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잔운동 관점에서 본 위그노 - 디아스포라 위그노가 근대사회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유경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60 No.-

        본고는 로잔운동 50주년과 4차 로잔대회를 앞두고 로잔운동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역사 속에서 로잔운동의 정신을 실제적으로 구현한 위그노의 신앙과 삶을 고찰한다. 칼빈의 영향으로 세워진 프랑스의 개혁교회와 위그노는 가톨릭 국가의 정체성을 가진 프랑스에서 온갖 탄압과 박해를 받았다. 견디지 못하고 다른 국가로 이주한 디아스포라 위그노의 수가 200년 간 400만에 달할 정도로 거센 핍박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위그노의 엑소더스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았다. 당시 프랑스의 지식인과 전문적인 기술인, 뛰어난 상인들이 많았던 위그노의 이주는 주변국에게는 산업의 발전을 가져왔고, 프랑스에게는 심각한 경제적 위기와 정치적 위기를 가져왔다. 위그노는 비록 망명인이었지만 그들의 뛰어난 기술력과 상업적 능력 때문에 망명지에서 여러 특권을 부여받았다. 여러 특혜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위그노 신앙을 유지할 수 있는 교회 공동체의 설립이었고, 이를 중심으로 위그노는 정착지에서 개혁주의 신앙을 유지하며 전파할 수 있었다. 또한 신앙의 자유를 위한 그들의 투쟁은 유럽 최초의 인권 선언을 이끌어내며 민주주의의 기초를 놓는데 기여했다. 로잔운동은 선교의 모라토리움을 가져온 에큐메니칼 선교운동에 대항한 복음주의권의 세계복음화운동이었다. 로잔운동으로 복음주의적 교회들은 21세기의 세계선교를 위한 시대적 사명을 감당할 수 있었다. 로잔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성경에 기반한 성경적 선교운동이라는 것이다. 로잔운동은 성경중심적인 선교신학을 추구하며, 이는 로잔언약, 마닐라 선언문, 케이프타운 서약에 나타나 있다. 2024년에 개최되는 4차 로잔대회는 특별히 한국교회에 의미가 있다. 개최지가 한국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한국교회의 어려운 상황이 선교열정의 약화로 이어지는 현 추세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4차 로잔대회를 준비하는 한국교회에는 로잔운동에 대한 더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디아스포라 위그노의 역사적 모범은 한국교회의 성도들에게 로잔운동의 정신을 이해시키고 성도로서의 삶에 대한 도전을 주며, 동참을 이끌어 내는데 유익할 것이다.

      • KCI등재

        로잔 세계복음화 운동과 이슬람권을 향한 기독교선교 운동

        소윤정 ( So Youn Jung ),고원규 ( Ko Won Gyu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0 No.-

