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김정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마음챙김명상이 인지행동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인지행동치료에서 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의 방법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마음챙김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마음챙김명상이 호흡 마음챙김명상, 우두커니 마음챙김명상, 생활 마음챙김명상으로, 생활 마음챙김명상은 다시 행위 마음챙김명상과 모니터링 마음챙김명상으로 유형이 나뉘어 실천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각 마음챙김명상 유형의 효과를 인지행동치료와 관련지어 논의하고, 마음챙김명상을 인지행동치료에 적용하는 것의 장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 appears to have joined the mainstream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 present paper first explored how the meaning of mindfulness is understood when it is utilized in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clarified it. Then, it was suggested that mindfulness meditation can be practiced in four different types, i.e., breath mindfulness meditation, choiceless-awareness mindfulness meditation, action mindfulness meditation, and monitoring mindfulness meditation. Lastly the present paper discussed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mindfulness meditation types in relation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the incremental effects of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마음챙김, 단일개념인가, 복합개념인가?

        조옥경 ( Ok Kyeong Cho ),윤희조 ( Hee Jo You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마음챙김이 서구에 도입된 지 100여년이 지난 현재 연구자들은 효과검증을 넘어서 작용기전과 과학적 모델수립을 위한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이론적 배경, 연구목적에 따라서 마음챙김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음챙김의 정의, 발생과정, 작용기전, 척도를 살피고 불교의 수행적 맥락에서 보는 마음챙김과 심리학의 마음챙김이 어떻게 조우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심리학에서 마음챙김은 알아차림과 특정 태도가 핵심을 이룬다. 태도는 현재중심적, 의도적, 비판단적, 수용적, 개방적인 태도를 말한다. 불교의 마음챙김 확립과 발생의 차원에서 볼 때, 마음챙김은 분명한 알아차림, 태도, 감각기능의 단속이라는 측면을 가진다. 태도와 관련해서는 중도적인 태도, 감각기관의 단속, 지혜라는 측면은 심리학에는 찾아볼 수 없는 불교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렇듯 마음챙김은 단일개념이라기 보다는 복합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마음챙김의 작용기전과 관련된 IAA 모델과 DAH 모델뿐만 아니라 마음챙김 척도의 하위구성개념에서도 마음챙김은 복합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마음챙김 척도는 마음챙김이 특질일 수도 있고 상태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10가지 대표적인 마음챙김 척도에는 특질과 상태가 혼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불교수행의 맥락을 고려하여 마음챙김을 특질이 아니라 특정한 ‘상태’로 보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경험내용보다는 경험에 대한 태도를 강조하고, 마음챙김 수행은 과정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불교의 수행적 맥락을 고려하여 마음챙김을 올바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마음챙김이 불교에 그 기원을 두고 있음을 고려할 때 수행적 맥락과 발생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 지점에서 불교와 심리학의 조우가 가능하다고 하겠다. Almost a hundred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mindfulness in the western society. Researchers have scientifically proved its beneficial effects for mind and body, and they are now trying to set up its proper theoretical model. Their approaches ar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search goals. This study aims to search meaning of mindfulness, occurrence, mechanism, and the mindfulness scales and to show how Buddhism has come across western psychology in the fruitful way. Definition of mindfulness in psychology presupposes two components of mindfulness: awareness and special attitude. The attitude should be open, acceptive, present-centered, intentional, non-judgmental. Considering the occurr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mindfulness in early Buddhism, it clearly involves clear awareness, attitude, control of sensation and wisdom. The monitoring of sense organs, the middle-way attitude, and wisdom are found only in Buddhism, not in psychology. Accordingly mindfulness can be seen as a complex concept rather than a single concept. As mechanism of mindfulness, IAA model and DAH model was proposed to explain how mindfulness affects positive changes. And various mindfulness scales have been developed as the methods for assessing it to answer questions. Two models and those scales also tend to show that the construct of mindfulness is multi-dimensional. In recent years, mindfulness researchers and clinicians begin to perform their researches on it as a mental behavior, which is statelike variable consistent with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s. Here it is emphasized that the attitudes toward our experienc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experiences themselves, and the mindfulness is just a process-oriented practices. When we take account of the fact that the original mindfulness comes from Early Buddhism, we have to examine why mindfulness was so important in Buddhist practices and how psychology comes to terms with Buddhism.

