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 연구

        김지은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8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family motifs in a Lee Yeon-ju poem. Discussion on the existing Lee Yeon-ju poem has focused on metadiscourse. Critically, it focuses on the details of the poem, in particular providing an exploration of family motifs that are frequently mentioned in discussion but that have not drawn attention as a research theme. Family motifs have a major position in the literary genre, a phenomenon not only of narrative genre but also of poetry. However, study of family motifs in modern poetry is currently in its early stages. Revealing the family motifs in the poems of Lee Yeon-ju, who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writer of modern women's poetry, will expand the areas of study of this writer’s poetry. At the same time, it will serve as a reminder of the necessity of studying family motifs in modern poetry. Therefore, using Freud's family romance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as the basis,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the family motif in Lee Yeon-ju’s poem. In the poem, family motifs are suggestive in that they deviate from universality. They appear in the form of sexually corrupted mothers, absent or incompetent fathers, and denied and rejected children, and are used to reveal to the world negative perceptions of poetic subjects. The motif of sexually depraved mother is used to recreate her refusal to be a mother.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Lee Yeon-ju’s poem is such a mother motif. Mother motifs, as prostitute and eloper due to extramarital affairs, are used either as the cause of the collapse of the family community or as a prevention to the formation of a family community. The absent or incompetent father is also a frequent motif. Father motifs are also used as a cause of failed family community. The inability to exist as an anonymous object from the outset reproduces the loss of the father’s function of forming a family community. A baby or fetal motif that is abandoned as soon as it is born or appears as a symbol of denial represents the prior moral degradation of family members. This is because Lee Yeon-ju’s family member motifs are inappropriate and presuppose failure to form a normal family community. Fetal or baby motifs are the result of failure. Beyond this universality, the appearance of family members eventually leads to skepticism about life itself. Lee Yeon-ju's poem is about portraying negative perceptions of the world and skepticism about life through family motifs that reproduce failures. 본 논문은 이연주 시에 드러난 가족 모티프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빈번하게 드러나면서도 연구 대상으로는 조명되지 않았던 가족 모티프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가족 로망스 이론과 선행 연구를 기조로 삼아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이연주의 시에서 가족 모티프는 보편성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성적으로 타락한 어머니, 부재하거나 무능력한 아버지, 부정되고 거부 되는 아이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들은 세계에 대한 시적 주체의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성적으로 타락한 어머니 모티프는 어머니 되기를 거부하는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연주 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어머니 모티프를 들 수 있다. 매음녀, 외도로 인한 가출 주체 등으로 표현되는 어머니 모티프는 가족 공동체의 붕괴 원인으로 등장하거나 가족 공동체 구성의 실패를 예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부재하거나 무능력한 아버지 또한 빈번하게 등장하는 모티프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아버지 모티프도 가족 공동체를 유지할 수 없게 하는 원인이다. 아버지 모티프는 무능력하거나 처음부터 익명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가족 공동체를 구성하기에는 아버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모습으로 재현되고 있어 특징적이다. 태어나자마자 버려지거나 탄생에 대한 부정의 상징으로 나타나는 아기 혹은 태아 모티프는 앞선 가족구성원들의 도덕적 부정성의 결론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정상적인 가족 공동체를 이루기에는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로 드러나는 구성원들은 부적절했으며 실패를 전제하고 있었다. 태아 혹은 아기 모티프는 실패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보편성을 벗어나는 가족 구성원들의 모습은 결국 삶 자체에 대한 회의로 연결된다. 이연주 시는 실패를 재현하는 가족 모티프를 통해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삶에 대한 회의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하근찬 소설의 모티프 연구

