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 Richard Niebuhr의 신학과 윤리학의 공공신학적 토대

        김희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4 No.-

        본 연구는 H. Richard Niebuhr의 신학과 윤리학에 대해 공공신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그의 신학과 윤리학에 내포되어 있는 공공신학적 토대를 도출해내고 이를 통해 국내 공공신학 담론 발전에 기여하며 한국 개신교회의 공공성과사회적 책임의식 회복 및 실천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 개신교회는성장을 위해 개인전도, 각종 예배와 기도회, 부흥회, 헌금, 교인들 간의 친목도모등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물질주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회피, 시민사회와의 소통 단절, 보수우경화 등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지탄의 대상이 되었으며 역성장의 기로에 서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개혁되고 갱신되어 이 사회에 정의와 화평을 확립하는데기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회의 공공성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려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계 공공신학자들이 다루고 있는 주요주제들에 대해서 먼저 더크 스미트와 라인홀드 니버, 맥스 스택하우스, 스탠리 하우어와스 등을 통해서 살펴보고, “응답적 책임 윤리”를 제창한 리차드 니버의 신학과 윤리학에 내포되어 있는 공공신학적 토대를 조명하며, 이를 통해 한국 개신교회의 개혁과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의식 회복, 그리고 실천을 위한 신학적 윤리학적 가이드라인들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H. Richard Niebuhr’s theology and ethics from a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as this article does not only try to find out arguments on the identity,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 church, but it also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ogression of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in Korea for the recovery of Korean Protestant Church’s consciousness of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to recover the sense of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reform the church crisis as well as to establish justice and peace in Korean society. For this,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core issues of public theology offered by Dirk J. Smit, Reinhold Niebuhr, Max L. Stackhouse, and Stanley Hauerwas. Besid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ublic theological basis of H. Richard Niebuhr’s theology and ethics. Lastly, depending on these studies, this article offers theological and ethical guidelines for the recovery of the consciousness of public nature and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ought of H. Richard Niebuhr and Charles E. Curran

        송용섭 ( Yong Sup So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0 No.-

        본 논문은 리차드 니버와 찰스 큐란의 신학 사상을 비교 분석한다. 기독교 현실주의자들과 달리, 니버와 큐란은 개인 도덕적 가능성을 사회 정치적관계 및 집단 이기주의를 초월할 수 있다는 데까지 확장시켰다. 그들의 신학윤리 사상을 탐구하면서, 본 논문은 신학, 하나님, 교회가 니버와 큐란의 신학 사상에 있어 개인적 도덕 생활의 근본적이고 실천적인 자원이 되고있음을 주장한다. 본 비교 분석 논문은 니버와 큐란이 개인이 도덕 원칙과 공동체에서 성숙하고, 교육받고, 성장하여 자라갈 때, 개인적 관계 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서도 도덕 생활의 일치를 유지할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그들은 신학과 하나님과 교회를 다루는 방식과 주장에 있어 몇가지 차이가 있다. 비록 교회와 하나님 모두가 도덕적 판단과 행위에 있어 효과적이고 유효한 자원이긴 하지만, 큐란에 있어서는, 하나님에 대한 사상보다 교회와 그역할에 대한 사상이 보다 더 발전되어 있다. 반면에, 니버는 하나님 개념에 대한 보다 이론적인 기초를 세우려 하였다. 당시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이슈들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에도 불구하고, 니버는 하나님에 대한 이러한 이론적 기초를 발전시키기를 멈추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니버와 큐란이 모두 복잡한 사회 윤리적 관계속에서 도덕 주체의 도덕적 판단과 행위 가능성과 도덕 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주요 자원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활용했다는점에서 그들의 기독교 윤리적 기여를 찾을 수 있다. This comparative essay investigates the thought of H. Richard Niebuhr and Charles E. Curran. They expanded the capacity of a personal morality to involve socio-political relations and to transcend group egoism. In the process of probing their ethics, this study argues that theology, God, and the Church are fundamental and practical resources for a personal moral life in the systems of thought of Niebuhr and Curran. This comparative study argues that Niebuhr and Curran have a shared belief in the unity of the moral life of a person in individual and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 person is nurtured, taught, fulfilled, and grounded in moral principles and communities. However, they show some differences in their arguments and styles dealing with theology, God and the Church. While other resources of moral life such as God and the Church are effective and valid for moral decision-making and action, it is evident that for Curran, the Church and its role for moral life have been more developed than his notion of God. On the other hand, Niebuhr seems to construct a more theoretical basis of the notion of God. While he has consistent interests in ongoing issues of his contemporary world, Niebuhr does not seem to stop constructing his theoretical basis of God. Finally, both Niebuhr and Curran make strong argument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an agent’s moral decision- making and actions in complex social relations and provide some of the important resources for living a moral life.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 속 리차드 니버의윤리사상 다시 읽기

