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 망 관리 에이전트 설계 및 구현

        박상철,김태수,이광휘,Park, Sang-Cheol,Kim, Tae-Su,Lee, Gwang-Hw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8 No.5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망을 위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는 망 관리 시스템과 OSI 망을 위한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사용하는 망 관리 시스템을 상호 연동할 수 있는 통합 망 관리 에이전트 (agent)를 설계, 구현하였다. 서로 다른 두 망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앞서 수행한 MOVI(Managed Object View Interface) 개념을 이용하였다. 통합 망 관리 에이전트 설계를 위한 3가지 모델을 검토하고 이 모델들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적합한 모델을 선택 하였다. 선택한 모델을 구체화할 수 있는 통합 망 관리 에이전트의 논리적 구조와 구체적인 구현방법 그리고 각 모듈별 작동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망 관리 시스템인 osimis와 ucd-snmp 시스템을 참조 모델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망과 OSI 망을 망 관리적 측면에서 연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MOVI 개념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 망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에 대한 확장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this paper, an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agent has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to support different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for Internet and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for OSI networks. We used MOVI (Managed Object View Interface) concept to integrate the different network management systems. We reviewed three models to design the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agent and then selected a suitable model among them. The logical structure of an agent, the implementation method and the operation of each module have been shown in this paper. The osimis and ucd-snmp network management system have been used as the reference systems for implementing our system. The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agent can support the internetworking between Internet and OSI networks in the aspect of network management. Using MOVI concept, if a new management system is introduced, internetworking with this can be achieved by adding the new interface on the view interface of managed object.

      • KCI등재

        공급망 관리 성과차이와 재무성과 및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 분석

        김주은 한국회계정책학회 2017 회계와 정책연구 Vol.22 No.2

        Supply chain management is aimed at achieving the company’s goal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Therefore, suppliers’ active coopera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business operation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ifference of major financial ratios and firm val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upply chain performance in the domestic KOSPI listed manufacturing industry. This paper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as focused on measurement and case study of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difference and the stability index, growth index, activity index, profitability index, and enterprise value index, which are selected as the major financial ratio indexes, are significantly related (+). The higher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lower the ratio of debt and borrowing, and the higher the ratio of cash and net working capital. In addition, there is a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stainable growth rate. In the activity indicators, the higher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more significant the positive effect in turnover of receivables turnover and trade debt turnover. In terms of ROS and ROE, which were adopted as profitability indicators, the profitability index showed high performance in companies with high supply chain performance in all indicators. As a result, operating profi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inventory asset management and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operating costs through the management of supply chain performance. This leads to an advantage in seller negotiations. Thus, the expansion of internal reserve funds and the diverse use of working capital will also affect the rise in firm value. This was reflected in EPS and TQ figures. 공급망 관리는 공급자들과의 관계를 적절히 통제, 관리하여 기업이 지향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므로 공급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은 기업운영의 효율성 개선과 더불어 재무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망 관리 성과의 측정과 사례연구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여 국내 KOSPI 상장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급망 관리 성과차이에 따른 주요 재무비율의 차이와 기업 가치의 차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공급망 관리 성과차이와 주요 재무비율 지표로 선정된 안전성 지표, 성장성 지표, 활동성 지표, 수익성 지표 및 기업가치 관련 지표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급망 관리 성과가 높을수록 부채 및 차입금 비율은 낮았으며, 현금 및 순 운전자본의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성장률에 있어서도 매우 유의한 성과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 지표에서는 공급망 관리 성과가 높을수록 매출채권회전율과 매입채무회전율이 매우 유의하게 양(+)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지표로 채택된 ROS, ROE에 대해서 공급망 관리 성과가 높은 기업에서 수익성 지표의 성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공급망 관리 성과가 높은 기업일수록 수익성과로 강하게 반영됨을 말한다. 결국 공급망 성과관리를 통한 재고자산 관리의 효율성 증대와 불필요한 운영비용의 감소로 영업이익이 증가하게 되고 이것이 판매자 협상에서도 우위를 나타냄으로써 내부유보자금의 확대와 운전자본의 다양한 활용이 기업가치의 상승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이 곧 기업가치인 EPS나 TQ 수치로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공급망 성과관리의 향상이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 나아가 기업가치 지표에 매우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간의 관계를 기존의 정성적 연구와 사례연구를 넘어서 실질적인 경영성과 지표로서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하겠다.