        장현(Jang Hyun)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6

        초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하근찬의 소설은 유사한 모티프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인다. 세부적인 변화 속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모티프들은 하근찬 소설의 주제 및 창작 동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극과 유머라는 이질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 신체 모티프는 초기 소설의 문학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장치 가운데 하나이다. 중기 소설의 부자 모티프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내려는 의도에 따라 하근찬 자신의 아버지를 원형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그 결과 화자가 어린아이로 설정되며 이야기의 전개 역시 동화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게 된다. 과거를 회고하는 모티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후기 소설에서는 원형으로서의 아버지가 조부 등의 조상으로 확대된다. 또한 유년을 그리워했던 회상 모티프는 공동체의 과거를 회고하는 옛이야기 모티프로 변모한다. 관련 모티프와 동적 모티프의 성격을 지닌 신체 모티프는 병렬적이거나 상치되는 서사 국면을 만들어냄으로써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주제를 형상화한다. 반면에 정적 모티프라 할 수 있는 부자 모티프와 회상 모티프는 정형화된 구조와 의미를 산출한다. 주제의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후기 소설에 이르면 서사 전개에 있어서의 모티프 기능이 보다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초기 소설의 신체 모티프 등이 줄어들고 부자ㆍ회상 모티프가 변용ㆍ확대되는 후기 소설에서는 조상에 대한 애착이 주요 주제로 형상화된다. 유년 시절에 경험했던 인정어린 소규모 공동체의 복원을 통해 현실 모순을 극복하려는 전통주 의의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From early period to latter period in Ha, Geun-chan's novels, similar motifs appear over again. These motifs which appear constantly in particular change are connected very closely with theme and creation motive of his novels. The body motif in early period novel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s of tragedy and humor performs as an important equipment to maintain literary character. Father and son motif in middle period novels which were made by forming Ha, Geun-chan's own father circularly arises from his intention to keep longing for his father. As a result, young child is created as a speaker naturally and storytelling also gets the character of fairy tale. In latter period novels, reminiscence motif which looks back the past appears over again, character who is a father expands to ancestors like grandfather etc. and reminiscence motif which misses infancy changes into 'old story motif' which looks back the past of community. The body motif which has characters of bound motif and dynamic motif shapes theme in three dimensions and vividly by making descriptive aspect which is in a row or discord. On the other hand, father and son motif and reminiscence motif which we can call as a static motif produce standardized structure and meaning. As it comes to latter period novels which reveal theme consciousness directly, motif function of description tends to be simplified more. The body motif etc. in early period novels decreases and affection about grandfather or ancestor is shaped as a main theme in latter period novels in which father and son motif and reminiscence motif are modified and expanded. It shows tendency of traditionalism which thinks longing for the cradle with them or humanity in small community as subjugation alternative plan.

      • KCI등재후보

        이연주 시에 나타난 질병 모티프의 이중성

        김지은 ( Kim Ji Eun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1 한국문화기술 Vol.31 No.-

        본고는 이연주 시에 나타난 질병 모티프를 중심으로 질병 모티프의 상징과시의 화자의 이중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연주 시에서 질병 모티프는 다양한 시편에서 발견된다. 현대 문학에 있어서 질병은 중요한 상징이나 비유의 대상으로 주제학의 영역에서 상징적 주제의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하게 작동한다. 질병은 문학적으로 중요한 징표이자 시대사적 징후의 표상이기 때문이다. 질병 모티프는 사회 질서를 둘러싼 관심을 표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질병에 대한 은유들은 개인과 사회 간의 격심한 불안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연주 시의 질병 모티프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첫째 시의 화자가 맺고 있는 타자와의 관계 양상을 상징하기 위해 사용된 모티프이다. 위험한 시절의 진료소 연작시를 통해 살펴본 시의 화자와 타자의 관계는 질병 모티프를 통해 구체화 된다. 관계로부터 기인한 서정을 이중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질병 모티프를 사용하고 있어 시사적이다. 둘째, 시의 화자와 세계의 관계를 상징하는 데 질병 모티프가 사용되고 있다. 화자는 세계에 대한 영향으로 인해 질병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럼에도 세계에 대한 관심을 그칠 수 없다는 이중성을 드러내는데 질병 모티프를 동원하고 있다. 이렇듯 이연주 시의 질병에 대한 모티프들은 대상에 대한 이중성을 드러내며 화자가 선택하지 못하는 모습과 그로 인해 모두 실패하는 모습을 전시해 시의 비극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구체적인 질병의 명칭을 시어로 사용함으로써 질병 자체가 갖는 고통의 환기를 통해 시인의 부정적인 세계관이 돋보이기도 했다. 이연주 시인은 질병 모티프를 통해 화자의 이중성을 드러내며 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 있어 질병 모티프의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specifically discussed the symbol of the disease motif and the duality of the speaker of the poem, focusing on the disease motif that appeared in Lee Yeon-joo’s poem. In Lee Yeon-ju’s poem, disease motifs are found in various specimens. In modern literature, disease is an important symbol or metaphor and works meaningfully in capturing the meaning of a symbolic theme in the field of subject science. This is because disease is an important literary sign and a sign of historical signs. Disease motifs are used to express concern over social order, and metaphors for disease reveal severe instability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is context, the disease motif of Yeon-joo Lee’s poem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thing we looked at was the motif used to symbo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of the poetry and the other was emphasized through the disease motif, which was examined through the series of poems in the clinic during the dangerous times. It was suggestive by presenting two lyric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together. The disease motif was used to symbo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of the second poem and the world. The speaker was put into a disease situation due to its influence on the world. Nevertheless, I couldn’t stop my interest in the world. As such, the motifs of Lee Yeon-ju’s poems reveal two lyrics, and the speaker of the poems both fail due to the appearance of being unable to choose one of them, enhancing the tragedy of the poem. In addition, the poet’s negative view of the world stood out by using the specific name of the disease in poetic language, and arousing the pain of the disease itself.