        박우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5 No.-

        급변하는 사회 가운데서 기독교인의 사회적 실존 뿐 아니라 인간의 도덕적실존은 어떻게 타당하게 이해되고 설명될 수 있을지 질문해 본다. 이와 관련하여 어떻게 기독교 신학 체계뿐만 아니라 도덕 철학의 전통을 함께 사용하면서답할 수 있을지 관심하게 된다. 절대타자인 하나님을 존재의 근거로 여기면서자아와 타자와의 관계성을 풀어나가는 리차드 니버의 해석이 포스트모던 시대의개체에 대한 존중과 연관성에 대한 이해와 맞닿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니버의윤리사상은 기독교 신학의 인간과 역사 이해를 넘어서서 포스트모던 사상과 만나대화할 가능성을 제공하며, 또한 비판적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제공할 수 있으리라여겨진다. 첫째, 니버의 사상은 책임적 응답이라는 관점을 포스트모던 사상이 말하는 상호보완성에 기초한 연관성에서도 놓치지 않고 있다. 둘째, 철저한 유일신론은그에게서 존재 그 자체의 원칙이며, 보다 포괄적 공동체를 지향하도록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말하는 개체의 다양한 목소리를 인정하더라도, 니버는 포괄적관계구조의 이해 가운데서 개체의 실천들을 비판하는 관점을 궁극적 원인이자절대적 존재로서의 하나님과의 관계성의 빛 가운데서 제공한다. 셋째, 니버에게있어서 계시란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계시가 우리로 하여금 타자들의 이야기를 해석해 내어 의미를 찾도록 돕는다. 넷째, 니버의 신중심적 사고의특징은 역사 속에서 자유롭게 행하시는 하나님의 활동과 전적인 주권에 기초하고있으며, 그 기초 위에서 종교 간의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란 입장이다. 결과 보다는 대화의 지속성이 우선이다. 니버의 윤리사상이 갖는 특징들이 포스트모던 시대 상황 가운데서 실제로 유효하려면, 그의 주장대로 책임 있는 해석을 통한 끊임없는 자기 비판과 자기 교정의 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How can we understand and explain not only Christians as social existences but human beings as moral agents by using both Christian theological structures and moral philosophical traditions in this postmodern world? To answer this question, we need to revisit H. Richard Niebuhr’s ethical thoughts because his understanding of God as the Absolute Being by which all beings exist leads us to grasp close relations between the self and others on which prevalent postmodern thoughts can be converged. Further, Niebuhr’s ethical thoughts could be reinterpreted as a possibility of having a continual dialogue with postmodern thoughts and providing them with constructively critical focal points in the following: 1) his ethical thoughts can reexamine a complementary theory in terms of responsible responses, 2) radical monotheism is the principle of being itself and rather supports a more inclusive community; while postmodernism affirms various voices, Niebuhr considers them as a whole with relativizing all the practices of social existence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 to God as the ultimate cause and the Absolute being, 3) revelation itself is meaningful and further makes us interpret others’ stories as valuable and meaningful ones in history, and 4) his God-centered thoughts are based on God’s free and arbitrary actions in history, on which a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could be carried out. To make his ethical thoughts valid in the midst of a harsh postmodern society, continual self-critical and self-corrective movements should be performed through responsible interpretations by which fitted actions can be followed.

