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유적을 통해 본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양시은(Yang Sieun)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만발발자 유적은 고조선에서 고구려로 이어지는 문화적 계통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만발발자유적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과정의 단서를 살펴보았다. 고구려 건국 직전 시점인 제4기 초기철기시대로 편년되는 토기를 검토한 결과 기본적으로는 청동기시대의 토기 전통을 계승하면서 저부의 굽과 파수 같은 일부 요소에서는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4기의 적석계 무덤에는 묘제의 유형이 다름에도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공통적으로 부장되고 있다. 이는 지상에 매장주체부를 갖춘 무단석광적석묘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이를 통해 토기의 재지적 전통이 고구려 건국 이후까지도 계속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유적에서 고구려 시기의 유구와 유물의 비중이 현저히 낮아 만발발자 일대에 거주하였던 집단은 고구려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 글에서는 고구려 건국의 핵심 유적인 환인 오녀산성의 제3기 문화층과 망강루고분군을 비롯한 주변의 여러 유적 자료를 만발발자 유적과 비교하여 고구려 토기의 형성 과정을 검토해보았다. 고구려 생활유적에서 주로 출토되는 종방향 대상파수 부착 심발은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제작 전통과 직접적인 연결 고리를 찾기 어려웠다. 그리고 철기문화의 도입과 함께 니질화된 태토, 타날기법, 가마의 사용 등과 같은 토기 제작의 새로운 기술적 요소 또한 잔석립이 혼입된 태토로 제작한 고구려 초기 토기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이 또한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상정하기 어려웠다. 반면 망강루고분군을 비롯한 혼강 유역의 적석계 무덤에서는 청동기시대 후기와 초기철기시대의 전통을 계승한 토기가 고구려 초기까지도 일정 부분 이어지고 있었다. 물론 토기를 포함한 망강루고분군의 여러 유물은 부여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혼강과 압록강 중상류 일대에 거주하고 있던 집단이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이어지던 토기 제작 전통을 일부 계승하고, 부여를 비롯한 외부의 영향을 받아 고구려 토기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 문화의 계통 문제는 토기뿐만 아니라 묘제와 금속기 등 다양한 물질 자료를 종합적으로 다뤄야 하므로,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Goguryeo pottery, focusing on the Wanfabozi Site in Tonghua city of Jilin Province, China. That site is the important historical site for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Goguryeo.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ottery from the Early Iron Age of Wanfabozi Site, it was found that some elements such as the mounted base and the handles were changing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pottery from the Bronze Age. In the stone-typed tombs of the 4th period, similar types of pottery were commonly buried despite the different types of tombs. This burial pattern of pottery was also found in the Stone Mound Tomb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guryeo Kingdom. So, it was possible to guess that the historical tradition of pottery continued until after Goguryeo. However, it seems that the group that lived in the Wanfabozi Site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unding process of Goguryeo due to the lower proportion of remains in Goguryeo period. Meanwhile, this paper examined various pottery from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Goguryeo, including the Wunü Mountain Fortress and the Wangjianlou Site, which are the core site of Goguryeo, to clarify the origins of Goguryeo pottery. As a result, the deep bowl with vertical band shaped handle was difficult to find a direct link with the tradition of pottery in the early Iron Age.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me of the pottery from the stone-typed tombs, including the Wangjianlou Site, continued to the traditions of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until the early Goguryeo period.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as various relics of Wangjianlou Site, including pottery, are closely related to Buyeo. In conclusion, Goguryeo pottery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external influences including Buyeo, although the group that lived in the Hun River basin and the upper middle of Yalu River inherited some of the pottery production tradition from the late Bronze Age. Of courese, the issue of the origin and formation of Goguryeo culture should be comprehensively dealt with not only pottery but also various archaeological records such as tombs and metalwares.