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eech Intelligibility of Spontaneous Conversa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4 Years of Age

        김수진(Soo-Jin Kim),김정미(Jung-Mee Kim),윤미선(Mi-S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Objectives: Speech intelligibility is an effective index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Conversational speech is one of the most socially valid contexts for evaluating speech intellig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spontaneous speech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4 years of ag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children in 3 age groups (G1, 2;00-2;11; G2, 3;00-3;11; G3, 4;00-4;11). Speech samples of the children were collected during conversations with their caregiver at home. Twelve college students listened to the recorded samples and evaluated the intelligibility using a rating scale and Eojeol (a unit of Korean language) identification test. Results: Intelligibilities measured by the rating were 40% for G1, 50% for G2 and 68% for G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elligibility among groups. However the results of the intelligibilities score by the Eojeol identification test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ose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ating scale for speech intelligibility was more sensitive than the Eojeol identification task for demonstrating the developmental change of speech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also provided the data of speech intelligibilities in typic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between 2-4 years of age. Thes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for clinical practice as well as for future research. 배경 및 목적: 말명료도는 말소리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지표이며, 일반 아동의 말소리 발달 평가와 연구에도 사용되고 있다. 2-4세는 말소리 습득과 발달이 활발히 진행되는 시기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 아동의 연령과 평가방법에 따른 말명료도의 차이를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4세 일반 아동으로, 각 연령 당 10명씩 총 30명 아동이었다. 말 자료는 어머니와 아동이 대화하는 자발화 녹음 자료에서, 연속된 아동의 50발화를 선정하여 어머니의 발화 부분을 제외하고 편집하였다. 평가자는 대학생 12명으로 말명료도 평가는 평정척도를 이용한 명료도 평정치와 낱말 확인과제를 이용한 어절 명료도의 두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명료도 평정치와 어절 명료도 값이 모두 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명료도 평정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어절 명료도의 차이는 연령 간 유의하지 않았다. 두 명료도 간의 상관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2-4세 아동 자발화에서의 말명료도 수준을 제시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발화의 말명료도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언어 발달과 같은 외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강희주,김희진,염지원,이유라,최은진,전병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6 No.1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DTVP 검사 결과 선별된 45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25일까지 기초선 1회, 중재 4회, 중재 후 평가 1회로 총 6회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후 평가 기간에는 글씨쓰기 명료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와 속도를 측정하였다. 중재기간에는 소리 내어 읽기를 하며 글씨쓰기를 하는 실험군, 글씨쓰기만을 하는 대조군1, 아무런 중재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2로 나누 어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중재 후 글씨쓰기 명료도 검사를 실시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글씨쓰기 중재 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글씨쓰기 명료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첫 번째 단어카드에서 대조 군1은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대조군2는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글씨쓰기 명료도 점수는 하락하였다. 두 번째 단어카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1은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과 대조군2, 대조군1과 대조군2는 집단 간 글씨쓰기 명료 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글씨쓰기 연습을 통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근거 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oud reading on handwriting legibility in low-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45 elementary school 2nd graders who were normally developed checked by the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Experimental period was conducted total six times that Pre-evaluation once, four times intervention, and Post-evaluation once from November 2 to November 25, 2015. When Pre-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was measured the handwriting legibility and speed using Handwriting Skill Test. When intervention divided and implemented to experimental group who handwriting with aloud reading, control group1 who only handwriting, and control group2 who nothing. Pre-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identified change the handwriting legibility using Handwriting Skill Test. Result : After intervention, handwriting legibility improve female than male. At word card1, control group1 improve significantly handwriting legibility within group and control group2 come out significant difference but handwriting legibility decrease. At word card2,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1 improve significantly handwriting legibility within group.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1, control group1 and control group2 come 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handwriting training improve handwriting legibility to elementary school 2nd graders

