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과 문화 : 박세당만시(朴世堂挽詩)의 흐름과 표현 양상

        주영아 ( Young Ah 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挽詩는 죽음을 애도하는 시다. 특정 인물을 대상으로 고인의 사회적 명망을 추앙하고 죽음을 슬퍼하는 시다. 만시는 조선시대에 개인 문집이 많이 성행하면서 사회적 신분이 높은 사람을 중심으로 작품의 수효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만시의 무분별한 성행은 실제 고인의 행적보다 고인의 일생을 더 높게 과장하거나 추앙하는 병폐를 보이기도 하였다. 본고는 17세기 유학자 박세당이 지은 만시를 중심으로 그 표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의 만시는 『西溪集』에 104명을 대상으로 지은 작품으로 조선후기 만시에서 보여주는 허위적이고 과장된 것에서 벗어나 가장 원초적인 죽음에 대하여 읊었으며, 많은 만시에서 보이는 상투성에서 벗어나고 있다. 박세당의 만시 104제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표현 양상이 달라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죽음에 대한 인식의 강도가 자신과는 거리가 먼 가장 일반적인 의미로 표현되고 있으며, 사전적이고 일상적인 의미이외의 어떤 것도 표현하려 하지 않았다. 50대 이후에 쓰여진 만시는 고인을 바라보는 시선에 미련이 드러났으며 살아남은 자의 애통함으로 확장되어 나타났다. 60대 이후 지어진 만시는 연이은 두 아들의 죽음으로 죽은 사람에 대한 안타까움보다 살아남은 사람의 비통함을 표현하기도 하였고, 좀더 나아가 죽음에 대하여 초월적 시선을 보이기도 하였다. 박세당의 만시 연구를 통해 만시 표현의 다양성을 찾고자 하였다. 고식적이고 상투성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졌다고는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전대에 나타났던 전형적인 만시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으로 만시의 내용이 다양해졌다. 특히 고인의 업적을 추앙하기보다는 죽은 자와 산 자의 교감, 남겨진 자의 통한 등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일상과 진솔한 감정이 고스란히 표현되었다. Mansi(만시:condolatory poetry) is a poem of mourning death. In other words, it is a poem of revering the social reputation of the dead and of feeling sorry for death targeting specific character. Mansi was exponentially increased the number centering on people whose social status is high while an individual`s collection of works was much prevalent in Joseon period. Due to prevalence of Mansi, the evil practice was ever shown, which exaggerates or reveres more highly than the actual track of the dea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ts aspect centering on Mansi that was composed by Confucian scholar Park Se-dang in the 17th century. As for Mansi composed by Park Se-dang, there is a work that was written targeting 104 people in 『Seogyejip (서계집)』. Park Se-dang`s Mansi recited on the most basic death with escaping from what was false and exaggerated, which is shown in Mansi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is breaking from convention, which is indicated in many condolatory poems. As for Park Se-dang`s Mansi, 104 Je can be known to be varied the expression aspect depending on sequence of time. In the early days, the intensity of recognition was being expressed as the most general meaning, which is distant from himself. Nothing was aimed to be expressed except dictionary and daily meaning. As for Mansi, which was written following his 50s, a sight of looking at the dead was indicated by being expanded into a living person`s grief along with lingering attachment. Mansi, which was composed following his 60s, ever expressed a living person`s deep sadness rather than a regret for the dead due to two sons consecutive death. Furthermore, the transcendental sight on death was ever shown.

      • KCI등재

        이숭인의 挽詩類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하정승 한국한시학회 2013 韓國漢詩硏究 Vol.21 No.-