      • KCI등재

        마가복음의 배 모티프의 문학적 기능과 신학적 의의 ― 문학적 접근 방법을 통한 막 4:35-8:21 연구

        김선욱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1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discovering the literary function and theological significances of a boat motif in Mark, especially focusing on Mark 4:35-8:21. While many of understandings and discussions about a way motif in Jesus’ journey to Jerusalem (8:22-10:52) have been performed, the concerns and studies of a boat motif in Jesus’ latter ministry of Galilee (4:35-8:21) have relatively been neglected until now. In this paper, I first compare between a boat motif and a way motif in Mark’s narrative flow in order to explicate the function and meanings of a boat motif more clearly. Both motifs play a key role in revealing the meanings of Christology and discipleship. In a boat motif, Jesus manifests his divine epiphany and power in sea miracles, but the disciples do not perceive who Jesus is. In a way motif, Jesus informs hi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but the disciples misunderstand Jesus’ identity while requiring worldly high positions. Next, I explore how a boat motif performs a literary function and delivers theological significances. For a literary function, a boat motif serves as a framework to make a structure of Jesus’ latter Galilean ministry. The structure which I propose presents a cyclic pattern of the sea-wilderness miracles by producing the two cycles (4:35-6:44; 6:45-8:10) and one conclusion (8:11-21). The beginnings of the two cycles are the sea miracles (4:35-41; 6:45-52) and the endings are the wilderness miracles (6:31-44; 8:1-10). And the backdrop of the discussion about bread (8:13-21) in conclusion is a boat on the sea. A boat (crossing) motif in the three sea episodes, therefore, serves as making the narrative framework of this structure. For theological significances, first, a boat motif reveals Jesus’ divine epiphany and power to rule over the universe and to deliver God’s people from dangers, but the disciples do not still perceive who Jesus is. Second, it serves as a backdrop for Jesus’ teaching. Jesus calls the disciples who catch fish in their boat into his boat in which they become fishers of men. In a boat, he teaches the crowd beside the lake, and gives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Finally, a bo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breaking down the barriers between the Jews and the Gentiles. The boat carrying Jesus and his disciples freely crosses over the sea which divides and blocks between Jewish territory and Gentile territory and delivers the gospel that brings salvation and unification. A boat serves as a role of a means to eliminate racial, regional, and religious discriminations, and to make the two become the one as the people of God, and to expand the kingdom of God. 본 논문은 예수의 갈릴리 사역에 나오는 배 모티프의 문학적 기능과신학적 의의를 발견하는 데 있다. 마가복음에서 예루살렘으로의 여정(8: 22-10:52)에 나오는 길 모티프에 대한 이해와 논의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갈릴리 후기 사역(4:35-8:21)에서 발견되는 배 모티프 상대적으로 관심과 연구가 소홀히 이루어져 왔다. 필자는 먼저 마가복음의 내러티브의 흐름 속에서 배 모티프와 길 모티프를 대조하여 비교함으로써 배 모티프의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 두 모티프는 기독론과 제자도를 동시에보여주면서, 예수의 십자가 죽음을 향해 점진적으로 심화된다. 배 모티프는 기독론적 차원에서 예수의 바다 기적들을 통해 그의 신적 현현과 능력을 나타내지만, 제자도적 차원에서 그것을 보고 경험한 제자들이 여전히깨닫지 못하는 몰이해를 보여준다. 길 모티프는 기독론적 차원에서 예수의 수난 예고를 통해 그를 고난 받는 메시아로 나타내지만, 제자도적 차원에서 제자들이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상에서 큰 자가되고 높은 자리에 앉겠다는 오해를 지속적으로 드러낸다. 다음으로 필자는 마가복음에서 배 모티프가 어떻게 문학적 기능을 하고 신학적 의미를 전달하는가를 제시한다. 배 모티프는 건너감 모티프를수반하면서 갈릴리 후기 사역의 구조적 틀을 형성하는 문학적 기능을 한다. 갈릴리 후기 사역은 예수께서 배를 타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릴리호수를 가로지르는 세 번의 장면(4:35-41; 6:45-52; 8:13-21)을 중심축으로바다-광야의 두 개의 사이클과 결론을 가진 순환 구조(4:35-6:44; 6:45-8: 10; 8:11-21)를 이룬다. 배(건너감) 모티프는 이 구조에서 각각의 사이클의시작을 알리고 갈릴리 후기 사역의 결론을 마무리하는 구조적 틀이 된다. 또한 배 모티프는 세 가지 신학적 의미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첫째로, 배 모티프는 바다 기적들을 통해 예수의 신적 현현과 능력을 보여주고 우주의 주권자이며 구원자이심을 나타낸다. 또한 제자들이 그 광경을 지켜보고 경험했음에도 여전히 깨닫지 못하는 제자들의 몰이해를 드러낸다. 둘째로, 배 모티프는 가르침의 장소(설교단)로 제자들과 무리들을 가르치는 배경막의 역할을 한다. 예수는 제자들을 물고기를 낚는 배에서 사람을낚는 배로 부르시고, 배에서 무리들을 가르치시며, 제자들에게 자신의 사역의 의미와 정체를 알리신다. 마지막으로, 배 모티프는 건너감 모티프를수반하면서 유대인과 이방인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무는 의미를 보여준다. 예수를 태운 배는 유대인 지역과 이방인 지역을 나누며 가로막는 장벽인갈릴리 호수를 자유롭게 가로지르면서 복음을 전달한다. 배는 이렇게 예수의 하나 되게 하는 복음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인종적, 지역적, 종교적 차별을 없애고, 하나님의 한 백성 되게 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가져다준다.

