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상관성을 활용한 사회안전지수의 이해

        박만식,김지연,이성건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4

        사회안전지수(Korea security index, 2021)는 전국의 15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의 안전과 불안감에 영향을 주는 생활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활동, 건강보건, 주거환경 등 크게 4개 분야를 기준으로 도출된 것이다. 이 지수는 개별 시·군·구의 사회안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각 지자체의 시민 서비스를 위한 행정보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지수에 사용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와 설문조사 결과를 결합한 것으로, 공공데이터는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공개한 안전관련 통계자료이며, 설문조사 결과는 해당 지자체의 주민에게 사회안전에 대한 의식을 질문하여얻은 것이다. 즉, 사회안전지수는 객관적인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안전과 실제 체감의 영역인안심을 함께 측정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155개 시·군·구를 측정한 사회안전지수에 대해 지리적 인접성이 고려된 공간통계를 활용하여 공간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지자체별로 공간적 상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안전지수는 공간적 집락성을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구그리드에 기초한 도시화의 공간적 양태 분석

        유종훈(Yoo, Jong Hoon),임재빈(Lim, Jae Bin),정연우(Jeong, Yeun Woo),성장환(Seong, Jang Hwan)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2

        이 연구는 세계인구그리드에 기초하여 인구분포의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고, 도시인구 결정요인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도시화의 공간적 양태를 이해하며, 한국의 도시개발 협력사업 국가를 도출하였다. 모란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화의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도시인구 결정요인 도출은 더블로그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국의 도시화율은 1인당 GDP와 모란지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란지수가 각국의 도시인구 결정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난 바 도시화의 공간적 측면 고려시 도시화율과 함께 모란지수의 활용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통계분석 결과에 따라 전체 118개국을 4개 그룹화하였으며, 그룹별 도시개발 협력사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과의 협력이 기대되는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도시인구의 공간적 분포 시각화 결과를 제시하여 분석 결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This study aims to execute a spatial analysis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the world population grid and to derive the determinants of urban popul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spatial aspect of urbanization was understood, and Korea s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business countries were derived. Spatial analysis of urbaniz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Moran’s I, and double log model was used to derive the determinants of urban popul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rbanization rate of each coun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GDP per capita and the Moran’s I. Second, since the Moran’I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urban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oran’I as well as the urbanization rate when analyzing the spatial aspect of urbanization. Thir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18 countries were grouped into 4 groups, and the possibility of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y group was presented. Finally, the understanding of the analysis result was improved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visualiz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opulations for some countries that are expected to cooperate with Korea.

      • KCI등재

        광주광역시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김종민,김화환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education level in 2000- 20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dissimilarity indices show that high education level group was relatively more segregated from other education levels consistently. Second, the location quotients show that the low and high education level group’s residential distribution remains stable whereas the middle education level group’s residential distribution changed over time mainly because of the large scale residential district developments during the period. Third, through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using Local Moran ‘s I index, we could identify tha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all education level groups have been intensified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segregated residential communites are getting bigger. If this trend continue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in Gwangju will be deep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residential segregation considering more various factors and to find countermeasures related thereto. 최근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거주지 분리와 그와 관련된 사회·지역 격차와 갈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연구는 행정동 단위 인구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2000∼2010년 광주광역시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 변화를 상이지수, 입지계수, 국지적 모란지수 등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이지수를 통한 분석 결과, 분석대상 기간 동안 일관적으로 고학력층의 타 계층과의 거주지 분리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지계수를 통해 교육수준별 거주지 집중 지역을 분석한 결과, 저학력층과 고학력층의 경우 거주지 집중지역에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중학력층의 경우 해당 기간 이루어진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입지계수가 급변하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국지적 모란지수를 교육수준별 거주지 집중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력층에서 거주지 집중 양상이 강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거주지분리의 양상을 종합하면 연구 기간 내 거주지 분리가 강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광주광역시 거주지 분리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거주지 분리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분석과 대응책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인문사회학편 : 지역개발 성과측정 지수를 이용한 청주시의 지역개발 실증분석

        송봉주(조교수) ( Bong Ju Song ),김윤수(경제학박사) ( Yun Soo Kim ) 공군사관학교 2015 空士論文集 Vol.66 No.2