        만시는 한시의 여러 갈래 중에서도 가장 극적이고 감성적인 영역이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사람의 죽음을 다루고 있는 만시의 속성과도 관계된다. 자고로 죽음은 우리 인생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이다. 죽음은 생자와 망자의 영원한 이별을 의미한다. 때문에 그 망자를 추억하고 기리며 슬퍼하는 만시는 본질적으로 감성적이고 격정적이며 때로는 극적이기까지 하다. 한국한시사에서 만시 창작의 전통은 일찍이 김부식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부식 이후 고려후기로 갈수록 문인들 사이에서는 가까운 주변의 가족과 親友들, 스승, 선·후배의 죽음을 당하면 만시를 쓰는 것이 관례처럼 보편화 되어갔다. 만시를 포함한 죽음을 주제로 다룬 시들은 지극히 사적인 정서를 다루고 있다는 면에서 보면 매우 주관적이다. 하지만 동시에 죽음이라는 것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인류 보편의 문제임을 고려한다면 매우 객관적이기도 하다. 이처럼 주관성과 객관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이 죽음을 주제로 한 시들의 문학적 매력이자 연구해볼만한 가치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가장 서정적인 시인 도은 이숭인의 만시를 주목하여 그 특질을 살펴보았다. 『도은집』에 실린 시들 중에서 만시임을 직접적으로 표방하고 쓴 것은 대체로 19제 남짓이다. 이 가운데 오언율시가 10제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이는 동시대 다른 시인들, 예컨대 이색이나 정몽주등과 비교할 때 양적으로는 적은 분량이다. 하지만 내용적인 서정성이나 시의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에는 그 누구의 만시보다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이숭인의 만시가 적은 이유는 만시의 대상이 되는 인물들 대부분이 개인적 친분관계의 친우들이고, 그것도 시인과 아주 가까운 인물들이라는 것이다. 즉 의례적인 부탁 등으로 지은 시는 거의 없다는 말이다. 이숭인은 본인의 사적인 감정에 의해서 망자에 대한 깊은 애도와 추억이 있을 경우에만 만시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이숭인의 서정성 짙은 만시는 그 후 조선시대로 계승되어 한국한시사에서 만시 창작의 전통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Mansi(挽詩) belongs to dramatic and emotional field in Chinese poetry. Because Mansi handles the subject of human death. Indeed death is the most important moment in one's lifetime. Death means an eternal farewell to the dead. Mansi is a song about bidding the last farewell to someone you love, so it can't help but be dramatic, emotional, and surging. The tradition of Mansi creation begins with Kimbusik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Writing Mansi had become a custom for paying one's respects to the souls of the dead since Kimbusik. During late Korean dynasty such a phenomenon had been getting richer and richer. Mansi, the poem dealing with death is very subjective. Because this is involved with personal feelings. But death is common human problem, so Mansi is also objective. Like this, the poem about death such as Mansi is subjective and objective at the same time. For that reason, Mansi is attractive and worth studying.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Doeun-Leesungin's Mansi. Leesungin is a lyric poet who represent the late Korean dynasty. <Doeunjib> is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Leesungin. In this book, 19 pieces of Mansi are carried. Among them, 10 pieces of Mansi are Oeunyulsi. The number of Mansi written by Leesungin is less than the number of the other poet's Mansi. But the quality of Mansi written by Leesungin is the best. Leesungin wrote Mansi only when he felt very sorry for a person's death. This is the reason why Mansi written by Leesungin is small in number but full of lyricism. Some poets in Chosun dynasty succeed Leesungin's Mansi. The tradition of Mansi creation can be made through such process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 만시(輓詩)에 나타난 슬픔 표출 방식 고찰 -목릉성세(穆陵盛世) 문인을 중심으로-

