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로컬리티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

        박규택(Park Kyu-Tae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

        본 연구는 1980년대~199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영미권의 로컬리티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중요한 논쟁적 주제인 로컬리티 개념, 토대 이론, 사회와 공간의 관계성을 논의하였다. 로컬리티 연구에 관한 논쟁들 가운데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는 ‘로컬리티의 개념화’이다. 로컬리티는 “로컬의 사회ㆍ경제 조직과 활동이 시간ㆍ 공간을 매개로 어떻게 이루어지며, 형성된 사회ㆍ경제 공간은 로컬 사람들의 인식과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틀(frame)로 개념화되고 있다. 로컬리티 연구의 토대를 이루는 이론은 구조화론와 실재론이다. 전자는 구조와 행위가 상호작용하는 측면에서 사회를 설명하려는 이론이며, 후자는 이원론 (dualism, 이론 - 경험, 추상 - 구체, 필연 - 우연)을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사회 이론가들에 의하면, 사회와 공간은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호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사회와 공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에 문화, 장소, 성, 민족 등의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various aspects of locality studies done mainly in England and America from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It is also to discuss their controversial topics, the concept of loc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spac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locality was conceptualized. It is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socio-economic activities of local people implemented through the mediation of time and space and the effects of the produced socio-economic space to local people's cognition and practice. The basic theories of locality studies are structuration and critical realism. The former is to explain a society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structure and agency and the latter to suggest a theoretical framework to overcome the dualism formed between theory - experience, abstract - concrete, necessary - contingent, and so on. It is asserted that society and space are not separated, but exist in interaction by political economy -oriented theorists after the 1970s. Such a perspective did not seriously consider various factors like culture, place, gender, ethnicity in the interaction of society and space. To deeply understand of the locality studies done from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individual paper or authors' sequential ones ought to be investigated in detail. It is worth to interactively examined Marx's political economy, critical realism, and post-modernism to establish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locality-mediated humanities in future.

      • KCI등재

        한국 문학 로컬리티 연구의 전개 양상과 남은 과제들

        김명훈 ( Myong Hoon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은 한국현대문학 연구에서 ‘로컬리티’ 개념이 주요 학술 주제어로 부상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고 그간 제출된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되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로컬리티 연구는 2008년대 중반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 같은 현상은 한국현대문학 연구의 흐름 속에서 파악할 때 일차적으로 탈식민주의 담론의 부침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탈식민주의는 민족국가의 틀을 초월하려는 탈근대 담론의 성격을 지니지만 한국현대문학 연구에서는 민족문학을 옹호하기 위한 반(反)식민적 전략으로 전유되는 경우가 잦았다. 그러나 토착화된 탈식민주의 담론은 민족문학의 특권적 지위를 온전히 해체하지 못한 채민족과 제국의 이분법을 재생산함으로써 로컬리티를 특수성의 영역으로 제한하 기도 했다. 탈식민주의 담론의 한계에 직면하여 로컬리티 논의는 점차 민족국가내부의 위계를 해체하기 위한 전략으로 재사유되었다. 이 같은 로컬리티 사유방식은 크게 세 가지 형태를 취한다. 첫째, 중심과 주변을 전제하되 중심을 지향하는 차원의 로컬리티, 둘째,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해체하며 전체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것으로서의 로컬리티, 셋째, 중심을 비판하는 방향으로 정향된 정체성정치 단위의 로컬리티 등이 그것이다. 이상 세 가지 로컬리티 구성 방식의 한계를 지양하고 그 가능성을 포지할 때 최종적으로 추상되는 로컬리티의 이상은 국민국가 내부의 부당한 집합적 가치 체계를 해체하고 국민국가의 실질적인 경계내에서 공공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지역연구 에 통시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지역 공공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지역 정체성의 공공적 측면을 발굴해야 할 것이다. This writing is written in order to trace the process of the concept ``locality`` being floated as a major scholarship subject term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look back the meaning and limit of the locality studies submitted meanwhile. Locality studies increase explosively after the middle 2008s, this phenomenon is primarily involved with ups and downs of postcolonialism discussion when grasping in the flow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Postcolonialism has a nature of postmodern discussion which transcends the frame of a nation-state, but more often it is monopolized as anticolonial strategy for defending ethnic literature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However naturalized postcolonialism discussion limits locality to the field of specialty by reproducing dichotomy of ethnicity and empire without deconstructing privileged status of ethnic literature entirely. Facing the limit of postcolonialism discussion, debate of locality is gradually reconsidered as the strategy for deconstructing a rank of inner nation-state. The way of considering of locality as above is taking three forms largely. First, locality which aims the center while imposing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Second, locality as the individual thing which deconstructs the rank of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and composes the whole. Third, locality as a unit of identity politics which criticizes the center. When rejecting the limit of those three ways of composing locality and having the possibility in mind, the ideal of locality which is abstracted finally is to deconstruct unfair collective value system of inner nation-state and to create the public value in the actual boundary of nation-state. Along with this, we will have to analyze the process of local publicity’s being destroyed and discover the public aspect of local identity by introducing a diachronic view to the existing local studies.

