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사 누스바움 잠재역량 접근법의 윤리적 함의

        강경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철학연구 Vol.- No.67

        The Capabilities Approach is an approach jointly developed by Amartya Sen and Martha Nussbaum to assess quality of life and theorize about basic social justice. Unlike Sen, Nussbaum actively uses the notion of a threshold and the notion of human dignity in the theory. Since dignity is an intuitive and open concept, it must be applied in context when discussing it in the practical realm. This article analyses how human dignity is related to the Nussbaum’s version of Capabilities Approach and clarifies that it is a normative approach. To do this, the role of human dignity in the capabilities approach is analysed in three aspects. First, human dignity is one of the elements of the theory. Dignity is deeply related to ‘respect.’ ‘Respect’ has the status of a central concept encompassing the other elements that make up this theory. Second, what basic capabilities and human dignity has a common idea is that they are innate and must be developed. However even though one can not exercise agency and autonomy as agent, it does not imply that one do not have dign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equal dignity.’ Third, human dignity is the basis for the list of central capabilities. In other words, the notion of decency and respect should be at the center of listing central capabilities. 잠재역량 접근법은 삶의 질을 평가하고 기본적 사회정의에 관한 이론을 세우기 위해 아마르티아 센과 마사 누스바움이 공동으로 개발한 접근법이다. 누스바움은 센과 달리 최저 수준 개념과 인간존엄성 개념을 이론에 적극 활용한다. 그런데 존엄성은 직관적이며 개방적인 개념이어서 실천적인 영역에서 논의할 때는 맥락 속에서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논란을 유발한다. 이 글은 누스바움 잠재역량 접근법에 인간존엄성이 어떤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이것이 규범적 접근임을 명료화한다. 이를 위해 잠재역량 접근법에서 인간존엄성의 역할을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다. 첫째는 인간존엄성이 이 접근법의 요소 중 하나라는 측면이다. 존엄성은 ‘존중’과 깊은 관련이 있다. ‘존중’은 이 접근법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을 포괄하는 중심 개념으로서의 지위에 있다. 둘째, 기본역량과 인간존엄성의 공통점은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으면서 개발되어야 한다는 데 있다. 그러나 행위자로서의 능동성과 자율성을 발휘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는 사실이 존엄성이 없다는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다. 우리는 ‘동등한 존엄성’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인간존엄성은 핵심역량 목록의 근거가 된다. 다시 말해 역량 목록 작성의 중심에 품위와 존중 개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2002헌가1 결정 다수의견의 재검토 ― 마사 누스바움의 ‘문학적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

        주우진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9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마사 누스바움의 ‘문학적 상상력’과 ‘분별 있는 관찰자’ 이론을 바탕으로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지 않는 병역법 규정의 헌법적 정당성을 다룬 2002헌가1 결정문의 다수의견(이하 ‘대상 결정문’)을 분석했다. 대상결정문은 학계에서 법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아 왔지만, 법리적 관점 바깥에서 대상 결정문을 바라보려는 시도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 우선 마사 누스바움의 ‘문학적 상상력’과 ‘분별 있는 관찰자’ 이론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한 후, (2) 위 이론을 바탕으로 대상 결정문이 갖는 의의를 지적하며 그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대상 결정문을 소수자에 대한 연민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판하는 것은 부당하며, 오히려 대상 결정문에서 ‘공적 사유’와 ‘문학적 상상력’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소수자에게 우호적인 주문을 선고한 결정문이 아니더라도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소수자에게 다가갈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 KCI등재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감정 재구성과 시민교육적 함의: 혐오감정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