        김하윤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22 人文論叢 Vol.39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네 명의 문인(정온, 김상헌, 김육, 장유)들 의 만시를 중심으로 슬픔의 표출방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죽음 은 대상의 영원한 부재를 의미하고, 만시는 망자(亡者)와의 인생 을 회고하고 추모하면서 지은 한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만시는 고인과의 친소 관계나 대상에 따라서 표현방식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슬픔과 칭양(稱揚)을 중심으로 자발적 창작이 주를 이루고 있 다. 본고에서는 네 명의 문인들의 만시 작품들을 중심으로 곡진한 슬픔을 표현하는 방식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네 명의 만시 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들을 소개하였고, 이들은 모두 목릉성세(穆 陵盛世)의 비슷한 시기를 살다간 당대 대표적 문인들이기 때문에 작품에서 보이는 표현 양상들의 비교 연구를 통해 만시 창작이 활 발했던 당시의 분위기를 읽어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 다. 선행된 연구는 먼저 네 명의 문인들에 대한 만시를 전체적으로 개관해보고, 개략적으로 서술해보았다. 그리고 이들이 만시를 통해 망자를 애도하는 주된 표현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첫 번째 는 고인과의 추억과 일화를 다시 소환해가면서 망자와 즐겁게 지 냈던 시간들을 함께 공유한 일화를 통해 슬픔을 표출하는 방식이 다. 두 번째는 감정의 직접적인 전달보다는 주변 자연이나 배경에 감정을 의탁하거나 우회적으로 말하는 방식으로 감정을 표출하여 화자의 슬픔의 깊이를 독자가 가늠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 로 세 번째는 떠나간 망자에 대한 축도(祝禱)의 한 형식으로 도교 사상을 빌어서 기원하는 것이다. 현실의 힘들고 어려웠던 일들을 모두 벗어던지고 초월세계인 선계(仙界)에서 편하고 즐거운 일만 가득하기를 바라는 망자에 대한 화자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This thesis was intended to examine the way of expressing sadness, focusing on the late poems of four literary men(Jeong On(鄭蘊), Kim Sang-heon(金尙憲), Kim Yuk(金堉), Jang Yu(張維)) in the Joseon Dynasty. Death means the permanent absence of an object, and mansi(輓詩) refers to Chinese poems composed while reminiscing and commemorating the life with the deceased. In general, the expression method of mansi(輓詩) vari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or the target, but the spontaneous creation mainly focuses on sadness and praise. Focusing on the Mansi(輓詩) works of the four writers, the methods of expressing profound sorrow were examined in this paper. First, we introduce the approximate contents of the four Mansi, and since they are all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time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of Mokreung Seongse (穆陵盛世), the atmosphere of the time when Mansi(輓詩) creation was activ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expression aspects seen in their works. could be a measure of reading. First, the Mansi(輓詩) of the four writers was overviewed and briefly described. And the main way they express their mourning for the deceased through Mansi(輓詩) is, first, to express sadness through recalling memories and anecdotes with the deceased and sharing anecdotes of happy times with the deceased. The second is to let the reader gauge the depth of the narrator's sadness by expressing emotions by entrusting them to the surrounding nature or background rather than directly conveying them. Finally, the third is a form of benediction for the departed, praying for the Taoist thought. They want to throw away all the hard and difficult things in reality and only have comfortable and enjoyable things in the transcendental world, the world of celestial beings.

      • KCI등재

        고려,조선 유자(儒者)의 만시(輓詩) 연구

        윤인현 ( Yun In Hyun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본고는 고려와 조선 시대 儒者들의 輓詩를 대비하여 그 특징을 살펴 본 글이다. 일부 연구자의 연구 중 만시가 상투적이고 형식적이라고 한것이 있었는데, 정말로 고려 와 조선의 유자들이 지은 만시가 상투적이고 의례적인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고려와 조선시대의 만시를 考究해본 결과, 상투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사상의 차이도 드러났다. 고려시대는 도교와 불교적 배경의 만시가 있었으며, 그 사상적흐름은 조선 초 유자인 서거정의 만시까지 이어져 도교 사상과 불교적 내세관이 반영 되었다. 그리고 조선 중기 정철의 만시에도 도교의 신선 사상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특히 성리학이 이념화된 이후에는 그 이전까지 지녀왔던 도교의 신선 사상이나 불교적 내세관은 儒者의 만시에서 찾아볼 수가 없었다. 儒者들은 부녀자에 대한 만시라고 하여 일부러 기피하지는 않았다. 고려시대나 조선 시대에도 자기 주변의 사람들에 대해서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그들의 죽음을 만시로 애도하였다. 만시는 한 인물이 이 세상을 떠나면 이승에 남은 사람이 그의 일생을 되돌 아보고 애도하는 마지막 작품이기에, 작시자는 한 글자도 서툴게 표현하지 않았으며 글도 상투적.형식적으로 마무리하지 않았다. 만시는 이승과 저승, 죽은 자와 산 자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었기에 진심을 담아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그 인물을 잘 드러내지 못할까 염려했던 부분은 있었다. 그런 차원에서 문장이 뛰어난 유자에게 만시를 대신 지어 줄 것을 부탁했던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철저한 유자들은한 글자 한 글자에 망자에 대한 칭송과 슬픔을 담고자 노력하였던 것이다. 그런 철저한 유자들의 노력이 만시의 眞想으로 거듭나게 되었던것이다. Mansi(輓詩) created by Confucian scholars is composed of the praise of the dead in the first part and lamentation over the dead in the latter part. The praise in Mansi is not cursory one, which is conventional expression and practically the same, but Mabsi features the praise with Chinese characters which express the outstanding deeds of the figure. Mansi in the Koryo Dynasty consists of the mixture of Confucianism- Buddhism-Taoism and its ideological foundations lasted until Seo geojeong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owever, as Neo-Confucianism became ideology, Mansi focused on Confucianism was created in the 16th century and Daeinjak(代人作) was written in the 18th century of late Chosun. Daeinjak did not deviate from Confucian formality or was not embellished by conventional expressions. Mansi was the work for the lamentation ritual of the dead in their last passage with the last painstaking care of the men alive. Thus, sadness was melted in each latter with a True thoughts. Mansi written by women was confined to surrounding people and they did not evade it deliberately in the Koryo and Chosun Dynasty.