      • KCI등재

        마음챙김 교육의 디지털 전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마음챙김 교육의 연구 동향과 전망

        류현민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5 No.-

        [Objectiv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has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how digital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mindfulness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orecast the future of mindfulness education by investigating innovations in mindfulness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s. [Contents] The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digital mindfulness education and analyzes how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online platforms, mobile apps, VR, XR, AI, Wearable, etc.) are integrated and applied to mindfulness education. We highlighted the new educational methods and advantages provided by these technologies,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for innovation and future development in mindfulness education. [Conclus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Digital mindfulness education utilizes the latest technology to increase accessibility, improv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provide personalized mindfulness, so various mindfulness intervention effects were found beyond face-to-face education. In particular, it provided important insights into the effective us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mindfulness education, suggesting a path forward for mindfulness educ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age. [연구 목적]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교육 분야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마음챙김 교육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마음챙김 교육의 혁신과 최신 연구 동향을 조사하여 마음챙김 교육의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연구에서는 디지털 마음챙김 교육의 중요성과 효과를 살펴보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온라인 플랫폼, 모바일 앱, VR, XR, AI, Wearable 등)이 마음챙김 교육에 어떻게 통합되어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기술들이 제공하는 새로운 교육 방식과 그 장점을 조명하며, 마음챙김 교육의 혁신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마음챙김 교육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강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며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대면 교육 이상의 다양한 마음챙김 중재 효과가 발견되었다. 특히 마음챙김 교육에 디지털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과 발전 방향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마음챙김 교육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였다.

      • 사회적 마음챙김

        정경일(Kyeong-Il Ju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3 마음공부 Vol.7 No.-

        ‘마음챙김 혁명(The Mindfulness Revolution)’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마음챙김은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음챙김은 불교 교리와 수행을 토대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세속적 현대 심리학과 심리치료에서도 비종교적, 탈종교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심지어 종교의 경계를 넘는 초종교적 마음챙김도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그리스도교 마음챙김(Christian mindfulness)’을 살펴보고, 그리스도교의 ‘인격적 차원’인 ‘가슴챙김(heartfulness)’과 ‘해방적 차원’인 ‘사회적 영성’이 고통의 시대에 요청되는 ‘사회적 마음챙김’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탐구하고자 한다. Mindfulness is having such a profound impact on contemporary world that it has been described as “The Mindfulness Revolution.” While mindfulness is known to be based on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s, it has also been used in secular moder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in non-religious and post-religious ways, and there is even an emergence of trans-religious mindfulness that crosses religious boundaries.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recent development of ‘Christian mindfulness’ and explore how Christianity’s ‘personal dimension’ of ‘heartfulness’ and its ‘liberative dimension’ of ‘social spirituality’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social mindfulness’ called for in times of suffering.

