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학협력에 의한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교육개발

        강혜승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21세기를 위한 인재양성의 교육 제도는 문자로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획득이라는 사전적 정의의 리터러시를 발전시켜 디자인에 적용된 정보에 대한 변별력을 기본으로 정보, 문자, 시각 리터러시 등의 복합양식인 멀티리터러시(Mult-literacy)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멀티리터러시의 적용으로 대학의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사회성을 가진 자기주도형 학습능력 향상에 의한 실질적 창의인재 육성을 위해멀티플한 상호보완적 리터러시 능력 강화 학습을 위한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교육 도입을 목적으로 산학협업에 의한 교육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상품개발을 위한 학습설계는 첫째, 문자와 정보 리터러시 교차학습인 사전 조사 선행 리서치, 둘째, 문자, 정보와 시각리터러시를 활용의 아이디에이션, 셋째, 멀티리터러시의 교차학습에 의한 디자인 상품개발, 마지막으로 상호평가로 교육체계를 구분하였다. 멀티리터러시 수업의 기대효과는 통시적 기획력을 갖춘 디자인 인재양성, 전문화된창의적인 상품개발 증진, 유가적 경험의 실무형 학습경험으로 통합된 역량의 복합적 교육이다. 급변하는 디자인 산업현장에서 산학의 디자인 협업은 사회요구를 분석한 멀티리터러시 도입의 디자인 상품개발이라는 산학 프로젝트형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자들의 성장된 디자인능력개발을 확인하였음으로 본 연구를 멀티리터러시 적용의 디자인교육 개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학습개발 모형으로 제안한다. 이는 산학협력에 의한 멀티리터러시 적용의 디자인상품 개발을 통한 디자인 산학협업 교육으로 학습자들에게 책임감 제고 기회를 제공하고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매개효과의 교육의 자료로 실질적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The education system for fostering talent for the 21st century requires multi-literacy, a complex form of information, text, and visual literacy, based on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formation applied to the design, developed from the conventional sense of literacy.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model by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with the aim of introducing multi-literacy design education for multi-literacy learning in order to foster practical creative talent by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sociality in university design education field by applying multi-literacy. Learning design for multi-literacy design product development divided the education system by first, pre-survey guidance, which is cross-learning of text and information literacy. Second, the ideation of using text, information and visual literacy, third, design product development by cross-learning of multi-literacy, and finally by mutual evaluation. The expected effects of multi-literacy learning were essential for complex education of combined competency with th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of diachronic planning skills, the promotion of specialized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and th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of Confucian experience. The design collaboration of industry and academia in the rapidly changing design industry scene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industry-academic project class model of introducing multi-literacy, which analyzed the social requirements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s, and the result is that the learners' advanced design ability development has been identified, and this research is proposed as a learning model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in multi-literacy appl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multi-literacy-applied design products b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education, we hope that industry-academic cooperating design education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ncrease their responsibilities and help them effectively with the material of a medium effect that can be understood and communicated.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리터러시 기반 교육의 의미 탐색

        박근영,김보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하여 멀티리터러시 기반 한국어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선행연구를 통해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을 통하여 멀티리터러시와 언어능력의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리고 한국어와 한국어가 사용되는 환경에 대해 탐색하여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멀티리터러시 기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기하였다.이를 통해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맥락적 이해가 필요하며 담화와 함께 주어지는 다중양식에서 의미를 이해하고 또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필요함을 논하였다.그리고 여러 모달리티가 수집되어 하나의 정보를 표현하는 다중양식을 중점으로 멀티리터러시 기반 한국어 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제시하였다.본 연구의 의의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한국어와 한국어가 사용되는 환경에 대해 탐색하여 멀티리터러시 기반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있다.또한 후속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수업 설계와교수 방법 및 학습 활동의 설계,학습자의 멀티리터러시 및 학습 향상도를 평가할 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며 실제 수업에서의 학습 효과와 멀티리터러시와 한국어 능력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explored the meaning of multiliteracies based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prior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multiliteracies and language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multiliteracies education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process. Along with the discourse, the Korean learners discussed the need for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bility to think and understand critically in multimodal. In additi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multiliteracies was explored and presented focusing on multimod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multiliteracies. The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literacies and Korean language ability should be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Furthermore, they highligh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ystematic teaching model, designing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디지털 전환, 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멀티리터러시」