      • 투고논문 :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만시(輓詩)를 통해 본 죽음의 형상화(形象化) 방식(方式)

        손유진 ( Yu Jin S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4 No.-

        본고에서는 조선 중기 대표적 禮學者인 愚伏 鄭經世(1563-1633)의 만시를 대상으로 하여, 여기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지인의 죽음에 대처하는 작자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어와 표현이 관습화되어 있는 만시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우복의 만시에서 도 동일한 典故나 用事가 서로 다른 인물에 대한 만시에서 상투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그 전개 방식 또한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즉 우복은 공적 관료의 입장에서 만시를 지을 때에 만시 대상 인물의 인물됨과 그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감회를 서술하면서, 죽음과 관련된 일반적 전고를 차용하되 대상 인물과 자인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관용구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관습적 형상화의 방식으로 대상 인물의 공적 지위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고 여기에 각 인물과 연관된 자신의 기억을 특별히 附加함으로써 관습적 표현으로 인한 상투성을 극복하였다. 반면 만시의 대상이 친우나 친족일 경우에도 장르 자체의 관습성 때문에 구성 방식에서는 인물에 대한 평가와 자신의 감회라는 일반적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서는 앞의 경우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즉 만시에서 절반 이상 언급된 대상 인물과의 기억은, 그의 문집 곳곳에 남아 있는 기록을 찾아 읽을 때에 마침내 한 편의 완전한 서사물처럼 완결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복이 개인적 친분에 의한 만시를 지을 때에, 전반부에 인물과의 인연을 길게 배치시킴으로써 만시의 관습성을 뛰어넘고자 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상황에 맞는 전고의 인용이나 시구에 대한 自註를 통해 구체성을 보완하여 만시의 장르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대상 인물과 관련된 문집 속의 여타 기록들 속에서 이해할 때, 창작의 맥락이 온전히 이해되고, 작품의 특징 또한 선명히 부각되도록 한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iguration method and attitude of the poet, Woobok Jeong Gyeong-se(1563-1633), a prominent scholar in the mid-Joseon Dynasty, towards a death in his monody. In "Woobokjib", a collection of his poems, there were around 190 chinese poems, and 42 monodies under 38 subtitles, which makes up about 20 % of his poems. Like characteristics of other general monodies with fixed poetic words and expressions, in terms of describing the deceased, in Woobok`s poetry, similar kinds of traditional events and poetic expressions were found in a cut-and-dried manner, and, likewise, the manner of developing the story appeared conventional. That is, when he wrote a monody from the position of a public officer, he described the deceased`s personality, as well as his own emotions about him. In describing events, he wrote in the general style in the time, yet, at the same time, in describing the deceased, he used proper idiom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with the consideration for the dead. By the use of figuration of idioms, he enhanced the dead person`s official or social position, and, by adding his own memories, he overcame the cliche in the poetry. However, when it was about his close kith and kin, due to the conventional aspect of the genre itself, its form was constructed in a general way; evaluation about the person and his personal feelings, but contents were far different from the others mentioned above. In other words, all the memories of the deceased mourned in the monodies would only be completed when all collected memories of him were combined, just like understanding a narrative wor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monody, he was not be able to express all his griefs about the memories of the person and his death into the work, but we could see that he tried 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ad and himself, which might had been be longer than 10 years. Based on all this evidences, when Woobok wrote a poem dependent on his friendship with the deceased, he positioned the connection with the person in the front part of his poetry in order to avoid using cliche. In addition,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genre with the support of added concreteness; quotat