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Ⅱ) - 2차 제천시설 ‘선돌 2柱 · 積石 方壇 · 祭天祠’를 중심으로 -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Wanfabozi萬發撥子 relic is just the typical ‘Heaven Ritual relic’, which was condens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Maek貊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Heaven Ritual culture during B.C.4000~A.D. 600, from Baedalkook倍達國 to Goguryeo高句麗. It was consisted of two facilities, i.e. ① primary facilities: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and ② secondary facilities: two sets of Menhir·stone mound square altar·shrine for Heaven Ritual. The chinese excavation and research on Wanfabozi was original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but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ed the fictitious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For the chinese side, the most serious and confused problem of the excavation results was the origins and thecurrent success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prim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遼東, the west of Mt. Baekdu白頭 area(Baedalkook Cheonpyeong天坪 culture) and spreaded to Liaoxi遼西, Uaryang牛河梁 area(Baedalkook Cheonggu靑邱 culture) and Cheonggu culture spreaded to Zhongyuan中原 area through the Yin殷 dynasty again. According to this cultural propagation path,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hing but the west of Mt. Baekdu area(Cheonpyeong culture). Nex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second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Heaven Ritual culture of Maek race had been widespread in ‘Liaodong ~ Liaoxi area’ since B.C. 4000 and it had been pushed to ‘the west of Mt. Baekdu ~ Korean peninsula area’ during Bronze Age ~ Early Iron Age, i.e. Dangun Josun檀君朝鮮~Yeolgug(列國, the age of division of small countries after the collapse of Dangun Josun). In short, Baedalkook civilization had been succeeded to Korea, not China. The chinese side(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 which could not accept these excavation results,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ies of Wanfabozi relic finally, and concealed all altars of the west of Mt. Baekdu which were excavated in the 1990s too.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 KCI등재

        통화(通化) 만발발자(萬發撥子) 유적 철기를 통해 본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상호관계

        김상민(Kim Sangmin)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이 글에서는 최근 보고된 통화 만발발자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를 재검토하여 천산산맥 이동지역에 존재하는 철기문화의 지역성을 검토하고,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상호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발발자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류와 일괄자료를 살피며, 철기 중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철촉에 주목하여 형식학적 변화 양상과 함께 시간성을 추출하였다. 또한 분묘 내부장된 철기류의 특징을 살피며, 요하의 동쪽인 천산산맥과 압록강 일대의 주변 유적들과 상호비교하여 지역 간의 상호관계를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만발발자 유적 내 보이는 철기문화의 분기는 1~3기로 구분되는데, 그 시간성은 각각 기원전 3~2세기 전반, 기원전 2세기 중엽부터 기원전후, 기원 1~2세기대로 설정된다. 이상의 시간적 축을 기초하여 만발발자 유적 내 철기의 특징을 정리하면, 혼강 중류역의 철기문화는 훼손된 주조제 철제품(재가공)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유엽형 단경철촉의 출현과 함께 독자적인 철기문화를 구축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원전 2세기경 혼강 중류역의 환인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철기문화의 다양성과 그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지역색은 환인지역을 중심으로 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계기였을 것이다. 초기 고구려의 철기문화는 압록강 중하류권역, 혼강 유역에 존재하던 지역세력의 상호교류 및 연합적 대응 과정에서 형성되기 시작한다. 각 지역 세력이 가지고 있던 비한식계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다고 볼 수 있는데, 진한 교체기라는 혼란 속에서 가장 절실히 요구된 철기생산기술을 공유하면서 초기 고구려의 철기문화가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reconsidered the ironware excavated from Wanfabozi in the TongHua region reported recently to review the locality of the ironware culture existing in east region of Qian Mountains and to address the interrelation of the ironware cultures in Late Gojoseon and Early Goguryeo. Accordingly, the ironware excavated from Wanfabozi and the association materials were addressed, and the aspect of typological transition and the temporality were extracted by taking note of the iron arrowhead taking up the most of the ironware.