        21세기 선교 역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필자는 로잔 세계복음화 운동에 기초하여 복음주의 선교신학적 입장에서 로잔운동 이전의 이슬람권 선교운동과 로잔대회 이후, 그리고 앞으로 이슬람권을 향해 로잔운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1974년 제1차 로잔대회 이후 세계복음화 운동이 시작되고 현재까지 복음주의 선교 운동은 로잔언약의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21세기 이슬람권을 향한 선교운동에 대하여 복음주의 입장에서 지난날을 평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로잔운동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은 무슬림들의 자연증가 현상과 이슬람화 현상에 직면하여 시대적 요청에 화답하는 것이다. 필자는 세계 선교 동원을 목적으로 하는 로잔운동을 중심으로 이슬람권 선교 동원의 역사를 살펴보았고 이에 로잔운동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조명해 보고 향후 운동의 방향성을 생각해보았다. 제1차 로잔대회와 제2차 마닐라대회 그리고 제3차 케이프타운 대회에 이르러 세계복음화를 위한 선교운동은 개인구원의 문제를 넘어 구원의 대상이 사회로까지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개인구원을 도외시하는 관점이 아니라 궁극적 개인구원을 위한 사회참여부분이 구체화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WCC가 추구하고 있는 사회구원과는 분명히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슬람권 선교에 있어서 무슬림을 대상으로 하는 선교활동은 죽음을 담보로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들을 사랑하고 복음으로 회복시키는 일을 위하여 죽음을 각오하는 사명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것을 로잔은 말하고 있다. 로잔언약 이전의 사회적 책임은 선교의 테두리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책임으로 여겼던 반면에 로잔운동은 사회적 책임을 선교라는 테두리 안으로 가지고 왔다. 이를 위하여 하나님의 마음이 거하는 곳을 살펴보아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고 복음으로 인도해야 할 사명이 있는 것이다. How is the mission history of the 21st century being developed and what would be its future direction? Based on Lausanne Movement for World Evangelization and from the viewpoint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the author discussed about the mission movement toward the Islamic bloc conducted before Lausanne Movement, and also about the direction of the Lausanne Movement toward the Islamic bloc conducted after the Lausanne Congress as well as its future direction. World evangelization movement began after the Lausanne Congress held in 1974,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since then evangelical mission movement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ausanne Covenant. Accordingly, as the churches are facing the phenomena of natural Muslim population increase and Islamization, it would be a proper response to historical demand to discuss about the past achievement of the mission movement of the 21st century toward the Islamic bloc from the evangelical viewpoint, and about its future direction with a special focus on the Lausanne Movement. In this study, the history of mission mobilization for Muslim world was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Lausanne Movement, which pursues world mission mobiliz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mission movement was considered with an emphasis again on the significance of the Lausanne Movement. It is notable that mission movement for world evangelization has expanded beyond personal salvation to include society as an object of salvation through the first congress in Lausanne, the second in Manila and the third in Cape Town. Thus its stance does not disregard personal salvation, but concretize social participation ultimately in pursuit of personal salvation. In this regard, its social salvation can definitely be distinguished from the social salvation pursued by WCC. Mission activities in Christian mission for Muslims do not inevitably demand Christians to risk their lives. However, in order to restore true life in the Islamic block through the gospel by showing God’s love to Muslims, the Lausanne Movement emphasizes that their sense of mission should risk their lives in concretely practicing the love of Jesus Christ. Before the Lausanne Covenant, social responsibility was considered a God’s responsibility that is beyond the scope of the churches’ mission activity; in contrast, the Lausanne Movement has now brought social responsibility into the scope. Thus the churches have the mission of seeking out the places of God’s concern for Muslims to practice there the love of Jesus Christ and lead them with the gospel.