      • KCI등재

        모리츠 사실주의 단편소설의 주요 모티프 분석

        유진일(Yoo, Jin I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모리츠 지그몬드(Móricz Zigmond)는 20세기 헝가리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사람이다. 그는 서유럽에 비해 현저히 뒤쳐졌던 헝가리 문학 수준을 서유럽과 대등한 위치로 격상시킨 헝가리 문학동인지 『뉴거트(Nyugat)』의 제 1세대 작가이기도 하다. 모리츠가 살았던 20세기 초 헝가리는 여러 면에서 헝가리의 과도기적 시기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면에서 혼란이 팽배해 있던 시기였다. 그는 당시 헝가리 농촌의 처절한 상황들을 목도하고 단편소설을 통해 헝가리 농촌의 현실을 사실주의적으로 묘사,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모리츠의 단편 소설 중 10편을 시대별로 선정하고 그 작품들에 나타난 주요 모티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헝가리 사회를 이해하고 동시에 대표적인 헝가리 사실주의 작가인 모리츠의 사상과 문학관을 살펴보았다. 분석 작품들에서 5가지 주요 모티프를 살펴 볼 수 있는데 강자와 약자의 갈등 모티프, 죽음 모티프, 가난 모티프, 문화 충돌 모티프, 배우자 선택 모티프가 그것이다. 이들 중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모티프는 강자와 약자의 갈등 모티프, 죽음 모티프, 가난 모티프인데 이들 모티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서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강자와 약자의 갈등구조 속에서 약자가 강자에 의해 희생되는 경우는 2편에서 나타나며 돌이킬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입는 경우는 3편에서 나타난다. 나머지 1편에서는 양자가 적당히 (부정적으로)타협하게 되며 나머지 한편에서는 서로 완전히 갈등을 해소하고 서로 협력하게 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모리츠 단편소설에서 갈등이 상호 이해의 과정을 거쳐 완전히 해소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갈등의 대립 구조 속에서 항상 승리자는 강자인데 그 강자는 약자에 대한 승리 후에도 결코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다. 한 가지 안타까운 사실은 20세기 초 헝가리의 이렇게 처절한 삶을 고발하고 있는 모리츠는 그 어떠한 해법이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모리츠의 작품 속에 당면한 문제나 어려운 현실에 대한 희망적인 메시지나 희망의 가능성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이는 모리츠가 당시 헝가리의 상황을 그만큼 절망적이고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Zigmond Móricz is one of the hungarian writers, who represents the hungarian literature in 20th century. He was also one of the first generation writer of『Nyugat』, which was a hungarian literary coterie magazine, and which raised the hungarian literary level up to west european literary level.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of Hungary it was a transitional period in many respects and was in a state of chaos in politics, in economy, in society, in culture, and in many ways. Since he observed the sorrowful life in rural communities of Hungary at that time, he had described the reality of the rural life of Hungary by his short stories. I selected ten works among the short stories of Móricz and I have analysed the main motifs, which are shown in the works. The results will make us understand the society of Hungary of that time and will make us to see his idea and his point of view about literature. I could find five main motifs among his ten works. That is the motif of conflict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ak, the motif of death, the motif of poverty, the motif of crash of culture, and the motif of choice of spouse. Among these motifs, the motif of conflict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ak, the motif of death, the motif of poverty are shown the most frequently and the motifs have close links with each other. In the two works, we can see the case, in which the weak is victimiakd by the strong and in the three works, the weak feels deeply wounded by the strong. In one work, both sides compromise (negatively) with each other and in one work, both sides resolve the conflicts complotily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extremely rare case in the Móricz´s short stories that both sides resolve the conflicts complotily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One interesting point in Móricz´s works is the fact that the strong is always victor, but he never feels happy. And one miserable fact is that Móricz does not propose any solutions or alternatives. So we can´t find any hopeful signs or massages about the present problems. It proves that Móricz looked the situation of Hungary of that time hopelessly and skeptically.

