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른 빛깔의 어둠들 : 동아시아의 루쉰론과 이명선 『魯迅 雜感文 選集』

        이용범(Lee, Yongbeom)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본고는 한국에서 최초로 시도된 루쉰 잡감문 앤쏠로지인 이명선의 미간행 『魯迅 雜感文 選集』(1949)을, 동아시아 루쉰론의 흐름과 이명선의 중국문학연구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분석하는 글이다. 경성제국대학 지나문학과 11기 이명선은 학과 교수 가라시마 다케시(辛島驍), 과 선배 김태준(3기)을 통해 중국현대문학, 그리고 루쉰을 접하기 시작한다. 가라시마와 김태준의 중국문학인식은 좌경적이었으나, 이명선은 점차 중국현대문학에 대한 독자적 관점을 형성하게 된다. 그것은 1940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루쉰(魯迅)과 위다푸(郁達夫)의 이름에서 따온 로부(魯夫)라는 필명에 잘 드러난다. 루쉰의 잡감문은 당대 암울했던 중국 현실의 암흑에 저항하는 무기로 기능했다. 당대 루쉰론을 생산한 다양한 논자들도 자신이 맞닥뜨린 어둠에 대항하기 위해 루쉰을 활용하였다. 최초의 본격적인 루쉰론인 리장즈(李長之)의 『魯迅批判』, 중국 근대 사상계의 맥락에서 루쉰의 좌표를 비정한 취추바이(瞿秋白), 리장즈를 선행연구 삼아 루쉰과 자신의 깊은 내면으로 육박한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의 루쉰론은 자신이 처한 현실을 높은 수준으로 반영하는 한편, 동아시아를 관통하는 루쉰론의 흐름을 이루고 있었다. 『魯迅 雜感文 選集』은 이같은 동아시아 루쉰론의 흐름을 단속적(斷續的)으로 잇고 있었다. 이명선은 해방공간으로부터 단정수립까지 한반도의 정치사적 격랑 속에서 사회운동과 아카데미 양방에서 중국현대문학연구를 수행한다. 그의 중국문학론은 동시대 한국문학의 주요논제에 개입하는 가운데, 타산지석으로 중국문학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해방기에는 쑨원(孫文)과 건국의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며, 루쉰에 대한 언급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그가 다시 적극적으로 루쉰을 찾기 시작한 것은 단정수립이 가시화되던, ‘어둠’이 짙어지던 시점의 일이다. 그는 『魯迅 雜感文 選集』에서 청년과 지식계급을 대비시키는 것을 통해, 남한사회의 ‘무물의 진’에 대항하며 오지 않은 민족국가의 미래를 그리려 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unpublished Selected Works of Lu Xun’s Zawen by Lee Myungseon(李明善, 1914~1950), the first attempt at an anthology of Lu Xun’s works in Korea, in two contexts: the flow of Lu Xun discussions in East Asia and the Korean perception of China. Lee Myungseon, a pupil of the department of Chinese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began to study Chinese modern literature and Lu Xun as part of the curriculum. Although the department’s understanding of Chinese literature was left-leaning, Lee gradually formed an independent percep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is is evidenced by his pen name Lobu(魯夫), which was taken from Lu Xun(魯迅, 1881~1936) and Yu Dafu(郁達夫, 1896~1945). Lu Xun s Zawen functioned as a weapon against the darkness of China’s gloomy reality at the time. Various scholars who produced Lu Xun commentaries then also used Lu Xun’s Zawen to fight the darkness they encountered. Lu Xun discussions were formed amid the East Asian interactions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The Selected Works of Luxun’s Zawen were intermittently connecting to the flow of Lu Xun discourses in East Asia. Lee conducted research on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in both social movements and academia amid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turbulence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Liberation.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his focus was on Sun Yat-sen(孫文, 1866~1925), which suggest that his priority was to found the country. When the division of Korea became clear - the darkness covers the peninsula again - he decided to pick up Lu Xun and start his resistance against the darkness.

