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건으로서의 교육: 육하원칙에 따른 『천 개의 고원』의 교육학적 해석

        김영철 ( Young Chu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2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교육의 본성을 묻는다. 이 논문은 이와는 다른 교육에 관한 질문, 즉 교육을 사건으로 보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우리는 ‘교육은 누가, 어디서, 언제, 왜,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라는, 육하원칙에 따른 질문을 할 수 있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저서 ..천 개의 고원..의 열다섯 번째 고원(‘결론’)에는, 이 저서에 포함된 다른 고원들을 관통하는 여섯 개의 핵심 개념이 요약 제시되어 있다. 이 저서의 부제가 보여주듯이, 이 저서는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이라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개의핵심 개념이 그 사건을 육하원칙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고 보고,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여섯개의 핵심 개념을 ‘사건으로서의 교육’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변형시킨다. 교육적 주체, 공간, 시간, 방향, 경로, 그리고 방법으로 요약될 수 있는, 누가 교육을 하는가, 어디에서 교육을 하는가, 언제 교육이 이루어지는가, 왜 교육을 하는가, 무엇을 교육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교육을 하는가, 하는 육하원칙에 따른 질문들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요약 제시한 지층, 배치, 리좀, 고른판, 탈영토화, 그리고 추상기계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답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여, 이 논문은 교육적인 것을 선별하고, 교육을 바라보는 지평을 넓히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The question `what is education?`` asks the static and architectonic nature of education. Is it possible to ask another question on the education different from the question? ``Who does education, where it take place, when it occur, why is it performed, what does it take as an object, and how is it carried out?` is the alternative question on the education this study has. As it is universally known, this question is based on 5W1H of which journalism usually makes employ as a necessary conditions of reporting an accident or an event. The six core concepts in the A thousand plateaus written by Deleuze and Guattari, namely, strata, assemblage, rhizome, plane of consistency, deterritorialization, and abstract machines are often seen and passing through at the rest 14 plateaus, but condensedly explained at the last 15th plateau. A thousand plateaus has the subtitle,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that is the distinguishing event in the present age. I think Deleuze and Guattari tried to delve into the event by way of the core six concepts at the last plateau.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the six concepts as the educational concepts such as the educational subject, space, time, direction, route, and method. Conclusively, 1) the strata as educational subject is not the determined, but the determining, 2) the assemblage as educational space is not the reterritorializing, but the deterritorializing, 3) the rhizome as educational time is not the line dependent on the point, but the line independent on it, 4) the plane of consistency as educational direction is not the stratification, but the counter-stratification, 5) the deterritorialization as educational route is not the negative and limited, but the positive and unlimited, and finally 6) the abstract machine as educational method is not with proviso the abstract machine of stratification, the axiomatic or overcoding abstract machine, and the negative abstract machine of consistency, but the positive abstract machine of consistency.

      • KCI등재후보

        엮기의 조형을 통한 "매달기" 설치오브제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 박홍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개념은 설치미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작업으로서 인체에서 벗어나 생물과 인간 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박홍필의 ‘엮기’는 들뢰즈의 리좀과 같이 인간과 자연의 생명들을 보이지 않게 연결시키는 망을 표현하고 있다. 엮기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여 형태를 만들어 내며, 형태는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형태는 들뢰즈의 리좀의 개념과 같이 형태와구조상에서 위계적이지 않고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개념으로서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오브제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박홍필의 조형 개념은 공산품보다는 자연 재료를 소재로 가느다란 그물망으로 제작한 엮기의 오브제에서 비롯된다. 박홍필의 엮기 오브제와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며, 바람에 흔들리는 순간 움직임이 있으며 관람자가 그 앞을 지나는 순간에도 움직임이 있다. 그렇기에 박홍필의 엮기의 오브제는 니코스 스탠코스가 현대미술의 특징이라고 말한 ‘우연’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엮기 오브제의 매듭에 있는 원형의 사각형과 설치를 통해 생기는 그림자의 형태 또한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다. 원형의 사각형은 생명체의 상징을 의미하며, 그물망은 생명체 간의 보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인 선들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자는 생명체의 죽음 이후의 세계 이다. 이러한 조형의 상징은 들뢰즈의 개념을 수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생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들뢰즈. 가타리의 생명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써 생명인 동시에 죽음으로써의, 생명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데, 들뢰즈의 의미에서 해석하자면 이 신체나 저 신체의 죽음은 전혀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죽음이 없다면 변화도 진정한 생명도 그 근본적인 의미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인체에서 벗어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엮기의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현대 미술의 주된 주제가 되는 생명의 개념을 인간 중심에서 벗어나 생물을 비롯하여 인간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죽음이후의 세계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Park Hong-pil, whos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is the extending work for the installation art. I have made a study for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with free to human``s body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My ``weav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net on connecting the human as like Gilles Deleuze’s ``rhizome`` to life of nature invisibly. ``Weaving`` has to create forms trough the repetition continuously and forms has to create another new forms departing from the form, that is basic and simple linked with. This form,as like the conception of rhizome by Deluze,is not hierarchical on the form and the structure as like the conception, also, that is creat to new form depart form the basic, simple link with as the concept what comes first or later. Th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by Park Hong pil mean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eaving`` object. My modeling concept derived from the woven object with thin n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not from any industrial products. I have incarnated both of my modeling concepts of hanging and weaving with recurring square nets. Moreover, there are the movent at the moment when the wind blows, also, they repetitively move back and forth and even when a viewer passes in front of thework, the square nets also move. This explains that my work depends on the element of ``contingency`` Nikos Stangos referred to as one of the hallmarks of Contemporary art. The shadows shifting every minute by the movement of woven and suspended squares and nets are also a primary element of shaping on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The squares in my works stand for life while the nets stand for organic lines invisibly linking life forms to one another. The shadows are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These modeling symbols are founded on the notion Deleuze underlined,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image of living bodies. They are also based on the notion appropriated from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life, referring to the nature of life. In Deleuze’s view, the death of bodies is by no means negative: it means that in an elemental sense any change and life would not exist without the death of organisms. That is,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is to represent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 and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 KCI등재

