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 보편소의 한 사례

        김정우(Kim, Jeong-w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3 No.-

        본고에서는 번역 보편소들 가운데 하나인 명시화 현상이 텍스트 유형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일정 규모의 말뭉치 자료에서 이를 검증해 보았다. 〈가설 1〉 선택적 명시화는 문체 선호도와 텍스트 구성전략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비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의무적 명시화는 SL과 TL의 언어구조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번역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 유형이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위와 같은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해보기 위해 약 17만 어절씩으로 구성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의 병렬 말뭉치 자료를 활용했다. 즉, 영어 원문의 영형태에서 번역된 한국어 번역문의 의존명사 ‘때문’을 선택적 명시화의 용례로 보고, 영어 원문의 사역동사와 일반동사 구문에서 번역된 장형사동 구문을 의무적 명시화의 용례로 보았다. 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선택적 명시화 용례의 총합은 74(/217)회로 대략 가 되고 비문학 34.1% , 텍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선택적 명시화의 총합은 95(/470)회로 대략 20.2%가 된다.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에서 보이는 선택적 명시화 비율의 차이는 13.9%로 나타났다. 한편 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의무적(구조적) 명시화 용례의 총합은 84(/168)회로 대략 50.0%가 되고, 비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의무적(구조적) 명시화의 총합은 186(/383)회로 대략 48.5%가 된다. 양자에서 보이는 선택적 명시화 비율의 차이는 1.5%로 나타났다. 위에서 조사한 선택적 명시화의 텍스트 유형별 편차와 의무적(구조적) 명시화의 텍스트 유형별 편차를 비교해본 결과, 문체 선호도와 텍스트 구성전략 차이에서 비롯된 선택적 명시화의 경우는 비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 반면, SL의 TL 언어구조 차이에서 비롯된 의무적 명시화의 경우는 비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편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우리가 앞서 수립한 두 가지 가설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testifying the hypothesis that the explicitation, one of the translation universals, varies depending upon text genres in a certain amount of corpus. As a starting point, the author established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related to the explicitation. 〈Hypothesis 1〉 Selective explicitation, considering the fact it is derived from the preference of stylistics and text strategy of construction, reveal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literary text and literary text. 〈Hypothesis 2〉 Obligatory explicitation, considering the fact it is derived from the different structure between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reveal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source text may be literary one or non-literary one.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the author made use of 17 thousand parallel corpus composed of English original and Korean translated texts. He regarded a Korean bound noun ‘ttaemun’ translated from zero form in the English original texts as a typical example of selective explicitation, and a Korean long form causative construction translated from causative verbs and general verbs in the English original texts as a typical example of obligatory explicitation. The total number of selective explicitation amounted to 74(217), 31.4% in literary texts, and 95(470), 20.2% in non-literary texts. The ratio gap between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was revealed as 13.9%. In the other hand, the total number of obligatory or structural explicitation amounted to 84(/168), 50.0% in literary texts, and 186(/383), 48.5% in non-literary texts. The ratio gap between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was revealed as 1.5%. The above results c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deviation of selective explicitation between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was big, which largely originates from stylistics preference and text construction strategy. The deviation of obligatory explicitation between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was very small, which largely originates from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SL and TL. These results could be estimated parallel to the core contents contained in the two hypotheses, which he established at the outset of this research.