      • 글로벌 시대의 로컬리티 인문학

        이창남(Lee Chang-N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

        본 논문은 로컬리티 인문학을 위한 시론적 글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개념과 그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의 과제를 글로벌한 시대적 과정과 더불어 고찰한다. 글로벌화는 역사적 과정이며, 그에 따라 로컬, 로컬리티의 모습도 변화한다. 따라서 논문은 로컬, 로컬리티의 개념을 글로벌과 연동하여 일종의 관계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연구 대상과 범주의 설정을 물리적 지역성 보다는,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글로벌-로컬의 관계, 기술적 변혁을 통한 지역의 탈경계화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인문학적 의미의 로컬, 로컬리티 연구를 위하 여 방법론으로서 기존의 지역학과 문화학을 결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한편 로컬리티 인문학의 실천적 과제들을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의 지점으로서 인문학적인 의미의 로컬 연구는 오늘날 발호하는 전 지구적 신식민주의에 대응하여 로컬에 강요된 왜곡된 표상들을 벗겨내고, 타자화된 로컬과 로컬인들의 가치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로컬과 로컬인들의 표상은 그러한 글로벌한 흐름 속에 끊임없이 왜곡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 극복은 다원적인 로컬과 로컬인들의 모습을 복원하기 위한 로컬리티 인문학의 궁극적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the setting of the concepts and targets of studies of locality and the local as a part of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locus, the etymological origin of the word 'local' contains diverse meanings indicating placeness, social origin, spritual attitud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the local could be regarded as relational to the global. And the relational meaning of the local derived from its contrast to the concept of the global makes it 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many actual contemporary isseus, which override the traditional territorial borders of nation-states. Following Spivak it suggests also the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area studies and cultural studies as a methodological ground of the local and locality studies. The changed econom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we face force the academic study of the local and of localities to overcome, on the one hand, the paradigm of traditional area studies,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represented by the interests driving the cold war and which are now being revitalized in the aftermath of 9.11. On the other hand, studies of the local and locality within the humanities should try to escape from the orientation of humanities traditions in developed countries from the era of imperialism, which has concentrated on some of the main european languages and cultures. They should look, for example, for the so-called subaltern cultures in identifying their important issues. This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could be the main methods of the newly conceived humanistic inquiry into the local and locality. Thinking the Others and thinking of borders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There should be a greater focus upon otherness and inbetweeness, which summarize the everyday experience in globalized cities and locals. If studies could avoid the danger of localism or traditionalism in the negative sense, they could address the challenge of global capitalism, which forces everything into the same exchange value system. Neo-colonialism has become dominant beyond the old territorial colonialism. If the value of humanity is forced to be subjected to this limiting economic and spiritual environment, the goals of local and locality studies as a part of the humanities should settle upon the protection of such local values from the undoing processes of globalization. In this sense the politic of difference and coalition within and between locals is proposed as the motto of humanistic inquiries into the local and locality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 KCI등재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