      • KCI등재

        루쉰 『야초』 속의 니체사상 : 「총명한 사람과 바보 그리고 노예」, 「행인」을 중심으로

        김선화 이화어문학회 2013 이화어문논집 Vol.31 No.-

        hilosohers, oets, Nitzsch (Friedrich Wilhelm Nietzsche:1844 1900) thought can be summed u as ÜberMensch theory and Der Wille zur Macht theory, it exoses the caitalist hyocrisy and evil, "God is dead", comletely shut out all the idols and the traditions of the ast. During the eriod of Jaanese students Lu xun (1881 - 1936) the first contact, and be of great concern, and acceted the modern Euroean sirit through his mind. In this way, Lu xun's humanistic literary activities of the dee develoment. The reform of the national character thought is Lu xun (Li Ren) is an imortant art of the idea. Lu xun's national weakness is atience of cowardice, resentment and anger, and a slavish eole. So the transformation of Lu xun's thought of national character is the influence of two kinds of Nietzsche's moral theory. Nietzsche ointed out the fundamental antagonism master morality and slave morality. Nietzsche's demands for an end to the slave character, everyone becomes the host of the earth. Lu xun in order to get rid of China backward national consciousness acceted Nietzsche's ÜberMensch thought. Also, Lu xun want to overcome China lags behind the national consciousness, roosed some methods, it is Nietzsche's ÜberMensch ideology. Nitzsch said the ÜberMensch is beyond the self, self denial and create more owerful self. This is Lu xun a strong resonance art. Then, this aer think that Nietzsche's theory of morals and ÜberMensch ideology of Lu xun rose oems "Wild grass" by "The wise man and a fool and the slave" and "assenger" gave great influence. 철학자이며 시인인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의 사상은 초인사상과 권력 의지론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자본주의 사회의 허위와 죄악을 폭로하고, ‘신은 죽었다’ 라고 제기하여 과거의 모든 우상과 전통을 철저하게 배척했다. 이러한 니체를 일본 유학시절 루쉰(鲁迅: 1881-1936)이 처음 접하면서 많은 관심을 갖고 그의 사상을 통해 근대 유럽의 정신을 받아들였다. 이렇게 하여 루쉰은 국민성 개조를 위한 문학 활동을 심층적으로 전개하였다. 국민성을 개조하는 사상은 루쉰 입인(立人)사상의 중요한 부분이다. 루쉰이 관심을 품었던 국민성의 약점은 비겁함이고 원망과 분노를 품을 사람이고 노예근성을 지닌 사람이다. 그리하여 루쉰의 국민성 개혁 사상은 니체의 두 가지 도덕학설의 영향을 받았다. 니체는 주인도덕과 노예도덕의 근본적인 대립에 대해 지적했다. 니체는 노예근성을 모두 소탕해 버리고 모든 사람이 대지의 주인이 될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루쉰은 중국의 낙후한 국민의식을 극복하기 위하여 나름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것이 니체의 초인사상이다. 니체가 말하는 초인은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자, 자기를 부정하고 넘어서는 것을 통해 보다 나은 자기를 창조하는 자이다. 또한 평범한 민중을 희생하여 한두 명의 천재의 출현을 바라는 것인데 바로 이것이 루쉰에게 강한 공감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이처럼 루쉰의 초인관은 각성한 사람, 정신계의 전사이고 개성주의와 저항정신이 융합된 민중의 지휘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조국의 혼란된 상태를 수습할 나름대로의 해결방법을 찾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대표적 지식인 루쉰이 당시에 처한 시대적 상황을 타개할 정신적 지침을 니체의 주인도덕과 초인사상에서 찾으려 한 시도를 주제로 삼고 니체가 루쉰 및 그의 작품에 미친 영향을 루쉰의 니체접촉과 산문시집 『야초』(野草)속의 「총명한 사람과 바보 그리고 노예」(聪明人和傻子和奴才)와 「행인」(过客)에 심취한 니체사상에 중점을 두어 분석해 보았다.