        김종규 ( Kim Jong-gyu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멀티리터러시를 현실과 디지털 현실의 구축과 이해의 능력이라는 통합적 역량으로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리터러시들(multiliteracies)은 디지털 전환 이후 다양한 소통 환경이 촉발됨으로써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다양한 리터러시들이 때로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와 혼동됨으로써, 다양한 리터러시들 및 멀티리터러시 개념의 등장이 갖고 있는 근본적 의미가 왜곡되고 있다. 이는 리터러시에 대한 기존 이해와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그간 리터러시를 문자의 해석과 활용이라고 규정해왔다. 이로 인하여 리터러시를 현실과 세계에 대한 인간 활동이 아닌 그 활동의 수단으로만 이해하였다. 주어진 상황에 대응하는 도구로서, 다양한 소통 환경의 조성에 따른 도구의 다양화로서 이해된 것이 바로 멀티리터러시와 혼동되었던 다양한 리터러시들이다. 그러나 이 혼돈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리터러시들 역시 ‘리터러시’라는 점에서 본 논문은 다양한 리터러시들과 멀티리터러시를 구분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사용되는 리터러시의 방식을 넘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근본적 의미를 문자 전환과 디지털 전환과 연관하여 추적하여, 리터러시가 인간의 세계와 현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멀티리터러시가 우리의 다양한 현실, 즉 현실과 디지털 현실을 구축하고 그 세계를 이해하는 통합적 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define multiliteracy as the competence of constructing and understanding reality and digit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transformation. Multiliteracies sprang out of divergent environments of communication after digital transformation. But both the meaning of multiliteracies and multiliteracy have been distorted, for multiliteracies have been confounded with multiliterac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established understanding of literacy. We have defined literacy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letters. Thus, we have understood it as a tool of human action, not as the human action to the reality and world. Multiliteracies confounded with multiliteracy is the result of understanding them as tools corresponding to given situations, i.e. as the diversification of tools. However, we have to distinguish multiliteracy from multiliteracies to straighten out the confounding problem. Through these means, the writer tried to trace the fundamental meaning of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light of the words transform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is tracing, we became aware that literacy i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world. And we discovered that the fundamental meaning of multiliteracy is the integrated competence to construct and understand reality and digital reality.

      • KCI등재

        음악교과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안

        오지향 ( Oh Jihy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음악수업에서 멀티리터러시 교육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내용 및 수업유형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음악에 대한 기본 소양과 관련된 지식을 익히고 음악교과의 핵심역량과 멀티리터러시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홍보음악을 만들어 문제해결에 참여한다는 취지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 리터러시를 음악적 이해 능력으로서 학습자의 의미생성과정과 창조적 경험 과정을 강조해야 하며 이를 위해 멀티리터러시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멀티리터러시를 여러 가지 의사소통 기술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텍스트 양식임을 인식해야 한다. 수업을 설계할 때는 학습자의 관심사, 표현 의도, 및 목적을 고려하고 학생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매체와 방식에 반응해야 한다. 셋째, 음악교과에서 멀티리터러시를 활용할 때 매체 자체에 대한 지식, 매체를 활용하는 소비자로서의 지식 및 매체를 제작하고 확산하는 생산자로서의 지식이 통합된 내용으로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시대에 맞는 멀티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음악교과에서 변화하는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으로 나타나는 의사소통방식에 관심을 두고, 학습자들이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리터러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multiliteracy education and methods of practicing multiliteracies in music education. The study inclu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multiliteracy education in music and presents actual teaching-learning models and class types. The aim of the classes that were developed is to have students acquire basic and relevant knowledge about music and become equipped with core competency and an understanding of multiliteracy. The classes were designed so that students recogniz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re happening around them and participate in solving these by promoting music. The study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for music literacy that involves the learners’ abilities to comprehend music, multiliteracy can be used to emphasize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 and having creative experiences. Second, multiliteracy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form of text that uses multiple communication skills. When designing classes, the concerns, goals, and intentions of the learners to express someth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iverse media and the different methods used by these media. Third, when applying multiliteracy to music education, knowledge about the media themselves, the consumers, and the producers should be integrated. Although this study is merely theoretical, it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direction for multiliteracy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digital era. The researcher anticipates that future multifaceted research will be undertaken to examine changes in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in music that result from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with the recognition that learners’ comprehension and their use of diverse literacy, including music, may enhance their learning.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멀티리터러시 교육 내용과 방법 탐색