      • KCI등재

        노인의 말명료도 특성 분석

        권미지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clarity which can interfere with the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and to find out the causes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successful social life and reemployment. We analyzed the consonant accuracy, word clarity, and sentence intelligibility of 55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d clarity and sentence clarity according to age. 60s, 70s, and 80s, the intelligibility level was f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consonant accur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sonant accuracy, word clarity, and sentence clarity. Consonant accuracy and word clarity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correlation with sentence clar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consonants at the word level is maintained in the elderly, but the level of clarity at the sentence level is significantly lowered. These results may have a very bad influence on the social life and job opportunities of the elderly. 이 연구는 노인들의 의사소통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 말명료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원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사회생활과 재취업에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65세 이상의 노인 55명을 대상으로 자음정확도, 단어명료도, 문장명료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단어명료도와 문장명료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0대, 70대, 80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명료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 자음정확도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자음정확도, 단어명료도 및 문장명료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서로 매우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자음정확도와 단어명료도는 문장명료도와의 상관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경우 단어수준에서의 자음정확도는 유지되나 문장수준에서 명료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사회생활과 재취업의 기회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문장 수준에서의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종교개혁의 기초 원리로서의 ‘성경의 명료성’(Claritas Scripturae) 교리와 해석학적 함의에 대한 연구: 마르틴 루터를 중심으로

        김은수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4 No.-

        “오직 성경만으로(Sola Scriptura)!” 이 표어는 종교개혁의 중심원리 가운데 하나로서 다른 모든 신학적 원리들의 가장 기초가 되는 원리(prima principium)이다. 그러나 종교개혁기에 있어 다양한 논쟁적 상황에서 볼 때, “오직 성경만으로”라는 이 표어가 가지는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신학적, 실천적 의미들은 더욱 세분하여 정확하게 논구될 필요가 있다. “오직 성경만 으로”라는 종교개혁의 원리는 신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세부적인 교리로 구성됨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1) “성경의 충분성(sufficientia)” 교리와 (2) “성경의 명료성(claritas, or perspicuitas)” 교리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특히 두 번째인 “성경의 명료성” 교리가 가지는 실제적이고도 중요 한 의미들을 루터의 신학을 중심으로 연구 고찰한 것이며, 또한 이것이 그의 종교개혁신학의 정립 과정과 성경해석 원리 및 여타 다른 종교개혁 원리들에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구체적으로 구현되고 작동되었는지 살펴 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신학에 있어 특별히 ‘성경의 명료성’ 교리와 관련하여, (1) 인식적 원리(epistemological principle), (2) 신학적 원리(theological principle), (3) 해석학적 원리(hermeneutical principle), 그리고 마지막으로 (4)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로서의 그 실제적인 작용과 구체 적인 함의들을 구분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성경의 명료성’ 교리가 루터의 ‘십자가의 신학’과 그의 종교개혁운동이 진전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여러 신학적 논쟁 과 신앙적인 투쟁의 국면들에 있어 다양한 기능의 역할과 함의들을 함축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루터에게 있어 그것은 먼저, (1) 신학적 인식과 실천을 위한 명확한 확실성을 담보하는 근원적인 “인식론 적 원리”(epistemological principle)로 작용하고 있으며, (2) ‘십자가의 신학’의 정립을 위한 ‘그리스도와 복음 중심’의 성경해석의 “신학적 원리”(theological principle)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3) 종교개혁신학의 체계화를 위한 구체적인 성경해석 방법론을 구축하는 “해석학적 원리”(hermeneutical principle)로 작 동하고 있고, 마지막으로 (4) ‘말씀의 선포(설교)와 성례전의 개혁’, ‘전성도의 제사장직과 교회 직분의 개혁’,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소명론’과 일상의 삶의 개혁에 이르기까지 종교개혁신학의 핵심적인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들의 기초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현대 성경해석학 적인 위기의 상황 속에서 루터를 비롯한 종교개혁자들이 그들의 종교개혁신 학을 정립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초원리(prima principium)로 삼았던 “성경 의 명료성”(claritas Scripturae) 교리와 그것이 함축하는 올바른 성경해석 원리 들을 창조적으로 복원하여 더욱 발전적이며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깊이 있는 연구가 더없이 중요하고 긴급하게 필요하다 할 것이다. “Sola Scriptura!” This slogan is the prima principium among the various theological principles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However, we need to study and know more correctly and clearly about its theological meaning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situation of 16th century theological controversy. First of all, it is constituted the following two important theological sub-doctrines: (1) “the doctrine of sufficientia Scripturae” and (2) “the doctrine of claritas, or perspicuitas Scripturae.” In this study, between them, I especially focused on the second doctrine, “the doctrine of claritas Scripturae” in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In doing so, I also made a research and analyzed the process of its composition and various functions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theological and practical principles of the Reformation, especially in focusing on the following four themes: (1) ‘epistemological principle’, (2) ‘theological principle’, (3) ‘hermeneutical principle’, and (4) ‘practical principle’.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the doctrine of claritas Scripturae functions as a prima principium, the first principle, and had multiple roles in Luther’s theologia crucis and in the process of the Reformation. That is to say, in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it especially functions as follows: (1) it acted as the “epistemological principle”, which means that it was the foundation of certainty for theological knowledge and practice; (2) it was the “theological principle” for theologia crucis which concentrated on Jesus Christ and His Gospel; (3) it was the “hermeneutical principle” for the methodology of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systematization of Reformation theology; and lastly, (4) it was the foundation of the kernel “practical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i.e., th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reform of the sacraments, the priesthood of all-saints and the reform of the church ministry, and the doctrine of the vocation and the reform of daily life of the saints. In addition to this, we must creatively recover and develop, and systematically apply the doctrine of claritas Scripturae, prima principium of the Refor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our modern/post-modern theology and biblical hermeneutics just like the Reformers did so for their theology and the reform of the Church.