      • KCI등재

        루쉰의 신흥 목판화 운동에 나타난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유이소,서희봉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u Xun in the emerging woodcut movement by analyzing the Western creative printmaking techniques introduced by Lu Xun during the movement and Lu Xun’s ideas of enlightenment, equality, and personal self-reliance in the works of the young Chinese printmakers of the time, to find its significance as the first art movement to take place in China. The research method will first analyze on Lu Xun’s thought according to current social structure and people’s life after study abroad. Secondly, during the beginning of the modern woodcut movement in 1930 to Lu Xun’s death in 1936, the woodcut exhibition held by Lu Xun, woodcut magazines and the activities of the modern woodcut association led by Lu Xun as the center, try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woodcut and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woodcut movement. Thirdly,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research on the evaluation from Lu Xun to the modern woodcut product and promoted the modern woodcut movement reflected in the ≪Complete Works of Lu Xun≫, ≪Lu Xun's Letters≫ and ≪Lu Xun’s Diary≫ in order to grasp Lu Xun’s aesthetic feature. At last, base on the”Everything””Thinking””Beautify” Utilitarianism Art, democratization of art from the Modern Woodcut moveme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irst art movement in China, in order to solve the design problem faced by China now. Lu Xun’s aesthetic feature is to guide the modern woodcut artists while start the modern woodcut movement that all classes can understand and resonate through visual imag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Lu Xun’s unique aesthetic feature appeared in the modern woodcut movement, which hope to arouse the real enlightenment and resonance of the public.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the modern woodcut is an assistant to help the public establish self-enlightenment. 본 논문의 목적은 신흥 목판화 운동 중 루쉰이 도입한 서양창작 판화 기법과 당시 중국 청년 판화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루쉰의 계몽·평등·개인의 자립사상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에서 일어난 최초의 미술운동으로서의 의미를 찾아봄으로써 신흥 목판화운동에 나타난 루쉰의 미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루쉰이 귀국한 후 중국 내의 사회 구조 현황과 인민 생활에 나타난 루쉰 사상에대한 분석이고 둘째, 1930년 신흥 목판화 운동의 시작에서부터 1936년 루쉰이 사망하기까지 전개된목판화 전시, 간행된 목판화 잡지 및 신흥 목판화 단체 활동을 중심으로 신흥 목판화의 발전 과정을이해하고 신흥 목판화 운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문헌고찰을 통해 <루쉰전집>, <루쉰서신집>, <루쉰일기> 등 표현된 루쉰의 신흥 목판화 운동에 대한 추진 방법과 작품 평가에 나타난 루쉰의 미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신흥 목판화 운동에 나타난”만물””자기인식””미화” 공리미술과민주화 사상을 바탕으로 중국 최초의 미술 운동으로서의 의미를 찾아내어 현재 중국의 미술이 겪는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루쉰의 미학적 특성은 신흥 목판 화가들을 지도하면서 모든 계층이 이해하고 시각적 이미지를 통하여 공감이라는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신흥 목판화 운동을 진행한다. 연구 결과 신흥 목판화 운동에는 민중의 진정한 계몽과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루쉰만의 미학적특성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신흥목판화의 역할이 대중들에게 자아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준 계몽의 조력자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아Q의 죽음과 부활