        차윤정(Cha, Yun-jung)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이 글은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로컬리티 연구에서 언어 연구의 영역은 크게, 지역어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영역과 문학작품, 간판, 상호명,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같은 매체 속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지역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지역어를 지역 내부적 요소와 지역 외부적 요소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연구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경우는 주로 지역을 기반으로 시간, 인간, 사회문화의 상호작용이 지역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논의한다. 후자의 논의는 중앙(어)과의 위계 관계 속의 지역(어)에 초점을 맞춘 논의들로, 주로 언어정책, 언어접촉, 언어권리 등에 관한 논의들이 중심을 이룬다. 로컬리티 연구에서 지역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기본적으로 언어학적 분석을 전제로 하지만, 나아가서는 언어적 분석을 지역과 관련하여 해석하기 위해, 인접학문인 문화, 철학, 역사학, 사회학 등의 이론을 접목시키는 연구방법이 적용된다. 로컬리티가 담론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동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매체는 중요하다. 매체 속의 언어는 로컬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로컬을 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언어는 지역어만이 아니라 표준어 역시 연구대상에 포함된다. 표준어라 하더라도 텍스트 속에서의 배치와 사용에 따라, 지역을 재현하고 로컬리티를 구성하는 데 관여하기 때문이다. 매체 속의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 역시 기본적으로 사회언어학이나 텍스트 언어학 같은 언어학적 분석을 전제로 하지만, 여기에 기호학이나 문화이론, 사회학 이론들을 접목시키는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처럼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는 기존의 언어학적 연구방법에, 탈근대 담론에 기반한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이론을 접목한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점에서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는 학제간 연구를 지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ubject and method of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In locality research, the scope of languag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areas; the area that involves local language itself and the area that involves the language in media such as literary works, signs, newspapers, radio and television programs. The study of local language is divided again into researches which examine local language in relation to the internal factors of specific region and those which examine local language in relation to the external factors of the specific region. The former consists of discussions on how the interactions between time, humans, and socio-culture are related to the local language based on the region. The latter focuses on discussions on the local language i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language and mainly includes topics such as linguistic policy, language contact, and linguistic rights. In locality research, research on local language presupposes linguistic analysis to which the research method of integrating theories from related disciplines such as literature, philosophy, history, sociology etc. is used to make linguist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in relation to the specific region. Media which have a great impact on many people at one time is important in locality research in that locality is constructed discursively. A language in media performs the function of forming the image of the locale and reconstructing the locale. In such a case, the standard language as well as the local language are included as subjects of study. This is because the standard language also involv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locale and formation of locality according to their arrangement and use in text.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in media also presupposes linguistic analysis such as sociolinguistics and text linguistics to which research methods integrating semiotics, various postmodern theories and sociological theories are applied. Therefore,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uses research methods that combine existing linguistic research methods with research theories from various disciplines based on Postmodernism. In this respect, locality research through language aims 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일기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로컬리티

        차윤정 부경역사연구소 2017 지역과 역사 Vol.- No.40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rough concrete cases how a locality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 method to research diary which documented individuals’ daily lives and to suggest it as a new methodology to research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iary literatures through the keywords such as ‘individuals’, ‘daily lives’, and ‘long-term record’ and pays attention to ‘microscopic viewpoint’ as a viewpoint that penetrates ‘individuals’ and their ‘daily lives’. Up to date, the description of local has been unilaterally made on the national level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which has led to its concealment or deletion. In this sense, the restoration of the value of otherized local necessarily requires the switch to the original (microscopic) viewpoint of local. The switch of viewpoint reveals what has been concealed, and doing so, it not only presents a new direction of discussion but also enables a multifaceted and holistic approach to the object. Locality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switch to the local viewpoint and to the daily lives shown by the repetition and the difference. Through this, the research also tries to excavate local things that served as the point of resistance against the identification from above and to reveal their dynamics. Locality research on the Changpyeong Diary and the Daecheon Diary confirms that diary can be an important object of research; it clearly shows how the multi-layered relationship network of individuals and daily lives which are formed based on local and the diverse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hem engage in the formation of locality. In this respect, locality research can be suggested as a new methodology for researching diary. 이 글은 개인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 자료의 연구방법으로 로컬리티 연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밝히고, 일기자료의 새로운 연구 방법론으로서 로컬리티 연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기 자료의 특성을 ‘개인’, ‘일상’, ‘장기기록’이라는 핵심어를 통해서 살피고, ‘개인’과 ‘일상’을 관통하는 관점으로서 ‘미시’에 주목한다. 그동안 국가, 사회적 차원에서의 기술이 거시적 관점을 통해 일방향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컬은 은폐되고 삭제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타자화된 로컬의 가치회복은, 당사자인 로컬적 관점(미시적인 관점)으로의 전환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관점의 전환은 은폐되었던 것들을 드러냄으로써 새로운 논의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대상에 대한 다각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로컬리티 연구는 로컬적 관점으로의 전환과 반복과 차이로 나타나는 일상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위로부터의 동일화에 대한 저항점 역할을 해왔던 로컬적인 것들을 찾아서, 그것이 가진 역동성을 밝히고자 한다. 『창평일기』와 『대천일기』를 대상으로 한 로컬리티 연구는, 로컬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과 일상의 다층적 관계망,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다양한 상호작용 양상들이 로컬리티 형성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잘 보여줌으로써, 일기 자료가 로컬리티 연구의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그런 점에서 로컬리티 연구는 일기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