      • KCI등재

        한중, 중한 번역방향에 따른 명시화: 학부번역자의 번역과정 분석

        김혜림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explicitation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and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of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transl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ranslation diaries. Translation diaries herein refer to a written record of problems and inquiries that occur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and the reasoning behind the decisions made by trainees. The motivations of translation were classified into strategic explicitation and norm-governed explicit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ranslation diari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strategic explicitation is the most comm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while norm-governed explicitation is the majority in the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Specifically, strategic explicitation of experiential information is prominent in the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and norm-governed explicitation of textual information is prominent in the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Regardless of the translation direction,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add or specify experiential information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request of the translation brief or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T readers. However,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there are further strategic explicitations when literal translation is awkward or translation of Chinese complex sentence is unreadable. Textual information explicitation shows a distinct norm-governed tendency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add or specify demonstratives or conjunctions without being aware of the problem during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both strategic and norm-governed explicitations account for a similar proportion. All cases of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licitati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is norm-governed, the frequency of strategic explicitati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governed explicitation as a whole, but only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licitation shows a strong norm governed tendency.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strengthen the speaker's degree of confidence or argument by adding an emphasis without recognizing it as a problem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no clear strategic or norm-governed tendency is observed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본 연구는 학부번역자가 중한번역과 한중번역 시 어떤 점을 문제로 인지하고, 어떤 점을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명시화하며, 번역방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번역과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번역과정 분석을 위해 번역자가 번역과정에서 맞닥뜨린 문제에 대한 기록, 해결과정에서 채택한 전략과 방법, 스스로 발전에 대한 평가 등을 자유롭게 작성하는 번역일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번역일지의 기재 내용에 따라 학부번역자가 문제라고 인지한 전략적 명시화,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진행한 규범 지배적 명시화로 분류하고 구체적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L2→L1인 번역인 중한번역에서는 전략적 명시화가 다수를 차지한 반면, L1→L2 번역인 한중번역에서는 규범 지배적 명시화가 다수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번역자가 중한번역에서는 전략적으로 명시화하고, 한중번역에서는 규범 지배적으로 명시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보면, 중한번역에서는 경험적 정보의 전략적 명시화가 두드러졌으며, 한중번역에서는 텍스트적 정보의 규범 지배적 명시화가 두드러졌다. 학부번역자는 번역방향에 상관없이 번역브리프에 제시된 예상 독자나 번역 요청사항을 문제로 인지하고 경험적 정보를 구체화나 추가를 선택하였다. 하지만, 중한번역 시 부자연스러운 직역 표현, 중국어 ST 복문 구조의 가독성을 문제로 인지하고 추가적으로 명시화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텍스트적 정보 명시화는 한중번역에서 모든 사례가 규범 지배적 명시화로 나타나며 뚜렷한 규범 지배적 경향을 보였다. 학부번역자는 한중번역 시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지시어나 접속사를 추가나 구체화하였다. 반면, 중한번역에서는 전략적 명시화와 규범 지배적 명시화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대인적 정보 명시화는 중한번역에서 모든 사례가 규범 지배적 명시화였다. 중한번역은 전체적으로 전략적 명시화 빈도가 경험적 명시화 빈도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나, 대인적 정보만은 강한 규범 지배적 명시화 경향을 보였다. 학부번역자는 중한번역 시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강조어 추가 등 화자의 확신이나 주장의 정도를 강화하였다. 반면, 한중번역에서는 뚜렷한 전략적 또는 규범 지배적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 KCI등재