        최진호(Choi, Jin-Ho)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3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 정내동(丁來東)의 루쉰(魯迅) 연구를 계보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냉전 시기 루쉰은 마오쩌둥에 의해 ‘중공’에 포섭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담론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것은 루쉰에게서 좌파적 형상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즉 휴머니스트이자 계몽가로 루쉰을 전형화한 것이다. 이러한 냉전기 루쉰의 전형화의 기원에 1930년대 정내동의 루쉰 연구가 자리 잡고 있다. 1920년대 중반부터 중국에 유학중이던 정내동은 1920년대 후반, 제1차 국공합작 해체 이후 중국 사회의 분열과 루쉰의 새로운 방향 탐색을 목격하게 된다. 그는 루쉰과 혁명문학가의 논쟁 그리고 1930년 좌련성립을 참조점 삼아 ‘분열하는 중국과 루쉰’을 문제화했다. 정내동은 혁명문학가들의 주장대로 루쉰 시대의 종언을 수용했지만 루쉰과 마르크스주의와의 접근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내동이 중국의 루쉰 연구자 리허린(李何林)의 『루쉰론(魯迅論)』을 비판적으로 독해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한다. 정내동은 루쉰을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자연주의자이자, 혁명이나 이념에 종속되지 않은 휴머니스트 그리고 순수문학자로 규정하고자 했다. 정내동은 1920년대 후반부터 시작해 1930년 좌련가입으로 상징되는 루쉰의 전변을 루쉰 사상과 문학의 본령에서 어긋나는 것으로 이해했다. 역설적으로 정내동은 루쉰과 마르크스주의의 연결고리를 해체함으로써 ‘죽어버린 루쉰’을 다시 부활시켰다. 이것이 한국 루쉰 수용의 하나의 전형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냉전 시기 ‘중공’의 혁명적 문학가 루쉰은 한국에서 ‘중공’을 비판하고 문제화하는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정내동에게서 시작된 루쉰상이 체제 순응적 특성을 가졌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기형적이고 제한적인 루쉰상이지만 이로 인해 냉전 시기 중국을 상상하고 대면하는 사상자원이 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루쉰을 ‘사상의 은사’로 삼았던 리영희는 루쉰을 재독해함으로써 냉전의 통념에 대한 내적 성찰의 계기를 마련했다. 즉 냉전 해체라는 시대의 전환기에 ‘죽어버린 루쉰’이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By examining Lu Xun’s (魯迅) research on the Chong Rae Dong (丁來東) in the 1930s, I attempt to grasp the genealogy of the acceptance of Lu Xun in South Korea. In the Cold War period, Communist China (中共) was understood to be one of the countries most threatening and hostile toSouth Korea, and Lu Xun was made a symbol of the Chinese Revolution by Mao. But “enlightening criticLu Xun”, although removed by the leftwing, has exercised continuous influence on the discourse of South Korea. I think that Chong Rae Dong’s Lu Xun research in the 1930s is the origin of Cold War Lu Xun studies. Chong RaeDong studied in China during the mid-1920s and witnessed a new direction in Lu Xun and Chinese society after the dismantling of the First Cooperation. He demonstrated a dispute between China and Lu Xun with a reference to the revolutionary literary controversy between Lu Xun and revolutionary writer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eft-Wing Writers Union (左聯). He accommodated the end of the era of Lu Xun according to revolutionary writers but negated access to Lu Xun and Marxism. In this study, I analyze Chong Rae Dong’s reading of 『Lu Xun lun (魯迅論)』 edited by Li Helin (李何林). He wished to define Lu Xun as a naturalist and humanist, a belletrist who did not depend on the revolution and ideological philosophy. He understood that Lu Xun’s conversion to the left deviated from the core of his literature and thinking in the 1930s. He dismantled the connection between Lu Xun and Marxism, which paradoxically revived ‘the dead LuXun’. This formed the model of Lu Xun accommodation in South Korea. Of course, this model wasused for criticizing Communist China. Thoughthis Lu Xun image was strange and restrictive, Lu Xun being revived was part of the thought resources confronting China in the Cold War. Furthermore, the re-reading of Lu Xun, for example by Lee YoungHee (리영희), enabled internal reflection regarding the conventional wisdom about the Cold War. In other words, Lu Xun was revived from ‘the dead Lu Xun’ to the turning point in the era of the Cold War"s dismantling.

      •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Said)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이론으로 본 루쉰(魯迅)의 탈식민주의적 의식

        서록지(LUZHI XU)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1 高凰論集 Vol.69 No.-

        본고는 탈식민주의 이론을 통해 루쉰의 국민성 비판 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루쉰의 국민성 비판 사상과 사이드 오리엔탈리즘의 연관성, 루쉰과 미국인 선교사 아서 헨더슨 스미스의 관계 등을 통해 루쉰의 국민성 사상의 실질적인 핵심을 찾아낼 것이다. 이를 통해 루쉰에게 드리운 식민주의 추종자의 혐의를 없애고 루쉰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를 확립하고자 한다.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 의하면 서양은 우월한 위치를 지니고 반면에 동양은 서양의 타자로서 종속적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루쉰의 국민성 비판사상을 연구할 때에는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의 보편성과 본질주의 경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이드의 이론이 가진 한계와 중국의 특수성 때문에 루쉰에 대한 오해는 쉽게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루쉰은 미국인 선교사 아서 헨더슨 스미스의 『중국인의 기질』을 추천한 적이 있다. 이 책은 전형적인 탈식민주의 텍스트이므로 일부 중국인의 대한 묘사는 왜곡과 과장이 있다. 루쉰은 이 책의 내용에 모두 공감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당시 외국인이 묘사한 중국인의 열근성을 통해 자아 반성의 계기로 인식했다. 즉 루쉰의 국민성 비판은 결코 중국인을 희화화하고 서구중심주의의 입장에 서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지식인으로서 민족과 인민에 대한 깊은 배려를 품는 것이었다. 루쉰의 대한 오독(誤讀)은 결국 피상적인 접근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루쉰 자체의 사상적 독립성과 주체성,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이론의 한계성 및 동아시아의 특수성을 간과한 것과 구체적인 역사적 고찰의 부재가 그 원인인 것이다. This paper was focused on Lu Xun’s criticism of nationality through post-colonial theory. In other words, this paper found the true meaning of Lu Xun’s criticism of nationality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u Xun’s criticism of nationality and Edward W. Said’s Oriental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u Xun and western missionary. Through this, there was no suspicion of a colonial follower given to Lu Xun and it reestablished the significance of Lu Xun’s in this century. According to Edward W. Said, Orientalism has a gloomy position in the West. At the same time, the East is in a subordinate position as the 'other' of the West. Therefore, when studying Lu Xun's critical ideology of nationalism,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Orientalism's universality and essentialist tendency.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Said's theory and the specificity of China's colonization, so misunderstandings about Lu Xun can easily occur. Furthermore, the reason for misunderstanding Lu Xun is that Lu xun once recommended Chinese Characteristics by American missionary Arthur Henderson Smith. As this book is a typical post-colonial text, the description of some Chinese people is distorted and exaggerated. Lu Xun does not sympathize with all the book's contents but instead sees Smith's book as a writer who can provoke self-reflection in the Chinese people. So, his criticism of nationality is never a caricature of the Chinese and does not stand in the position of westernism. Instead, his criticism is that he profoundly considers the nation and the people as an intellectual. The misreading of Lu Xun is due to the fact that Lu Xun’s criticism of nationality is approached and interpreted only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the western missionary's activities. Furthermore, Lu Xun's own ideological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the limitations of Said's Orientalism theory and the specificity of East Asia are also ignored and there is a lack of a concrete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 KCI등재