        황옥자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3 시민사회와 NGO Vol.21 No.2

        이 글은 우리 사회의 불평등에 깊게 관여하지만, 제대로 포착되지 못한 ‘혐오감정’에 입각해서 공동체의 위기를 바라보는 정치철학자는 어떠한 상상력을 발휘해야 하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 정치, 철학, 문학, 윤리의 전 영역에서 ‘감정’의 가치를 평가하고 적용한 마사 누스바움(Nussbaum, Martha C)의 ‘혐오감정’ 개념을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이성 지배의 공적 영역에서 감정이 어떻게 사회 정의에 관여하는지를 개관하고, 지양되어야 할 비합리적 감정으로서 혐오 감정의 발생원인(내용), 그것의 사회화, 정치화 과정을 전개한다. 혐오에 대한 누스바움의 서사적 통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혐오감정을 반성적으로 사유해 보면서, 공감과 공존을 불가능하게 하는 혐오 감정의 정치철학적 의미를 공론화하고, 그에 대한 교육적 대안으로 ‘감정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a political philosopher who looks at crises of community through the lens of 'disgust', an emotion that is deeply involved in inequality in our society, but has not been adequately captured, should use his or her imagination. To do so, we reconstruct Nussbaum's (Martha C) concept of 'disgust', which has been used to value and apply 'emotions' in all areas of law, politics, philosophy, literature, and ethics. Specifically, it introduces how emotions intervene in social justice in the rational public sphere. Through Nussbaum's narrative insight into disgust, this study ultimately reconstructs disgust and discusses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disgust as an irrational emotion that makes empathy and coexistence impossible. Finally, I propose the importance of 'emotion education'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 KCI등재

        E Pluribus Unum의 사랑, 문학과 종교에 대한 이중적 시선: 마사 누스바움의『정치적 감정』에 대한 서평

        한금윤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0 문학과종교 Vol.25 No.1

        마사 C. 누스바움(Martha C. Nusbaum)은『정치적 감정』(Political Emotions) 에서 공적 자산으로서 정치적 감정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누스바움은 연민과 공감이라는 인간 이해의 감정이 배제된 신자유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바람직한 사회로의 변혁을 위해 문학을 포함한 예술적 상상력을 통한 사랑의 감정 소환을 주장한다. 그녀의 정치·철학의 바탕이 되는 주제어인 정의, 사랑, 정치적 감정은 ‘e pluribus unum’으로 표상된다. ‘e pluribus unum’은 ‘여럿이 모여 하나’라는 뜻으로, ‘품위 있는 사회’로의 발전을 위한 정치적 대안으로 나타난다. 누스바움은 보편적 인간의 사랑이라는 공적 감정을 강조하면서도 종교의 역할을 의식적으로 배제한다. 그녀가 제안하는 온전한 정의로운 사회는 인간 중심의 세속적 사회에 한정된다. 그러나 존재에 대한 궁극적 관심과 우주의 시원적 세계에 관심을 가지는 인간을 배제한 품위 있는 사회는 온전하다고 보기 어렵다. 문학과 예술적 상상력의 사랑에 편중하고 종교적 상상력의 사랑을 배제한 누스바움의 정치철학은 인간 감정과 삶의 조건을 단순화시켰다는 한계를 보인다. Martha C. Nussbaum’s Political Emotions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love as a public asset. Pointing out some issues of Neo-liberalism without compassion and empathy, Nussbaum argues the role of literary and artistic imagination in order to make a decent society. Her political philosophy includes justice, love, and political emotion based on the idea of ‘e pluribus unum.’ Simultaneously, she consciously excludes the role of religion. However, dealing with the human emotion of love without religion intrinsically shows limits of academic illustration of a decent society. In addition, her argument on the role of Literature and Arts as an instrument for the renovation of human world tends to limit the value of Literature and Arts for their own sake.