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ware buried together inside the tomb were addressed,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regions by correlating the remains from Qian Mountains located in the east of the Liao River with those around the Amnok River was estimated. The periods of the ironware culture shown inside Wanfabozi are categorized into periods 1 to 3. Temporality is set as the third century BC to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the mid-second century BC to around AD, and the first century AD to the second century AD respectively. In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ware inside Wanfabozi based on the above temporal axes, the ironware culture in the midstream region of the Hun River was star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missing cast ironware (re-processing), and the independent ironware culture was establish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Rhyu leafshaped short-necked iron arrowhead. The diversity of the ironware culture created around Huanren in the midstream region of the Hun River around the second century BC and the local character found therein served as the momentum to create the identity of the ironware culture in early years of Goguryeo around the Huanren region. The ironware culture in early years of Goguryeo began to be created during the mutual exchange and united response of the regional influence that existed in the mid- and down-stream regions of the Amnok River and the basin of the Hun River. Growth was achieved on the basis of the non-Han style ironware culture possessed by each regional influence, and the ironware culture in early years of Goguryeo was presumably completed by sharing the iron-making technology iron-making technology required the most desperately in the chaos of the Qin-Han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만발발자 유적 분묘로 본 고구려 적석총의 출현에 대한 논의

        강현숙(Kang Hyunsook)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통화 만발발자 유적에서는 고구려 형성을 전후하여 여러 형식의 무덤이 조사되어 고구려 적석총의 기원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에서는 만발발자 유적의 Ⅲ기와 Ⅳ기의 분묘를 검토하고, 그 결과로부터 고구려 적석총의 기원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만발발자 유적의 Ⅲ기와 Ⅳ기의 분묘는 수혈토갱묘계와 석관묘계 그리고 대개석묘계 무덤으로 대별되며, 각각은 종횡관계를 가지면서 전개되어 고구려 형성을 전후한 시기의 석관묘, 석곽석관묘, 대개석묘, 대개석적석묘는 화장, 분구적석, 부장품 등에서 선택적인 결합을 보여준다. 그중 고구려 적석총의 연원으로 지목되었던 대개석적석묘는 지상 매장부의 적석분구를 가진 적석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고구려 초기 적석총과 동시기의 무덤인 화장을 공유한 석곽석관묘도 지하 매장부나 분구 적석 등에서 고구려 적석총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고구려 초기 적석총도 어느 특정한 무덤에서 연원하였다기보다는 지상매장부, 분구적석, 매장 절차로서의 화장 등의 세 요소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구려 초기 적석총의 주요 요소인 지하 매장부, 분구적석, 화장 등의 요소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결합되었는지는 만발발자의 여러 형식의 무덤자료로부터 유추할 수 없었다. 이는 혼강이나 압록강 중하류역의 전국시대에서 진한교체기의 물질문화가 매우 복잡한 데 비해 물질자료는 분산적이고 단편적인 데 기인한 것으로 자료가 축적된다면 해결될 문제라고 생각된다. Various types of tombs at Wanfabozi site assumed before and after the formation of Goguryeo, are expected to explain the emergence of Goguryeo stone mound tomb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vance the discussion on the emergence of Goguryeo Stone mound tombs on the basis of the review the tomb of Wanfabozi sites. The tombs of the Wanfabozi sit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rthen tombs(수혈토갱묘), stone coffin(석관묘), stone coffin covered with large stone(대개석묘). And the each of tomb’s groups are divided into sub-groups and each sub-group has a spatio-temporal relationship. Among them, the stone coffin covered with large stone and stone graveyard(대개석적석묘) which was said preceding form of the Goguryeo Stone mound tombs,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Goguryeo Stone mound tombs. Although sharing the cremation, the burial process is different between the double-layer sarcophagus(석곽석관묘) and Goguryeo Stone mound tombs. Therefore, it was inffered that the Goguryeo Stone mound tombs were not derived from only a specific grave, but rather a complex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 such as burial process, stone mound and cremation by passing time.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infer how elements of the early Goguryeo Stone mound tombs were combined from the various types of tombs at Wanfabozi sites. It is because that the material culture of the 4-3century BCE was very complex in the reaches of the Hun rivers(혼하) and Yalu rivers, but the excavated material datas were distributed and fragmented. It is considered a problem to be solved if data is accumulated.

