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목표지향, 상사 변화지향 행동, 지속학습활동은 혁신행동을 위한 주요 원인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속학습활동은 학습목표지향-혁신행동의 관계, 상사 변화지향 행동-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조직구성원의 역량 향상을 위한 지속학습활동의 주요 원인으로 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 변화지향 행동의 규명되어 지속학습활동을 위한 개인특성 및 상사행동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지속학습활동이 양자 변인을 연결하는 주요 변인으로 판명되어 지속학습활동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In detail, impacts of both variables, which set up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 as antecedents, were verified to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Second, the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on innovative performance was tested. Third,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 learning goal orientation-innovative performance,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innovative performance. The sample came from 241 employees who work for telecommunication, hotel, and tourism service companies in Jeju is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had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validated in the relations learning goal orientation-innovative performance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innovative performance. Findings th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 for facilitating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In addition, the current results contribute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s a mediator.

      • KCI등재

        목표지향성, 상사부하 교환관계, 부하 신뢰성 인식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병권(Byoung Kwon Choi),전재욱(Jae Uk Chun),원지현(Ji Hyun Won),문형구(Hyoung Koo M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4

        " As feedback is being considered as a valuable resource to improve employees’ work performance, many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on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over the last thirty years. Since prior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follower’s feedback-seeking behavior, there is a natural lack of research on how leaders seek feedback from his/her followers. Indeed, feedback can be instrumental not only for followers but also for leaders in terms of capabil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Moreover, although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feedback-seeking behaviors such as method (inquiry, monitoring), timing, and type (positive, negative), methods or the frequency were the most addressed topic by previous works on feedback-seeking. Accordingly, feedback types have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the feedbackseeking literature. Especially negative feedback,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inadequacies in work behavior and performance, can help leaders to understand which areas of managerial role, work, and performance need to be improved and corrected. Therefore, negative feedback sought from followers by the leaders will be very critical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rial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beyond the prevailing follower-centric research on the relevant topic. First, we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learning/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s. Given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is basically an individual’s deliberate and voluntary effort to achieve a certain goal, these two types of goal orientation considered as dispositional personalities are expected to influence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Second, considering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operates in the dyadic relationship between the seeker and the giver (i.e., feedback source), leaders’ perception of followers’ characteristics will influence on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will also interact with their learning/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erefore, we then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leader’s perception on follower credibilit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type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137 leader-follower dyad sample. As predicted, our results showed that leaders’ 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behavior of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However, contrary to our hypothesis, we failed to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type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s. Moreover, we found that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ha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goal orientation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o be more specific,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was weaker when the quality of LMX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was stronger when both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were higher. Our study offer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feedback-seeking literature by examining the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mechanism. Especially, we found various predictors of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by considering leader’s dispositional (goal orientation) and follower’s characteristics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피드백은 개인의 성과향상에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면서, 그 동안 조직 내 구성원의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부하의 피드백추구행동에 초점을 두어 온 반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추구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피드백추구행동의 다양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주로 피드백추구의 빈도 또는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피드백의 유형(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피드백은 부하뿐만 아니라 상사에게도 중요할 자원이며, 특히 부정적 피드백은 상사의 효과성 향상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피드백추구행동의 관점을 확대하여,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가설로는 첫째, 피드백추구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의 기질적 특성인 상사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이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준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피드백추구는 피드백 추구자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원천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부하의 전문성 및 능력에 대한 신뢰성 인식과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목표지향성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해서 상사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가 인식하는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부하 신뢰성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효과 측면에서 보면,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성과회피목표지향성과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간의 부의 관계는 약화되었으나, 부하 신뢰성 인식이 높을수록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한 학습목표지향성의 긍정적 영향과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부정적 영향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피드백추구행동의 빈도 및 부하 중심 연구에서 벗어나.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의 선행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피드백추구 행동의 연구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상사의 기질적 특성인 목표지향성, 부하의 전문성 및 능력에 대한 상사의 신뢰성 인식, 상사부하의 교환관계의 질,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피드백추구행동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목표성향과 관리행동이 조직구성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수영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1

        본 논문은 조직구성원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고경영자의 목표성향에 주목하여 조직구성원을 동기부여 시키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목표성향 연구에서는 개인의 목표성향이 어떻게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개인수준을 넘어 최고경영자 수준으로 확장하면서 목표성향이 발현되는 행동을 자기자신의 행동이 아닌 조직구성원을 관리하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고경영자의 관리행동은 Dragoni(2005)가 제시한 리더의 성취패턴을 기반으로 육성행동, 능력입증행동, 징계행동으로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 65명과 조직구성원 475명으로 이뤄진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최고경영자의 목표성향은 관리행동으로 연계되고 이러한 관리행동 중 육성행동은 조직구성원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고경영자의 학습성향은 직접적으로 구성원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육성행동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학습을 유발하는 요인을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조직의 제도나 시스템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자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울러 최고경영자의 목표성향과 관리행동의 관계를 입증함으로써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이 어떻게 조직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특히, 정신적인 영역에 해당되는 성향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해 목표위계모형으로 설명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부족했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EO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members’ learning motivation with a focus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ased on the upper echelon perspective(UEP), the role of CEO orientation is considered to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learning motivation. Especially, we propose that the CEO’s orientation is a key individual factor that can influence employees’ learning motivation, because a CEO who is oriented toward employee development encourages employees to apply new skills to their jobs. Furthermore, we explore how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of a CEO affects employees’ motivation through behavior, based on the goal hierarchy model. A leader’s behavior is regarded as a signal to employees as to how they should behave; therefore, workers become motivated to experiment with new work approaches an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ir skil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O’s learning orientation indirectly influences employees’ learning motivation through CEO's development behavior. Because a distant leader’s mental frame will not easily affect employees directly in organizations, the learning orientation of a CEO can influence employees’ learning motivation in an organization through the CEO’s management behavior.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e model to the macro level by testing the role of the CEO's development behavior using a goal hierarchy model originally proposed at the individual leve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