        학생번역자의 한중 번역에 나타난 명시화와 암시화

        김혜림 한국중국언어학회 2018 중국언어연구 Vol.0 No.78

        본 연구는 한중 번역 시 번역 경험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학생번역자의 번역 명시화와 암시화가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번역자 5명의 번역을 분석하였다. 정량분석 결과, 학생번역자 번역에서 명시화 빈도가 암시화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추가가 구체화보다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텍스트적 명시화가 약 52% 비율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특히 텍스트적 명시화에서 추가가 월등하게 많았다. 암시화는 삭제만 관찰되었으며, 경험적 암시화가 약 56% 비율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명시화와 암시화 경향은 학생 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명시화 경향은 5명 학생이 비교적 균일한 반면, 암시화 경향은 학생 간 편차가 컸다. 정성분석 결과, 경험적 정보의 명시화와 암시화는 맥락 상 유추 가능한 명사(구), 수식어, 동사, 부사를 추가, 구체화, 삭제하는 경우, TT에 ST에 없는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거나 ST의 전체 구를 삭제하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대인적 정보의 명시화는 TT에서 양태의 구체화와 평가어와 강조어가 추가되는 경우가 있었다. 대인적 정보 암시화는 모두 평가어와 강조어가 삭제되는 경우였다. 텍스트적 정보의 명시화는 맥락에서 유추할 수 있는 논리관계의 접속사를 TT에 추가하거나 지시어가 구체화 또는 추가되는 겨우였다. 텍스트적 명시화에서 추가는 주로 접속사가 추가되며 나타났다. 텍스트적 암시화는 모두 ST의 접속사가 TT에서 삭제되며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소수 사례 분석이라는 점에서 탐색적 결론의 성격을 띠며, 이곳에 소개된 학생들의 반응을 일반화하기 어렵다. 하지만, 한중번역에서 학생번역자의 명시화 암시화 경향과 유형을 살펴본 첫 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번역 교육과 훈련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ranslations of five trainee translators were analyzed to observe the use of explicitation and implicitation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of the trainees who have relatively less transl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a quantitative analysis, the translations of the trainee translators had remarkably more explicitation than implicitation and more addition than specification. Besides, textual explicitation accounted for about 52%, which is the largest percentage, and particularly had significantly more addition. On the other hand, experiential implicitation recorded the largest percentage at around 56% and deletion only was observed in it. The tendency of explicitation and implicitation varied by trainees. The five trainees presented relatively even explicitation tendency while showing substantially different implicitation tendency among them. A qualitativ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trainee translators added, specified or deleted noun (phrases), modifiers, verbs and adverbs that were inferable from the context, added to TT new contents that did not exist in ST or deleted the entire phrase in ST in explicitation and implicitation of experiential information. It was also observed in explicitation of interpersonal information that they specified modality or added appraisals or intensifiers in TT. In implicitation of interpersonal information, all of them deleted appraisals and intensifiers. They added to TT conjunctions that were inferable from the context or specified or added referents in explicitation of textual information. Meanwhile, they generally added conjunctions in textual explicitation and deleted conjunctions in ST from TT in all textual implicitation. As the study analyzed a small sample, it brought an exploratory result and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ponse of the trainees covered by the study. However, it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hat observed the use of explicitation and implicitation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of trainee translators and expected to serve as a great reference for translation training.

      • KCI등재

        학부생과 번역전공 석사생의 중한 번역 명시화 : 번역일지를 활용한 번역과정 분석

        김혜림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otivations for explicitati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trainee translato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ranslation diaries, which herein refer to a written record of problems and inquiries that occur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and the reasoning behind the decisions made by trainees. 11 undergraduate students and 9 graduate students's translations are analyzed. For all the subjects, Korean is their mother tongue and Chinese (Putonghua) is their second language.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show a tendency to add or specify information in order to strategically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red during the translation. In contrast, graduate trainee translators tend to add or specify information without recognizing them as problems. This feature is prominent in experiential information explicitation such as nouns and verbs. This shows that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with relatively low proficiency in Chinese and no translation experience have difficulty in translating Chinese complex sentence, awkward or obscure literal translation, and strategically add or speicify background knowledge or information, while graduate trainee translators do not recognize these as a problem. All cases of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licitation in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is norm-governed, On the other hand, All cases in graduate trainee translator is strategic explicitation, the two groups show a clear contrast. Textual information explicitation do not show a clear strategic or norm governed tendency i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trainee translators. 본 연구는 학부생과 번역전공 석사생이 중한 번역 시 어떤 점을 문제로 인지하고, 어떤 점을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명시화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번역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부생은 11명, 번역전공 석사생은 9명이며, 모국어는 모두 한국어였다. 번역과정 분석을 위해 번역자가 번역과정에서 맞닥뜨린 문제에 대한 기록, 해결과정에서 채택한 전략과 방법, 스스로 발전에 대한 평가 등을 자유롭게 작성하는 번역일지를 활용하였다. 번역일지에 명시화 사례에 대한 이유와 설명이 기재되어 있을 경우 학생 번역자가 문제라고 인지한 전략적 명시화로 분류하고, 명사화 사례에 대한 언급이 없을 경우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진행한 규범 지배적 명시화로 분류하였으며, 구체적인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생은 중한번역 시 번역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전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추가나 구체화를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대로 번역전공 석사생은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규범 지배적으로 추가나 구체화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명사, 술어 등 경험적 정보 명시화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외국어 실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번역 경험이 전무한 학부생이 직역 시 어색한 중국어 표현, 배경 지식 추가, 중국어 복문 번역 시 문제로 인지하고 전략적으로 구체화나 추가를 한 반면, 번역전공 석사생은 이를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구체화 또는 추가하였다. 반면, 화자의 태도나 입장을 나타내는 대인적 정보는 학부생이 모든 사례를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규범 지배적으로 명시화한데 반해, 번역전공 석사생은 모든 사례를 전략적으로 명시화 해 선명한 대비를 보였다. 텍스트의 결속성과 관련된 텍스트적 정보는 학부생과 번역전공 석사생 모두 뚜렷한 전략적 또는 규범 지배적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빛의 제국』 중국어 번역본의 명시화 유형 분석