      • KCI등재

        愚伏 鄭經世의 輓詩를 통해 본 죽음의 形象化 方式

        손유진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4 No.-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iguration method and attitude of the poet, Woobok Jeong Gyeong-se(1563-1633), a prominent scholar in the mid-Joseon Dynasty, towards a death in his monody. In “Woobokjib”, a collection of his poems, there were around 190 chinese poems, and 42 monodies under 38 subtitles, which makes up about 20 % of his poems. Like characteristics of other general monodies with fixed poetic words and expressions, in terms of describing the deceased, in Woobok's poetry, similar kinds of traditional events and poetic expressions were found in a cut-and-dried manner, and, likewise, the manner of developing the story appeared conventional. That is, when he wrote a monody from the position of a public officer, he described the deceased's personality, as well as his own emotions about him. In describing events, he wrote in the general style in the time, yet, at the same time, in describing the deceased, he used proper idiom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with the consideration for the dead. By the use of figuration of idioms, he enhanced the dead person's official or social position, and, by adding his own memories, he overcame the cliche in the poetry. However, when it was about his close kith and kin, due to the conventional aspect of the genre itself, its form was constructed in a general way; evaluation about the person and his personal feelings, but contents were far different from the others mentioned above. In other words, all the memories of the deceased mourned in the monodies would only be completed when all collected memories of him were combined, just like understanding a narrative wor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monody, he was not be able to express all his griefs about the memories of the person and his death into the work, but we could see that he tried 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ad and himself, which might had been be longer than 10 years. Based on all this evidences, when Woobok wrote a poem dependent on his friendship with the deceased, he positioned the connection with the person in the front part of his poetry in order to avoid using cliche. In addition,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genre with the support of added concreteness; quotations of traditional events relating to the situation and annotation of line. Therefore, his intentions in his creativity can only be completely understood with the effort of additional reading about the dead in a relevant collection or other records, and then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can stand out. 본고에서는 조선 중기 대표적 禮學者인 愚伏 鄭經世(1563-1633)의 만시를 대상으로 하여, 여기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지인의 죽음에 대처하는 작자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어와 표현이 관습화되어 있는 만시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우복의 만시에서 도 동일한 典故나 用事가 서로 다른 인물에 대한 만시에서 상투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그 전개 방식 또한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즉 우복은 공적 관료의 입장에서 만시를 지을 때에 만시 대상 인물의 인물됨과 그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감회를 서술하면서, 죽음과 관련된 일반적 전고를 차용하되 대상 인물과 자인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관용구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관습적 형상화의 방식으로 대상 인물의 공적 지위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고 여기에 각 인물과 연관된 자신의 기억을 특별히 附加함으로써 관습적 표현으로 인한 상투성을 극복하였다. 반면 만시의 대상이 친우나 친족일 경우에도 장르 자체의 관습성 때문에 구성 방식에서는 인물에 대한 평가와 자신의 감회라는 일반적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서는 앞의 경우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즉 만시에서 절반 이상 언급된 대상 인물과의 기억은, 그의 문집 곳곳에 남아 있는 기록을 찾아 읽을 때에 마침내 한 편의 완전한 서사물처럼 완결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복이 개인적 친분에 의한 만시를 지을 때에, 전반부에 인물과의 인연을 길게 배치시킴으로써 만시의 관습성을 뛰어넘고자 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상황에 맞는 전고의 인용이나 시구에 대한 自註를 통해 구체성을 보완하여 만시의 장르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대상 인물과 관련된 문집 속의 여타 기록들 속에서 이해할 때, 창작의 맥락이 온전히 이해되고, 작품의 특징 또한 선명히 부각되도록 한다.