      • KCI등재

        이주홍 작품의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변모 양상

        류종렬(Rhyu Chong ryeol)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글은 향파 이주홍의 기행보고문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와, 소설 「내 산아」(1943)와 동화 「메아리」(1959)의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은 필자가 새로 발굴한 작품으로서, 1941년 11월 『半島の光』에 ‘(산지대)농(어)촌 현장 보고’라는 특집 연재물의 한 편이며, 화전민에 대한 향파의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화전민 모티프의 기행보고문이다. 이 기행보고문은 향파 자신에게 최초의 북선여행이라는 여로의 낭만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함경도 일대 화전지대의 화전민들의 생활상을 조사하여 알리고자 한 것이다. 향파가 관심을 가진 화전민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그 내용은 주로 화전민들이 오늘날처럼 잘 살게 된 것이 조선금융조합연합회와 일제의 정책 덕분이라고 칭송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화전민과 화전민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조선금융조합연합회나 나아가 일제 총독부가 주창한 국민총력운동의 농산촌생산보국 정책에 따르는 대일협력적인 내용으로 일관하고 있다. 「내 산아」는 일제말기에 『야담』 1943년 8월호에 발표된 소설로서 앞의 기행보고문의 화전민 모티프를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메아리 모티프가 첨가되어, 두 모티프가 작품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의 화전민 모티프는 작품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작동하고 있다. 먼저 주인공이 관심을 가지고 방학 중에 연구를 하려고 찾아간 곳이 지리산의 화전민촌이고, 다음 그로 하여금 화전민 청년의 시국인식에 감격하고 그의 뒤를 이어 야학을 할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주인공이 야학을 하게 된 동기를 기술하는 가운데 대일협력의 내용이 드러난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에는 부인물인 혜련이라는 젊은 여성이 자연에 동화되고 순응하여 지난 삶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다는 의미와 삶의 간절함이 담겨있다. 「메아리」는 1959년에 『부산일보』에 수록되어 있는 동화이다. 이 작품은 앞의 기행보고문과 소설 「내 산아」가 지닌 화전민 모티프가 중요한 모티프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등장인물들이 살아가는 장소로서의 배경으로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가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하고 있는데, 앞의 소설 「내 산아」와는 달리 메아리를 부르는 주체가 젊은 여성에서 어린 남자 아이로 바뀌었고 그 내용도 동화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즉 메아리만이 어린 주인공에게 놀이의 동무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모티프가 되어 자연을 동무삼아 살아가는 아이의 산골생활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intertextuality of the travel report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1943) and the juvenile story 「The Echo(메아리)」 (1959) written by Hyangpa Lee, Juhong from the viewpoint of slash-burn farmers and the echo as motifs.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 was newly discovered by me, which is a travel report showing Hyangpa’s deep interest in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It was a part of special serial of ‘A Field Report on the Montan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in November of 1941. This essay says both the romantic journey of his first trip to the Northen part of Chosun and the reality of the slash-burn farmers’ life around Hamgyeong Province. It seems to focus on the story of the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however, it mainly thanks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Japanese policy for help the slash-burn farmers live better. This distorts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contemporary slash-burn farmers and their villages and is consistent in cooperating with Japan following the policy of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policy of the Rural Revitalization Campaign as a par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Campaign advoc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al General. 「Oh, My Mountain(내 산아)」 is a novel posted on the issue of August, 1943 of 『Yadam(historical tale,야담)』 was based on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from the previous travel report with additional motif of echo. The two motifs are the core of the novel and especially the slash-burn farmers motif works for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is meaningful in the viewpoint that the main character visited a slash-burn farming town in Mt. Jiri with interest during his vacation and was impressed by the recoginition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young farmer there and then joined yahak(a night school). The motif of echo is also important containing the earnest life as the young female character Hyeryeon assimilated with nature to cure her past cruel pain. 「The Echo(메아리)」 is a juvenile story appeared in 『Busanilbo (Busan Daily Newspaper)』 in 1959. In this work, the slash-burn farming village loses its meaning in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and only serves as a setting for living of the characters. The echo still works a significant motif,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the main agent making the echo changes from a young woman to a young boy rather as the contents turns to be juvenile. That is, only the echo remains significant as a motif which helps depict the life of the young main character with the echo as his friend in the mantane region beautifully.

