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잔의 회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홍옥진(Ok-Jean Hong) 현대미술학회 2014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8 No.2

        메를로-퐁티의 「세잔의 회의」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전개한 철학적 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논문은 「세잔의 회의」에서 세잔의 회화에 관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기술을 분석하기 위해 세잔의 지각에 대한 ‘회의’와 현상학적 환원, 세잔의 회화적 표현에 대한 ‘회의’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관한 이론, 그리고 세잔과 메를로-퐁티에게 있어서 애매성이라는 주제로 『지각의 현상학』과 연계하여 고찰한다. 세잔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관심은 세잔의 현상학적인 태도에 있다. 세잔은 화가로서 생애 내내 실재를 재발견하고, 그것을 회화적 언어로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세잔이 겪게 되는 어려움은 얼핏 세잔의 특이한 성격에 따른 회의, 화가로서의 직업에 대한 회의 혹은 세계를 모방하기 위한 기법에 대한 회의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때, 세잔의 ‘회의’는 감각 경험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실재에 도달하려는 목표에서 기인하는 것이고, 그것은 지각의 ‘현상’에 도달하려는 방법적 절차이면서 동시에 지각된 현상을 회화로 표현하는 데에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회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세잔의 회의 과정에는 감각과 지성과 같은 대립적인 양상이 극복되는 애매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세잔의 회의」를 『지각의 현상학』과 연계하여 지각, 표현, 애매성 개념으로 접근할 때 세잔의 회화 세계가 지닌 현상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사유는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Merleau-Ponty"s “Cezanne"s Doubt” has close relation with his philosophical themes developed in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hus “Cezanne"s Doubt” shows Merleau-Ponty"s ideas on phenomenology as well as on art.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n Cezanne"s painting under three themes; 1) Cezanne"s ‘Doubt’ and phenomenological reduction, 2) Cezanne"s pictorial expression and Merleau-Ponty"s theory on perception. (3) ambiguity in both Cezenne and Merleau-Ponty. Merleau-Ponty suggests that an artist"s life cannot completely determine the meaning of his work of art. Thus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 source of Cezanne"s doubt consists not in his peculiar personality nor nervous weakness but his artistic purpose. Cezanne, throughout his life, attempted to reveal our primordial contact with the world. This is why he underwent numerous difficulties for a still life, a portrait and a landscape. He wanted to rediscover genuine reality and covert what he perceived into pictorial language. His way of expression, that is, achieving reality without abandoning sense experience resulted in distorted shape, perspective and color.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can be a way to understand Cezanne"s expression in depth.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object is not some independent reality but rather a correlative of our body. Our bodily being is the basis of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we perceive. We can understand the implicit phenomenological meanings in Cezanne"s paining through Merleau-Ponty"s philosophy on perception and body.

      • KCI등재

        장 스타로뱅스키 비평에서 메를로 퐁티의 영향

        이충훈 ( Lee Choong Hoo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0 프랑스어문교육 Vol.70 No.-