        비동일성의 관점에서 본 로컬리티와 표상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7 No.-

        이 글에서는 탈근대적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하여 로컬리티의 개념 및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함께 동일성의 대표적 개념인 표상의 연구범주 설정이 가진 한계와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사유를 ‘원형’, ‘시뮬라크르(사건)’의 문제와 관련하여 살피고, 비동일성의 사유의 대표적 개념인 들뢰즈의 ‘사건’을 조명하였다. 그리고 ‘사건’ 개념을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 표상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순간적이고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는 ‘사건’은 잠재성을 가지고 유동적으로 흐르다가 발현됨으로써 현실화된다. 이는 공간과 시간, 사회구조, 인간의 접합, 로컬 내외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로컬리티가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 로컬리티가 잠재적인 것과 발현되는 것으로 나뉘는 점 등과 유사하다. 또한 사건이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것 역시 로컬리티가 특정 국면에서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양상과 유사하다. 나아가 다양하게 의미화된 로컬리티는 표상된 후 맥락의 변화에 의해 재의미화 되는데, 이런 점에서 로컬리티 연구에서 표상은 사유방식으로서의 표상이 아닌 재현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사건의 개념과 생성, 의미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를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할 때,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한 로컬리티의 특성과 국면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되고 계열화되고 표상/재현 되는 로컬리티가 차이의 존재로서 사유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로컬리티의 표상/재현의 가능성과 맥락에 따른 재의미화를 통해 표상/재현이 동일성의 원리로 수렴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비동일성의 사유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becoming of locality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postmodern nonidentity and also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research category set for representation, which is a typical concept of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d thoughts of identity and nonidenti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archetype", and shed light on Deleuze"s "ev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nonidentity thinking. Then, by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event" to the study of locality, it discussed the becoming and significance of locality and the case of representation. An "event," which is transient and fluid and for which an archetype cannot be postulated, flows in a state of flux with virtuality until it manifests itself to become a reality. This is similar to the idea that locality, constructed through space and time, social structure, human connection, and internalexternal interaction of a locale, is fluid and cannot assume an archetype. This is analogous to the fact that locality is divided into what is latent and what is revealed. That an event bears meaning in various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after its manifestation is also similar to how locality manifests in certain conditions and becomes meaningful in different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Furthermore, locality, which is signified in various ways, is signified once again through contextual changes after it is represented. Thus, when event is appropriated to the study of locality focusing on its concept and becoming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locality generated and systemat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features and aspects grounded on nonidentity thinking, can be thought as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addition, through various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and its resignification, the path of converging representation towards the principle of identity is blocked opening the possibility to move towards nonidentity thinking.

      • 로컬, 로컬리티 그리고 인문학적 공간

        이명수(Rhee Myung-Su)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로컬리티 인문학의 공간(경계)에 관한 동양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하여 로컬, 로컬리티, 지역, 지방, 주변, 변방 가치의 인문학적 보편성 확보의 가능성, 로컬리톨로지의 동양학적 전망을 탐색한 것이다. 로컬리티는 동아시아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해 볼 때, 시간과 공간이 어우러져 이루어지는 특수한 문화 근거이면서 고유한 문화를 남기는 공간적 조건이거나 로컬적 욕망 표상이나 동질성의 단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중심주의적 중앙권력에 의해 구석진 야만 문화의 장소로 인식되었는데, 본 논문은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먼저 이 논문에서 구체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해당하는 동양학적 공간인 지방의 의미를 더듬는다. 나아가 지방이나 지역이라는 근거를 통해 발생하는 인간 발자취로서 인문의 의미, 그리고 인문의 범주인 문명과 문화의 관계를 논의한다. 궁극적으로 문화란 자연의 무늬(이치)가 밝히 인문으로 드러나고, 그것이 변화, 생성의 과정을 겪는 것이다. 곧 동아시아적 자연관으로는 천문과 인문, 문명, 그리고 문화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 논문은 살펴보았다. 이외에 필자는 인식의 경계, 입경계(入境界)와 탈경계(脫境界)의 문제 등을 또한 차례로 논의하면서, 로컬리톨로지 도달에 관한 동양학적 전망을 내놓는다.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spaces of humanities in the human science of localities and prospecting the possibility of the arrival at localitology, through values of neglected areas such as surroundings, boundary line, outskirts, frontier(border area), derived from Eastern thoughts. In seeing cultural contexts, localities are the background in which human, living with time and space mixed with each other, leaves his own specific culture and means the spatial condition of intrinsic cultures or units of the representations of local desires or areal identifications. Nevertheless, they have been recognized as the fields in which the secluded cultures may be made, which is questioned by this thesis. First of all the writer researches local and localities as concrete spaces, and check the meaning jibang in Eastern culture. In advance human pattern as human track in locals, civilization and culture as a its categories have been discussed. In the end this thesis concludes that culture is revealed as changes and products of human, accordingly heaven pattern, human pattern, civilization and culture are organically related with one another in the view of Eastern thought of nature. Besides the writer discusses the matters of the boundary of recognition, entering the good boundaries(sublimities), crossing the border, and expresses his own prospect of the arrival at localitology through this thesis.