      • KCI등재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의 어린이 노동 모티프에 대한 유토피아주의적 해석

        김기홍(Kihong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8

        본 연구는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대한 비평으로서, 특히 감독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는 어린이 노동 모티프에 대한 비평이다. 먼저, 작품에 반복적으로 재현된 노동 이미지를 서사학적 의미의 모티프로 개념화했다. 특히 모티프는 핵심적인 행위의 반복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서, 서로 결합하여 주제를 형성하고 강화하기도 하며, 플롯의 중핵, 즉 구성적 사건을 형성하는 원리가 됨에 주목했다. 즉, 노동 모티프는 서사 구성의 원리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시작하는 품성론과 한 실체가 사건을 유발할 수 있는 능력인 행위력 이론을 원용해 분석의 틀을 만들었다. 이를 하야오의 초기작품인 <마녀배달부 키키>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작품에 대입하여 어린이 노동 모티프를 해석하면서, 행위력 이론의 자기 창조적 주체구현과 모티프 이론의 플롯 집약적 모티프론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노동 모티프가 하야오 작품의 등장인물의 매력이자, 중핵이 되어 서사를 추동하는 원리가 됨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초기 사회주의 논의에서 빠지지 않는 푸리에와 같은 유토피아주의의 노동관을 해석의 틀로 활용하여 노동 모티프의 철학적 원류인 하야오의 노동관을 해석했다. This study is a critique of the work of renowned Japanese animation director Hayao Miyazaki, specifically the recurring motif of child labor in his works. First, the recurring images of labor in his works are conceptualized as motifs in the narrative sense. In particular, it is noted that motifs are typically constructed through the repetition of key acts, which combine with each other to form and reinforce themes, and serve as the central core of a plot, the principle that forms the constitutive events. In other words, the labor motif is a principle of narrative organization. Analytic frame is suggested by drawing on Aristotle's theory of character and the theory of agency, the ability of an entity to cause an event. Applying this frame to Hayao's early works, Kiki the Witch Courier and Spirited Away, child labor motif in terms of the self-creative agency in agency theory and the plot-intensive motif of motif theory a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labor motif is not only the attraction of the characters in Hayao's works, but also the core and driving principle of the narrative. Finally, as the philosophical origin of the labor motif, Hayao's view of labor is interpreted by using utopian views of labor, such as Fourier's, which are often found in early socialist discussions, as a framework for interpretation.