      • KCI등재

        로잔운동에 나타나는 화해로서의 선교: 2004년 파타야 포럼과 케이프타운 서약문을 중심으로

        박보경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8 No.-

        이 소고는 2004년의 파타야 포럼과 2010년 케이프타운 대회를 중심으로 화해의 주제가 로잔운동에서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조사하 였다. 원래 로잔운동은 세계복음화를 위한 전도의 우선성을 강조하였 다. 그런데 2000년이 넘어서면서 에큐메니칼 진영의 중요 의제였던 화해와 주제가 이제 로잔진영에서도 적극적으로 토론되었다. 2004년 파타야 포럼에서는 31개의 이슈그룹으로 나누어져 세계복음화를 위한 전략회의를 하였는데, 이때 화해에 대한 토론은 이슈그룹 22번에서 의해 이루어졌다. 이슈그룹은 화해를 하나님의 선교로 규정하고 화해를 이루는 선교를 복음주의 진영에서도 마땅히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였 다. 이슈그룹은 화해의 선언문도 발표하였는데, 이것은 로잔진영 안에 서 화해와 관련된 최초의 선언문이었다. 비록 그 내용이 다소 초보적인 단계를 넘지 못했으나, 로잔진영 안에서 화해의 주제를 다룬 것 자체가 획기적인 발전이었다. 2010년에는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3차 로잔대회에서 화해의 주제 는 6일 동안 다루어졌던 6개의 중심주제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토론되었다는 점에서 파타야 포럼보다는 진일보한 면을 보였다. 이 대회의 선언문인 케이프타운 서약문2부의 B항에서 화해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길게 다루어졌다. 3차 케이프타운 대회에서 화해의 주제를 ‘평화 이루기’라는 제목으로 적극적으로 다루어진 것 자체가 로잔운동 의 중요한 변화 즉, 전도의 우선성(Primacy of Evangelism)에서 통전적 선교(Holistic/Integral Mission)로의 전환을 반영한다. 케이프타운 이후 로잔운동은 화해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대회들과 이슈 네트워크들을 중심으로 관련 주제들을 지속적으로 토론하여 발전 시키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창조세계의 돌봄 네트워크의 활성화, 번영신학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언문 등은 에큐메니칼 진영의 중심 주제였던 화해를 지속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소고에서는 로잔운동이 과거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화해의 주제를 다루게 된 원인을 다음의 몇 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별 분쟁과 갈등이 극심화된 세계상황의 변화, 둘째, 에큐메니칼 진영의 화해의 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셋째, 에큐메니칼 진영의 대표적인 선교대회 중 하나인 2005년의 CWME 아테네대회가 화해를 토론의 중심 의제로 채택한 점, 넷째, 로잔운동의 내부적 변화, 즉, 전도의 우선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나타난 현장에서의 다양한 부작용들로 인한 로잔운동 안에서의 자기 반성적 성찰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social reconciliation in the Lausanne Movement, centering in the 2004 Pattaya Forum and the 3rd Lausanne Congress in 2010. Initially, Lausanne movement emphasized the primacy of evangelism, by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movement started discussing the topic of social reconciliation, which was the main agenda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2004 Pattaya Forum, the 22nd issue group discussed the topic of reconciliation. The issue group had called for more attention to this issue to other evangelicals in Lausanne movement. This group also produced the first document on the issue of reconciliation. It was the first step taken prior to the third Lausanne congress in 2010 in dealing with the concept of reconciliation. The third Lausanne congress, opened in Cape Town in 2010, marked reconciliation as one of top six main issues. The theme of reconciliation is also largely found in Part 2-B in the Cape Town Commitment. For example, the commitment explicitly states the importance of social reconciliation within racial conflicts, various violence toward human beings as well as the creation,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and HIV patients. The issue of reconciliation was expand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with the creation. By adopting the concept of ‘building peace’ between various racial conflicts and violence, the concept of horizontal reconciliation became much prominent in the Cape Town Committment than before in the Lausanne movement. This new trends continued within the Lausanne Movement. The paper argues that such shift is caused mainly because of (1) change in world circumstance such as increase of violence terrorism and racial conflict; (2) the WCC’s various programs on overcoming violence (3) the more direct impact of the CWME’s 2005 conference on reconciliation; and (4) internal recognition of side effects of mere emphasis on the primacy of evangelism.

      • KCI등재

        로잔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형근 ( Choi¸ Hyung Keu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6 No.-