        이문열의 『시인』에 나타난 탈영토화 양상

        곽상인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0 No.-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of de-territorialization in LeeMoon-yeol's The Poet I focused on Kim Byeong-yeon's infranomadbehavior, which was shaped in The Poet, and how Kim Byeong-yeon'sattitude of creation and poetic world view changed. First, KimByung-yeon was repeating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inorder to escape from the surveillance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Despite winning the poetry test, he was forced to continue movingbecause of his grandfather's sins. His ‘wander' is a challenge to thepowerful ideology established by the Chosun Dynasty, as well as aresponse to denying the blood relations and affiliation that led to hisgrandfather. De-territorialization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Kim Byung-yeonto create a free world of poetry. He wrote poetry in harmony with thesystem, which was only to match the upper class, so he refused anddreamed of de-territorialization. In the end, Kim Byung-yeon was able tobe free through the Risome thinking that constantly escapes from the lineof semantics, without going back to any fundamental meaning or origin,and was able to move to the poetry world of '0' in the potential of something. 본고에서는 이문열의 『시인』에 나타난 탈영토화의 양상에 주목했다. 이를위해『시인』에 형상화된 김병연(김삿갓)의 노마드적 행적, 그리고 김병연이추구했던 창작의 태도와 시세계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주목한 분석을 했다. 먼저 김병연은 조선의 감시체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영토화와 재영토화를반복하고 있었다. 공령시에서 장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조부에 의한 연좌제로 인해 지속적인 이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떠돎’은 조선이 세운 강력한이데올로기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거니와 조부로부터 이어진 혈연관계, 즉 계열화를 부정하기 위한 응전의 한 행태였다. 탈영토화는 김병연에게 자유로운 시 세계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동력이되었다. 조선의 시스템에 들어가서 시를 쓰는 것은 상류층의 구미만을 맞추는 것이기에, 이를 거부하고 과감히 탈영토화를 꿈꾸었던 것이다. 결국 김병연은어떤 기원으로 올라가지 않고 의미화의 계열에서 끊임없이 벗어나는 리좀적사유를 통해 자유로울 수가 있었으며, 무언가가 생성하는 잠재성 안에서 ‘0’의시 세계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종이의 집>에 나타난 탈 중심적 사고

        임주인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3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4 No.1