      • KCI등재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드러난 ‘연민’ 연구 - 누스바움의 ‘연민’ 이론을 중심으로 -

        박준형 ( Park Jun-hy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7

        본고는 마사 누스바움의 ‘연민’이론을 통해 소설 이해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을 그 텍스트로 삼아 ‘연민’의 다양한 층위를 분석하고 적용해 보았다. 누스바움은 감정 이론을 통해 감정을 인지주의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는 그간의 철학자들이 감정을 통한 판단은 많은 오류 가능성을 담보한다고 주장한 부분과 대치되는 부분이지만 ‘연민’에 대해서 타인의 고통에 대한 합리적인 가치판단이며 타인의 고통을 느끼는 연민으로부터 사회적 공감대와 사회적 제도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감정은 대상을 가지며, 감정의 대상은 감정 주체의 지향적 대상이고, 감정은 대상에 관한 믿음을 체현하며, 감정의 자각은 대상을 가치부여된 것으로 판단한다는 점을 그 근거로 삼는다.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은 군부 독재 하의 현실을 알레고리 기법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며, 또 한편으로는 르포로 기획되어 제작된 소록도의 현실을 고발하고 비판하는 소설이다. 육군 장교이자 소록도의 원장인 조백헌과 의무과장인 이상욱, 나병 환자들의 우두머리인 황희백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이해관계를 보여주는 본 소설에서 첫째, 조백헌이 보여주는 소록도 주민들에 대한 연민과 그 인지적 구조에 대한 분석, 둘째, “이상욱”을 통해 자기 연민과 자기혐오가 원생들을 대하는 인물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셋째, 황희백 노인을 통해 보여주는 자기 연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 이론을 이해하고, 이러한 것들이 문학 수용의 과정에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가능성을 엿보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understanding the novel through Martha Nussbaum's theory of compassion. Using Lee Cheong-jun's < Your Heaven > as the text, I analyzed and applied various layers of compassion. Nussbaum tries to see emotion emotionally through emotion theory. This is in contrast to what philosophers in the past have argued for, through emotional feelings, guarantees many possible errors, but it is a reasonable value judgment of the suffering of others about compassion, and the social sympathy and social system of compassion. Insist that change is important.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emotions have objects, objects of emotion are oriented objects of the emotion subject, emotions embody beliefs about objects, and awareness of emotions judges objects as valued. Lee Cheong-jun's < Your Heaven > is a work that shows the reality under military dictatorship by the allegory technique, and it is a novel that accuses and criticizes the reality of Sorok-do, which was designed and produced as a report. In this novel, which shows various interests, centered on the army officer and head of Solok-do, Cho Baek-heon, medical director Lee Sang-wook, and leprosy head Hwang Hee-baek. First, the analysis of the compassion and cognitive structure of the people in Solok-do, as shown by Jo Baek-Hun. Second, the analysis of how self-pity and self-hate affects the attitudes of the characters toward their indigenous people through “Lee Sang-wook”. Third,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theory of emotion of Martha Nussbaum through the analysis of self-pity shown by Hwang Hee-baek, and to see the possibility that these can suggest a new direction in the process of accepting literature.

      • KCI우수등재

        공감의 도덕적 가능성을 통해 본 스포츠 윤리 실천 모색 -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

        김동현(KimDonghyun),윤여탁(YoonYeotak),이광호(LeeKwangho)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5