        냉전기 중국 이해와 루쉰 수용 연구

        최진호 ( Choi Jin-h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중국 이해와 루쉰 수용의 변화를 다룬다. 시기는 해방 전후부터 1970년대까지이다. 해방 전후 ‘혁명 좌파 루쉰’과 ‘계몽 비평가 루쉰’의 이미지가 동시에 등장하지만, 냉전 체제의 형성과 함께 ‘혁명 좌파 루쉰’은 공적 담론 체계에서 그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다. 한국 전쟁 이후 ‘중공(中共)’은 가장 위협적인 적대국가의 하나로 이해되는데, 루쉰은 ‘중공’의 혁명을 상징하는 인물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 ‘중공’은 억압적 전제 국가로 표상되는 동시에, 정상적인 근대화 경로에서 이탈한 체제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계몽-비평가 루쉰은 이탈한 ‘중공’ 체제에 대한 비판자원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이때 ‘중공’이 아니라 ‘자유중국’의 사상자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중공’의 대척점에 선 ‘자유중국’은 자유세계의 최선봉으로 중국의 정통성을 계승하고 있으며, 한국이 따라야 할 근대화의 표본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사상의 자유와 억압에 맞서 싸운 루쉰은 자유세계의 일원인 ‘자유중국’의 사상자원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냉전 체제의 변동 속에서 ‘두 개의 중국론’처럼 현실 사회주의 국가 ‘중공’을 받아들이려는 흐름이 등장한다. 이와 함께 루쉰을 좌파 혹은 우파로 구분하는 대신, 중국의 자유주의적 조류와 사회주의적 조류가 합류하고 분기하는 지점에서 이해하려는 흐름이 형성된다. 특히 1970년대 미국과 ‘중공’의 화해 속에서 ‘중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필요성이 등장하고, 이 속에서 루쉰을 사회주의 중국 혁명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즉 새로운 중국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과 함께 은폐되었던 좌파 혁명가 루쉰이 신문, 잡지 등 대중 매체에 재형상되기 시작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quire changes of the acception of Lu Xun(魯迅)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a in south korea during the Cold War, especiaaly from 1945 to 1970s. After liberation, the two figures of Lu Xun have emerged, the one is ‘revolutionary leftist-Lu Xun’, the other is ‘enlightening critic-Lu Xun’. But ‘revolutionary leftist Lu Xun’ with the formation of the cold war had lost its influence in the public discourse. Because ‘Communist China(中共)’ was understood the one of the most threatening hostile countries, and Lu Xun was defined as a symbol of the Chinese Revolution by Mao . ‘Communist China’ had been representated in the repressive dictatorship and the withdrawal of normal modernization path in south korea. Interestingly ‘enlightening critic Lu Xun’ had been used as a criticism resources about the ‘Communist China’, and accepted as a thought resources of the ‘Free China(自由中國)’ not ‘Communist China’. ‘Free China’ as the most vanguard of the free world, which located in the antipodal point of ‘Communist China’, had been represented the inheritor of the legitimacy of China and the example of modernation which the south korea should follow. And Lu Xun who fought for a freedom of thought had been admitted as thought resources of a member of the free world ‘Free China’. However, the flow to accept ‘Communist China’ as the real socialist state had appeared in the variation of the Cold War in the mid-1960s. Instead of dividing the left Lu Xun or right Lu Xun, it appeared to flow to try to read ‘Lu xun’ at the point where China’s liberal tide and socialist tide join and branch. Particularly, a det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ommunist China’ have give a rise to a nee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mmunist China’ in south korea in the early 1970s. In the mid of changes, it appeared to try to understand the Lu Xun in this in the context of the ‘Communist China revolution’. In other words, with the new need of China’s understanding the hidden ‘revolutionary leftist-Lu Xun’ began to re-shape the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 KCI등재