      • KCI등재

        비동일성의 관점에서 본 로컬리티와 표상

        차윤정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becoming of locality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postmodern nonidentity and also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research category set for representation, which is a typical concept of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d thoughts of identity and nonidenti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archetype", and shed light on Deleuze"s "ev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nonidentity thinking. Then, by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event" to the study of locality, it discussed the becoming and significance of locality and the case of representation. An "event," which is transient and fluid and for which an archetype cannot be postulated, flows in a state of flux with virtuality until it manifests itself to become a reality. This is similar to the idea that locality, constructed through space and time, social structure, human connection, and internalexternal interaction of a locale, is fluid and cannot assume an archetype. This is analogous to the fact that locality is divided into what is latent and what is revealed. That an event bears meaning in various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after its manifestation is also similar to how locality manifests in certain conditions and becomes meaningful in different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Furthermore, locality, which is signified in various ways, is signified once again through contextual changes after it is represented. Thus, when event is appropriated to the study of locality focusing on its concept and becoming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locality generated and systemat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features and aspects grounded on nonidentity thinking, can be thought as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addition, through various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and its resignification, the path of converging representation towards the principle of identity is blocked opening the possibility to move towards nonidentity thinking. 이 글에서는 탈근대적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하여 로컬리티의 개념 및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함께 동일성의 대표적 개념인 표상의 연구범주 설정이 가진 한계와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사유를 ‘원형’, ‘시뮬라크르(사건)’의 문제와 관련하여 살피고, 비동일성의 사유의 대표적 개념인 들뢰즈의 ‘사건’을 조명하였다. 그리고 ‘사건’ 개념을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 표상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순간적이고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는 ‘사건’은 잠재성을 가지고 유동적으로 흐르다가 발현됨으로써 현실화된다. 이는 공간과 시간, 사회구조, 인간의 접합, 로컬 내외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로컬리티가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 로컬리티가 잠재적인 것과 발현되는 것으로 나뉘는 점 등과 유사하다. 또한 사건이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것 역시 로컬리티가 특정 국면에서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양상과 유사하다. 나아가 다양하게 의미화된 로컬리티는 표상된 후 맥락의 변화에 의해 재의미화 되는데, 이런 점에서 로컬리티 연구에서 표상은 사유방식으로서의 표상이 아닌 재현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사건의 개념과 생성, 의미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를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할 때,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한 로컬리티의 특성과 국면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되고 계열화되고 표상/재현 되는 로컬리티가 차이의 존재로서 사유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로컬리티의 표상/재현의 가능성과 맥락에 따른 재의미화를 통해 표상/재현이 동일성의 원리로 수렴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비동일성의 사유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 KCI등재

        문화적 전환과 로컬리티의 문제

        박훈하(Bak, Hun-Ha),전국조(Jeon, Guk-J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5