        본 논문은 현대 비평가 장 스타로뱅스키 비평의 여러 원천 가운데 메를로 퐁티의 영향에 주목한 것이다. 두 저자의 영향관계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세계와 신체로부터 분리된 한 저자의 순수의식을 거부한다는 점이다. 그들은 한 개인의 구체적인 경험들을 제거한 투명한 자아의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둘째, 주체는 지각을 통해 세계와 타인들과 연루된 복잡한 현실을 살아가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개인은 자기성찰을 계속할수록 분화될 수밖에 없다. 셋째, 시선은 그저 능동적이거나 그저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이다. 그래서 시선은 보는 주체와 보이는 대상이 맺는 관계를 순환하며 그 외부에 놓일 수 없다. 메를로 퐁티와 스타로뱅스키가 지각하는 자와 지각된 자의 관계를 얽힘의 개념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그 까닭이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문제를 통해 스타로뱅스키와 메를로 퐁티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전자는 문학 작품에서 복잡하게 얽힌 시선이 잘 드러난 여러 대목을 세심히 분석하면서 후자의 신체와 지각에 대한 현상학 이론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특히 루소의 자서전 작품들에 대한 스타로뱅스키의 여러 비평에 메를로 퐁티의 영향관계는 무시될 수 없으며, 스타로뱅스키는 이 분석을 통해 루소의 다양한 면모와 복잡한 성격을 부각시키면서 작가와 작가의 작품의 새로운 이해와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L'influence de Merleau-Ponty sur Starobinski peut être résumée selon trois points : premièrement, les deux auteurs refusent la conscience pure d'un auteur, séparée du monde et du corps ; deuxièmement, la perception permet au sujet de faire naître une réalité complexe où le sujet est impliqué et mêlé dans le monde et dans les autres ; troisièmement, le regard n'est exclusivement ni actif ni passif, mais dialectique. Il se trouve toujours dans le rapport entre le sujet qui voit et l'objet qui est vu. Nos auteurs prêtent attention à une relation entre le percevant et le perçu pour montrer leur chiasme. Nous découvrons donc une influence merleau-pontienne sur Starobinski. Celui-ci a analysé des scènes littéraires où se présentent mieux les entrelacs du regard dont l'enchevêtrement nous empêche de définir le tempérament d'un auteur ou les pensées qu'il a conservées toute sa vie. Nous analysons donc deux épisodes autobiographiques de Rousseau lus par Starobinski. Selon lui, Rousseau nous y révèle ses caractères singuliers et c'est là que nous comprenons mieux cet auteur et sa littérature.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스타일 개념에서 본 댄스스포츠

        이경숙 한국체육철학회 202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me of ‘Merleau Ponty's Phenomenology: Dance Sport in the Concept of Style’. In the phenomenological con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being applied to ‘dance sport’ by limiting to the concept of ‘style’ presented in 『Le visible et l'invisible』. How can the style already inherent in the actor's perception in dance sport be revealed in dance? It is not a means used to reproduce the world, and it is based on the phenomenon of perception, not on the analysis of beauty or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context. First, the interest in the perception of danc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essence of the world, which is the basis. In other words, for male and female couples, style is an equivalent system set by oneself in express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dance sport. This is the way to approach the artist's world and at the same time, to find new meanings in a way that expresses dance. And rather than expressing the meaning of each dance event, the meaning of male and female couples permeates dance, penetrating perception and object, forming a unique style of male and female couples and revealing meaning through concrete expression techniques unified through dance. In the end, what has been revealed through the concept of Merleau-Ponty's style is the expression activity of the creative male and female couple of dances. Through this the actor reveals the perceptual meaning through the expression technique of dance.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스타일 개념에서 본 댄스스포츠’라는 주제로, 현상학적 맥락에서 메를로-퐁티가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에서 제시한 ‘스타일(style)’ 개념에 국한시켜, ‘댄스스포츠(dancesport)’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댄스스포츠에서 행위자(남녀커플)의 지각에 이미 내재되어 있는 스타일은 춤에서 어떻게 드러낼 수 있을까? 그것은 세계를 재현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이 아니며, 미에 대한 분석 혹은 역사적 맥락에 대한 해석이 아니라 지각의 현상에 토대를 둔다. 먼저 춤의 지각에 대한 관심은 그 근거가 되는 ‘주체(행위자, 남녀커플)’와 ‘세계의 본질’, 양자의 관계이다. 즉 남녀 커플에게 있어서 스타일은 ‘댄스스포츠(춤)의 표현기법’을 표현하는 과정에 스스로 설정해 놓은 ‘등가체계’이다. 이것이 예술가(행위자)의 세계에 접근하는 방식이면서 동시에 춤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춤의 종목별로 나타나는 의미를 표현하기 보다는 남녀커플의 의미가 춤에 스며드는 것이며, 지각과 대상(댄스스포츠)에 침투해 있는 남녀커플의 고유한 스타일을 형성하고, 춤을 통해 통일된 구체적인 표현기법을 통해 의미가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메를로-퐁티의 스타일 개념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댄스스포츠는 행위자가 춤의 표현기법을 통한 지각적 의미를 밖으로 드러내는 춤의 창조적인 남녀커플의 표현 활동이다.