        루쉰(魯迅)의 초상 -1960~1970년대 냉전문화의 중국 심상지리-

        정종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사이 Vol.14 No.-

        This study is a reconstitution of Lu Hsun’s reading of Korean history, especially during the Cold War in the 1960s and1970s. Lu Hsun reverted to becoming a ‘Chinese Communist’, when Mao commented on the ideological geography of the Cold War in the Republic of China/ Chinese Communist Party, though Hsun di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m ‘Chinese Communist Party’. In Korea, at the time of the Cold War, the left-leaning idea of Lu Hsun was repressed, but his right-wing one was made much of and promoted. In the Korean culture of the Cold War, in the 1960s and 70s, Lu Hsun was transformed into a humanist, illuminati, and even further, an anticommunist, by focusing on the initial stage of his career. This article illuminated the fact that there was a movement of utilizing it as the base for resistant and progressive ideas, by changing the progressive and socialistic aspects of his identity, by analysing the way he was portrayed in textbooks, liberal art, Lu Hsun’s collection, and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even though Hsun’s overall views were characteristic of predominantly right-wing. In the analysis of Jirisan, Lee Byung-joo revealed that the issue of North Korean partisanship, a taboo of Korean society, came to fore in the critical point of the Red Complex, by representing Lu Hsun as a revolutionary and humanistic character, though Hsun himself criticized Communism. Final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earch for ideological innovation by Lee Young-hee, who tried to be a Korean Lu Hsun, was a crux in the acceptance of Lu Hsun at that time, while describing China in the 1930s with Korea in the 1960-70s in the way of counterpoint. 이 연구는 1960~70년대 냉전기 한국에서의 루쉰 독서사를 재구한 것이다. 루쉰은 사회주의 ‘중공’성립 이전에 죽었음에도 마오쩌둥의 고평을 통해 ‘자유중국/중공’이라는 냉전의 사상지리(ideological geography)에서 ‘중공’에 귀속되었다. 냉전기 한국에서는 루쉰의 좌파적 형상은 유폐되고 우파적 형상이 극대화되어 소개되었다. 1960~70년대 한국의 냉전문화 속에서 루쉰은 그의 경력의 초창기에 초점이 맞추어지며 휴머니즘, 계몽주의자 나아가 반공주의자로 변형되었다. 본고에서는 교과서, 인문교양, 루쉰선집, 세계문학전집 속에서 루쉰이 배치되는 각각의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냉전기 한국에서 그려진 루쉰의 초상이 우파적 형상이 우세한 것이었지만, 루쉰의 형상 자체가 내장하고 있었던 진보적이고 사회주의적인 면모를 변형시켜 저항적이고 진보적인 사상의 거점으로 활용하는 흐름이 존재했다는 점을 밝혔다. 이병주의 『지리산』의 분석을 통해서 공산주의를 비판하면서도 휴머니즘에 기반한 혁명가로서의 루쉰을 작중 인물에 투사함으로써 레드 콤플렉스의 임계 지점에서 한국사회의 금기였던 빨치산의 문제를 전면화할 수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1930년대의 중국과 1960~70년대의 한국을 대위법적으로 배치하면서 한국의 루쉰이고자 했던 리영희의 사상적 모색이 이 시기 루쉰 수용의 한 극점이었음을 확인했다.