        이 연구는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도덕 감정론의 핵심인 공감(compassion)에 주목하며, 공감을 통해 현대 스포츠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누스바움은 공감을 윤리적 고려의 대상으로 파악한다. 그 이유는 감정을 인지주의 관점으로 접근하였기 때문이다. 단순히 감정을 어떤 생리적 수준을 반영하는 감각이나 느낌으로만 여기는 비인지주의 관점이 아닌 ‘대상성’, ‘방향성’, ‘믿음’, ‘공동추론’ 이라는 감정의 인지적 요소를 근거로 감정을 도덕적 실천을 위한 요소로 간주하며, 특히 공감을 도덕적 판단의 핵심으로 부각한다. 공감을 스포츠 윤리실천의 대안으로써 판단한, 또 하나의 근거는 상대를 적이 아닌 존중의 대상으로 규정하는 스포츠맨십의 성격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공감이 스포츠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누구나 동의할 만한 도덕적 동기를 제시해야 한다. 누스바움은 그것을 인간의 ‘공통된 본성(essentialism)’인 ‘상처받기 쉬운 연약함(vulnerability)’을 제시하며, 이 본성을 깨닫게 될 때 공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감정의 교육을 통해 동기화될 수 있으며, 상대의 아픔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도덕적 상상력을 줄 수 있기에, 스포츠 윤리 교육의 일환으로서 강구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practicing modern sport ethics focusing on compassion, which is the core of Martha Nussbaum’s theory of emotions. Nussbaum sees compassion as an object of ethical consideration as she approaches emotions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Emotions are treated as a component of moral practices based on cognitive aspects of emotions, such as ‘objectivity’,‘directionality’, ‘belief’, and ‘co-reasoning’, with the emphasis of compassion as the core of moral judgment, not considered as senses or feelings from anon-cognitive perspective that merely reflects a certain physiological level. Compassion is taken as an alternative for practicing sport ethics given that it is in line with the nature of sportsmanship which defines the opponent as an object of respect not an enemy. In order for compassion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putting sport ethics into practice, a moral motive that would be agreeable to all needs to be presented. Nussbaum suggests 'vulnerability', the common 'essentialism'of human beings, as the one, and compassion can be delivered by understanding it. And all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motivated through the learning of emotions, and programs that enable participants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pain of the others and foster moral imagination need to be pursued as part ofsport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토대로서 감정: 누스바움(M. Nussbaum)의 역량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유정,서나래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4 한국교육논총 Vol.45 No.2

        세계시민교육은 정의롭고 평화로우며 관용적이고 포용적이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필요한 학습자의 지식과 기술, 가치와 태도를 계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패러다임이다. 특히 법철학자이자 윤리학자인 마사 누스바움은 세계시민교육의 토대로서 감정에 주목하고 감정을 역량(capabilities)의 일종으로 이해하였다. 본 연구는 누스바움의 역량적 접근을 중심으로 감정이 세계시민교육의 토대가 됨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누스바움의 10가지 중심적인 인간 역량 중 하나인 감정에 주목하였으며, 제Ⅲ장에서는 세계시민주의의 역량으로서 감정의 층위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세계시민성을 저해하는 감정으로는 두려움과 시기심이 있으며, 이는 대상을 타자화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혐오와 수치심은 정상과 비정상의 계층화를 만든다. 세계시민성을 강화하는 감정으로는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는 연민과 타인의 가치를 지각하는 사랑이 있다. 이를 토대로 제Ⅳ장에서는 세계시민성 역량 강화를 위한 감정교육의 방법으로 타인의 삶을 서사적으로 상상하기, 일상적 다양성을 통한 보편/정상성 허물기를 제시하였다. 감정교육은 차별에 대한 대항력을 기르고 인류에 대한 연민과 사랑의 감정을 강화하는 것으로, 법적 및 제도적 대안뿐만 아니라 인지적·정의적·심동적 영역에서의 실천을 요구한다. 이렇듯 감정교육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은 상생을 위한 연대와 협력을 이루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quips learners with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necessary for fostering a peaceful, secure,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world. Martha Nussbaum, a renowned philosopher and ethicist, emphasizes the role that emotions play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capabilities. This study argues that emotions, as conceptualized in Nussbaum's capabilities approach, are essential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hapter II focuses on emotions, one of Nussbaum's ten fundamental human capabilities, while Chapter III examines the role of emotions within global citizenship. Negative emotions like fear and jealousy coule hinder global citizenship by dehumanizing others, while hatred and shame contribute to division. Conversely, positive emotions such as compassion and love promote global citizenship by encouraging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human worth. Rather than merely eliminating negative emotions, emotional education builds resilience against discrimination and fosters compassion and love for humanity. Practical application is needed acros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and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alternatives. Through such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uld significantly promote stronger global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 KCI등재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이지성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3 No.-