        이 논문은 개발행위허가제가 도입된 이후 지역개발의 성과측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지역개발의 성과를 개발행위허가의 클러스터 강도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클러스터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모란지수(Moran`s I)와 음이항분포를 이용한 군집파라미터 k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2가지 종류의 지수를 이용하여 청주시의 개발행위허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지역개발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청주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발행위허가제 측면에서는 음이항분포를 이용한 군집파라미터 k가 클러스터 강도를 측정하는데 변별력이 있고 일관성 있는 개발성과 측정결과를 제시한다. This paper suggests the means to measure the degree of cluster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egional development under the development pennit system. We employ the exponent k of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as well as Moran``s index(Moran``s I) among many other concentration indexes lO calculate the clustering tendency. Also. we apply empirical analysis to assess the cluster tendency with the actual development permit system data inCheongju city based on the two above-mentioned indexes and GIS method. Our results show that the exponent k of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is appropriat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regional development under the development permit system with respect to cluster tendency because the estimation result by the exponent k of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is more reliable and more consistent.

      • KCI등재

        지가변동의 시대별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수복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4 No.-

        토지의 이용이나 가격은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역의 영향을 받아 군집을 이루며 시간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간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는 한정된 시간이나 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적 자기상관을 검증하거나 공간특성을 감안한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는 데 그치고 있다. 토지시장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를 확인하고 그 특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서울˙수도권과 전국 시군구의 시계열적 토지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모란지수에 의해 토지가격의 시계열적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변화를 확인하고, 국지적 공간분포의 패턴 및 모란지수와 경제변수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시간 변화에 따라 한국 토지시장에 나타나는 지가변동의 공간적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시장과 서울˙수도권시장 모두 지가변동의 공간적 자기상관이 시간에 따라 다름이 확인되었고, 그 공간적 자기상관은 지가변동률이나 국민소득과 반비례하는 특성을 보였다. 지가변동성이 국지적으로 군집한 지역 또한 시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토지정책의 입안이나 토지가격 평가에 공간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Land uses and land prices form a cluster spatially influenced by adjacent area and the cluster changes temporally. However, previous studies in Korea are limited to verifying a spatial autocorrelation of land price or to confirming the superiority of price models adjusting spatial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confirm spatio-temporal changes in land market an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land price volatility in time series at all local areas nationwide to confirm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land price. Moran index of land price change was calculated; relevance between Moran index and economic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ir local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ere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 price fluctuation with time in Korean land market were derived and their implication for a policy decision was drawn. As a result, spatial autocorrelation of land price fluctuation differed with time at both nationwide market and Seoul metropolitan marke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showed an inverse proportion to land price volatility and national income. Moreover, the cluster area where the land price volatility forms a group was variable temporally.

      • KCI등재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청주시 화재발생 분포 패턴 분석

        연경환,권순택,황희연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This study is intended to draw up a distribution map of fire occurrence and analyze the patterns of fire occurrence by using spatial statistic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kernel density analysis have revealed that the density of fire hot spots was the highest in the downtown of Cheongju City and high in the Eup and Myeon locating in the surroundings of downtown owing to population growth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and housing complexes. Second, when the number and damage of fire occurrence were correspondence, urban periphery didnít have any regional correlation except for downtown. Third, whe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fire occurrence in Cheongju City were analyzed by spatial autocorrelation, Moranís Index was 0.334 representing positive correlation, which means that the neighboring areas, which have a similar fire occurrence frequency to fire hot spots, are forming a zone owing to distribution. Fourth, the high damage regions of fire occurrence in Cheongju City were Heungdeok-gu and Seowon-gu, western areas of the downtown of the city. Therefore, fire prevention activities need to be centered in those areas. 본 연구는 청주시 화재발생 분포 현황도를 작성하고,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분포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 사항이 도출 되었다. 첫째, 커넬밀도 분석결과 화재다발지역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청주 시가지내 도시 중심부로 나타났으며, 도시 주변부인 읍면단위의 경우 공업단지 조성과 주택단지 조성 등 인구증가로 인한 화재 발생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화재발생 빈도와 화재발생 피해액을 대치시킨 결과 지역적 연관성은 원도심을 제외한 외곽지역은 일치하지 않는다. 셋째, 청주시의 화재발생의 공간분포 패턴에 대한 전역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란지수 값은 0.334로 정(+)의 관계가 있으며, 이는 화재발생 빈도가 높은 곳과 유사한 빈도수의 인접 지역 공간분포로 군집을 이루고 있다. 넷째, 청주시 고(高)피해율 군집지역은 도시 중앙인 원도심을 기준으로 서쪽지역인 흥덕구와 서원구가 화재발생 고피해율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화재예방 활동을 집중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전기차 충전소 입지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홍진슬(Hong, Jin-Seul),홍성조(Hong, Sungjo)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2

