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두경부암에서 면역회피 기전과 면역항암제 치료

        장현(Hyun Cha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3 No.1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은 전세계적으로 6번째로 흔하며 예후가 불량한 암종이다. 면역 감시는 두경부암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암세포는 면역 감시를 T세포의 관용을 유도하거나 체크포인트를 통한 T세포 기능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진행성 두경부암 임상연구에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명확한 항종양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처럼 면역항암제가 중요한 암치료 방법으로 떠오르는 이때에 본 종설은 두경부암의 면회회피 기전 및 임상적용근거에 대한 최근 지식을 정리하였다.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globally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mmune surveillance is well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chanism to prevent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HNSCC. HNSCC can escape the immune system through multiple mechanisms including development of tolerance in T cells and inhibition of T-cell-related pathways, generally referred to as checkpoint inhibitors. Recent clinical trials have demonstrated a clear advantage in advanced HNSCC patients treated with immune checkpoint blockade. Right at the front of the new era of immunotherapy, we will review current knowledge of immune escape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 for HNSCC.

      • KCI등재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모델에서 유도되는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보호 작용에 관한 연구

        이현정(Hyun Jung Lee),이도연(Do Yeon Lee),노유헌(Yoo Hun Noh),윤지영(Ji Young Yun),정윤희(Yoon Hee Chung),김경용(Kyung Yong Kim),김성수(Sung Su Kim),이원복(Won Bok Lee)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주요 카테킨 중 하나인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가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독성과 학습능력 손상에 대해 보호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를 SK-N-SH 세포에 처리한 경우 사립체 막전위차 손상 및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방출과 같은 사립체 기능손상과 caspase-3의 활성화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EGCG를 전처리한 경우, caspase-3의 활성화가 낮아지고, 사립체 막전위차의 손상이나 cytochrome c의 세포질 방출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ICR종의 생쥐에 PBS나 EGCG (10 mg/kg)를 3일간 복강주사와 함께 아밀로이드 베타를 주입하거나 아밀로이드 베타만 단독 주입하여 14일째에 각 동물들은 수동회피능력 시험에 적용하였고, 행동실험이 끝난 후 생쥐를 희생시켰다. 이후 외형적인 관찰과 면역조직염색 실험을 실시하여 해마 부위내의 신경세포 사멸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를 주입한 경우 신경세포 손상이 유발되었으며, 넓은 부위의 어포토시스가 관찰된 반면, EGCG를 함께 주사한 동물은 신경세포의 손상이 의미 있게 억제되었고, TUNEL 양성 반응의 세포들도 아밀로이드 베타 단독 주입한 동물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을 뿐 아니라 인지기능 손상도 효과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GCG가 효과적인 농도에서는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손상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whether green tea extract, EGCG protected against β-amyloid induced neurotoxicity and learning impairment in vitro and in vivo models. Incubation of SK-N-SH cells with Aβ induced activation of caspase-3, mitochondrial dysfunction such as collaps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release of cytosolic cytochrome c. Interestingly, pre-treatment of EGCG reduced significantly activation of caspase-3 and increase of mitochondrial damage such as the breakdown of MMP and release of cytochrome c, eventually attenua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Aβ. These results show that EGCG inhibited caspase activity and blocked mitochondrial damage. For in vivo experiment, ICR mice received vehicle or vehicle plus EGCG (10 mg/kg) i.p. for 3 days. Before 2 days of treatment, 5 μL of PBS containing 8 nmol of Aβ1-42 were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n the 14th day of treatment, animals were applied to passive avoidance test, and after behavial test, animals were sacrificed. Then, morphological techniqu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neuronal degeneration in the hippocampus. Aβ, but not PBS, injections into hippocampus led to neuronal loss and evidence of widespread apoptosis. EGCG treated animals had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amount of neuronal degeneration, and TUNEL positive cells compared with Aβ alone treated animals. These data suggest that EGCG at therapeutically relevant concentrations, might protect against neuronal degeneration induced by Aβ.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알레르기 비염 치료의 최신지견

        김하균,김태훈 대한의사협회 2016 대한의사협회지 Vol.59 No.4

        Allergic rhinitis is an IgE-mediated disease, leading to inflammation of the nasal mucosa. Typical symptoms of allergic rhinitis are nasal congestion, rhinorrhea, sneezing, and/or nasal itching. Allergic rhinitis is a major health problem worldwide that causes illness and disability in daily life, affecting social life, sleep, school, and work. The economic cost of allergic rhinitis is substantial.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can be categorized largely into ①allergen avoidance, ②pharmacotherapy, ③immunotherapy, and ④surgical treatment. Although the general consensus is that allergen avoidance should lead to an improvement of symptoms, it is nearly impossible to completely avoid all allergens in real life. The importance of allergen avoidance is that minimizing allergen exposure can decrease medication dosage. Pharmacotherapy of allergic rhinitis may include any of histamine antagonist, topical/oral corticosteroid, leukotriene antagonist, decongestant, mast cell stabilizer, and cholinergic antagonist alone or in combination. Oral and intranasal spray of these medications are the main routes of administration. Immunotherapy is the medical procedure that uses controlled exposure to known allergens to reduce the severity of allergic disease. There are two ways of administering this treatment: subcutaneous immunotherapy (SCIT) and sublingual immunotherapy (SLIT). Surgical treatment of the allergic rhinitis patient aims to resolve nasal obstruction by performing septoplasty or turbinopl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