      • KCI등재

        청자의 친숙도에 따라 낱말수준에서 살펴본 24∼48개월 아동의 말 명료도 발달 연구

        김미진(Mijin Kim),하승희(Seunghee Hab)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4

        Background & Objectives: Speech intelligibility is an important index for determining a child’s verb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and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speech intelligibility based on single-word production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4 and 48 months of age according to listener’s familiarity with child’s speech.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at were divided into 4 age groups (6-month intervals, 10 children per group). The listener groups consisted of 40 children’s mothers and 42 individuals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 child’s speech. A picture list of 23 target words was presented to children who were asked to produce each target word spontaneously. Listeners listened to children’s recorded speech samples and transcribed what they understood. Speech intelligibility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number of fully intelligible target words by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multiplying by 100.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4 different age groups in both listener groups. Post-hoc test revealed that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early 2-year-old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te 2-year-old and early and late 3-year-old groups. Additio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peech intelligibility between the late 2-year-old group and late 3-year-old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peech intelligibility percentages between listener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Speech intelligibility rapidly developed at 2 years of age and gradually progressed showing more than 70% of speech intelligibility after 3 years of age. The results suggested that listener’s familiarity with a child’s speech did not affect the speech intelligibility measures in single-word levels. 배경 및 목적: 말 명료도는 아동의 말 산출 능력을 결정하고 언어치료 중재의 필요성과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머니가 청자일 경우와 아동 발화에 친숙하지 않은 청자일 경우에 따라 월령별 말 명료도 발달 양상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화자는 24∼48개월 일반아동을 6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각 10명씩, 총 네 집단으로 구성하였고 청자는 아동의 어머니 40명과 아동의 발화에 친숙하지 않은 사람 42명으로 구성하였다. 말 명료도 평가를 위해 선정된 23개의 목표낱말을 그림으로 제시해 단어명명하기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발화를 녹음하였다. 녹음된 발화를 두 청자 집단에게 들려준 뒤 아동이 의도한 낱말과 청자가 이해한 낱말의 수를 퍼센트로 산출하여 말명료도를 측정하여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월령에 따라 말 명료도 측정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청자에 따라 말 명료도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월령과 청자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후분석결과, 2세 전반의 말 명료도 결과는 2세 후반, 3세 전반, 3세 후반 말 명료도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고 2세 후반의 말 명료도 결과는 3세 후반의 말 명료도 결과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낱말수준의 말 명료도 검사에서 아동의 발화에 대한 청자의 친숙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 명료도 발달은 2세 전반과 후반에 비약적으로 발달하였고, 3세 이후의 연령부터 점진적인 발달을 이루어 70%이상의 말 명료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청각장애 성인의 청지각적 말 평가

        이성은(Sung Eun Lee),김향희(HyangHee Kim),심현섭(Hyun-Sub Sim),남정모(Chung Mo Nam),최재영(Jae Young Choi),박은숙(Eun Sook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4