      • KCI등재

        마음챙김소비의 개념 고찰과 계발 방안 탐색

        박미혜,심영,송인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로서 마음챙김소비를 개념적으로 파악하여 마음챙김소비의 계 발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마음챙김의 개념, 특성 및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마음챙김 소비를 개념화하고, 마음챙김소비를 통한 기대효과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음챙김소비의 계발 방안을 개인 과 소비자교육 측면에서 모색하였다. 마음챙김은 개인의 내면 및 외부 자극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에 의한 알아차림이며, 편견없는 있는 그대로의 알아차림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마음챙김은 현재성, 주도성, 능동성, 개방성, 수용성의 특성을 지니며, 자기조 절 및 자기충만감 효과를 지닌다. 마음챙김소비는 마음챙김의 원리를 적용한 소비로, 자동적, 습관적 소비나 외 부에 의한 설득적 소비가 아니라 알아차리는 소비이다. 즉, 마음챙김소비는 자신, 공동체 및 자연의 외적측면에 대하여 보살피는 마음자세를 가지고 이것이 행동으로 연결되는 소비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적으 로는 건강, 웰빙, 재정 건전성의 효과를, 외부적으로는 사회와 환경의 지속가능성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 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소비 능력 계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이 먼저 일 상의 마음챙김 능력을 기본적으로 키우고, 배분, 구매, 사용, 처분을 포함한 소비과정에 적용해 볼 수 있다. 소비 자교육과 관련하여 구매욕구에 관한 마음챙김소비 예시를 통해 다양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 후속연구 측면 에서 마음챙김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theoretical stud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to conceptualize mindful consumption and to explore its development strategies. Concretely,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indfulness, and to conceptualize mindful consumption and its effects. Finally,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velopment strategies from the personal and the consumer education perspectives. Mindfulness is defined as the awareness by careful observation of the inner and the outer stimuli of individuals, meaning the state of awareness as it is without bias. The mindfulness ha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ntness, activeness, initiative, openness, and acceptability. The effects by mindfulness were self-regulation and self-sufficiency. Mindful consumption is defined not as the automatic, persuasive consumption but as the conscious consumption. That is, the mindful consumption consists of the mindset of caring for self, community and nature and the behavioral followed the mindset. This consequently provides the effects of health, well-being, and fiscal soundness internally, and sustainability effects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externally. Based on the effects of mindful consumption, this study shows the need to develop mindful consumption ability. To this end, consumers can basically raise their daily mindfulness ability and apply it to the consumption process including distribution, purchase, use and disposal. This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various consumer education programs by giving an example of mindful consumption related to purchasing need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various suggestions for mindful consumption in terms of social, personal, and follow-up study aspects.

      • KCI등재

        마음챙김 요가와 요가니드라가 마음챙김, 스트레스 지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양희연,조옥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1

        Recently, mindfulness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mong psychologists, psychiatrists, and mental health practitioners. This article explores how mindful yoga and yoga nidra affect the level of mindfulness,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fty nine female yoga practition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mindful yoga group (16), yoga nidra group (16), and control yoga group (27). The 2 experimental groups (EG) had 8 weeks of one-hour sessions (one session per week) and the control group (CoG) had a general yoga practice during the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the EG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 level of "non-judging of experiences" when comparing to CoG and its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four weeks. With regards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EG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 of “personal growth”.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mindful yoga and yoga nidra are similar in their effects of mindfulness,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최근 마음챙김 훈련법이 정신건강 영역에 확산되고 있다. 마음챙김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경험을 주의력을 갖고 수용적인 태도로 알아차리는 훈련으로, 자동적이고 습관적인 비적응적 반응패턴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조절하여 치유가 일어나도록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요가수련자를 대상으로 마음챙김 훈련인 마음챙김 요가와 요가니드라를 실시하여, 마음챙김, 스트레스 지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집단은 마음챙김 요가 집단(n=16), 요가니드라 집단(n=16) 및 통제집단(n=27)으로 구성하였고 마음챙김 요가와 요가니드라 집단은 주1회 8주간 수련을 실시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음성파일을 참여자들에게 배포하여 집에서도 수련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측정은 사전과 사후 그리고 4주 후 추수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마음챙김 요가와 요가니드라 집단 모두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비판단 요인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이 효과는 추수까지 지속되었다. 둘째, 마음챙김 요가 집단과 요가니드라 집단 모두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장 요인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음챙김 요가와 요가니드라는 마음챙김, 스트레스 지각,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사한 효과를 보인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마음챙김 훈련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