      • KCI등재

        <창란호연록(昌蘭好緣錄)>에 활용된 ‘앵혈(鶯血)모티프’의 기능과 그 의미

        김태영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4

        <Changnanhoyeollok> is the leading role of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 Jang-hee and Han Nan-hee, who are the head of two families. It is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or its conflicts and various incidents caused by them. The study's overview of the work was made earlier in the day, which led to its comparison with other late Joseon Dynasty novels of similar type. However, it is still not easy to explore the narrative content in more detail through the motif used in the work. Therefore, among the various styles used in the work,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aspects of the motif shown in ‘Aenghyeol’. The application of ‘Aenghyeol motif’ here results in more in the conflict between male and female main characters than in displaying their chastity or purity. It is more prominent in function of the original ‘Aenghyeol motif’.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utilizing a motif by paying attention to the use of the ‘Aenghyeol motif’ and to discover its meaning. The use of ‘Aenghyeol motif’ in Joseon Dynasty novels is not difficult to examine. The ‘Aenghyeol motif’ can show the house of women characters, birth year, arranged marriage, sexual purity and poor treatment. In <Changnanhoyeollok> the heroine's father inserts an impressionist's name in her daughter's arm as an aenghyeol. The effects of the widely-cautioned motif are explained below. The fact that they have chosen the wed ahead of time is not only symbolic of purity, but also visualized with the heroine's signature, is to visualize the side effects of forced marriage. It also suggests what will happen like son-in-law's joking on father-in-law. The bond between family and family suggests that it is also a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flict between newly formed relationships. Thus, the singular event resulting from the insertion of an ‘Aenghyeol motif’ in an epic structure.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this can be considered as more effective representations of the distinctive points of the work <Changnanhoyeollok>. <창란호연록>은 남자주인공 ‘장희’와 여자주인공 ‘한난희’ 가 두 가문의 중심축으로 등장하여 서사를 전개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의 갈등과 갈등으로 비롯된 다양한 사건들이 펼쳐짐으로써 인기를 끌었던 조선후기 국문장편소설 작품 중 하나이다. 작품에 대한 개괄적 연구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졌는데 <창란호연록>과 비슷한 유형을 가지고 있는 다른 국문장편소설들과 함께 비교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어져 왔다. 하지만 작품에 활용된 모티프를 통해 서사의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고찰해 보는 작업은 아직 미진한 편이다. 여기에서는 작품에 활용된 다양한 모티프들 중에서도 ‘앵혈모티프’의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창란호연록>에서 ‘앵혈모티프’ 활용은 여주인공의 정절이나 순결을 부각하여 드러내는 효과 보다는 남녀 주인공 및 인물 간 갈등양상을 창출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본래 ‘앵혈’이 지닌 기능에서 보다 확대된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작품 속 ‘앵혈모티프’ 활용에 주목해 봄으로써 앵혈모티프의 활용이 발생시키는 효과를 살피고, 그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문장편소설의 서사에서 ‘앵혈’의 활용은 어렵지 않게 살펴볼 수 있다. ‘앵혈’은 작중 여성인물의 가문이나 생년, 정혼사실, 순결, 성적 박대 등 다양한 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창란호연록>에서는 여주인공의 아버지가 앵혈로 딸의 팔에 정혼자 이름을 써놓는 것으로 ‘앵혈모티프’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주목해볼 만한 <창란호연록> ‘앵혈모티프’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앵혈로 미리 정혼자의 정보를 적어 정해놨다는 사실이 여주인공의 정절표식과 겹치게 되면서 순결의 의미 뿐 아니라 강제 정혼이 발생시키는 부작용을 시각화 시켰다는 것이다. 둘째, 앵혈모티프의 활용이 남주인공의 ‘여복개착’이나 사위의 장인 놀리기가 드러내는 ‘옹서갈등’과 같은 다른 모티프와 결합하여 가문과 가문이 맺어짐으로써 새롭게 형성된 관계 사이에서 발생되는 갈등 요소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창란호연록>의 서사구조 속에 ‘앵혈모티프’가 삽입됨으로써 발생되는 이례적인 사건이나 모티프활용의 기능 및 의의 등을 고찰하는 것은 <창란호연록>이라는 작품이 지닌 변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강제정혼이 불러올 수 있는 가문간의 갈등을 ‘앵혈모티프’와 함께 풀어냄으로써 시대를 관통하고 있던 규범의 이면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한국과 켈트의 < AT 706 손 없는 색시 > 설화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서사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환희 ( Hwan Hee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과 켈트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 AT 706 손 없는 색시 >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설화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을 파악하고, 켈트 설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에 있다. 한국과 켈트 설화의 공통된 서사 내용은 (1) 악녀의 영입 (2) 유아(태아)의 살해 누명(3) 손 절단과 축출 (4) 나무에서 만난 남자와의 결혼 (5) 아이 출산 (6) 손재생 (7) 악녀의 징치로 간추릴 수 있다. 공통 모티프 가운데 `아이의 출산`은 가장 중요한 모티프로서, 서사 내용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뿐 아니라 여성의 보편적인 심층 심리에 존재하는 대극의 융합 및 전일성을 표현한 모티프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 설화에만 나타나는 특수 모티프로는 `손의 승천`과 `베 짜는 여인`을 꼽을 수 있다. 두 모티프에서 한국 여성의 집단무의식과 지역적인 특성을 엿볼 수 있다. 한국 민요에서 `베 짜는 여인`을 적강 선녀에 비유하고, 세오녀와 선도 성모가 직조신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손이 하늘로 간다는 발상은 한국인 고유의 상상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켈트 설화가 보여주는 특수 모티프로는 `가시` `개의 조력` `세례받지 않은 아이`를 들 수 있다. 손을 절단한 아버지(또는 오빠)의 발에 박힌 `가시` 모티프와 `개의 조력` 모티프는 브르타뉴,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지역에 널리 전승됐다. 하지만 주인공이 낳은 `세례받지 않은 아이` 모티프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설화에만 나타난다. 이러한 세 모티프는 켈트족의 신화 및 민간 신앙과 깊은 관련이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alities and particularities of 13 Korean versions of “AT 706 The Maiden without Hands” by comparing with its 17 celtic versions from Ireland, Scotland, and Brittany. The common contents between the Korean and Celtic vers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heroine`s father (brother) marries a wicked woman; (2) The wicked woman accuses the girl of having an abortion or killing her baby brother; (3) Her father (brother) multilates her hands; (4) A man finds her in the tree or in the woods and marries her; (5) She gives birth to a baby (babies); (6) By a miracle she gets her hands back again in the fountain; (7) The wicked woman is severly punished. Among these narrative contents, the child motif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the child motif integrates the other major motifs into a storyline and the child,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 which unites the opposites, a mediator, bringer of healing, that is, one who makes whole,” to borrow Jung`s remarks. The particular motifs of the Korean versions are “the ascension of the mutilated hands” and “weaver.” These two motifs can be considered to derive from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the Korean wom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ulture. In Korean folk ballads, Korean weavers have often imagined themselves as heavenly maidens and such Korean goddesses as Seonyo and the Great Mother of the Sacred Peach Mountain are cosmic weavers who can cross between earth and heaven. The particular motifs of the Celtic versions are oath, infanticide, breast mutilation, thorn, dog as helpful animal, and unchristened child. These motifs seem to derive from the Celtic culture, religion, and customs.