      • KCI등재

        鄭斗卿 挽詩 연구

        이남면(Lee, Nam-myon) 대동한문학회 2011 大東漢文學 Vol.35 No.-

        This paper is to research Requiems(挽詩) written by Jeong Du-Gyeong(鄭斗卿), a poet who representing the 17th century. First of all, the main character of Jeong Du-Gyeong’s Requiems are royal family member and people in high social status. In use of verse form, he frequently used Yulsi(律詩) with five wards, and used a lot of sequential forms too. Contents of Jeong Du-Gyeong(鄭斗卿)’s requiem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poem focused on the social status of dead person, the other is the poem expressed individual emotion truly. The former have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status of a dead person again. About top officials, poet speaks highly of their efforts to overcome a national crisis and their sincere advice to the king on national problems. However about relatively low officials, poet speaks highly that they governed well as the mayor of a town and feels sorry for their unfortune at the same time. In the latter case, the memories dead person and poet shared together, poet’s true feelings for a dead person, and deep sorrow are expressed mainly. Poet’s whole heart and soul is in these poems, so it makes a deep impression on the reader. Meanwhile, Jeong Du-Gyeong made use of a lot of Yongsa(用事) in his requiems. Yongsa(用事) of his requiems had correctness and excellence as well as variety. These Requiems(挽詩)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ed a chaotic state of affairs of the 17th century and it made requiem’s the beauty of art higher through Yongsa(用事). 이 글은 정두경의 만시를 개괄하고 그 특징을 살핀 것이다. 그간 정두경시 연구가 어느 정도 진척되었음에도 만시 연구는 관심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다는 인식에 바탕한 것이다. 우선 정두경 만시의 대상은 왕실의 인물을 비롯해 정승ㆍ판서ㆍ功臣 등 신분과 지위가 높은 인물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 만시의 형식은 율시, 특히 오언율시가 가장 많았으며, 연작 형식의 작품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정두경 만시의 내용은 크게 두 양상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먼저 ‘망자의 사회적 위상에 주목한 시’는 다시 망자의 신분과 지위 고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신분과 지위가 높은 인물의 경우 국가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이나 諫言한 것을 적극 칭양한데 비해 신분과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물의 경우 고을 수령으로서 善政을 펼쳤다는 점이나 재능이 우수하다는 점을 칭송하되 懷才不遇의 안타까움을 담기도 하였다. 이 둘은 애도의 표현 역시 전자가 공적인 슬픔을 강조한데 비해 후자는 사적인 슬픔으로 국한된다는 점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시인의 개인적 정감에 충실한 시’는 망자와 시인의 추억, 망자에 대한 시인의 진심, 그리고 슬픔의 표현이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시들은 애도의 슬픔이 더욱 애절하고 진정성 있게 투사되어 감동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었다. 한편 정두경의 만시는 用事를 통해 죽음과 그 슬픔, 그리고 망자를 형상화한 경우가 많았다. 주로 『史記』, 『莊子』, 『詩經』, 『書經』등 先秦兩漢의 서적에서 전고를 끌어왔는데, 전고 사용의 다양성은 물론이거니와 적실성과 정묘함을 함께 갖춘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정두경의 만시는 17세기의 혼란한 시대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양하고 정교한 용사를 통해 만시의 예술미를 높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몽주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하정승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10 No.-