        The Korean government is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as a measure to reduce greenhouse gases. Electric vehicles are a cheaper means of transportation than gasoline vehicles, assuming long-term 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active use of electric vehicles by the low-income clas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access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ccording to income grou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equity of the loc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Korea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location data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nd monthly average income data by dong were used for analysis. Morans I and Bivariate Morans I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re spatially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Second, there is a spatial autocorrelation betwe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ion and regional incom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sector should consider spatial equit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location for a charging station. Second, the concept of a vulnerable area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서울대도시권의 산업별 고용분포 변화분석(2000~2010)

        김진유(Kim, Jin Yoo),이호준(Lee, Ho Jun),정형은(Jung, Hyung Eun) 한국부동산원 2016 부동산분석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대도시권의 행정읍면동별 고용밀도를 이용하여 산업대분류별 고용분포의 특징과 지난 10년간(2000~2010년)의 고용분포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분류 산업 중 시계열분석이 가능하고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8개 산업을 선정하였으며, 통계청의 행정구역 면적과 종사자 수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역적 모란지수의 변화와 국지모란지수 및 핫스팟분석을 통해 산업별 공간분포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고용자의 분포는 점차적으로 전통적인 고용중심지 집중도가 약화되면서 경기도와 인천의 외곽지역에 고밀고용지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둘째, 전통적인 기반산업인 제조업, 건설업 등은 외곽으로의 고용이전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지가가 저렴한 지역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금융보험업 및 부동산업 등은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으면서 오히려 전통적인 고용중심지인 도심, 영등포, 강남에 더욱 집중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공공성이 강한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은 공간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며 10년 동안 외곽으로 꾸준히 확산되는 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도시공간에서 일어나는 고용분포가 산업별로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러므로 산업의 분산이나 집적을 통해 향후 산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도시공간구조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전체고용자의 분포패턴 뿐만 아니라 산업별 분포패턴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주택정책에 있어서도 산업별 고용분포의 차이를 고려하면 보다 효과적인 직주근접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제조업 종사자들을 위한 공공임대는 외곽에 금융보험업 종사자들을 위한 주택은 전통적 고용중심지에 입지시키는 것과 같이 주요수요자들의 고용지 분포를 고려한 주택정책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ime-series change of employment centers by nine industries between 2000 and 2010. The study discusses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 of employment centers of Seoul Metropolitan Area (SMA) by industries. The spatial concentration level is calculated by Global Moran’s I and Local Moran’s I.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employment distribution change shows decentralization. High density areas were connected to the traditional employment centers and made employment corridor. Second, basic industries like manufacturing and transportation had moved from the old business centers to outskirts. Third, public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and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have been relatively well distributed and showed minor change during the study period. Fourth, finance and insurance and real estate activities are clustered in the 3 major centers. The results imply that employment distribution analysis by major industries are necessary as well as total employment distribution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urban spatial structure. For instance, if we can assume the different housing demand by industries, employe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need to move to near suburban areas while residential buildings for FIRE industries are planned in the traditional business centers.

      • KCI등재

        The Spatial Mismatch between Population Ageing and the Level of Public Welfare Service

        여창환,조덕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The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is inevitable a universal trend in developed countries. The Korea also followed this tendency. Especially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the 1990s. The rural population is aging more rapidly than the urban one because younger generations move into the urban area, due to better jobs and children education’s opportunities. However, the majority of studies on population ageing are focused on the urban area rather than the rural ones. Rural areas also have been excluded as a priority of the national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peopl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population ageing among regions and to identify the regional disparity between the elderly people and the level of public services in the rural area.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notes som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It also suggests on the suitabl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rural area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