        In <The Money Heist>, a criticism of Spain's monetary policy and stimulus package, which was brought to the brink of bankruptcy in 2008 due to the bursting of the real estate bubble and a large number of bad loans, continues throughout the series. The robbers' designation of the central bank and the mint as the site of the raid shows the anger of the Spanish people against the government and financial officials who caused the Spanish financial crisis. I would like to interpret some aspects of internal resistance, such as conflicts and clashes between characters, as Deleuze's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Deleuze sees minorities on the periphery beyond the control of state apparatus as nomadic subjects, and argues for a break free from the violence of the monolithic ideologies of formal culture, centering on the dissolution of individual subjects, the disappearance of the essential, and the rise of the marginal other. In The House of Paper, which features a minority of anti-heroic characters as the central characters, from the Picaresque novels of the 16th ~ 17th centuries to the detective novel Novella Negra today, we see that Dali's surrealist perspective, which was critical of the existing art world and the social system of the time, is in line with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in order to express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ought that is free from all aesthetic and moral preconceptions without being dominated by logic. <종이의 집>에서는 2008년 부동산 거품 붕괴와 거대 부실채권으로 인해 파산지경에 이른 스페인의 금융정책과 경기부양책에 대한 비판이 전 편에 걸쳐서 이어진다. 강도들이 중앙은행과 조폐국을 습격장소로 지목한 것은 스페인 금융위기를 야기시킨 정부과 금융 당국자들에 대한 스페인 국민의 분노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등장인물 간의 갈등과 충돌 등 내부의 크고 작은 저항의 일면을 들뢰즈의 탈영토화의 개념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들뢰즈는 국가 장치의 통제가 미치지 않는 주변부에 위치한 소수자들을 유목적 주체로 보고, 개인의 주체 해체와 본질적인 것의 소멸 및 주변부 타자들의 부상을 중심으로 공식 문화가 지닌 획일적인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16~17세기의 피카레스크 소설을 비롯해서 오늘날의 탐정소설 노벨라 네그라에 이르기까지 반 영웅주의 소설의 계보를 잇고 있는 소수계층의 반 영웅적 인물을 중심 캐릭터로 등장시킨 <종이의 집>에서 논리에 지배당하지 않고 미학적이고 도덕적인 모든 선입견에서 벗어나는 사유의 실제작용을 표현하고자 기존 미술 세계와 당시의 사회 체제에 대해 비판적 입장에 섰던 달리의 초현실주의적 시각이 탈영토화 개념과 맞닿아있음을 확인해본다.

      • KCI등재

        『제인 에어』에 나타난 유목적 사고

        강준수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연구 Vol.5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Jane Eyre in terms of nomadic thoughts. Charlotte Bronte shows a dynamic life-long movement of Jane whose react is against the Victorian social norms in Jane Eyre. Bronte describes Jane as a progressive woman while trying to seek her identity. Jane has spiritual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nd leads to making harmony with others through nomadism which includes deterritorialization, vegabondage & connection, and rhisome. First of all, the paper analyzed the ideologies and social norms which Jane faces, and focused on Jane’s controversial words and deeds through Deleuze’s nomadism. Bronte offers an idea of androgyny as a way for the sexes to harmonize so that Jane can experience life to the fullest. Jane also experiences ‘becoming-woman’, ‘becoming- minoritarian’, and ‘becoming-everyone’ by leading a life as a nomad and following the way of thinking to move to a new domain continually. However, she tends to contradict herself by going back to the image of a traditional woman in the end.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positive vision on the 21st century woman’s self identity through this work.

      • KCI등재후보

        들뢰즈의 기관없는 신체를 통한 무용예술에서의 미학적 신체관

        김정은,신현군 한국체육철학회 200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ticul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theory and implications for dance of Deleuze's philosophical view point.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its main theme into non-organ body of his philosophical discussion. The following things were proposed as the result of the srudy: First of all, non-organization body of Deleuze's philosophy is the status of empty beyond the dichotomy which has been a long tradition in philosophical debate. In this perspective, dancer's body would be viewed from the subjective body or transcendental body in Eastern philosophy and practice. Second, the art can be defined as simulacre-phantasma which means a creative and effective product in the pure world. In this sense, the dancer's body would be same meaning with non-organ body. Third, the view of dancer's body and Eastern theory of body would be a possible model for non-organ body of Deleuze. it is a newly creative version of the interpretation for ontology. 본 연구에서는 들뢰즈의 다양한 철학적 이론을 배경으로 그의 미학이론이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의 미학론이 무용예술에서 가지는 의의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 논제인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를 무용예술에서의 움직임을 통한 무용수의 미학적 신체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논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들뢰즈에 있어서 주체는 기관 없는 신체로서 이는 과거의 전통적 이분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비표상적 사유임과 동시에 수많은 견해들로부터 벗어난 ‘원적 견해’로서 순수한 생산으로서의 욕망의 강도만을 지니고 있는 제로 상태라 규명할 수 있다. 이는 무용예술에서의 무용수의 초월적 신체나 동양사상에서의 주체 개념에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되고 설명되어 질 수 있었다. 예술은 순수한 생성의 영역으로서 모든 논리적인 허구나 매개인 도그마로부터의 해방은 물론 독창적이며 효과적인 생산으로서의 리좀인 동시에 시뮬라크르인 것이다. 그중 무용수의 살아있는 ‘생생한 신체의 움직임’은 다른 대상을 미적으로 투사 혹은, 수용함으로서 자신의 영역을 스스로 분화하며 다시금 무용수 자신의 신체를 재 융합하여 전혀 다른 지층을 형성, 새롭고 충만한 에너지를 생산해 내기 때문이다. 또한, 동양사상에서의 주체개념인 원효의 ‘깨달음의 몸’ 과 도가에서의 ‘존재 없는 존재’ 역시 우리가 끊임없이 고착하는 이데아나 정신, 혹은 각각의 기관들로부터 위계 지어진 유기체 또는 무의식 등의 이분법이 아닌 들뢰즈가 말하는 ‘충만한 기관 없는 신체’로 파악할 수 있겠다. 즉, 현실성의 극한을 통하여 사사로움 과 대상의 이미지에 대한 집착도 없는 고요함만으로 가득 찬 ‘공’인 상태 와 무한한 잠재성으로 가득 찬 주체로 설명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무용예술에서의 무용수의 미학적 신체관 과 동양에서의 주체 사상은 들뢰즈가 극복하고자 한 재현적 사유체제와 관념적 형이상학을 뛰어넘어서 충만한 기관 없는 신체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각으로서의 존재에 대한 재해석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노마디즘 관점에서 본 진정성 추구 여행