        이차숙(Lee, Cha-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멀티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이 및 인쇄 매체를 사용한 의사소통능력을 전통적인 리터러시라면 디지털 및 인터넷 매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을 멀티리터러시라 칭하고 본고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멀티리터러시의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저 탐색을 했다. 이를 통하여 유아를 위한 멀티리터러시의 교육내용으로 ① 비선형적이고 동시적인 사고중심의 메시지 생성, 제작, 소통 능력, ②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한 메시지의 비판적 분석 및 평가, 그리고 이해와 감상 능력, ③ 매체 사용기술 능력, ④ 기호변환과 다양한 표현방식 능력을 지도할 것을 제안했고, 교육방법으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이미 교육과정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프로젝트 접근법’ 등의 구조적 학습 틀을 이용하여 제작중심 활동으로 지도할 것을 제안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multiliteracies learning of young children. The communications mode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dia. This paper argue that the multiplicity of communications mode in the world today call for a much broader view of literacy than portrayed by traditional language-based approaches. So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has needed to prepare to teach this expanded notion of literacy. The new concept of literacy meant having the skills to interpret, understand, and express various meanings using multi media. This paper proposed to teach the skills ① to access and use various media, ② understand and appreciation media messages, ③ criticize and evaluate media messages, and ④ construct and communicate media messages. And also this paper proposed to teach multiliteracies through media production work using the frameworks of Reggio Emilia and project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매체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와 미디어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연(MiYeon Choi),박성복(SungBok Park),이형석(HyungSeok Lee)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3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필수 역량이지만, 기존의 시니어 세대는 연령, 성별, 소득, 학력 등의 요인으로 인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낮아 디지털 소외나 사회 부적응의 문제 등이 지적되어왔다. 그러나 50~60대 베이비 부머 세대는 기존의 시니어 세대와 달리 디지털 기기 사용 능력과 미디어에 대한 이해 능력 및 수용적 관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50-60대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간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인으로써 각 변인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실증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간 멀티태스킹 요인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자기효능감 요인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멀티태스킹 관계, 멀티태스킹과 지속이용의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관계에서 조절효과로써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간 관계에서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었으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색함으로써 학술적, 실무적 관점에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igital media literacy i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living in a modern society, but the existing senior generation has a low level of digital media literacy due to factors such as age, gender,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oblems such as digital alienation or social maladaptation have been pointed out. However, the baby boomers in their 50s and 60s differ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use digital devices, their ability to understand media, and their 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tasking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ir 50s and 60s, and analyzed how self-efficacy affects each variable as a moderating variable. We wanted to do an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level of digital media literacy, the more positive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and the multitasking factor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self-efficacy factor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multitasking, multitasking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tas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was verified,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ased on previous studies did not app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by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 interact socially through digital media.