      • KCI등재

        설교에서 하나님 현존의 체화된 경험

        정재웅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설교가 하나님의 현존을 계시하시는 통로라는 것은 초대교회부터 지켜온 신학적 고백이다. 특별히 기록된 말씀으로서 성서와 선포된 말씀 사이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개혁교회 전통에서 설교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경험되는 방식은 텍스트의 지적 이해라 는 측면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모리스 메를로-퐁티를 비롯한 일군의 학자들 이 지적한 바와 같이 텍스트를 비롯한 세계를 지각하는 주체는 신체를 가진 인간이며 인간의 세계 내 지각은 신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 한 반성에 기초하여 설교가 성서 본문의 문자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나 문학적 상상 력을 통해 성서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신체를 매개로 한 수행미학적 경험이라는 점 을 부각하고자 한다. 먼저 메를로-퐁티의 신체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를 살핀 후에, 메 를로-퐁티의 신체적 인식론을 발전시킨 체화된 인지 이론에서 주장하는 신체를 통한 인식과정을 고찰한다. 이러한 토대 위에, 개인의 신체를 통한 지식이 공동체의 사회적 틀 안에서 사회적 기억으로 변증법적인 상호검증을 통해 형성되는 과정을 논의한 사 회적 기억 이론을 토대로 필자는 이러한 인간의 신체미학적 경험의 역동을 탐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논의를 찰스 바토우 및 자나 칠더스 등 퍼포먼스 설교학 자들이 제시하는 신체적 퍼포먼스를 통한 말씀 사건 구성이라는 이해와 접목하여 설 교에서 발생하는 하나님의 현존 체험이 근본적으로 체화된 경험임을 주장하고자 한 다. 이러한 연구가 설교를 단순히 성서 본문의 의미를 지적으로 이해하는 작업을 넘 어서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을 신체를 통해 살아있는 말씀으로 경험하는 수행적 사 건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길 기대한다. Since the early Church, most churches have confessed that preaching is a channel that reveals the presence of God. In particular, for those who stand in the Reformed tradition, which has emphasiz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ripture as the written Word and preaching as the proclaimed Word, the way in which one experiences God's presence in preaching tends to be described as an intellectual experience. However, such an understanding misses what a group of scholars, including Maurice Merleau-Ponty, points out; it is that the subject who perceives the world, including the text, is the human in body and that the human perception in the world is based on the body. Based on this reflection, this paper attempts to highlight the overlooked truth that preaching is not only to understand the literal sense of the scriptural texts and interpret it by use of literary imagination but also to construct a performative aesthetic experience that is mediated through the body. To describe how such a somatic aesthetic experience becomes constructed, the author discusses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body,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which developed the somatic epistemology by Merleau-Ponty, and the social memory theory, which investigates the dialectical process that forms an individual's embodied knowledge into social memory in light of social framework. Applying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o the performance homiletical theory presented by Charles Bartow, Jana Childers, and other scholars, which supports the performative Word-event through bodily performance, the author claims that the experience of the divine presence in preaching is essentially embodied. I hope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preaching as a performative event in which experience the divine presence, witnessed in the world of the Scripture, in and through the body, rather than simply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textual meanings of the Scripture.

      • KCI등재

        박현기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신체성 연구: 메를로-퐁티의 ‘세계의 살’ 개념에 근거하여