      • KCI등재

        망중립성의 의미와 인터넷 접속서비스 제공자의 트래픽 관리범위에 관한 소고

        유지혜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20 No.2

        단대단 원칙에 따라 구축된 인터넷 망과 통신프로토콜은 모든 이용자들이 차별 없이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현재의 인터넷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해 왔다. 인터넷 공간은 정치, 경제, 산업, 문화 등 현대인의 모든 활동에서 기반이 되는 공적 자원으로서, 이용자가 콘텐츠, 기기, 서비스에 상관없이 동등하게 트래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망중립성 원칙은 인터넷 망의 공공성을 담보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트래픽의 폭증에 따른 인터넷 망의 혼잡이 가중되고 망에 위해를 끼치는 행위들이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 망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일환으로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인터넷 접속제공자에게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망중립성 정책의 일부로 포함되었다. 우리나라도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가 2011년과 2013년에 각각 트래픽 관리에 관한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법규를 통해 실효성 있는 망중립성 정책을 펴고 있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망중립성 정책은 추상적인 제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넷 접속제공자가 트래픽을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은 망중립성의 이념과 배치되거나 이용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인터넷 접속제공자가 망을 관리할 권한이 확대된 것으로 본다면, 그에 상응하여 인터넷상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인터넷 접속제공자의 책임범위 등에 영향을 받을 소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관련된 논의는 충분치 않아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배경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미국 및 유럽연합의 망중립성 정책 동향을 소개한 후 우리나라의 트래픽 관리기준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응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Open architecture of internet network and communication protocols based on end-to end principle have been made the internet culture that everyone can freely access to information and express their opinion without any discrimination of internet traffic. Internet network is considered as public resources for people'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has been supported by lots of people to protect the public nature of internet network, and now i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net policies in many countries. As internet traffic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internet network became more and more congested, and there is a need to find the way to manage and use the internet network effectively. Therefore, the way that allowing internet access service provider to manage traffic under certain standards was adopted into the network neutrality policy, and Korean government also announced the guidelines about managing internet traffic. In that net neutrality policy in Korea has been criticized that it was not supported by concrete and direct statutes, allowing internet access service provider to manage traffic could be against the ideology of net neutrality policy. And it is also worried about side effects such as infringement of user's right or expansion of responsibility of internet access service provider. But it doesn't seem that there are enough discussions about those issu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introduces current net neutrality policy of U.S. and E.U.,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n the guidelines of traffic management in Korea. It also suggests some countermeasures considering spirit of net neutrality principle.

      • KCI등재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의 관리객체 및 분산 망 관리 모델

        권태현,김춘희,차영욱,Kwon TaeHyun,Kim ChoonHee,Cha YoungW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3

        Optical burst switching (OBS) overcomes the inefficient resource usage of optical circuit switching and minimizes the optical buffering requirement of optical packet switching. 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GSMP) is an open interface between a label switch and a controller, and it provides connection, configuration, performance, event management and synchronization. GSMP open interface in the OBS network allows the implementation of OBS switch to be simple by separating the data forward plane from the control plane. We defined managed objects to support connection, configuration, performance, and fault management for the management of OBS network in the GSMP open interface. We proposed the network management model, in which the above managed objects are distributed in a controller and an OBS switch according to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management using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model in the GSMP open interface of OBS network by implementing GSMP and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with managed objects of OBS. 광 버스트 스위칭(OBS) 기술은 광 회선 스위칭에서 발생하는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개선시키며, 광 패킷 스위칭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인 광 버퍼링의 요구사항을 최소화한다. GSMP는 제어기와 레이블 스위치 사이에서 연결, 구성, 성능, 장애관리 및 동기화 기능을 제공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이다. OBS 망을 위한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 도입은 OBS 망의 전달평면과 제어평면의 분리를 실현하여 OBS 스위치의 구현을 단순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의 연결, 구성, 성능 및 장애관리를 위한 관리객체를 정의하였으며, 이들 관리정보가 관리 기능별로 OBS 스위치와 제어기에 분산되어 탑재되는 분산 망 관리 모델을 제안하였다. GSMP와 OBS 관리객체를 수용한 망 관리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에서의 분산 망 관리 모델을 이용한 연결관리의 실현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동북아에서의 공급망 금융의 과제