        이 논문은 “교육의 공적인 영역, 특히 대학에서 사회병리학적 요인인 왕따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것일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 논문은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여전히 왕따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채, 관계와 자아 정체성에 대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리고 학생들이 경험한 병적인 관계의 본질을 깨닫고 스스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는 데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논의가 도움이 되었다. 그녀는 교육의 장에서 인문학과 예술, 특히 문학을 통해 비극을 만나게 하는 일이 매우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도덕적 판단으로서의 공감이 중요하다고 제시해 왔다. 본 논문은 그녀의 방대한 관심사 중에서 ‘공감compassion’이라는 주제와 그것을 현실화하는 방법론에 관심을 두고 다뤄보았다. 누스바움은 ‘공감’이 도덕적 판단의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누구나 동의할 만한 ‘도덕적 동기moral motivation’를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바로 인간 모두가 가지고 있는 ‘상처받기 쉬운 연약함’이다. 그리고 누스바움은 이러한 특징은 교육을 통해 중요하게 동기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의 교육을 위해서 중요한 것이 문학을 접하게 하는 것이며, 문학, 특히 비극적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은 학생들에게 도덕적 상상력moral imagination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누스바움이 고민하고 있는 ‘공감’이라는 도덕적 판단은 타인의 고통을 바라보는 중요한 통찰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타인의 감정, 특히 고통에 대해 공감하기 위해서는 ‘연민’과 ‘공감’에 관한 구체적이고 적실한 구분이 필요하다. 이 논의의 선상에서 수전 손택을 제안한다. 사실 누스바움이 제시하는 교육방법으로는 현재의 교육의 장에서 ‘공감compassion’은 커녕 ‘연민pity’을 제안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한 일이다. 실제 왕따와 관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소크라테스, 타고르식의 교육은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공감’이라는 단계에 가기 위해서 그 무엇인가의 접점이 필요하다. 그것을 가능하게 한 점이 바로 ‘연민’이라는 감정이고, 그 연민을 가능하게 한 방법이 바로 ‘사진’이다. 손택이 주목한 것 처럼, 일단 고통의 이미지들을 마주하면서 최초의 충격을 함께 공유하면서 이들은 자신들의 고통을 이야기하기 시작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사회병리학적 병인인 왕따에 관한 학문적인 논의라기보다는 현장 속에서 경험한 보고서에 가깝다. 왕따가 야기한 우리 모두의 고통을,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다가가기 위한 작은 시도이다. This Thesis starts with the question, "how should we look at the issue of an 'Bulling', a social pathological factor in the public sphere of education, especially in college?".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tudents entering college experiencing conflict in relationships and self-identity while they are still not free from the issue of bullingt. In addition, it concentrated upon a plan in which students realize the pathological relationship they experienced and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To solve this concern, Martha Nussbaum's discussion was helpful. She has argued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make them meet a tragedy through the humanities, art, especially litera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through that, she has suggested that compassion as moral judgement is important. This paper dealt with the topic of 'compassion' and the methodology to actualize tit among her vast interests placing emphasis on it. Martha Nussbaum argued that 'compassion' should suggest 'moral motivation' that anyone could agree to fulfill the required conditions as a moral judgement. This is the very 'vulnerability' In addition, Martha Nussbaum saw that this feature could be significantly motivated through education. Moreover, she argues that for this education of emotions, it is important to make students meet literature and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tragic narratives, which could give them moral imagination. The moral judgment of 'compassion' with which Martha Nussbaum is concerned is surely an important insight to look at the pain of others. And yet, to empathize feelings of others, especially suffering, the specific and accurate classification of 'pity' and 'compassion' was necessary. On the extension of this discussion, Susan Sontag was suggested. In fact, it is impossible to propose 'pity' far from proposing 'compassion' in the current field of education with the teaching methods proposed by Martha Nussbaum. Actually, there were limitations of Socratic and Tagorean education for the students related to bullings. Especially, to go to the stage, 'compassion', a point of contact of something was necessary. The point that made it possible was the emotion of 'pity', and the method that made the pity possible was 'photography'. As Susan Sontag noted, while facing images of pain and sharing the first shock together, they could talk about their pain. This paper is close to a report experienced in the field rather than an academic discussion of bullings, a social pathological factor, It is a small attempt to approach with compassion beyond pity to pains of us all brought about by bulling.