        김정현 미술사연구회 2023 미술사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한국 1세대 비디오 작가인 朴炫基(1942~2000)에 대한 기존 연구에 상응하여, 그의 작품세계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신체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국내 비디오 아트의 역사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하면서 비디오 아트뿐만 아니라 퍼포먼스, 평면, 미디어 설치 등 다양한 혼합 매체 작업을 선보였다. 이러한 그의 작업에서 작가의 신체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한다. 시기적으로, 1970년대 비디오 설치 작업에서는 당시 한국미술의 화두였던 李禹煥(1936~ )의 관계항(關係項)적 신체 개념을 수용하였고, 이후 1980년대에는 비디오 퍼포먼스라는 매체를 다루면서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 1911~1980)이 주장한 ‘신체의 확장’으로서의 미디어적 신체 개념을 모색하였다. 더불어 건축을 생업으로 삼았던 그는 작품이 놓인 공간과 이를 감상하는 관객의 위치와 시점을 고려하여, 작품을 공감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개인의 경험에 주목하던 작가는 1990년대부터 집단적·사회적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신체-주체, 자아-타자 간의 경계를 지우고 우주 간의 합일을 이루는 존재로서의 새로운 신체 개념을 확립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확장되는 그의 신체 개념은 전 작업에 걸쳐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등장하면서 계속해서 철학적으로 발전해나가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박현기의 신체 의미를 분석하는 일은 작품 제작과 그 의미, 매체에 대한 작가의 태도, 관람자와의 관계 등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박현기의 작품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철학을 이해하고 작가가 추구한 방향성의 핵심을 파악하는 일이다. 연구자는 박현기 작업에 등장하는 신체의 의미와 개념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각각의 시기별로 작품에 나타나는 작가의 신체적 개입과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1970년대에 해당하는 관계항적 신체는 의식이 아닌 몸을 통해 세계를 인지하고 만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신체로 보았으며, 이후 1980년대 비디오 퍼포먼스에 등장하는 ‘지각의 미디어’적 신체는 전기 미디어를 신체의 확장으로 보고, 감각의 확장과 치환을 통한 지각 경험과 공간 체험이 결합된 ‘자위공간’의 용어로 제시된다. 이러한 작가의 1970~80년대 작업에서 나타나는 신체 개념은 인간과 사물, 인간과 매체, 퍼포머와 관람자 등의 이질적인 대상 간의 경계를 ‘지각 경험’을 통해 매개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1990년대 이후 작가는 집단적·사회적인 주제와 익명적인 대상들에 관심을 보이며, 기존에 탐구했던 대립적인 대상 간의 경계를 관통하는 보편적이고 우주적인 신체 개념을 선보인다. 연구자는 이 시기를 작가의 신체 개념이 완성되는 시기로 보고, 박현기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온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전기 이론인 ‘지각의 현상학’이 아닌, 보다 발전된 후기 이론인 ‘세계의 살(the flesh of world)’을 근거로 그의 신체 개념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메를로-퐁티의 후기 이론과의 유사성을 밝힘으로써, 박현기의 후기 작업에서 완성되는 우주적이고 대자적인 존재로서의 신체 개념의 미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딜런 토머스 시에 나타난 몸—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몸 철학을 중심으로

        김경화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09 현대영미시연구 Vol.15 No.1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Dylan Thomas’ poetry in the light of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opposed to Descartes’ mind-body dualism. Though never having read Merleau-Ponty’s books, Thomas writes poems centering around the body which is one of the philosophical topics of Merleau-Ponty. While Merleau-Ponty wants to establish the theory for community based on body, Thomas tries to write the poems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immediate sensation of the body. Writing poems on body, Thomas struggles to bring the “overclothed blindness” into the “naked vision” and to come “from darkness towards some measure of light.” Thomas’ poems have been studied mainly on the basis of psychoanalytical approaches, which is likely to narrow a distinctiv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This study focused on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enables us to regard Thomas as a religious poet who rethinks the sacred meanings embedded in our bodies.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world and the human body are so intricately intertwined that each object is a mirror of all others. All others could be communicated with us through bodily involvement. The concept of “flesh” introduced by Merleau-Ponty helps to fill up the gap between us and the others. Similarly, in a poem like “This Bread I Break” Thomas celebrates “flesh” bridging nature and men, men and God through the mystery of transubstantiation. Rereading poetry of Thomas based on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can show that lots of ambiguities of Thomas’ poetry may be deeply rooted in the sacred of body.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Dylan Thomas’ poetry in the light of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opposed to Descartes’ mind-body dualism. Though never having read Merleau-Ponty’s books, Thomas writes poems centering around the body which is one of the philosophical topics of Merleau-Ponty. While Merleau-Ponty wants to establish the theory for community based on body, Thomas tries to write the poems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immediate sensation of the body. Writing poems on body, Thomas struggles to bring the “overclothed blindness” into the “naked vision” and to come “from darkness towards some measure of light.” Thomas’ poems have been studied mainly on the basis of psychoanalytical approaches, which is likely to narrow a distinctiv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This study focused on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enables us to regard Thomas as a religious poet who rethinks the sacred meanings embedded in our bodies.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world and the human body are so intricately intertwined that each object is a mirror of all others. All others could be communicated with us through bodily involvement. The concept of “flesh” introduced by Merleau-Ponty helps to fill up the gap between us and the others. Similarly, in a poem like “This Bread I Break” Thomas celebrates “flesh” bridging nature and men, men and God through the mystery of transubstantiation. Rereading poetry of Thomas based on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can show that lots of ambiguities of Thomas’ poetry may be deeply rooted in the sacred of body.