        박훤일 은행법학회 2016 은행법연구 Vol.9 No.2

        공급망 금융이란 제조업체의 공급망에 금융을 연계하여 그때그때 적절한 자금지원, 위험관리, 대금지급 등으로 개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공급자와 구매자는 경쟁관계가 아닌 협력관계에 서게 된다. 한국에서는 기업들이 공급망 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것과는 달리 금융권에서는 공급망 금융에 대한 준비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여건은 이미 성숙되어 동산채권담보법이 이미 시행되고 있고, 협력업체에 대한 주거래은행의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도 정착되었다. 공급망 금융의 부진 사례에서 오히려 공급망 금융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공급망 관리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운용한다면 공급망에 관한 정보의 사각지대를 피할 수 있고 단계별로 적절한 금융지원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가 공급망 참가자들 사이에 공유될 경우 정보의 미비점을 악용한 사례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셋째,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요에 부응하는 서비스 사업을 벌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망 금융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용자들이 실감할 수 있는 선순환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이 시급하다. 공급망 관리의 플랫폼을 통해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운용하고, 거래은행은 해당 기업에 대해 단계별로 단기 운영자금이나 장기 설비자금 또는 투자 등 적절한 파이낸싱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앞서 말한 동산채권담보법에 의하여 기계설비나 재고자산, 매출채권을 담보로 하여 좋은 조건의 은행대출을 받게 하려면 미국에서와 같이 담보물 평가회사, 담보자산의 현황 조사회사, 담보물의 처분을 대행하는 담보물 처분회사가 필요하다. 이 기회에 동산 담보물에 전자식별표를 붙여 수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면 담보물의 공정한 평가, 원매자 물색에 큰 도움이 되고 나아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기반의 물류관리를 통한 부가가치의 창출, 국경을 넘는 서비스의 확장도가능하다고 본다. 공급망 금융의 플랫폼을 구축할 때에는 모바일 폰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빅데이터 및 핀테크 활용 가능성을 전제로 해야 한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높인다면 머지않아 공급망 금융을 매개로 동북아 3국에 디지털 단일시장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제조기업의 녹색 공급망 관리시스템 구축에 대한 영향요인과 적합한 구축방안 개발

        최종민(Jong-min Choe) 한국생산관리학회 2017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제조기업의 녹색 공급 망 관리 기법들 도입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규명하고, 녹색 공급 망 관리 기법들로 구성 된 녹색 공급 망 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들을 검증,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제조 기업들이 환경경영을 위해 녹색 공급 망 관리 기법들을 도입할 경우 특히,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이며, 이러한 요인들의 상태에 따라 어떤 구축 방안을 채 택할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실증 분석결과, 녹색 공급 망 관리기법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으로는 법적 규제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모방 압력과 규범적 압력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내부 요인으로는 적극적 환경 경영전략과 환경경영 시스템의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에서 는 녹색 제품설계와 녹색 생산의 영향이 유의하였다. 따라서 녹색 제품개발을 통한 친환경 제품 생산과 생산과정에서의 환경오염 방지가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부적 요인과 기업 내부 요인 에 따라 녹색 공급 망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결정지우는 4가지 준비 상태를 집락분석을 통해 입증하였다. 집락분석 결 과, 잘 준비된 상태, 과잉 준비상태, 준비부족 상태와 낮은 준비상태의 4가지 상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 고 각각의 상태별로 적합한 구축 방안이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총체적 구축방안, 점진적 구축방안과 외부지향 구축방안만 확인되었다. 내부지향 구축방안의 존재 여부는 파악되지 않았으며 이는 정확하게 해당 상태에 속하는 집락이 구별되지 않은 이유 때문일 수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influential factors in the adoption of green supply-chain management practices(GSMPs) in manufacturing firms. GSMP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green product design, green purchases, liquidation of extra facilities, and green production. The results show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legal regulation, and imitation and normative pressur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option of green product design, green purchases, and green produ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internal factors, such as proactive environmental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on the adoption of GSMPs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kinds of GSMPs, both the effects of green product design on liquidation of extra facilities and the influences of green product design and green purchases on green produ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 Fi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een product design as well as green productio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Using a cluster analysis,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e four conditions for the four development approaches(i.e., stepby- step, total, internal-oriented, and external-oriented) of GSMPs. From these development approaches, step-by-step, total, and external-oriented approaches were empirically observed and confirmed.

      • KCI등재

        사이버 레질리언트 ICT 공급망 대책 개발에 관한 연구

        고영현,김정덕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0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0 No.3