      • KCI등재

        만발발자 유적으로 본 후기 고조선의 교역 네트워크와 고구려의 발흥

        강인욱(Kang Inuk)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무덤자료를 통해 살펴본 이 변동의 시기 만발발자 유적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기원전 4세기경에 만발발자 집단은 토광묘를 축조하고 있었다(Ⅱ구역). 이들은 2단계가 되면서 모피무역으로 야기된 전염병으로 추정되는 큰 변화를 맞이하여 20, 21호의 집단토광묘의 예에서 보듯이 집단 내부의 인구가 급감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무덤의 축조 입지는 유적의 서편에서 동편으로 옮겨졌고, 토광묘 집단 이외에 대석개묘로 대표되는 새로운 집단이 유입되었다. 이들은 자연스럽게 동화되었고, 입지를 달리하여 구릉의 정상에 대석개묘와 적석총을 축조하는 등 사회는 새롭게 전환되어 통합되어갔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와 묘제의 통합을 거시적으로 바라본다면, 그 이전까지 요서지역과도 연결되었던 만발발자의 네트워크가 해체되었고, 대석개묘 집단의 유입을 거쳐서 그 동쪽의 고구려로 대표되는 압록강 중상류지역 집단의 네트워크로 편입되었다. 통화 만발발자는 통화와 환인 일대가 후기 고조선의 영향을 벗어나 초기 고구려 세력에 편입되는 과정의 변화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통화 일대는 명도전이 출토되는 압록강 중~하류 지역에서 떨어져 있으며, 산악이 매우 발달한 지역으로 농업보다는 어로, 사냥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이 지역은 고조선이 발흥하던 시점에 모피의 1차 취합 및 가공을 하던 집단으로 기능했다. 만발발자는 비파형동검 전기 단계에서 시작하여 토광묘 위주의 후기 고조선에서 대석개묘와 적석총으로 대표되는 초기 고구려에 이르는 과정이라는 동아시아의 거시적인 문화변동을 보여주는 동시에 통화 지역이라는 독특한 조건에 적응하며 살았던 지역집단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The Wanfabozi, Tonghua, is one of most significant site that shows the change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early Goguryeo forces around the Tonghua and Huanren area. The Tonghua region was located far from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he Yalu River, where hoards with knife money (mingdaoqian) were found. It was highly mountainous, and the ratio of fishing and hunting was very high compared to agriculture. An analysis of animal remains found bones of various fur animals other than pigs raised as livestock, which is extremely unusual. This area functioned as a group that performed the primary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fur at the time of the rise of Gojoseon. Moreover, various other unique goods were traded, given the nature of the mountain region. The area grew through the Chinese state’s fortcentered expansion (for example, the chibaisong fortress site of Tonghua region) and traded with various regions such as Gojoseon, early Goguryeo, and Buyeo due to the changes of northern China i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However, this was the group in charge of production, and the power did not expand around them. This is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various memorial services coexisted in one space without overlapping across different zones. Besides,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social status among the relics of each tomb. The Wanfabozi society rapidly changed with the advent of the early Goguryeo group as represented by piled-stone tombs, reflecting the progression of social complexity and integra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pit tombs to stone mound tombs can be regarded as a transition period in which the early Goguryeo took over the network with the collapse of the Gojoseon network. In this way, Wanfabozi illustrates a macroscopic cultural change in East Asia, starting from the early stage of the lute-shaped bronze dagger to the late Gojoseon, centered on pit tombs, and the early Goguryeo, represented by stone-covered tombs and stone mound tombs. At the same time, this area clearly shows the appearance of a local group that lived and adapted to the unique conditions of the Tonghua area. It meets the definition of a glocalistic approach, which is recently emerging in history and culture studies. It enables researchers to identify the formation process and flow of individual remains and then understand the regional adaptation diffusion based on the macroscopic historical flow.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 추보(追補) 연구: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중심으로