        청각장애인은 의사전달이 어려운 ‘말 명료도’ 문제와 청자가 화자의 말을 이상하게 여기는 ‘말 용인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의 말 평가는 말 명료도와 분절적 요소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 성인의 발화가 초분절적 요소, 말 명료도, 말 용인도 측면에서 청지각적으로 어떻게 평가되는지 살펴보고, 초분절적 요소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음도, 음량, 음질, 공명, 억양, 말속도의 상위 6개 영역 항목에 속한 하위 22개 구체 항목으로 초분절적 요소에 대한 평가 항목을 작성하였다. 피험자는 고도 이상 난청 성인 55명이었으며, 언어습득 전과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 고도와 심도 난청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피험자는 그림설명 과제와 문단 읽기 과제, 무의미음절과 단어 이름대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청각장애 경력이 3년 이상인 언어치료사 5인이 초분절적 요소와 말 명료도, 말 용인도를 100mm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에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초분절적 영역 항목 중증도는 청력 손실의 시기와 정도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언어습득 전이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보다, 심도가 고도 난청집단보다 중증도가 높았다. 둘째,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는 언어습득 전이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보다 낮았고, 심도가 고도 난청집단보다 낮았다. 말 용인도는 말 명료도에 비하여 다소 낮게 평가되었으며, 두 변인은 전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언어습득 후 난청집단에서는 말 명료도에 비해 말 용인도가 다양하게 나타나서,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말 요소와 말 명료도, 말 용인도의 상관분석 결과, 분절적 요소는 말 명료도와, 초분절적 요소는 말 용인도와 상관계수가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말 명료도는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 억양 중증도, 말속도 중증도가, 말 용인도는 자음정확도, 억양 중증도, 공명 중증도, 말속도 중증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분절적 요소 역시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 영향을 미치며, 말 용인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청각장애 성인의 청지각적 말 평가에서 초분절적 요소, 말 명료도, 말 용인도가 청각장애의 다양한 말 문제를 기술하는 데 있어 유용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Pati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HI) have problems communicating due to the lack of speech intelligibility (SI) and speech acceptability (SA). However, the speech evaluation in clinics is limited to evaluating SI and segmental factors. Hence,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speech of adults with HI are perceptually evaluated in terms of suprasegmental factors, SI, and SA, and specifically how suprasegmental factors may influence SI and SA. Methods: First, the auditory-perceptual suprasegmental profiles were created by including the upper 6 section items such as pitch, loudness, voice quality, resonance, intonation, and speech rate, and the lower 22 concrete items. Fifty-five subjects were separat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onset of HL (prelingual vs. postlingual) or the degree of HL (severe vs. profound). Subjec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picture description tasks, paragraph reading tasks, non-syllabic and wordnaming tasks. Five professional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used the 100 mm Visual Analog Scale to measure the severity of the suprasegmental section items, SI, and SA.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prasegmental factors depending on the onset and the degree of HL; prelingual patients showed a relatively greater degree than postlingual patients, and the profound group demonstrated greater severity than the severe group. Second, SI and SA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prelingual and profound group than in the postlingual and severe group. In addition, overall SA rates were lower than SI rates. Although these 2 rates showed high correlations in general, no significant orrelations were observed in the postlingual group. Thi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egmental factors were more highly correlated with SI, but suprasegmental factors were more highly correlated with SA.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mplied that factors such as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percentage of vowels correct, and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speech rates significantly influenced SI. However, PCC,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the resonance and speech rates significantly influenced SA.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at suprasegmental factors, SI, and SA are valuable indices that may be applied to the effective evaluation of various speech problems in adults with HI during an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 KCI등재

        구개열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 상관연구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조음장애에 대한 임상적 의사결정에는 자음정확도 외에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대한 지표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의 문장발화에 대해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에게 8음절문장 7개를 따라 말하게 하여 63개 문장 발화의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문장 발화를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로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전체 문장,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수준별로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문장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말 용인도, 그리고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은 세 아동 집단에서 모두 유의하였다.문장의 유형을 구분하여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 말 용인도의 관련성을 분석한결과, 각 집단별로 유의한 상관을 보인 문장 유형은 다르나 대체로 혓소리와 발달상 늦게습득되는 자음 문장에서 상관이 유의하였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의 수준에 따라 세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 외에는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문장발화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가 높을수록 말 명료도와말 용인도도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자음정확도 외에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의 판정에 미칠수 있는 여러 조음 변인을 논의하였다.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두 변인에 작용하는 조음 변인이 다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Methods: Nine children with cleft palate, nin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abnormalities, all three to six years of age and age-match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eight-syllable sentences. Each utterance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to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a 10㎝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cores, speech intelligibilities, and speech acceptabilities of the sentences produced by children with cleft pal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CC scor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for lingual consonants and consonants that are generally acquired later during development was detec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ratings, and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were not significant when analyzed by level of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PCC score, they are not interchangeable measures. Variables that may underlie the relationships between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비재무적 성과척도, 종업원 역할 명료성 및 종업원 직무만족간의 관련성