        중국이나 한국의 한시사에서는 망자의 죽음을 다룬 시들을 따로 구별하여 '挽詩'라고 불러왔다. 만시는 일반적으로 다른 이의 죽음을 다룬 것이 많지만, 간혹 시인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측하거나 애도하는 의미로 쓴 경우도 있는데, 이를 특별히 '自挽詩'라고 부른다. 고려시대에도 초창기부터 만시는 꾸준히 지어졌는데, 전반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김부식을 들 수 있다. 고려중기 이후로 시인의 수가 많아지고 다양한 경향의 시들이 창작되면서 만시는 더욱더 많은 시인에 의해 다뤄지게 되었으니, 문학사에 등장하는 저명한 시인치고 만시를 짓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만시 창작은 시인에게 있어서 보편적인 일이 되어 버렸다. 만시는 시문학의 여러 장르 가운데에서도 가장 애절하고 비통한 시다. 삶을 마감한 망자에 대한 추억과 감흥을 다룬 것이기 때문이다. 죽음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비중만큼이나 중국과 한국의 한시사에서 만시는 시인들의 주된 창작 영역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한국 한시사에서는 일찍이 김부식을 시작으로 만시 창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이규보, 최해, 이제현, 이곡 등을 거쳐 목은 이색에 이르러 고려시대 만시 창작은 정점에 이른다. 그리고 정몽주, 이숭인, 김구용이 그 뒤를 계승하게 된다. 포은 정몽주는 평생을 종군과 외교의 현장에서 활동하였기에 가족과 떨어져 지낸 경우가 허다하였다. 여진이나 왜와의 긴박한 전장터, 중국에 사행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거센 풍랑을 만나 거의 죽을 뻔했던 일, 일본에 붙잡혀간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떠난 매우 위험했던 일본 사행 등 죽음의 순간을 무수히 많이 경험하였다. 포은시를 정독해보면 이같은 죽음의 모습이 시에 자주 보인다. 죽음의 위기 앞에서 한 인간이 느끼는 두려움과 외로움, 슬픔 등이 미적으로 잘 승화되어 나타나 있다. 이는 그 시들이 포은의 치열하고 지난한 삶에 바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포은시에는 본인의 죽음뿐만 아니라 다른 이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쓴 '만시'도 역시 보인다. 포은만시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에 비해 매우 서정적이고 슬픔의 정서를 훌륭하게 형상화 내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는 포은의 시인으로서의 재주와 수준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poem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death have been called 'Mansi(挽詩)' in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literature. 'Mansi(挽詩)' generally deals with the subject of other persons' death. But from time to time some poems of 'Mansi(挽詩)' deals with the poet's own death. These poems represent prediction and condolences about his or her own death. They are specially called 'Jamansi(自挽詩)'. 'Mansi(挽詩)' has been constantly written since early Korea Dynasty. Kimbusik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Korea Dynasty the number of poet and the variety of poem increased.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more and more poets came to work on 'Mansi(挽詩)'. So most of famous poets in Korea Dynasty created 'Mansi(挽詩)'. 'Mansi(挽詩)' is most bitter and sorrowful in many genres of literature. Beacause the poems describe the memory of and longing for the dead. Death forms a great part of life. Equally, 'Mansi(挽詩)' accounts for a great part in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literature. The creation of 'Mansi(挽詩)' was kicked into high gear by Kimbusik. Then many poets such as Leekyubo, Choihae, Leejaehyon, Leegok wrote 'Mansi(挽詩)'. It peaked in poems written by Leesack. And Jungmongju, Leesungin, Kimguyong succeeded to the them. Poeun-Jungmongju devoted his lifetime to the field of diplomacy and national defense. So he has been away from his family for a long time. When he went through other countries and battlefields, he watched the moment of death many times. Poeun used these experiences in his poetry. His feelings such as fear, loneliness, sadness are expressed very well aesthetically. That's because his poetry is based on his hard life. He sang of other person's death as well as his own death. Poeun's 'Mansi(挽詩)' is very lyrical and especially feelings of sadness are finely imaged. These facts showed Poeun is excellent poet.

      • KCI등재

        月沙 李廷龜의 輓詩 硏究

        이명희(Myoung-hee, Lee)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1 No.-

        월사는 조선 종기 사대가 가운데 가장 많은 만시를 남겼다. 만시는 죽음이라는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의례적이거나 상투적인 면모를 벗어나기 어렵다. 월사의 만시를 살펴 볼 때 월사도 이러한 문제를 다분히 의식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월사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만시에서 망자와의 관계를 부각시켰다. 월사의 만시 도입부에 단순한 소개를 넘어 많은 부분을 할애하여 그와의 인연을 소개하는데 치중했다. 대대로 인연을 맺은 집안의 지인과의 관계는 물론 약포 이해수와의 관계처럼 일면식인 경우에도 그 사실을 기록하여 만시에 언제나 진심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죽음에 대해서도 천편일률적인 슬픔만을 묘사하지 않고 수복을 누린 사람에게는 부러움을, 안타까운 죽음 앞에서는 삶보다 나은 죽음을 언급하여 망자를 위로하였다. 월사는 만시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죽음 앞에 夭壽보다 가치있는 삶을 산 것이 중요하다며 죽음에 여러 의미를 부여했다. 소외받고 안타까운 삶을 살았던 이의 죽음 앞에서 월사가 할 수 있는 것은 비록 그의 삶이 헛되지 않았음을 인정해주는 일이었다. 망자가 힘들고 어려운 삶을 살았을수록 월사의 만시는 길어지며 슬픔의 농도는 더욱 짙어져 갔다. 망자가 두려워하는 존재의 소멸과 잊혀짐에 대한 위로의 방식으로 사소한 에피소드 하나도 기억하여 그를 추억했다. 월사는 망자와의 공유했던 순간을 기억해 주고 그 시간은 지나갔지만 아직도 그 공간에 홀로 남아서 망자를 기억하고 슬퍼하고 있다고 확인시켜주었다. 월사의 만시에 보이는 이러한 방식은 의례적이고 상투적이라는 평을 받는 만시에 망자와의 개별적이고도 특별한 사연을 표출하여 그 슬픔의 진정성을 드러내고,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인정은 망자를 위로하려는 월시의 노력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고 이러한 방식은 후대의 만시에 재현되어 하나의 전범이 되었다. Wolsa left the most monodies out of the 4 great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 Monody deals with the theme of death, so it is hard to be free from the formal or conventional aspect. It’s generally believed that Wolsa was also quite conscious of such a problem. Wolsa highlighted the relations with the deceased in an effort to overcome such a problem, Wolsa concentrated on introducing his fateful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by devoting a generous portion to the introduction of his monodies beyond a level of simple introduction. Even in case of Yakpo Lee, Hae-su whom he met only once, Wolsa made efforts to show his true feelings in his monodies all the time by recording the fact. Even regarding death, Wolsa didn’t describe just the same old grief but paid condolences to the deceased by commenting on his envious feelings toward the deceased who enjoyed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ile commenting on the death better than life for the pitiable death of the deceased. Wolsa gave several meanings to death before various deaths up to the number of Wolsa’s condolatory poems while saying that it’s more important to live a life of value than to enjoy living one’s full span of life. What he could do before the deceased, who lived an isolated, pitiable life, was acknowledge that the late person’s life was not in vain at all. The more strenuous and rough life the late person lived, the longer Wolsa’s monody became and the heavier the concentration of his grief over the deceased grew. Wolsa was reminiscent of the late person by recalling even a trivial episode of the deceased by means of consolation to the extinction of existence and obscurity of which the late person was afraid. Wolsa remembered the moment of sharing with the late person, and got the late person to confirm that Wolsa still remained at that space remembering the late person and grieving the loss of the deceased even though the time to share together was already gone. Such a turn of phrase shown in Wolsa’s consolatory poetry, in the light of a monody which was generally considered to be formal and conventional at that time, exposed Wolsa’s authenticity of grief by expressing a case-by-case and special story with the late person; in addition, Wolsa’s interest in and acknowledgement of the isolated people were derived from Wolsa’s efforts to console the deceased. Such a monody-creating method was reproduced in a monody of later generations to become a paradigm.