        정경희(Jung, Kyung-He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3 No.-

        본고는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 대한 필자의 기존 연구에 근간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추가,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분기별 변천상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이다. 1기-조단(B.C.4000~B.C.3500년)의 시기, 선도사상의 요체인 삼원(천·지·인, 원·방·각)의 상징성을 요령 있게 담아낸 거대 규모의 적석단총,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가 조성되었다. 그 주인은 배달국 초 환웅족이 가져온 선진적 선도제천문화를 수용하여 토템족 웅족사회를 천손족 맥족(환웅족+웅족)사회로 바꾸어놓은 역량 있는 선인 지도자 웅녀군이었다. 1기(B.C.4000~B.C.3000년, 배달국 전·중기) 제천단의 거대 규모와 대비되는 간결하고 담백한 제천의 흔적은 선도제천문화의 태동기, 군더더기 없이 기본에 충실한 선도제천문화의 출발점을 보여주었다. 2기(B.C.13세기~8세기, 단군조선 후기) 만발발자의 드넓은 소도제천지에는 3층원단·방대의 국부에 주·부 제천사 2좌가 들어서 있었을 뿐이었다. 1기에 자리 잡힌 소도제천문화의 기본 틀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3기(B.C.8세기~B.C.3세기, 단군조선 말기)가 되자 소도제천문화가 크게 형식화되고 번잡해졌으며,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계성까지 생겨났다. 단군조선 말기 맥족사회의 분열·와해 국면 속에서 선도제천문화도 세속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4기(B.C.3세기~3세기, 고구려 개창기)가 되자 종래 번속화 방향으로 흘렀던 소도제천문화는 재차 간결화되면서 새로운 안정 국면을 맞았다. 고구려의 개창으로 맥족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린 변화였다. 5기(3세기~5세기, 고구려 중기)에는 제천시설의 중첩 및 소규모화 현상, 또 제천공간의 축소 현상이 두드러졌다. 고구려 중기 선도제천문화의 위상이 서서히 약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a supplementary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changes of ‘Wanfabozi萬發撥子 relic’ according to the periods by adding 『Tonghua Wanfabozi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to my previous study on Wanfabozi relic. During the early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500B.C., early Baedalkook倍達國), the huge scale stone mound altar·tomb, i.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3層圓壇·方臺)’ that captured the symbolism of Samwon三元(Cheon天·Ji地·In人, Won圓·Bang方·Gak角), a key element of Sundo仙道 ideas, was built. Its owner was King Ung-nyeo熊女君, a competent good leader who transformed ‘Totem Ung熊 people’ society into ‘Heavenly Maek貊 people(Hwanung桓雄 people + Ung people)’ society by accepting the advanced Sundo culture brought by Hwanung people in early Baedalkook. During the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000 B.C., early and middle Baedalkook), in contrast to the huge scal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traces of concise and plain ritual procedure showed the starting point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and the essence of the Sundo without any unnecessity. In the 2nd period of Wanfabozi(the 13th century B.C.∼the 8th century B.C., late Dangun Josun檀君朝鮮), there were only two main and secondary temples for Heaven Ritual on a part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framework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1st period, was maintained. In the 3rd period of Wanfabozi(the 8rd century B.C.∼the 3rd century B.C.,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formalized and complicated, and even the hierarchical tendency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was formed. In the midst of the divis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Maek貊 society in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also being secularized. In the 4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 B.C.∼the 3rd century, early Goguryeo高句麗),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had been flowing in the direction of secularization, had been arranged in order again and had taken a new phase of stability. These changes were coincided with the mood of the times that the founding of Goguryeo brought a new stability to the Maek society. During the 5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the 5th century, middle Goguryeo), the noticeable point of change in Wanfabozi were just the miniaturization of the Heaven Ritual facilities and the reduction of ritual space. These points show that the status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the Maek society was gradually weakening from this time on.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유적 집장묘의 계통과 성격