        유승억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hypothesizes i)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and job satisfaction, ii)the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ii)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and job satisfaction is indirect through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To test hypothe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MOS is applied to questionnaire survey data from 102 manufacturing firm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and i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role clarity(goal clarity and process clarity). 본 연구에서는 비재무적 성과척도와 종업원 역할 명료성(목표 명료성, 과정 명료성) 및 종업원 직무만족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비재무적 성과척도의 이용이 종업원 역할 명료성(목표 명료성, 과정 명료성)과 종업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종업원 역할 명료성(목표 명료성, 과정 명료성)이 종업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또한 비재무적 성과척도의 이용이 종업원 역할 명료성을 통하여 종업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간접 영향에 대한 가설도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우리나라 102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 방법으로는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립된 네 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재무적 성과척도의 이용은 종업원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재무적 성과척도의 이용은 종업원 목표 명료성과 과정 명료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업원 목표 명료성과 과정 명료성은 종업원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비재무적 성과척도의 이용은 종업원 역할 명료성을 통하여 종업원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업원 역할 명료성(목표 명료성, 과정 명료성)이 비재무적 성과척도의 이용과 종업원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음소대조 낱말명료도와 문장명료도

        김수진 한국음향학회 2003 韓國音響學會誌 Vol.22 No.8

        이 연구는 말장애의 진단에 유용한 일음절 낱말대조 명료도 검사 (낱말명료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얻기 위한 것이다. 첫번째로 낱말명료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장명료도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은 .83으로 비교적 높았다. 두 번째로는 평가자들 간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낱말명료도는 명료도 손상의 수준에 상관없이 평가자들간에 일정한 변산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낱말명료도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마비말장애인의 명료도를 떨어뜨리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음소대조 요인을 살펴본 결과 종성이 가장 오류가 많았으며 다음으로 초성, 중성의 순서였으나, 회귀분석 결과 초성이 전체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The word intelligibility test for dysarthric speakers was designed to examine phonetic contrasts that are likely (1) to be sensitive to intelligibility impairment and (2)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speech intelligibility. These phonetically contrasting word pairs were tested and proved to be reliable and to be valid, The results showed that in Korean dysarthric patients, the percentage of error in final position contrast was higher than in any other position.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initial-position contrasts were crucial in predicting the overall intelligibility among Korean patients.

      • KCI등재

        식도발성 발화의 명료도에 대한 연구

        표화영,Pyo, Hwa-Young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5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esophageal speech, which is the way that the laryngectomized people who lost their voices by total laryngectomy can phonate by using the airstream driven into esophagus, not trachea. Three normal listeners transcribed the CVVand VCV syllables produced by 10 esophageal speakers. As a result, overall intelligibility of esophageal speech was 27%. Affricates showed the highest intelligibility, and fricatives, the lowest. In the aspect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palatals were the most intelligble, and alveolars, the least. Most of the aspirated consonants showed a low intelligibility. The consonants in VCV syllables were more intelligible than the ones in CVV syllables. The low intelligibility of esophageal speakers is due to insufficient airflow intake into esophagus. Therefore, training to increase airflow intake, as well as correct articulation training, will improve their low intelligibility. 본 연구는 후두적출술 후 성대를 상실한 후두적출자들이 식도를 통하여 끌어들인 공기로 발성하는 식도발성 발화의 명료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정상 청력을 가진 3명의 청취자가, 식도발성을 사용하는 화자 10인이 산출한 자음+모음+모음(CVV), 모음+자음+모음(VCV)의 무의미 2음절어를 듣고 그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식도발성의 전체적인 명료도는 27%로 나타났다. 조음방법적 측면에서는 파찰음이 가장 높은 명료도를 보였고 마찰음이 가장 낮은 명료도를 보였다. 조음위치적 측면에서의 명료도는 경구개음이 가장 높고, 치경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경음의 명료도가 높고, 격음의 명료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절내 3위치 측면에서는 CVV 음절보다 VCV 음절에 나타난 자음이 더 높은 명료도를 보였다. 식도발성 발화자가 보이는 명료도의 문제는 대개 충분한 공기량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확한 조음동작의 훈련 뿐 아니라, 충분히 공기를 유입하는 훈련을 병행함으로써 명료도를 개선시키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