      • KCI등재

        錦帶 李家煥 輓詩 硏究

        金榮洙,金孝貞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6

        이 글은 18세기 말 치열한 黨爭속에서 고뇌하며 살았던 錦帶 李家煥의 輓詩를 분석하여 그의 만시가 가진 문학적 가치를 확인하고 나아가 그의 시세계를 확장시 키는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만시는 인간사에서 가장 슬픈 일인 죽음을 소재 로 대상을 哀悼하는 마음을 담아 지은 시이다. 우리 조상들은 만시를 통해 살아남 은 자의 슬픔을 토해내고, 망자를 오랫동안 기억하려 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 후 喪禮의 보편화로 만시가 일반화되면서 점차 진심어린 애도의 마음보다는 남에 게 보여주기 위한 의례적이고 상투적 표현이 가득한 만시가 성행하였다. 금대는 이러한 세태 속에서 망자를 진심으로 애도하는 만시를 창작함으로써 기존 의 만시가 지닌 상투성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금대의 문집인 詩文艸과 錦帶詩 文鈔에 수록된 만시를 대상으로 먼저, 만시 창작의 대상과 형식을 구체적으로 분석 하여 형태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금대 만시에 나타난 애도의 양상을 亡者에 대한 칭양과 生者의 비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금대의 문학적 역량을 가장 잘 살펴 볼 수 있는 애도의 형상화 부분에서는 사실적 체험의 인용, 典故를 통한 묘사, 관습 적 표현의 활용 등을 통해 금대 만시가 지닌 문학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morial poems of Lee Ga Hwan, who lived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and thought long and hard about the social issues of his tim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cultural value of his poems and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his poetic world. These memorial poems often use death as a topic through which to express one of the most profound feelings of sadness man can experience. Through such poems, our ancestors, cried out the grief of those left behind, while also making an attempt to remember the one who had passed away. However, since the middle era of the Josun Dynasty, such poems became more common place,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Sang-Rye(funeral rites), which turned them into more of a ritual and a cliché rather than something that conveys heartfelt sorrow. Admist these trends, Le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such poems as a tool to commemorate the dead with sincerity. First, the subjects and structures of the poems in his collections Shimuncho and Geumdae Shimuncho a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n, the patterns of mourning expressed in these poems are categorized into "praise for the dead" and "grief of those left behind." In parts where the imagery of mourning display's Lee’s literary abilities, the authors focus on the citations of realistic experience and descriptions that use scriptures and customary expr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literary value of his memorial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