      • KCI등재

        ‘모랄’과 ‘의식화’

        최진호(Choi, Jin-ho)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7

        본 논문에서는 이육사와 리영희의 루쉰 수용·번역을 하나의 계열로 연결하고 있다. 루쉰에게 번역은 중국인들의 통념화된 세계 이해를 해체하는 수단이었다. 즉 직역투의 딱딱한 번역(硬譯)을 통해 루쉰은 중국적 사고의 한계를 탐색하면서 새로운 사유의 출구를 그리고자 했다. 이런 의미에서 번역가 루쉰은 사유의 ‘지도제작자’였다. 그는 원텍스트와 번역물의 차이에 대해 예민하게 감각한다. 그리고 이 감각을 새로운 주체형성과 다른 출구의 창출과 연관시킨다. 이육사와 리영희의 루쉰 수용은 이러한 루쉰의 감각의 번역과 연관된다. 이때 두 사람이 주목한 것은 루쉰의 태도였다. ‘태도’는 가시적 앎에 앞서 작동하는 비가시적인 것이다. 이는 앎과 주체가 맺는 관계와 연관된다. 이육사가 ‘창작의 모랄’에, 리영희가 ‘의식화’에 주목한 것은 루쉰으로부터 촉발 받은 지적이고 윤리적 떨림과 관련된다. 이육사에게 ‘창작의 모랄’은 문제적 상황을 직면해, 외부적 시선으로 문제를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적 상황의 내부에서 고민하는 태도였다. 이때 작가는 끊임없이 자신의 근거를 문제화하는 태도를 보인다. 리영희의 경우 ‘의식화’는 냉전적 가치 체계의 해체이자 ‘반체제화’로의 주체의 전환을 의미했다. 리영희는 루쉰이 시대와의 불화하며 짊어진 불편함을 그 자신의 불편함으로 번역해 새로운 세대에게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런 번역의 실천을 통해 새로운 세대의 의식화를 촉구했다. 말하자면 이육사와 리영희는 그들이 처한 역사적 조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루쉰의 문학적 태도에 강하게 공명한다. 두 사람은 루쉰과 함께 흔들렸고 이 떨림을 번역하고자 했다. 이 떨림은 비판적 태도와 연관된다. 그리고 이 비판적 태도를 한국 사회에 번역해내는 것을 이육사와 리영희는 번역자(=자신)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In this thesis, Lee Yuk-sa(이육사) and Lee Young-hee(리영희)’s Lu Xun acceptance and translation are connected in one serie. Lu Xun understood the translation as a means to dismantle the Chinese people’s idea. He tried to draw out the exit for a new thinking, while exploring the limits of Chinese thought through the ying-yi(硬譯). In this sense, Lu Xun was the “cartographer” of thinking. He has a keen sen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ion. And he paid attention to the attitude of finding the exit by relating this knowledge to the formation of a new subject. Lee Yuk-sa and Lee Young-hee tried to find the exit through Lu Xun. What they noticed at this time was Lu Xun’s attitude. ‘Attitude’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ing and subject, which operates before visible knowledge. It is Lu Xun that Lee Yuk-sa focused “moral of creation”, Lee Young-hee “consciousness” and is associated with intellectual, ethical tremble, which they were inspired. He understood the moral of creation with the attitude that is troubled inside the problem situation. To Lee Young-hee, ‘Conscientization’ meant the dissolution of the Cold War value system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into ‘dissidentization’. Like Lu Xun, Lee Young-hee showed his wake-up to a younger generation and he urged them to ‘Conscientization’. Despite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conditions between Lee Yuk-sa and Lee Young Lee, they resonated strongly with Lu Xun’s literary attitude. They wished to translate the tremble they experienced. This tremble is associated with a critical attitude. They regarded the translation of this attitude as the task of the translator(=their own).