        오준엽,마정이,남상규,김완석,이주엽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비공식 명상 기반의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향후 마음챙김 훈련의 UI/UX디자인 개발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트위터 데이터 기반의 텍스트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기존 출시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 훈련으로써 실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비공 식 명상기반의 훈련 서비스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라 비공식 명상기반의 마음챙김 훈련 프로세스에 적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훈련 효과의 증대를 위해 심리학과 긍정컴퓨팅(positive computing) 연구를 사용자 경험 설계에 활용하 여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진행하고, 향후 진행될 마음챙김 훈련 서비스의 UI/UX 디자인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점을 제언하여 후속 연구와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sign solution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s of Mindfulness Training. We aim to provide basic UI / UX design guidances for being effectiveness of mobile application of Mindfulness Training. For this purpose, We research in various aspects. Base on this, We select an approach and apply the application screen prototypes. We suggest some points for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UI / IX design for mobile applications for Mindfulness Training based on obtained knowledge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 심리적 기제로서 마음챙김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길경미 ( Gil Kyung-mi ),김보은 ( Kim Bo-eun ),김혜심 ( Kim Hye-sim ),이혜민 ( Lee Hye-min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1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기제로서의 마음챙김에 대한 최근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등재지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마음챙김에 대한 연구 논문 총 153편을 발행연도, 연구대상, 측정도구, 관련변인, 마음챙김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도별 연구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6년부터 현재까지 마음챙김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연구대상별 연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성인 및 대학생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직업군별로는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측정도구별 연구 현황을 살펴본 결과, 박성현(2006)이 개발한 마음챙김 척도(MS)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척도의 대상은 성인에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측정도구마다 마음챙김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이 다양했다. 관련 변인별 연구 현황을 살펴본 결과 독립변인으로서 마음챙김의 역할에 대한 연구와 특정 변인 사이에서 마음챙김의 매개, 조절 역할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마음챙김의 선행변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마음챙김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별 연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인지치료, 명상 및 마음챙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개입 관련 연구의 양 자체가 다른 연구에 비해 제한적이었고, 초기 발달 과정 중에 있는 미취학 및 취학 아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음챙김 연구의 나아갈 방향과 향후 요구되는 연구과제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ent domestic research trends in mindfulness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this purpose, 153 domestic journals published in 2016-2020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subject, tools, variables, and intervention methods for improving mind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ndfulness research has continued steadily from 2016 to present. Second, the study on adults and college students is being conducted most actively and various occupational groups are being studied. Third, the mindfulness scale developed by Park Sung-hyun(2006) was used most frequently, and the object of the scale was concentrated on adult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ub-factors for each measurement tool. Fourth, most of the studies revealed the independence, mediation, and moderating roles of mindfulness, and the studies on the antecedents of mindfulness were insufficient.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to improve mindfulness, there were many studies on cognitive therapy, meditation, and mindfulness, but the amount of related studies was limited and studies on infants and school-aged children were insuffici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현대 서구사회에서의 마음챙김 활용

        안희영(Ahn, He-you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명상의 핵심개념인 마음챙김(mindfulness)이 현대 서구사회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방법론으로서는 영어권 문헌을 중심으로 마음챙김의 불교적 근원을 살펴 본 후 현대 서구사회에서 마음챙김이 어떻게 해석되고 적용되고 있는지를 불교학자와 마음챙김에 근거한 접근법의 하나인 MBSR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논의를 통하여 현대서양사회의 마음챙김 활용은 불교와 연계를 유지하면서도 때로는 매우 독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범위가 광범위하고, 실용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 논의를 통해 마음챙김이 단순한 개념이 아니며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고찰 할 수 있었다. 마음챙김은 서구사회에서 ‘순수한 주의’와 ‘비판단적 자각’이라는 조작적 정의로 활용되면서 실용적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순수한 주의’라는 통념과는 달리 불교전통의 마음챙김은 인지적 측면도 포함하고 있음을 고찰 하였다. 불교 전통적 마음챙김은 팔정도, 칠각지 등의 교학적 맥락에서 파악되는 데 비해, MBSR의 경우 마음챙김을 인류에게 보편적인 특성으로 인정한다. 불교전통의 입장에 있는 Bodhi 스님 같은 학자들은 마음챙김의 임상적, 세속적 활용들을 경계하면서도 다르마의 유익한 활용이란 관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마음챙김의 임상적 활용을 비판적으로 보지 않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다르마의 새로운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발전영역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mindfulness, which has been long considered the heart of Buddhist meditation, is defined and applied in contemporary Western society. The materials and sources used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ose written in English. This study first focuses on the Buddhist origins and definitions of mindfulness by Western mindfulness practitioners and scholars, followed by a contrastive overview of how major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such as MBSR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mindfulness is implemented in the mainstream Western society, especially in medicine and psychotherapy. All the discussions are centered around Buddhism, medicine and psychotherapy.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e way mindfulness is accepted in Western society has been sometimes in relations hip with Buddhism, and other times independent of Buddhism, thus evolving own its own and charting its unique territory, supported by scientific investig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ope of the meaning of mindfulness in the West seems to have been extended so broadly, transcending its original boundaries defined by Buddhism. Its use in the West is in large measure very secular, non-Buddhist, and universal, buoyed up by science. Without trying to be prescriptive, or privileging one over the other, this study welcomes the universal and secular stance taken by the West. It seems to become more clear by the minute that the Western experiment with the Buddhist practice of mindfulness so far have been so promising that the majority of clinicians as well as practitioners are led to believe that mindfulness is conducive to alleviating human suffering,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religion, race, and nationality. The challenge for us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is not to be very attached to our own belief systems and to be more open to this emerging new exploration surrounding mindfulness, without being imprisoned by our own traditions.