      • KCI등재

        다중매체 언어 읽기와 ‘멀티리터러시-글쓰기’ 교육 - 매개체로서의 스마트폰 활용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손미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7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emergence of a digital network space, as a new topography, it is also required to newly expand literacy, which is an ability to read information, created in various ways. It means this age needs an ability to read different media, such as image and video and mix them in new ways, that is to say Multiliteracy. An important thing in education using media is to understand signs expressed through media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to convey, at the same time. For instance, if a given text is a visual medium, it must be done first to educate how to read an image. Students encounter a huge number of images when searching and using information. Multiliteracy writing is completed when gather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m overall, by directly ‘connecting’ to a digital network space that is a realistic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ere. This study is intended to enhance presence of multiliteracy writing and seek a method of expanding digital thinking power of learner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smartphone in class, as well. The key point is that multiliteracy, an ability to organize and integrate information, influences writing. In this paper, a smartphone was used to perform these processes synthetically and enhance the presence during an instru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igital literacy and multiliteracy of students improved along with writing skills. 뉴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교육현장도 변화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와 디지털 네트워크 공간이라는 새로운 지형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정보를 읽는 능력인 리터러시의 새로운 확장 또한 요하게 되었고 이미지, 영상 등 미디어와 접목된 다양한 매체를 읽고 새롭게 조합하는 능력, 즉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가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멀티리터러시에 대한 문제 제기는 활자매체를 벗어난 새로운 매체 읽기에 대한 문제 제기와 직결한다. 멀티리터러시 글쓰기는 디지털 네트워크 공간이라는 실제적 공간에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정보를 수합하고 선별한 후 종합 분석하여 글쓰기를 수행했을 때 완성된다. 본고의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멀티리터러시 글쓰기의 현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의 디지털 사고력을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이를 위해 수업 내 매개체로서의 스마트폰 활용 가능성에 대한 방안 또한 함께 살펴보았다. 교육에서 매체를 활용하고자할 때 중요한 것은 매체를 통해 표현된 기호와 전달하는 매체의 특성을 동시에 함께 이해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텍스트가 영상 매체일 경우, 영상을 읽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할 때 학생들은 수많은 영상들을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수자는 영상 텍스트를 읽는 방법에 대해서도 학생들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핵심은 정보구성과 정보를 종합하는 능력인 멀티리터러시 능력이 글쓰기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멀티리터러시 능력 안에는 다양한 매체를 읽는 능력인 다중매체 읽기 능력 또한 포함된다. 아무리 많은 정보가 주어져도 그 정보를 종합하는 능력은 읽기 능력이 수반되지 못할 땐 아무 능력도 발휘할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과정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되 수업 내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멀티리터러시 능력이 글쓰기 능력과 함께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통합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가능성 탐색

        조혜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4 사고와표현 Vol.17 No.1

        본 논문은 리터러시 교육에 있어서 원래의 리터러시 개념에서 분화되어 나온 다양한 리터러시(multi literacies)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하여 통합 리터러 시 교육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리터러시 통합 의 필요성은 리터러시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제한된 자원(시간, 교 수 여건 등)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에 분절적으로 이뤄졌던 리터 러시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에 있다. 이는 단순히 매체의 다양성을 확보하 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제 간 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필자는 기존의 다양한 리터러시 개념들을 고찰하여 시사점 을 탐색하였다. 이후 다양한 리터러시들을 개별적으로(분절적으로) 접근하여 교 육하기보다는 다양한 리터러시의 근간이 되는 기존의 리터러시 교육에 새로운 리터러시들을 통합하여 설계할 필요성을 제시하되, 매체의 다양성 확보와 더불 어 학제 간 교육을 통해 통합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는 리터러 시 교육의 의미를 재음미하고 한정된 교육 자원 내에서 통합적인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하는 멀티 리터러시(multi literacy) 교육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면서 그것의 한계로서 어느 하나의 리터러시가 주도권을 잡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며 통합 리터러시(Integrated literacy) 교육의 실현 방안으로서 기존의 통합 교과목의 사례를 참조하여 통합리터러시 교과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제한점은 제안한 통합 리터러시 교과목이 리터러시 통합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효과성은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검증할 수 있는지 제시하지 못한 데 있다. 이는 향 후 교과목의 실질적인 운영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literacies (multi literaci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literacy in literacy education. The need for literacy integration aim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ragmented literacy education b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tilizing limited resources (time, teaching conditions, etc.) without damaging the essence of literacy education. The ultimate goal is not simply to secure diversity in media, but to pursu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author examined various existing literacy concepts and explored their implications. Afterwards, rather than approaching and educating various literacies individually (segmentally), we suggested the need to integrate new literacies into existing literacy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various literacies, and design them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well as securing the diversity of media. He emphasized the need to pursue integration. This i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and build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within limited educational resources. Second, the author critically explores the meaning of multi-literacy education proposed in existing research, raises the issue of any one literacy taking the lead as a limitation, and proposes ways to realize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An integrated literacy subject (draft) was proposed by referring to examples of existing integrated subject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fails to suggest to what extent the proposed integrated literacy course can achieve the purpose of integrating literacy, and by what standards and how its effectiveness can be verified. This will be verified through actual operation of future subjects.