      • KCI등재

        루쉰과 번역론-번역, 혁명, 토대

        최진호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9

        본 논문에서는 루쉰의 ‘번역물’이 아니라 그가 번역을 다룬 글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루쉰이 구상한 토대와 번역 주체 형성의 문제를 다루었다. 루쉰은 문학가로 알려졌지만 번역활동을 창작만큼이나 중요한 활동으로 생각한 번역가이기도 했다. 번역방법에 있어서도 직역·경역·중역·재번역 등 다채로운 번역 기법을 활용해 문화·사회·정치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했다. 동시에 번역평론과번역논쟁에 참가한 번역 비평가였다. 시대적 한계와 사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매끄럽고 순통한 번역만을 주장하던 평론가들의 입장을 논박하면서 번역을 논쟁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루쉰은 번역 활동을 중국 사회를 재구성하는 물적 토대라고 생각했고, 그 역시 토대의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토대를 확대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번역과 토대의 형성과 관련해 본 논문은 세 가지의 차원을 다루었다. 첫째 루쉰의 번역과 비평 활동은 새로운 번역 환경을 만들어내는 과정이었고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루쉰이 고민한 번역가의 위상을 조정했다. 루쉰은 새로운 지식(원문)의 빠르고 효과적인 전달자 즉 계몽가-번역가 대신,고통스러운 사건의 목격자이자 이에 공명하는 자로 번역자를 규정했다. 둘째 루쉰이 참여했던 번역비평의 의미를 다룬다. ‘경역’이나 ‘중역’ 논쟁에 루쉰이 참여한 것은 단순히 번역방법에 차이때문이 아니었다. 루쉰에게 번역 비평가는 기존의 관점을 통해 새로운 번역을 재단하는 사람이 아니라 번역과 사회의 척도를문제화하고 이행시키는 존재였다. 셋째, 루쉰의 다양한 번역방법의 구사와 사회재구성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를 통해 잡다한 심지어 ‘이도 저도’아닌 번역이 갖는 사회적 위상과 그 의미를 규명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루쉰이 새롭게 구성한 번역가, 번역비평가, 번역방법이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한 토대의 구성이었음을 밝혔다. This paper addresses the foundation for social action that translationconstitutes as conceived by Lu Xun and the formation of thetranslating subject. I draw upon Lu Xun’s reflections on thetranslations he discussed. Lu Xun employed various translationtechniques, such as direct translation (直譯), hard translation (硬譯), andrelayed translation (重譯), in response to the rapid changes in culture,society, and politics. Simultaneously, he was a translation critic, whoactively participated in translation reviews and debates. Lu Xun viewedthe translation movement as a material basis for restructuring Chinesesociety and sought to participate in it and help expand its foundation. This paper addresses three dimensions: first, it highlights Lu Xun’stranslation and critical work as a process that created a new translationenvironment, and elucidates how he adjusted the status of translatorsfor this purpose. Second, it delves into the significance of thetransl ation criticism that Lu Xun engaged in. His invol vement indebates about hard and relayed translation went beyond differences intranslation methods; for Lu Xun, a translation critic was someone whonot only used existing perspectives to shape new translations but alsoimplemented measures concerning translation and society. Third, it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u Xun’s utilization of various translation methods and the reconfiguration of society. Consequently, itelucidates the social status and meaning of various translation methods. In conclusion,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Lu Xun’s reconfiguration oftranslators, translation critics, and translation methods served as the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mmunity.

      • KCI등재

        루쉰(魯迅)의 ‘개체성 원칙’과 ‘역사적 중간물’ - 왕후이(汪暉)의 『절망에 반항하라』를 읽고

        임춘성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79 No.-

        WANG Hui's LU Xun research has a special status in the history of LU Xun studies. While senior researchers regarded LU Xun as an embodiment of dialectic unification, such as the leader of the anti-feudalistic enlightenment(LI ZeHou) and the mirror of the anti-feudalism(WANG FuRen), WANG Hui regarded LU Xun as the result of paradox.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his Ph. D. dissertation, “Resist against Despair”, WANG Hui studied LU Xun's ideas and literary works in three parts. The first is the paradox of the LU Xun's thought, the second is the LU Xun's literary world as a ‘historical intermediary’ against despair, and the third is LU Xun novel's narrative principle and narrative method. Here we focus WANG Hui's study of LU Xun on two things: First, examining the paradox of the LU Xun's thou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individuality, focusing on the ‘paradox of modernity’, which is one of the key words of the WANG Hui's academic research. Second,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implication of the ‘historical intermediary’. 왕후이의 루쉰 연구는 루쉰 연구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선배 연구자들이 루쉰을 반봉건 계몽의 기수(리쩌허우), 반봉건의 거울(왕푸런) 등 변증법적 통일의 구현체로 본 반면, 왕후이는 루쉰을 역설의 관점에서 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왕후이는 자신의 박사논문인 『절망에 반항하라』에서 루쉰의 사상과 문학 작품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했다. 첫째, 루쉰 사상의 역설, 둘째, 절망에 반항하는 역사적 중간물로서의 루쉰의 문학세계, 셋째 루쉰 소설의 서사 원칙과 서사 방법이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다음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춰 왕후이의 루쉰 연구를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왕후이 학술 연구의 핵심어의 하나인 ‘근현대성의 역설’에 초점을 맞춰, 개체성의 원칙에 기초한 루쉰 사상의 역설을 검토한 후, 둘째, 왕후이 루쉰 연구의 핵심어인 ‘역사적 중간물’의 내함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