        변찬복(Byun, Chan-B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3 No.-

        본고에서는 여행 동기와 여행체험과 관련하여 그동안 관광학계에서 논의되어 왔던 진정성 개념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의 연결점을 조망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오늘날 즐거움 추구 여행과 함께 정신 고양을 목적으로 하는 진정성 추구 여행이 증가함에 따라 진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노마디즘적 행동양식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서 진정성과 노마디즘의 연결점을 고찰하는 것은 시의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고의 연구대상은 실크로드를 도보로 여행한 베르나르 올리비에의 여행 서사이다. 올리비에는 안정적인 삶이나 정주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는 여행자가 아니며 자신을 통제하고 고착화하는 영토를 벗어나서 지속적인 차이와 생성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탈영토화(deterritorialisation)를 실행하는 여행자이다. 또한 올리비에는 문명과의 단절, 자연과의 접속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미지층화·미형태화된 순수한 질료적 흐름으로 만들려는 욕망을 갖고 있었다. 올리비에는 여행의 마무리 단계에서 여행의 근본 목적을 해명하지는 못하였으나 분명한 것은 안락한 정주적 삶과 고착화된 사유에 의해 지배되는 현대세계의 일상성에 대한 강한 저항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linking point between authenti-seeking travel and Deleuzian nomadism. Having some thoughts of linking bridge between the two factors would be a timely move in that the numbers of both authenti-seeking travelers and contemporary nomads are rapidly increased in these days. Ollivier does not place any absolute value in the stability and settlement of his life. He pursues deterritorization which creates constant difference and production by escaping from the territory. He also tries to make his body destratified and destructured by disconnecting himself from civilized societies. Even though he does not offer elucidation about the travel motive, the thing clear is the fact that he is charged with a strong resistance against everydayness which are dominated with sedentary thoughts and comfortable lives.

      • KCI등재

        영화 <소공녀>에 나타난 도시난민과 탈영토화

        곽상인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4

        The film Microhabitat shows the refugee situation of the youth. This paper concentrated focuses on the Série life and social problems that revealed in the urban refugee life of ‘Miso.’ In this moviefilm, the main character. ‘Miso’ represents Korean youth who suffer experience dangerous situations.and also the This character who could suggest may also represent ‘De‐territorialization.’ Miso reveals the problem of the lack of solidarity and the absence of solidarity by escaping from the a universalized life,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home,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family, and pinpointing highlighting the reality of lack of love and communication. This paper looked examinesat her nomadic movements. ‘Miso’ dreamsed of territorialization but realizesd that it was is impossible. So Thus, she makes orients herself toward de‐territorialization, then After this realization, she went goes to meet the band members. While meeting the members, ‘Miso’ resisted resists being Série and territorialized in Korean society, and she decided chooses to become an urban refugee herself. As a result, de‐territorialization, which is implemented realized through Miso’s ability to sustain ‘Work‐Llife‐B balance’ and, ‘As being myself,’ and ‘The attitude of the towards the rhizome world’ could sustain.’ In addition, the reality of the people that ‘Miso’ had met meets gave a disappointment to ‘Miso’ disappointed her. And ‘Miso’ was trying attempts to live freely, even in a situation which that was not rich and was did not allow her to be territorialized it by herself. Miso’s “Work‐Like‐Balance” and “As being myself’” could be are made possible by through her narcissism. Moreo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appearance of ‘Miso’ that fight with a person who does not understand her by tenting establishing a tent by the river side of in the city. ‘Miso’ wanted seeks to live a nomadic life with a nomadic imagination. Everyone else would like wants to live in a stable space, but ‘Miso’ chose chooses to live in a tent rather than a stable house. Nomad journey of ‘Miso’ nomadic journey was is meaningful to young urban refugees because it showed shows them the true meaning of life.