      • KCI등재
      • 리처드 니버의 ‘문화변혁론’ 에 대한 비판적 논쟁과 해석학적 이해

        성석환 한국문화신학회 2009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Vol.14 No.-

        Even though in pluralistic situation that doesn ’ t allow a certain religion to evangelize one-sidedly with coercion in a society, the mission of ‘transforming cu1ture ’in the world is not optional for Christians and churches but is a kind of given imperative. How could they do such a mission in this pluralistic world without coercion to others or alienation from society? So it is requested that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of cu1ture' have to be reinterpreted theologically to reflect changing conditions in society. Recently the discussions on that issue are proceeding with a rethinking of H. R. Niebuhr’ s theology especially in concem with his concept of ‘ transforming cu1ture ’ in Christ & Cu/ture. There are scholars to criticize it for a tendency to be inc1ined to ‘ the Christendom ideology' which was abolished in modem world. Yet most of those challenges have a reference just only to Christ & Culture which was published in 1951. For the more appropriate research of that we need to dig down in Niebuhr’ s theology with reference to other works. In fact for Niebuhr the concept of ‘transforming cu1ture' is related to the responsibility of responsible self who interprets every events and relations hermeneutically in this world according to the loyalty to G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ribute to propose a public role of Korean Churches with a cultural communication strategy in pluralistic and multicultural society. From Niebuhr’ s theology, we could find out the real meaning of ‘transformation’ and grope for its possibility to be practic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Beyond the Korean Blessing-oriented Faith with the Help of H. Richard Niebuhr’s Perspective

        김현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5 No.-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deal with the Korean blessing-centered faith with the help of H. Richard Niebuhr’s theology and ethics. To this end, it discuss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paper analyses the basic points of Niebuhr’s theology and ethics. (1) For Niebuhr, faith is social because faith is presen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self, others, and God. (2) A true faith is a monotheistic faith which affirms that God is the One beyond the many and whatever is, is good because all have their being in the One God. (3) A true monotheistic faith implies the universal ethic of responsibility and love. Second, the paper criticall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lessing-oriented faith. The Korean blessing- centered faith emphasizes this-worldly material success and the dualistic value- system. It comes to the following extreme conclusion: success is blessing, and failure is curse. From Niebuhr’s perspective, its result is the individualized faith, and the church’s indifference in its social responsibility. Last, the paper suggests the woori form of faith as an alternative to the Korean blessing-oriented faith. Specifically, the paper constructs the woori form of faith based on the social theory of the trinity. The basic idea is that three persons in the Trinity forms the community of woori, and a triune God is always in, with, and for woori or us. To conclude, the Trinitarian woori form of faith confesses: (1) a Triune God is the living One. (2) Three persons in the Trinity forms communion in terms of “self-sharing, other-regarding, community-forming love.” (3) A triune God is presence in the world, and invites all creatures into God’s life and communion of love. (4) Trinitarian woori faith is socially responsible because a triune God engages with seeking justice and peace in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and love. 본 논문은 H. 리처드 니버의 신학과 윤리학의 도움을 받아 한국교회의 축복- 일변도의 신앙을 비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다음의몇 가지 점을 논의한다. 첫째, 본 논문은 먼저 니버의 신학과 윤리학의 근본적인논점들을 분석한다. (1) 니버에게 신앙은 사회적이다. 왜냐하면 신앙은 항상 자아와 타자, 그리고 하나님 사이의 관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2) 참된 신앙은유일신론의 신앙이다. 이 신앙은 하나님만이 유일자이며, 유일자이신 하나님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것은 존재하는 한 선하다고 선언한다. (3) 참된 유일신의 신앙은 보편적인 책임과 사랑의 윤리를 포함한다. 둘째,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축복 일변도의 신앙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축복신앙은 현세의 물질적성공을 강조하고, 그에 따라서 이중적인 가치체계를 갖는다. 즉 축복신앙은 성공은 하나님의 축복이지만, 실패는 하나님의 저주라고 가르친다. 니버의 관점에서볼 때, 이러한 축복중심의 신앙은 개인화된 신앙과 사회 책임적 신앙을 불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축복 일변도의 신앙에 대한 대안으로“우리” 형식의 신앙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기초한 “우리” 형식의 신앙을 구성해본다. 이 신앙의 기본적 생각은 삼위 하나님이“우리”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우리” 공동체로 존재하시는 하나님은 항상“우리” 안에, “우리”와 함께, 그리고 “우리”를 위해 존재하신다. 결론적으로 삼위일체적 “우리” 신앙은 다음과 같은 내용의 신앙을 고백한다. (1) 삼위 하나님은생명의 하나님이다. (2) 삼위는 자기를 나누고, 남을 배려하며,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랑의 “우리” 공동체를 형성한다. (3) 삼위 하나님은 세상에 임재하시어, 모든 피조물을 삼위 하나님의 “우리” 공동체로 초대한다. (4) 삼위일체적 “우리” 신앙은 삼위 하나님이 세상의 정의와 평화를 이루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사회책임적 신앙을 견지한다.

