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류승완 감독의 2000년대 영화에 재현된 울분과 폭력의 도시 공간

        장우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2

        This paper discusses how urban spaces of embitterment and violence are shown in Ryu Seung-wan’s action films in 2000s. This briefly means that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through Ryu’s films in 2000s, how embitterment and violence were in Korea during and after IMF crisis and analyze how his films show the changes of Korea resulted from IMF crisis in representation of urban space. Three questions are raised by this paper. First, how is the embitterment and violence of urban people in Ryu’s films related to the social changes by IMF crisis and spread of neoliberalism? Second, what characteristics are shown among the urban spaces of violence/action scenes in Ryu’s films? Third, what is the details of violence in Korean society in Ryu’s films? Embitterment and violent situations of urban people which caused by rapidly increased uncertainties by IMF crisis and neoliberalism were dealt with and related to systemic violence of Korean society in Ryu’s films. In addition, in his representation of urban spaces, heterogeneity of city, social polarization and the difference of crisis between old and young generations. 이 글은 류승완 감독의 2000년대 영화에서 도시인의 울분과 폭력의 도시공간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는 류승완 감독의 2000년대 영화를 통해 당시 IMF 체제 및 그 이후 시기에 한국 사회의 울분과 폭력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영화가 한국 사회의 변화를 도시공간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일이다. 이 글은 세 가지 질문을 제기한다. 첫째, 류승완 영화에서 보이는 도시인의 울분과 폭력은 IMF 위기와 신자유주의의 팽배로 인한 사회 변화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둘째, 류승완의 영화에서 폭력/액션 장면의 배경이 되는 도시공간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셋째, 류승완의 영화는 한국사회의 폭력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담아내는가? 류승완 감독의 2000년대 영화는 IMF 위기와 신자유주의로 인해 불안정성이 높아진 도시인의 울분과 폭력 상황을 다루며 그것을 한국사회의 구조적 폭력과 연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 과정에서 그가 재현한 도시공간은 혼종성과 양극화, 세대 간의 차이를 드러낸다.

      • 자기 방어적 소외와 공포

        류아진(Ryu A-jin)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4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 No.4

        본 논문은 2005년 류승완 감독이 제작한 인권영화 <남자니까 아시잖아요>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 성역할의 이중성에 대해 소외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목표를 둔다. 이 영화에서 전형적인 가부장적 사상을 가진 주인공 우식은 사회로부터 부여된 ‘남성성’이란 성역할의 압박을 극복하지 못한 인물이며, 사회의 다양성을 내포한 인간 군상인 ‘포장마차’ 속 등장인물들과 여러 방면의 외적 갈등을 겪는다. 그로 인해 성역할 기대 충족을 위한 그의 투쟁, 우위 계층 선점의 명분이 무가치성으로 추락할 위기가 대두되자 그 불안은 곧 공포로 치환되고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방어적으로 타인에게서 자신을 분리시켜 의도적인 소외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소외의 표현은 우식의 타인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의 형식으로 나타나며, 그 반동으로 타인과 자신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재차 확인?강조한다. 본고에서는 주인공을 통해 사회가 부여하는 성역할의 개념이 과연 무엇인지, 편견의 딜레마와 결말이 시사하는 한계가 무엇인지 현대 한국이라는 특정한 시간적·공간적 배경을 토대로 이를 고찰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cusing on alienation about modern society of Korea and duality of gender roles through Human Rights Film <Hey Man> directed by Seung-wan Ryu. In the movie, The main character ‘Woo-sik’ who has typical patriarchal ideology is unable to overcome the pressure of gender roles granted by society and in conflict with various people in ‘street vendor’ signifying a different human character in the society of Korea. When his struggle for gender role expectations met and justification of the upper hierarchy preemption was facing with crisis of worthlessness, that anxiety turned into the fear. To protect his ego, he separated from others defensively, is lead to the intentional alienation phenomenon.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alienation for others appeared in the form of a one-sided condemnation, he reaffirmed and emphasized his existence value taking advantage of the truth different from other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concept of gender roles granted by society through the main character and what is the suggested limit about movie ending and dilemma of prejudice. This is based on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 about modern society of Korea.

      • KCI등재후보

        베를린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불안

        한상언 ( Sang Eon Ha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1

        <The Berlin File> directed by Ryu Seung-wan is a metaphor for the anxiety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film is set in Berlin, which was the symbolic place of the Sunshine Policy, that was damaged b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is intelligence war shown as the reticular issue on Korean Peninsula. it`s not a only inter-Korean issue. This narrative which is a story about the spies made expendable by a power struggle is an allegory of a labor struggle fired by capital. And also it warns misdeeds which made by the spies’ act that was slipped into profession. This film has meaning that is described the North Korean regime of stereoscopic view more than another movies based on North Korea. But this film reflects the trend which is visualized and exaggerated the f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