        이종수(Lee Jongsu)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통화 만발발자 유적은 고구려 물질문화의 기원 및 계승 관계를 밝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특히 기원전 4~3세기경에 출현한 토광묘와 집장묘는 선고구려문화의 기원과 백제 계승 관계를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자료이다. 이 유적에서는 모두 21기의 토광묘가 발견되었는데, 모두 관곽을 사용하지 않은 순수토광묘이며, 이른 시기의 A조 토광묘와 늦은 시기의 B조 토광묘로 구분된다. 집장묘인 20호와 21호는 하나의 묘광에 4인과 35인이 매장되어 있다.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20호는 지배층 무덤, 21호는 일반 계층을 집단 매장한 무덤으로 볼 수 있다. 무덤의 시간적 추이는 기원전 4세기경 처음으로 만발발자 유적에 A조 토광묘가 출현하며, 이후 B조 토광묘로 변화하면서 기원전 3세기경까지 석관묘, 대개석묘 등과 함께 사용되다가 기원전 2세기경에는 적석묘로 전환되고 있다. 만발발자 토광묘의 기원은 고조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가와자유형에서 찾을 수 있다. 기원전 5세기경 요서 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유입된 토광묘가 점차 주변으로 확대되면서 기원전 4세기경에는 혼강 유역까지 전파되었다. 만발발자 유적 토광묘 사용집단은 체질인류학적으로 고동북유형에 속하며, 당시 요동과 장백산맥 일대에 거주하던 고조선 혹은 예맥계 종족으로 볼 수 있다. 유적에서 다량의 설치류 동물 뼈와 가공에 사용되는 석기, 운송에 사용되던 말 재감 멈치 등이 출토되고 있고, 당시 이 지역의 특산품이 모피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만발발자 유적의 성격은 혼강 유역의 모피 중간집하지로 볼 수 있으며, 주민집단은 주로 주변지역에서 사냥한 모피동물을 수합하고 가공하여 공급하는 일에 종사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집장묘는 비정상적 사망에 의한 결과로, 전염병이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사망하는 긴급 상황에서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합민망합 유적과 1910년대 동북지역 페스트 유행 자료를 통해 보면 설치류 동물과 관련된 페스트 창궐과 관련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나, 기타 다른 전염병에 의한 결과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선고구려문화의 백제 계승과 관련하여 석촌동고분군 대형 토광묘와 비교해본 결과 문화내용과 시간적으로 동질성이 확인되지 않아 계승성을 연결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Tongwha Wanfabozi ruins of pit burial and mass graves provide important data to clarify the origin of the ancient Goguryeo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ion of Baekje. In these ruins, 21 pit burials were found, divided into early group A pit burials and late group B pit burials. Among them, the mass graves are M20 and M21, and 4 and 35 people are buried in one grave pit. Group A pit burials first appeared in Wanfabozi ruins around the 4th century BC, and later changed into group B pit burials, and were used together with stonecoffin tombs and Dolmen until around the 3rd century BC, and then converted to stone-mound tombs by the 2nd century BC. The origin of the pit burial of the Wanfabozi ruins can be found in the Zhengjiawozi Type in Liaodong reg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Gojoseon culture. The group using the Wanfabozi ruins pit burial belonged to the Paleo-Northeast type in Physical anthropology, and it can be seen as a Gojoseon or Yemaek-type race that lived in the Liaodong and Changbaek Mountains at that time. The character of Wanfabozi ruins is the middle collection of fur in the Hon River basin,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mmunity engaged in the livelihood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supplying hunted fur animals. The background of the mass graves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die due to an epidemic. The type of infectious disease is most likely a plague associated with rodents.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culture to Baekje, a comparison with the large-scale pit bourial in Seokchon-dong Ancient Tombs shows that the commonalities and succession between the two is not confirmed in terms of culture content and time.