      • KCI등재

        법적 상상력과 공상의 사용법에 대하여 ― 마사 누스바움의 < 시적 정의 >의 경우 ―

        이계수 ( Kyesoo Yi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6 민주법학 Vol.0 No.61

        오늘날 법 연구와 법 실천을 지배하는 것은 조문과 판결에 대한 실증주의적 태도이다. ‘전문가 바보’인 법률가들은 ‘법 앞에’ 서성이기만 할뿐 법문 밖 세계를 넘보지 못한다. 전문 직업학교인 로스쿨의 등장으로 이러한 경향은 심화되고 있다. 이글은 도덕·법철학자인 마사 누스바움의 < 시적 정의 >를 읽고 필자의 느낌을 적은 것이다. 누스바움은 기술적 이성만이 아니라 합리적 감정이 개입하는 법해석을 제안한다. 법적 판단은 문학적·시적 심판이기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문학적 상상력과 공상이 동원되어야 한다. < 시적 정의 >는 공리주의적 프루덴시아의 법학을 감성적·도덕적 프로네시스의 법학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자로 잰 듯한 기계적 판결, 노동자·도시빈민의 궁핍과 빈곤에 공감하지 못하는 냉혹한 재판관들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이런 이야기를 만나는 것은 얼마나 반가운가. 다수의 서평이 < 시적 정의 >에 우호적이었던 데에는 이런 우리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그러나 몇몇 사람들이 더 엄하게 처벌받거나 혹은 관용적으로 처우 받는다고 해서 달라질 게 무엇인가? 정치사법과 계급사법, 그리고 이를 지탱하는 법률의 정치적 편향성이 그대로 존속한다면 말이다. 하나의 제도로서 법원은 결코 자기 스스로에 대해 의심을 품지 않는다. 그것은 굳건한 하나의 관료조직이다. 몇몇 문학적 재판관들의 공감과 문학적 상상력에 기초한 판결만으로는 치유할 수 없는 고통이 만연한 세상, 우리는 이러한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세상을 헤쳐 갈 힘은 문학적 재판관이 아니라 재판정에 출두해야 하는 대중 자신에게서 나와야 한다. 때로는 반동적이기도 한 ‘위로부터 내려오는 정의’가 아니라 대중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정치의 ‘마술적(=문학적)’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시적 정의는 시적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 법에 대한 문학의 자극은 그런 것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문학은 교조적인 것에 반대하며, 시대착오와 잘못된 금기 그리고 의미가 다 빠져버린 상징을 ‘낯설게 하는’ 아주 중요한 장치이기 때문이다. What dominates today’s legal research and application is a positivist attitude towards statutes and decisions. Lawyers who are ‘expert fools’ wander in front of the law, hesitant to look beyond the strict boundaries of the law. The emergence of law schools as professional vocational schools has only intensified this tendency.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Martha Nussbaum’s seminal piece, Poetic Justice. Nussbaum proposes an attitude towards statutory interpretation that not only utilizes technical rationality, but reasonable emotions. She contends that legal analysis must also be a literary/poetic judgment, which requires literary imagination and fancy. Poetic Justice seeks to supplement the utilitarian prudentia’s legal studies with emotional/moral phronesis. I welcome her suggestion in today’s context where coldblooded judges fail to empathize with the worker’s and the urban poor’s poverty and deprivation, engaging only in mechanical conclusions. Many commentators have embraced Nussbaum’s work for similar reasons.However,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that some individuals are punished more severely while others are treated more generously, if the political biases that sustain the systematic injustices in dealing with a politicized and stratified legal system. As an institution, the court is never self-introspective; it is a solid bureaucracy. We live in an era where so much suffering, which the empathy of some literary judges and judgments based on their imagination cannot heal, is rampant. The breakthrough will not come from the literaryjudge, but the public itself. The magical (literary) possibility of politics that are shaped by the masses must receive more attention than the sometimes reactionary “justice from above.” In other words, poetic justice must move as poetic politics. Literature’s influence on the law must be as such, since literature is an extremely important device that challenges and “makes strange” the dogmatic thinking, anachronism, irrational taboos and meaningless symbols that are prevalent in today’s world.