      • KCI등재후보
      • A Logical Reflection on the Sources of Denominationalism

        현우식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인간과사회 Vol.28 No.-

        이 논문에서는 교파주의의 연원을 분석하기 위하여, 막스 베버, 에론스트 트뢸취, 리처드 니버의 주요 모델과 그 이론을 논리적 전망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베버의 사회학적 이론을 분석하여, 그가 공간문제를 다루기 위해 시간의 논리를 사용했음을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트뢸취의 역사학적 이론을 분석하여, 그가 시간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공간의 논리를 사용했음을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 니버의 도덕적 판단이론을 분석하여, 그가 문화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공간-시간 조합의 논리를 사용했음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frame of denominationalism from a logical perspective, and focuses on the factors and mappings of three major models from M ax Weber, Ernst Troeltsch, and H. Richard Niebuhr. Regarding methodology, we first address the sociological theory of Weber as a temporal logic, and then investigate the historical theory of Troeltsch as a spatial logic. The last part discusses the moral judgm ent theory of Niebuhr as a space-time combinatorial logic for the topic. The analytical and critical consequences imply: (1) our methodology needs the clarification for the state of Church at the very beginning, (2)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hurch is under constant tension, (3) faith needs positive exertion upon history, and (4) our judgment of the historical Church should be comparative.

      • KCI등재
      • KCI등재

        존 요더의 평화주의는 사회 변혁의 한 모델인가?

        김기현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3

        The Christian faith is closely related to society in any form. The anabaptist is a representative group of separation models among the five models classified by Richard Niebuhr. John Yoder argues that the separation model is a powerful society transformation model. The model seeks distinction, not separation from the world, and an alternative way of life that clearly contrasts with the world. Furthermore, Yoder criticizes the frame of ‘responsibility versus irresponsibility’ as unrealistic and ambiguous. Instead, he proposes a frame of ‘faithfulness versus unfaithfulness.’ Thus, we are not a debate about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ies, but rather how to participate specifically. 기독교 신앙은 어떤 형태로든지 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아나뱁티스트들은 리처드 니버가 분류한 다섯 가지 모델 중 분리 모델의 대표 그룹이다. 존 요더는 분리 모델이 강력한 사회 변혁 모델임을 역설한다. 그 모델은 세상과의 분리가 아니라 구별됨을 추구하며, 세상과 명백히 대조되는 대안적 삶의 양식을 추구한다. 더 나아가 요더는 책임 vs. 무책임이라는 프레임 자체가 비현실적이고 모호하다고 비판한다. 그는 신실함 vs. 비신실함이라는 프레임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사회적 책임을 감당할 것이냐의 논쟁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만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