      • KCI등재

        초등무용교육을 위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모티프이론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미현 ( Mi Hyun Chun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초등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에게 무용창작 방법론인 모티프이론을 적용, 초등무용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전문적인 무용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A교육대학교의 2학년에 재학중인 34명의 학생들(수학교육과 30명, 과학교육과 4명/ 남자 9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7차시(1차시 110분)의 모티프이론을 활용한 창작무용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내용은 움직임 개념들을 탐색하는 5차시의 이론 및 실기수업과 자유창작발표, 주어진 모티프무보를 바탕으로 한 창작발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저널, 작품발표 및 프로그램, 그리고 설문지를 바탕으로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무용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던 수학교육과나 과학교육과 학생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티프이론을 통한 무용창작에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었다. 둘째, 교대생들에게 액션과 정지로 구성된 모티프 무보는 무용실행을 위한 기본적인 리듬감과 박자감각을 키울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대학생들은 모티프이론을 통해 움직임을 기록하고 분석하며, 동일한 무보에서 다양한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모티프 이론을 통한 창작 수업은 학생들에게 합의된 용어들, 예를 들어, 돌기, 붙기, 들기 등의 움직임 개념들을 가지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 상호간의 유대감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모티프이론은 움직임 혹은 무용에 대한 편견 또는 관심이 없었던 교대학생들에게 움직임에 대한 흥미, 자신감, 성취감 등을 키워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티프 이론은 교대학생들에게 무용창작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인 무용창작 방법론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래의 초등학교 교사들인 교대학생들에게 무용창작 및 무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차후 초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무용창작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무용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이유로 모티프이론이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정 중 정규 수업내용의 하나로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otif Theory for movement expression. The researcher introduced Motif Theory to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analyzed the students` journals, performance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In this research, we find that Motif Theory is very helpful for students to observe various movements, such as turning, touching, and jumping. Moreover, it turns out that Motif Theory is very effective in providing communications for creative choregrap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if Theory is a good candidate for a regular subject in the university of element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