      • KCI등재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황금중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first notes that 'mindfulness' may be the most basic inner force that learners must acquire and maintai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r holistic growth across the realms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Subsequently it claims that education needs to be “mindfulness-based.” “Mindfulness-based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mindfulness is merely a subject of learning but that education should lead the work of learning on the basis of mindfulness. Mindfulness here is a particular state of mind, which is not swept away by the flow of inner thoughts and emotions that flow like noises, but rather the attention, nod-judgmental awareness, and now-here immersion. It is also based on the elements of deep wisdom about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is conception of mindfulness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simple inner management, as a mechanism that leads to the horizon of ‘being’, freeing and defending the mind from desires and discernment that has no substance and blurs the senses. Intelligence, morality, creativity, thinking, criticality, and relatio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 of education, can be fully embodied from this ‘being’, so mindfulness should be the basis of education, which is the way to lead the learners to the horizon of 'being'. Thoughtful treasury on mindfulness is especially held by Buddhism, and is widely reinterpreted and used in the light of modern Buddhism, psychology, and medicine(especially by Nyanaponika, N.H.Thich, J.Kabat-Zinn, etc.). Mindfulness, however, is universal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inclinations and abilities of mind, and thus is not the legacy of Buddhism exclusively, and the trajectory of deep discussions and practices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ditions of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yeong of the neo-Confucianism is captured as a model of mindfulness along with the Buddhist sati, which also shows the reason for the “gyeong-based elementary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 neo-Confuci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education.” (Especially by Zhu xi or Yi Hwang). In order to realize “mindfulness-based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n modern society, there are two dimensions: that of “education about mindfulness” and that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mindfulness”. Some directions on these two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이 글은 우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지·덕·체의 영역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과정에서 그 주체들이 획득하고 견지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힘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곧 “마음챙김 기반 교육(mindfulness-based education)”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마음챙김 기반 교육”은 마음챙김을 단지 배움의 한 주제로 삼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의 일 자체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특정한 마음상태인데, 소음처럼 떠도는 내면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자동반응하지 않고 오롯이 모아져 있는 주의(attention), 비판단적인 알아차림(awareness), 그리고 지금-여기 몰입의 상태를 그 기본 형식으로 하며, 여기에 마음챙김은 나와 세계의 실상에 대한 깊은 지혜의 요소가 배경을 이루는 구조를 지닌다. 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내면의 관리 차원을 넘어, 실체가 없고 감각을 흐리는 욕망과 분별상으로부터 마음을 자유롭게 하고 지켜내면서, ‘존재(being)’의 지평으로 이끄는 기제라는 점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의 목표로서 종종 얘기되는 지성, 도덕성, 창의성, 사고력, 비판력, 관계력 등은 이 ‘존재하기’로부터 온전하게 구현될 수 있으니, 이것이 주체를 존재 지평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인 마음챙김이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주요 이유다. 마음챙김에 대한 사상적 보고(寶庫)는 특히 불교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불교와 심리학, 의학의 관점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특히 냐나포니카, 틱낫한, 카밧진 등에 의해). 그런데 마음챙김은 마음의 본래적 성향 및 능력과 연계된 보편적인 것으로, 결코 불교의 전유물이 아니고, 유가와 도가 등의 다른 사상 전통에서도 이에 대한 깊은 논의와 실천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성리학의 경(敬)이 불교의 사띠(sati)와 함께 마음챙김의 전형으로 포착되기도 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교육”의 성리학적 버전인 “경 기반 소학·대학”의 사유를 보여주기도 했다(특히 주희나 이황에 의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학교 단위에서 현실화하기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교육”과 “마음챙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환경 조성”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방향이 검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