      • KCI등재

        올가 토카르추크의 『방랑자들(Bieguni)』에 나타난 인간의 육체에 대한 탐험

        최성은(Sung Eun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2018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 )의 『방랑자들 (Bieguni)』(2007)은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2018년도에 멘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작가는 17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각자 나름의 이유로 여행길에 오른 다채로운 인간군상을 보여주면서, 우리를 쉼 없이 움직이게 만드는 ‘여행’ 또는 ‘이동’이야말로 인간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행과 이동의 의미를 21세기적 맥락에서 탐구하고자 했던 『방랑자들』에서 토카르추크는 ‘신체로서의 인간’에 주목하면서 ‘인체에 대한 탐험’ 또한 일종의 여행으로 간주한다. 목적과 이유는 저마다 다르지만, 경계를 넘나드는 이동을 실현하는 주체가 바로 인간의 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방랑자들』에는 ‘몸’에 관한 에피소드, 그중에서도 특히 파편화된 인체 부위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인간의 내장기관을 전시한 박물관에 대한 관람기록과 인체를 방부 처리해서 영구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는 해부학자들의 사연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토카르추크는 정신과 몸을 대립시키지 않는다. 작가의 이러한 시각은 정신이나 의식보다 몸의 감각을 사유와 지각의 중심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신체의 고유한 주체성과 능동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철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발견된다. 토카츠추크는『방랑자들』을 통해 ‘필멸’의 존재인 인간의 육체를 ‘불멸’이라는 주제와 연관 지어 성찰하면서 인간의 몸에 깃든 에너지와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한다. A winner of the 2018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1962~ ) won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her novel Flights(Polish title: Bieguni) in 2018. It is a hybrid novel consisting of 116 texts on the common keyword of ‘travel’ or ‘vagabond’. Tokarczuk emphasizes that travel can truly free humans by keeping us moving continuously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who travel through different times and places in endless succession, between the seventeenth and twenty-first centuries. In Flights,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journey and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twenty-first century, Olga Tokarczuk views ‘an exploration of the human body’ as a kind of journey in which one focuses on ‘the human being as a physical body.’ This is because the principal agent which realizes movement across boundaries is the live human body - though the purposes and reasons for such movement may be diverse. Thus, Flights contains numerous stories about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certain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Records of visits to museums which exhibit human internal organs, as well as stories about anatomists who conduct research on the eternal preservation of the human body though plastination, occupy a large part the book. Tokarczuk does not focus on conflict between mind and body. In the sense that she places physical sensation, rather than mind or consciousness, at the center of thought and awareness, and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the body, her approach seems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In essence, Tokarczuk emphasized on the energy and limitless possibilities of the human body by associating the mortal human body with the theme of ‘immortality.’

      • KCI등재

        우리/그들, 동양/서양의 야만적 이분법 재고 - M. 메를로-퐁티와 F. 줄리앙의 관련 언급을 중심으로

        박치완 ( Park Tchi-wan )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은 서구의 인종·민족중심주의, 문화본질주의의 기본 전제요 실천 논리이다. 이 전제와 논리 하에서 서구인은 비서구권의 문화와 역사, 전통을 지배해왔다. 레비스트로스는 이러한 서구의 야만적 이분법을 ‘괴물성’, ‘파렴치’라는 형용어까지 동원해 비판한 바 있다. 서구의 야만적 이분법은 오늘날에도 우리/그들, 서구/비서구, 동양/서양의 이분법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문화들 간의 교류와 소통을 가로막는 주범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구가 이렇게 우리/그들의 논리를 지탱하는 한 문화들 간의 ‘상호문화’, ‘횡단문화’는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처럼 그렇게 쉽게 성사되지는 않을 것이다. 언제나처럼, 철학적으로, 문화적으로,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들 사이의 불평등한 관계, 즉 지배/피지배의 식민적 관계는 계속될 것이란 뜻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서구의 야만적 이분법을 극복할 수 있는 나름의 대안을 제시했다고 판단되는 M. 메를로-퐁티의 ‘세계’ 개념과 F. 줄리앙의 ‘공통세계’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현금의 문화적 갈등과 정치경제적 반목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는 지구촌의 현실을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인식론을 제안해보려 한다. The Western dichotomy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dominated is the basic premise and practical logic of racial-ethnocentrism and cultural essentialism. Under this premise and logic, Westerners have dominated the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s of non-Western countries. C. Levi-Strauss criticized the barbaric dichotomy of the West by using the terms “une monstruosite” and “un scandale”. The barbaric dichotomy of the West is still being extended to the dichotomy of Us/Them, Western/non-Western, and Eastern/Western,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the main culprit behind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e inter-culture and cross-culture among cultures where the West continues to support Us/their logic will not be so easily accomplished as many expect. As always, it means that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es, philosophically, culturall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will continue to be the colonial relationship of the dominant/the domin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ultural epistemology that can cure the reality of the global village suffering from the cultural conflicts of cash and political and economic antagonism by considering M. Merleau-Ponty’s concept of the ‘world’ and F. Julien's concept of the ‘common world’ that we believe has presented our own alternatives to overcome this Western barbaric dichotomy.