      • KCI등재

        개별화와 예술의 인지적 가치

        조선우 ( Sun Woo Cho ) 한국미학회 2012 美學 Vol.72 No.-

        이 글은 예술작품이 그 작품을 감상하는 주체의 인지적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방식들 중 하나라고 필자가 주장하는 개별화(particularization)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예술작품은 그것이 다루고 있는 주제나 사물을 특정한 방식으로 개별화함으로써 감상자로 하여금 그것들의 특정한 측면이나 구체적 사항들에 집중하고 그것들에 반응하게 한다. 작품 속에 구현된 특정한 개별화의 방식이 감상자의 예술 경험을 이끌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예술 속 개별화의 작용이 우리의 인지적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보이기 위하여, 필자는 먼저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논의에 기대어 우리의 삶에 관련된 특정 문제들은 그 문제의 개별성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 함을 보이고, 그러한 이해를 위해서는 축적된 개별 경험들로부터 도출되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규칙들뿐만 아니라 개별 경험들 자체가 중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렇게 우리의 이해에 있어서 개별 경험들 자체가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한 후, 이 글은 실제의 삶에서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경험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과, 이러한 실제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있어 우리의 예술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예술 경험은 작품 속에 구현된 개별화의 작용을 통하여 우리의 실제 경험을 보충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경험을 통해 감상자는 첫째로 양적·질적으로 풍부한 경험을 갖게 될 수 있고, 둘째로 공동체 안의 타인들과 공유되는 공통적 경험을 갖게 될 수 있으며, 셋째로 감상자의 지각 능력이 발달되어 그가 앞으로 가지게 될 실제 삶을 통한 경험과 예술을 통한 경험 모두가 더 풍부해질 수 있다. 예술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그 감상 주체가 얻게 되는 풍부한 간접경험과 미래의 더 깊이 있고 풍부한 직·간접경험을 가능하게 할 지각 능력의 획득은, 예술 작품 속에서 다루어지는 특정 대상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뿐 아니라 세계 전반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감상 주체의 인지적 발전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I discuss particularization as a distinctive way artwork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those who experience the works. By particularization, I mean individual description or specification of a particular instance as it is commonly defined, and more importantly, I focus on its opposition to make things general and abstract, that is, making things particular. The operation of particularization is prominent in most works of art, because even a general theme or common object is represented or expressed in art as a particular instance by the artist`s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material and media. By particularizing a theme or an object in certain ways, a work of art leads audiences to actively attend to and respond to certain aspects and details of the objet, and have an experience with them. In discussing how the operation of particularization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our understanding, I begin by showing that certain matters concerning our lives should be understood in their particularity, and claim that the understanding in question can be acquired through particular experiences per se, rather than general or abstract rules extracted from accumulated experiences, drawing on the work of Aristotle and Martha Nussbaum. Once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and the limits of experiences we can acquire in real life are demonstrated, I argue that in virtue of the operation of particularization, works of art can offer us the experiences -full and common experiences- that we need for the advancement of our understanding, and our perceptual abilities for present and future experiences can also be cultivated through experiences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