      • KCI등재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③:通化 萬發撥子 유적의 무덤

        하문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81

        The site of Tonghua Wanfabozi are located in the upper valley of Hunjiang. As the result of excavation, coffin tombs, stone lined tombs, dolmens, and stone mound tombs dating from the Bronze Age to early Goguryeo were excavated. This site was divided into the living space where the ruins of the houses were excavated and the tomb space where people were buried at that time. Looking a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ombs, the coffin tombs were built in the lower area in the early days, and the stone lined tombs, the dolmens, and the stone mound tombs were built gradually toward the higher pla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head bones among the coffin tombs,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war because the society at the time was in a chiefdom society. The coffin tombs, which buried several people several times, and the stone lined tombs, appear to be a group tomb where family members are buried in one place. Meanwhile, other stone tombs, except for the coffin tombs, were found to be buried through cremation. In some tombs, in situ cremation was found inside the grave pit. These burial customs were also investigated in dolmens in Hadaling area in the southern Jilin, cave graves and dolmens in the Taizihe basin, and the stone graves in Liaonan region. These burial practices among them are compared and researched. The subordinate coffi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pace for funerary objects, was found in the stone lined tombs and dolmens. The orientation of the head of a person buried in several tombs in the site of Wanfabozi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natural topography. Among the funerary objects were small potteries that appeared to be the mortuary gifts for being buried and those showing the formality of potteries of the early Goguryeo. More than 200 bone arrowheads were excavated from No. 21 coffin tomb, regardless of gender or age. This has to do with people's belief of afterlife at that time. Transformed-type bronze daggers, which are mainly fou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have been excavated. They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early Goguryeo.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Wanfabozi site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basic culture of early Goguryeo. 통화 만발발자 유적은 혼강 상류에 위치하며,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조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유적은1997년부터 1999년까지 발굴조사되어 신석기 후기의 집터를 비롯하여 청동기~초기 고구려 시기에 이르는 무덤, 재구덩이, 구상 유구, 환호 시설과 토기, 석기, 뼈연모, 청동기와 철기 등 많은 유구와 유물이 찾아졌다. 이 글은 만발발자 유적에서 조사된 움무덤, 돌덧널무덤, 고인돌(개석식과 적석형), 돌무지무덤(단 없는, 3 단) 등 41기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만발발자 유적은 구릉의 능선에 따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어지는데 동쪽에서는 무덤이, 서쪽에서는 집터와재구덩이 등 생활 유적이 조성된 것으로 밝혀져 당시에 이미 공간 분할의 개념이 있었던 것 같다. 무덤의 조성과정을 보면 낮은 지대의 움무덤부터 점차 높은 곳으로 갈수록 돌덧널무덤, 고인돌, 돌무지무덤이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무덤의 구조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이른 시기의 돌덧널무덤은 모난돌을 사용하여 무덤방의 벽체를단순하게 만들었지만 점차 판자돌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축조 방법은 다음 시기의 개석식 고인돌로 발전되어가는 연속 과정으로 추론된다. 돌덧널무덤과 고인돌에서는 딸린방이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껴묻거리를 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보이며 당시 사람들의 내세관을 이해할 수 있다. 움무덤에서는 묻힌 사람의 머리뼈가 없는 것이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당시 사회가 복합사회 단계였기 때문에 갈등 관계에 따른 전쟁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묻는 방법에서는 어울무덤인(20호, 34호) 경우 묻힌 사람이 얼굴을 서로 마주보는 특이한 것도 확인되었다. 여러 사람을 여러 차례 묻기 한 움무덤(21호)과 돌덧널무덤(36호)은 핏줄을 매개로 한 가족 구성원이 한 곳에 묻힌 집단무덤으로 해석되며, 신빈 용두산과 구태 관마산무덤과 비교된다. 만발발자 유적에서는 움무덤을 제외한 나머지 무덤에서 화장 행위가 조사되었다. 몇몇 무덤에서는 무덤방안에서 화장한 제자리 화장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제자리 화장의 장례습속은 길림 남부의 합달령 지역 고인돌, 태자하 유역의 동굴무덤과 고인돌에서도 조사되고 있어 서로 비교된다. 