      • KCI등재

        멀티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학습효과 연구

        정경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최근 급격한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필요성에 비해 리터러시의 효율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통합적 미디어 리터러시가 청소년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와 같은 실증적 접근 등을 들 수 있겠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영 상교육과는 차별화되는 멀티미디어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청소년들에게 텍스트와 비디오와 사운드 등을 융합한 교육에 대한 결과를 학습 효과적 측면에서 연구했다. 멀티미디어 교육이 과연 청소년들의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 는 지에 대한 학문적 탐구다. 연구방법으로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병행한 결과, 멀티미디어 교육은 학습능력 향상 에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으로 언어 교육과 같은 외연 확대와 동시 에 실습 위주의 학습자 참여 교육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교육정책에 대한 제언은 멀티미디어 교육이 단지 기존교육의 보조수단이 아니라 전인적 인격을 달성하는 교육의 핵심으로서 모든 학습활동의 중심으로 자리할 수 있 다는 자신감으로 확산될 것이다. The need for literal education, matching the rapid changes in the media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it is true that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efficiency of literacy compared to the increasing need. For example, empirical approaches such as studies on the effects of integrated media literacy on youth learning. Thus, this paper took multimedia edu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image education, as a subject of research and studied the results of education that fused text and video and sound to teenagers in terms of learning effectiveness. It is an academic quest to see if multimedia education really has positive ㄷ effect for teenagers' learning. As a result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s a method of research, multimedia education was concluded to be meaningful in improving learning ability, and based on this, it presented a practical-oriented learner participation education while expanding appearance such as language education through multimedia education. The suggestions for these various education policies will spread to the confidence that multimedia education can be the center of all learning activities as the core of education that achieves an all-round personality, not just an aid to existing education.

      •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및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차이

        김선아 한국교육과학융합학회 2024 교육과학융합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및 미디어리터러시 인식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아교사 130명, 초등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은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차이를 조사한 결과, 멀티미디어 사용 횟수, 활용 시간은 유아교사 보다 초등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는 도입단계, 초등교사는 동기유발 단계에서 수업 중 꼭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 멀티미디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기기는 컴퓨터로 유아교사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대·소집단활동시간, 초등교사는 스스로 찾아 습득하며 수업 활동 중 가장 많이 활용하며, 유아교사 초등교사 모두 멀티미디어 교사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초등교사가 유의미하게 유아교사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미디어 특성 이해, 미디어 비판적 이해는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 상황에서 멀티미디어 교육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의 수준을 높여, 우리 사회에서 유아교육에 활용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설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multimedia and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28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sis we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media us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rst, In terms of the number of multimedia uses and usage time,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multimedia the most when it was deemed essential during class in the introductory stag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 the motivational stage. In multimedia devices,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through Internet 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nd and learn on their own, and all early childhoo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no experience in multimedia teacher training. Second, as a resulted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media literacy percep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understanding of sub-area media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ultimedia education is being used in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To use multimedia, you need to be well aware of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and it suggests finding out the reality of multimedia us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designing future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