      • KCI등재

        조세희 소설에 나타난 ‘관계-함께’의 정동적 양상

        안리경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5

        이 글은 조세희 연작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계층 간 연대이데올로기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이 소설은 하위계층의 소외양상과 투쟁 과정을 중심에 두고 논의를 집중해왔다. 그러나 소설 속 이루어지는 하위계층의 탈영토화 과정은 중간계층과의 관계맺음을 통해 성립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글은 이 소설의 또 다른 중심축인 중간계층 의식을 살펴보고, 나아가 하위계층과 중간계층의 연대 속에서 드러나는 희망의 정동을 중심으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난장이 일가의 지정학적 위치와 노동자성을 성취하기 위한 난장이 일가의 행위 양상을 살펴본다. 그동안 소설 속 난장이와 난장이 일가는 노동계급으로 명명되어 왔으나, 이들은 일반적인 노동계급이나 프롤레타리아로 규정되기 어렵다. 오히려 불안정한 비계급인 ‘프레카리아트’로 불리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특히, 소설 속 영수는 프레카리아트화를 당연하게 요구하는 사측의 행위를 거부하며 노동주체로 거듭난다. 그런데 영수의 이러한 변모에는 중간계층 한지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두 번째로는 소설 속 인물들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연대-희망 정동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지섭이라는 중간계층의 의미화가 필요하다. 행위를 부여받는 영수와 행위를 제시하는 지섭의 교호는 개인적 감정의 측면을 넘어선 사회적 몸짓으로 변모하게 된다. 더욱이 지섭의 경우 ‘지식인-노동운동가-노동자’라는 문턱 넘기를 보여주며, 영수에게 아버지가 남긴 사랑의 정동을 실천하게끔 하는 역동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이처럼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은 노동자의 정서적 변이가 분출되는 것을 물론, 기존 권력장을 해체시키려는 계층 연대라는 희망-정동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담딘수렌 우리앙카이(Damdinsuren Uriankhai)시에 나타나는 노마디즘 양상 연구

        강회진 ( Kang Hoe-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이 연구는 몽골의 시인 담딘수렌 우리앙카이(Damdinsuren Uriank hai)의 국내 번역 시집인 『낙타처럼 울 수 있음에』를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의 노마디즘(Nomadism)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담딘수렌 우리앙카이 시세계를 새롭게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탈영토화된 공간의 양상’, 둘째, ‘정서의 노마디즘 양상’, 셋째, ‘역설적 노마디즘양상’이 그것이다. 이 글은 노마디즘을 철학적 개념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시인이 끊임없이 새로운 시세계를 탐색해나가는 시적 사유의 과정으로 개념화하여 고찰하였다. 『낙타처럼 울 수 있음에』에 나타난 시세계는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창조를 위해’ ‘안정된 삶에 정주’하는 것이 아니라 버려졌던 불모의 대지에서조차 새로운 ‘생명’을 싹트게 하는 노마디즘의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끊임없이 새로운 시세계를 모색하는 담딘수렌 우리앙카이의 시작(詩作)은 정주하지 않는 순례자 혹은 노마디즘적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omadism of the Mongolian poet Damdinsuren Uriankhai's only translation poem, "Because You Can Cry Like a Camel"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It aims to redefine the world of Damdinsuren Uriankhai by analyzing it with a concept. Therefore,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aspects. First, 'the nomadic aspect of emotion', second, 'the aspect of deterritorialized space' and third, 'the paradoxical nomadism aspect'.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ceptualize and understand Nomad or Nomadism as a process of poetic thinking in which the poet constantly explores a new world of poetry without limiting. If you look at it like this, nomadism or nomadism is not a process of 'breaking the boundaries' or 'for a new creation' or 'settling in a stable life', but it is a process of sprouting a new 'life' even in the abandoned barren land. Damdinsuren, who constantly seeks a new world of poems, believes that the beginning of a journey like a pilgrim who does not sett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