        현재 로컬리티 학계라는 시민사회와 그것이 수행할 학업의 ‘총체성’을 기획하고 그 둘의 사회적 · 정신적 공간에서 autogestion의 실천을 꾀한다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는 현실적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글은 문화적 전환과 로컬리티의 문제를 마르크스주의 및 마르크스주의연구사, 특별히 ‘포드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틀에서 세 가지 문화적 전환을 설정함으로써 고찰한다. 첫째, 현재의 프라임 사업, 둘째, 과거의 포드주의와 케인스주의, 셋째, 미래의 로컬리티 학계와 그 가능성이다. 각각은 첫째, 로컬리티 학계의 국가적 생산, 일상과 일상성의 변화, 둘째, 미국주의와 포드주의, 국가 생산주의 및 국가 그 자체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비판의 흐름, 셋째, autogestion과 그것의 변증법적 과정, 특별히 개별자 간의 변증법, 차-등과 그것을 통한 권리 발견, 연대, 사회적 총체성의 틀에서 검토하고, 끝으로 autogestion의 전초기지로서 로컬, 그리고 그 가능성으로서 로컬리티를 논의한다. 방법론은 ‘역사에 대한 역진적-전진적 접근’이다. 요컨대 이 기획은 철저한 자기비판을 전제로 하여 애매하기만 한 현시대 로컬리티 학계의 문화정치적 위치와 그것의 역사사회적 조건을 조금이라도 더 명확히 밝힘과 동시에 그것의 미래를 가급적 철저히 그려 볼 수 있다는, 또 다른 문화적 전환의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Beginning with a question ‘is it not above all urgent for local academic worlds as civil societies, especially related to locality studies, to set agendas projecting the ‘totality’ of their studies and to attempt the praxis of autogestion in their social and mental spaces that have been produced by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this essay investigates the cultural turn and questions of locality by establishing three historical phases of cultural turns: the PRIME project at present, Fordism and Keynesianism in the past, and the local academic worlds in the future and their possibilities. Each of them is discussed correspondingly within another three historico-analytical frameworks of the state production of the local academic worlds and the everyday and everydayness, state productivism and the historical flows of Marxist critiques of it, and autogestion and its dialectical process with which the stages of multilevelled and multiscaled dialectics between particularities, diffréntial, alliances are gone through, and eventually social totality is fulfilled. And both the local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outposts of autogestion and the localities as its possibilities are examined in the last part. All of the abovementioned are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Marxism and Marxology, particularly in that of Fordist Marxism, by means of applying Henri Lefebvre"s methodology of the regressive-progressive approach to history. On the basis of self-examination and self-criticism, this work is nothing but a mere theoretical effort not just to clarify the ambiguous cultural political position and historico-social conditions for today"s local academic worlds and those of us who belong to them as fully as possible, but at the same time to picture their and our futures as throughly as possible. Only if is such a precondition as what has been just mentioned met, we can at least weigh up all the possibilities of another cultural turn.

      • KCI등재

        로컬리티와 인문학

        류지석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의 목적은 로컬리티와 인문학이라는 두 개념을 바탕으로 ‘로컬리티의인문학’ 아젠다가 갖는 인문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 있다. 인문학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사람다움이 무엇인가를 묻는 학문’에서부터 ‘인간에 관계되는 학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지만 그 의미는 비교적 유사하다. 그러나 인문학을 지칭하는 서구의 용어들을 살펴보면 지적 전통과 역사적 배경에 따른 다양한 함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인문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의 문제는 이러한 맥락과 함축을 잘 살펴서 볼 때 제대로 드러난다. ‘로컬리티의인문학’은 지역, 지방, 로컬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인문학적 반성을 바탕으로 인간과 삶의 터인 로컬에 내재된 다양한 가치와 소통, 공생의 실천적 가치를 찾아내고 이를 발판으로 로컬리티 연구를 인문학적 담론의 영역으로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로컬의 고유한 역동성과 정체성에 주목함으로써 로컬리티를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다. ‘로컬리티인문학’이 지향하는 궁극적 목적은 기존의 지역학 연구의 결과들을 수용, 종합하고 보완한 새로운 로컬리티 연구의 이론틀과 현실의 문제에 대한 구체적 성찰에 근거한 실천학을 종합하여 로컬리티의 학, 로컬리톨로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로컬과 로컬리티에 대한 현상적이고 현행적 연구가 아니라 인간과 삶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바탕으로 로컬리티를 새로운 인문학 담론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agenda "Localty and Humanities" of Institute of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show its implications. This work aims to establish "Localitology". new paradigm of humanities research in large sense, combining a kind of metatheory of the results of existing locallity and region studies and the praxis theory and practical studies of localities to suggest an alternative discourse to the actual issues of local life. The locality in this agena has the extended and profound significance in comparison with its usual meaning. It is not only the fundamental and concrete location of human life but also the new perspec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generated from the dichotomy of central and peripheric, global and local. The project will discover the new local ident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restore local values and local knowledge system focusing on the contextuality and the haecceity of locality. It attempt also to enlarge the horizon of humanities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pursu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