      • KCI등재

        모노하(もの派)의 방법론은 모노(もの)의 존재를 예술로서 관철할 수 있는가?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손지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The name “Mono-ha” was given at the beginning of the 1970s by demeaning critics to the Japanese artists who formed a loose constellation around the theory of Mono, the latter term designating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being of an immediate, literal thing or object. Their working method, expounded predominantly by Lee Ufan and Kishio Suga through texts and works, became a fast-spreading phenomenon in the Japanese and international art world. While most of these artists continue to work and exhibit independently to this day, the necessary philosophical research on the sole artistic motive of the constellation, namely the theory of Mono, remains largely insuffici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played by the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to which Lee turned to clarify the above method shared commonly by the artists.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not only brings to the fore the process by which the artists’ inquiry into Mono develops into their individual method, but also renders possible an ontology of Mono at the very core of their practice and philosophy. “모노하”(もの派)는 일본에서 1970년을 전후로 모노(もの), 즉 사물의즉자적, 상황적 존재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매우 느슨하게 결집된 작가들의 작업들에 비평가들이 붙인 이름이다. 모노하의 예술적 방법론은이우환과 스가 키시오가 1970년대 초반부터 발표한 글들을 기점으로 일본에서 매우 빠르게 파급되었고 이들의 작업은 일본의 현대미술사에서가장 두드러지는 족적을 남겼다. 세계 곳곳에서 아직도 생존하는 모노하작가들이 나름의 방법론을 통해 작업, 전시하고 있지만, 이들의 예술 활동의 시발점이 된 모노 이론에 대한 예술철학적 연구는 반세기가 지난지금까지도 미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은 모노하 작가들의작업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해 이우환이 동원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의 역할에 주목한다. 그의 지각현상학은 모노에대한 탐구가 실제 작업을 위한 실천적 방법론까지 전개되는 과정을 명료화함은 물론, 이들 작업이 공통적으로 관철하고자 하는 궁극적 도달점인 모노의 존재론의 예술철학을 가능케 한다.

      • KCI등재

        강릉 선교장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유선미(You, Sun-Mi),김영원(Kim, Young-Won),서수경(Suh, Sw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5

        This research regards that experiencing certain space according to looking through sensations of body will finally make visual perceptional experience to happen. Our bodies incorporate sensible experience along with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making movements. The analysis of Seongyojang in Gangleung through top and bottom, depth, movement and experience space which are Merleau Ponty’s phenomenological space elements ha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up and down directivity inherent in Seongyojang has different directions in movements by the axis of plane. Second, the depth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ings and bodies shows the interactions with things and the depth of space rendered by the servants’ quarters of ‘一字形’ and the overlapping effect from the movement between buildings can be seen and felt. Third, mobility is focused on the surroundings for the movements of body and thing. Fourth, the experienced space remains as what it is and is experienc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cultures. The temporality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subsist is give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odern living pattern in the traditional space. That is, the space from the point of phenomenological view makes the visual-perceptual experience possible through the senses of body, with which the space is experienced and sensed. In other words, the space from the phenomenological viewpoint makes visual-perceptual experience possible through the senses of body so that the space may be experienced and perceived. Through this study, a new viewpoint toward Korean traditional space is expected to be disco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