        산업, 행정 등 국가 전반의 디지털화로 ICT 공급망은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의존도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ICT 공급망에 대한 제한된 가시성, 통제권으로 인해 기존의 정보보호의 관점으로는 ICT 공급망 위험을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최근 사이버 레 질리언스가 ICT 공급망 위험관리를 위해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사이버 레질리언스 관점에서 ICT 공급망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현재 사이버 레질리언스 관점에서의 ICT 공급망 위험 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레질리언스와 ICT 공급망 위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토의 를 통해 총 20개의 사이버 레질리언스 관점의 ICT 공급망 대책을 개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 뷰를 통해 개발된 대책의 중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사이버 레질리언스 관 점에서 ICT 공급망 위험을 관리함에 있어 유의미하고 유용한 대책을 도출하였다. 향후 사이버 레질리언스와 ICT 공급망 위험관리 관련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객관화를 위한 정량적 분석과 구체적인 대책 구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Du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ICT supply chain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dependent on it. Limited visibility and control over ICT Supply Chain make it difficult to manage ICT supply chain risk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ecur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Cyber Resilience has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concept for ICT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nd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controls to manage ICT supply chain risk from the perspective of Cyber Resilience. Nevertheless, the current research on ICT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from a Cyber Resilience perspective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20 controls for Cyber Resilient ICT Supply Chain were initially develop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s with security specialists. Developed controls are reviewed with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o assess of materiality and feasibility. This study derived meaningful and useful controls to manage ICT supply chain risks from the perspective of Cyber Resilience.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future Cyber Resilience and ICT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research. In order to object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quantitative analysis is necessary in the future. In addition, future researches on specific measures to implement Cyber Resilient ICT Supply Chain controls is requir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주요국의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지원정책 비교

        이수진 한국무역보험학회 2022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3 No.5

        본 논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망관리 위기를 대처하기 위해 국가별 정책방안과 향후 지원 방향 등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공급망을 재편하고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주요국인 중국, 미국, 유럽이며 우리나라 기업 공급망 관리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국가이기 때문에 지원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재해, 코로나 재확산 시 탄력적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방법은 2차 자료를 통한 문헌연구로 진행된다. 연구결과, 글로벌 공급망관리를 재편하고 회복하기 위하여 중국은 Dynamic Zero COVID, Made in China 2025, 미국은 공급망 행정명령 보고서, Trusted Value Chain 그리고 유럽은 기업 지속 가능성 실사 지침, IPCEI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한국 업체는 이에 대비한 사전 준비와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기업은 국내 또는 여러 국가에 제2, 3의 공급망을 추가 확보하고, 글로벌 공급망 비상상황(봉쇄, 자연재해 등)에 대비하여 사전교육 및 모의훈련을 실시함으로써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국내에 보유 중인 제품의 원자재 및 재고를 사전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국가에서 공급망 대책 방안으로 ‘리쇼어링(Reshoring)’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스마트공장과 같은 고위기술산업군(첨단제조업) 상용화가 리쇼어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 판단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제조업이나 첨단기술이 주된 국가경쟁력 핵심분야인 만큼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관리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업 글로벌가치사슬(GVC)' 참여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혁신인프라, 연구개발 등 비가격 경쟁력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품질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제조공정 전·후의 서비스업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디지털혁신을 통해 제조·서비스가 융합되는 '제조업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기획-제조(생산)-유통-사후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공급망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부, 민관, 기업, 학계 등이 이를 선도할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관심을 가지며 함께 협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공급망 관리(SCM) 파트너십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상만(Sang-Man Lee),이용길(Yong-Gill Lee),이국용(Kook-Yong L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07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협업, 정보공유, 갈등 그리고 지각된 파트너 명성이라는 네 가지 파트너십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공급망 관리(SCM)에 참여하는 파트너 기업에 대한 신뢰와 만족을 경유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을 살펴았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중소기업들 중 공급망 관리를 추진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수집된 277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파트너 기업에 대한 신뢰는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만족은 신뢰를 경유한 간접적인 영향력만 확인되었다.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기업 간 협업, 정보공유, 갈등 그리고 지각된 파트너 명성은 만족 또는 신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기업 간 파트너십이 기업의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기업간 협업, 정보공유, 갈등 그리고 파트너 명성등이 파트너십을 강화하게 되어 결국에는 기업의 성과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M Partne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s(financial/non-financial). We wondered what factors make effects to SCM Partnership, and so we made this model lies in Cooperation, Information Sharing, Perceived Conflict and Perceived Partners’ Reputation. To test and calculate the influencing effects, we use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by LISREL v. 8.52, and SPSS v. 15.0. To identify these relationships and test 13 hypotheses, the secondary data or previous studies that were related with SCM Performances and Partnerships(Trust and Satisfaction), SCM implementation etc, were collected and theoretically arranged.<BR>  As the results of the test, we came to get the conclusions as follow; First, SCM Partnerships(Trust and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corporate’s performances directly or indirectly.<BR>  Second, the perceived conflict in implementing SCM is a negative factor in satisfaction and trus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conflict should be the salient factor i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trust building process.<BR>  Third, the three salient factors, the cooper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perceived partners’ reputation in the process of SCM, were found out to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and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