        한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0 통번역학연구 Vol.24 No.1

        Using the translated text of Your Republic Is Calling You, a Korean novel, the paper studies the impact of the explicitation strategy between Korean SLT and Chinese TL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ategorize explicitation in translation based on Klaudy's explicitation types. First, the paper explains what strategies are used in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Chinse. To examine this ques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text analysis using data extracted from Korean SLT and Chinese TLT based on Klaudy's explicitation types. The text analysis results find that the translator clearly reveals the meaning inherent in the original text and transfers the SLT’s implicit context into excessively explicit expression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might contribute to analyzing Korean-Chinese translation strategies and developing cooperation between target language translator and source language native.

      • 한국소설의 중국어번역에서 나타난 명시화의 양상에 대한 분석

        박선희(朴善姬),한금화(?金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5 중국조선어문 Vol.199 No.-

        최근 들어 한국소설이 중국어로 대량 번역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문학작품의 중역본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효과적인 번역전략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과제라고 할수 있다. 이에 본고는 조중번역에서 나타나는 명시화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론의하려고 한다. 주로 어휘적, 문법적, 텍스트적, 화용적 측면에서 나타난 명시화현상을 살펴봄으로써 조중번역에 있어서 명시화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번역기법이며, 명시화를 통해 역문이 더욱 역문의 언어학적특징에 부합될수 있도록 할수 있다는 결론을 얻어냈다.

      • KCI등재

        영한 게임 번역에서의 명시화에 관한 고찰 -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를 중심으로 -

        김홍균(Hong-kyun Kim)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원본 텍스트의 특정 정보를 번역 텍스트에서 더욱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활용되는 번역 전략인 ‘명시화’가 게임 번역에서는 어떻게 활용되어 게임 이용자에게 게임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명시화를 실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추가’와 ‘대체’ 번역 방식이 게임 번역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정보를 명시화하고 있는지를,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의 등장인물의 대사, 등장인물의 능력, 장비 아이템에 관한 설명 텍스트를 사례로 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게임 이용자 간의 대결이 주가 되는 장르의 게임 번역에서는 어휘의 삽입 혹은 대체를 통해 게임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명시화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으며, 게임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명시화하기 위해 게임 세계관, 문화와 관련된 정보는 일부 희생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information game users needs to play game is offered to game user by applying the notion of explicitation toward translated game texts. By using League of Legends" Character lines, Character Abilities and Equipment Description texts as a case, this paper focused on how "Insertion(addition)" and "Replacement" method are applied toward game translation and which information is being explicitated.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out that translation on Player vs. Player genre game, explicitation occurs by adding or replacing words containing information needed, and information about game control was prioritized among other information related with game universe and culture.