이러한 묻기는 뼈의 보존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화장은 동북지역에서 청동기시대가 되면 보편적으로 이루어져 오다가 만발발자 유적이 자리한 혼강 유역의 무덤에서는 중요한 매장 행위로 유행한다. 이것은 초기 고구려의 장례습속인훼기 습속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만발발자 유적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유형의 무덤이 조성되었기에 여러 껴묻거리가 발굴되었다. 토기는 일상 생활에 사용되지 않고 무덤에 껴묻기된 명기를 비롯하여, 길림지역 고인돌에서 많이 찾아진 제기같은 항아리[豆形罐], 묶음 줄무늬 단지 등이 조사되었다. 그리고 36호 돌덧널무덤에서는 초기 고구려 토기의 정형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토기도 발굴되었다. 또 압록강 중류 지역이나 혼강 하류 지역에서 주로 출토되는 변형동검이 발굴되어 문화 계승 관계를 살펴보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만발발자 유적의 무덤 축조 시기는 움무덤의 경우 서기전 7세기 후반이나 6세기 초부터 서기전 4세기까지로 볼 수 있고 돌덧널무덤과 개석식 고인돌은 서기전 4세기 초에 해당되는 것 같다. 그리고 돌무지무덤은 서기전 3세기 후반 경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 - B.C. 4000~3500년경 ‘3층원단(層圓壇)(모자합장묘(母子合葬墓))·방대(方臺)’를 중심으로 -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6 No.-

        In the 1990s, the chinese academic circles sought to find elements of Hungshan Culture(Ritual禮制 Culture, Pre-Shang先商 Culture) in Mt. Baekdu area according to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 - 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Especially they paid attention to the stone mound altar·tomb(the ancient altars) in Tonghua area, the west of Mt. Baekdu. Tonghua area was the center of Maek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cultural domain, the west of Mt. Baekdu which has been populated and flourished since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research on the ancient altars in the west of Mt. Baektu began in 1989 with the discovery of ‘the Liming黎明 altar’ in Tonghua, which received the attention of the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about 40 altar relics were surveyed or excavated until 1995. To the next step, based on these successful research results, the systematic and massive excavation on ‘the Wanfabozi altar’ in Tonghua was conducted during 1997~1999. The Wanfabozi relic was consisted of Heaven Ritual faciliti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Tomb facilities. Among them, Heaven Ritual facilities are the main facilities, and the remaining Residential facilities and Tomb facilities are the attached facilities of Heaven Ritual facilities. Heaven Ritual facilities continued from the late neolithic period(Baedalkuk倍達國) to Dangunjoseon檀君朝鮮 and Koguryo高句麗 period and it was consisted of ①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facility, ② the moat · two sets of Menhir · square altar · Shrine for Heaven Ritual facility. In this paper, the first facility was reviewed.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was B.C. 4000~3500. And the way that mother and son were buried together and the bear clay statue(Doung陶熊), jades and pottery with swastika excavated from the tomb showed that Bear熊 race(later Maek貊 race) in the late neolithic maternal society with bear-belief tradition, had embraced the advanced Heaven Ritual culture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such as ‘Chun天·Ji地·In人(Circle·Square·Triangle)’ Thoughts(The idea of One-Three). These excavation results notic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 on the ancient history of East Asia, centering on liaoxi遼西 area since 1980s. Especially chinese scholars, according to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have argued that Hungshan culture in Liaoxi area was spread to Liaodong遼東 area as well as Zhongyuan中原 area. But the excavation results of Wanfabozi altar shows that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based on Sundo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 area and spreaded to Liaoxi area, and was in full bloom in Liaoxi area and again spreaded to Zhongyuan area. This is why the chinese official reports on Wanfabozi relic(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s) completely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y.

      • KCI등재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