      • 한식명 중역(中译)에서의 명시화전략에 대한 고찰

        김청룡(金??)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6 중국조선어문 Vol.202 No.-

        본고는 한국 국립국어원《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을 대상으로 한식명 중역(中译)에서의 명시화전략을 살폈다. 중한 량국은 한(汉)문화라는 공동의 문화배경으로 인해 일부 한식명은 1:1 직역으로 번역하여도 중국인들의 리해에 큰 지장이 없지만 한국 고유의 문화가 스며든 한식명의 번역은 객관적이고 직관적인 명시화전략이 필요하다. 한식명의 중역은 주로 명시적요소추가에 의한 명시화전략, 명시적요소에 대한 2차 명시화전략, 비명시적문화요소를 명시적요소로 전환한 명시화전략 등을 채택하였다.

      • KCI등재

        Explicitation in Interpreting

        이미경(Lee Mi gyo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6 통번역교육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명시화가 통번역의 과정에서 언어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반드시 동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점에 이의를 제기한다. 동시통역에서 명시화는 여러 가지 형태로 표출이 되며 이는 의미전달의 과정에서 통역사가 받는 다양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언제 어떤 정보를 명시화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바는 통역사가 가장 효율적으로 의미전달을 하기 위해 채택하는 전략적인 행동이라고 하는 것을 본 논문에서 실제 통역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바이다. 실제 국제회의에서 이루어진 연설문과 동시통역을 분석하여 명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한결과, 동시통역에서 명시화는 연사가 출발언어텍스트를 통해 이루려는 목적(Skopos)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는 하나 이외에도 동시통역의 과정에서 수반되는 제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역사는 명시화를 항상 제공하기보다는 효율적인 표현의 전략으로서 사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헤겔에서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황순호 ( Hwang Soon-ho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50

        본 논문의 목표는 헤겔의 사상에 나타나는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의 변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보편적 이념이 개별 민족의 특수한 현실에 따라 실현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보편적 이념으로서의 보편자와 개별 민족의 구성원인 개별자의 통일이다.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변화한다. 첫째,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보편적 이념을 명시화하는 구성원들의 활동을 통해 변화한다. 개별 민족의 구성원들은 보편적 이념을 명시화함으로써, 보편적 이념을 표현하는 인륜적 총체성을 생성해나간다. 민족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명시화 활동은 민족의 특수한 역사적 현실에 근거하여 보편적 이념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편자와 개별자가 통일되어 산출된 인륜적 총체성은 정당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고, 민족 구성원의 도야를 이끈다. 반면, 개별 민족의 역사적 현실과 연결고리를 상실한 인륜적 규정들은 쇠퇴와 소멸의 길에 들어선다. 둘째, 개별 민족의 인륜적 총체성은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를 통해 변화한다.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는 은폐되고 억압된 보편적 이념을 전면적으로 해방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럼으로써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는 기존의 질서와 조직을 혁파하고, 새로운 이념에 부합하는 새로운 질서와 조직을 설립하는 결과를 낳는다. 세계사적 개인의 행위를 통해 새로이 설립된 질서와 조직은 개별 민족에 올바르고 유익하며,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내용을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thod of change of the nation’s holistic ethical life that is unique to each nation.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a nation is the result of realizing a universal idea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each nation. Therefore,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an individual nation is the unification of the universal as a universal idea and the individual as a member of each nation. And holistic ethical life of this individual nation changes in two ways. First,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an individual nation chang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ts members who articulate the universal idea. By articulating the universal idea, the members of each national group create the holistic ethical life that expresses the universal idea. The articula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members of the nation express a universal idea based on the specific historical reality of the nation.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each nation,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universal and the individual, secures validity and continuity, and makes the cultivaion of member of the nation possible. On the other hand, ethical life that lose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reality of individual nation enter the path of decline and extinction. Second, the holistic ethical life of individual nation changes through the activities of individuals in world history. The World-historical individual completely liberate the concealed and repressed universal idea. In this way, the World-historical individual first destroys the existing order and established organizations, and establishes a new order and organization that conforms to the liberated new idea. Orders and organizations newly established by World-historical individual are right and beneficial to individual nation, and have essential and necessary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