        본 논문은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운동인 로잔운동이 부상하게 된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기술하고 한국로잔위원회의 역사와 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1차 로잔대회부터 제3차 로잔대회 이후 현재까지 로잔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며, 로잔운동 50주년을 맞이하는 2024년 제4차 로잔대회의 한국개최를 앞두고 한국교회의 준비와 한국교회와 사회문화에 미칠 영향 그리고 로잔운동의 미래를 전망한다. 로잔운동이 태동된 배경은 1910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이후 형성된 에큐메니칼 진영의 복음과 구원과 선교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특히 1960년대 세계교회협의회의 “선교의 세속화”와 “선교의 인간화” 그리고 “선교의 모라토리움”은 미국과 영국의 복음주의 진영의 결집을 초래했으며 1966년 베를린 세계복음화대회에 이어 1974년 제1차 로잔대회의 원인이 되었다. 로잔운동은 1989년 제2차 로잔대회(마닐라)와 2010년 제3차 로잔대회(케이프타운)를 통해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운동의 중심이 되었고 복음전도와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통합하는 총체적 선교신학을 구축했다. 한국교회와 로잔운동의 관계는 제1차 로잔운동부터 시작되었으나, 한국 선교운동의 태동기인 1970-1980년대의 한국교회는 로잔운동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다만 로잔언약의 소개를 통해서 문서로 로잔운동을 알렸다. 1989년 제2차 로잔대회 이후 한국로잔위원회가 설립되면서 한국교회에 로잔신학과 로잔정신을 확산하기 시작하여 2010년 제3차 로잔대회 이후 다양한 국내외 활동들과 목회자 컨퍼런스 그리고 청년지도자를 위한 선교적 플랫폼을 제공하며 그 영향력을 확산하고 있다. 한국로잔위원회는 로잔정신인 겸손과 정직과 단순성 그리고 “온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온 세상에 전하라”는 로잔운동의 슬로건에 의거하여 2024년 제4차 로잔대회를 아시아 교회들과 협력하여 준비하고 있다. 제4차 로잔대회는 한국교회의 갱신과 개혁을 위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it also examines the influences of the Lausanne movement on the Korean church from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to the present through carefully studying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that was formed in 1989. In conclusion, the Lausanne Movement prospects its influences of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s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looks forward to the Lausanne IV as the host country.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n the Lausanne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gospel, salvation, and mission of the Ecumenical movement that was being processed since the 1910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The tendency of "secularization of mission," “humanization of mission,” and “moratorium of missionary” of WCC brought about a strong reaction and the rally of the American and British evangelical circle and provided a major cause of the World Congress of Evangelism held in Berlin 1966 and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Since then, the Lausanne Movement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global mission and constructed holistic mission theology integrating evangelism into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producing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town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Korean church began from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However, during the the Korean mission movement in the 1970s-1980s the Lausanne Movement had not been diffused to the local church. After the second Lausanne Congress in 1989, as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was established, it spread the Lausanne theology and spirit to the Korean church. And it has been providing the missional platforms and contents to the emerging younger generation and ministers. It is preparing the Lausanne IV which will be held in Korea 2024 based on the Lausanne slogan, “the whole church taking the whole gospel to the whole world.” The Lausanne IV will be a major turning point for the renewal an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회개운동으로서의 로잔운동*

        박형진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ausann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pentance,' the very first message of Jesus Christ's earthly ministry (Mark 1:15) and his last great commission to spread (Luke 24:47). The Lausanne Movement, which began under the banner of world evangelization, created the Lausanne Covenant,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 Town Commitment through the 1st, 2nd, and 3rd global gatherings, respectively, and expressed the sprit of the Lausanne within these major documents.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call for 'repentance' and self-examination in these three major documents are surveyed. Also, reflections on repentance appearing in some LOP documents are examined. Looking at the Lausanne's slogan of "The Whole Gospel, the Whole Church, and the Whole World," the contents of the repentance are reflected as follows: as for the Whole Gospel, the reduct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gospel while emphasizing the bold proclamation of the uniqueness and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he absence of a prophetic calling,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gospel proclamation and the life up to that; as for the Whole Church, the divisions of the church, the absence of the discipleship and unity, the inward-oriented, clergy-centered, and male-dominated church culture, idolizing church leaders, superior attitude of the Western church and Western theology,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the global church, and the secular tendency of the church; as for the Whole World, condemning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and other religion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issues in the world and trying to judge and condemn it, the lack of missionary outreach to the unreached peoples, and the indifference to the created world. The Lausanne Movement, emphasizing the priority of evangelism, began in Lausanne, Switzerland, has expanded its influence to the non-Western world as it has been held in Manila, Philippines, and in Cape Town, South Africa. In this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xt of gospel witnessing and missions was also expanded, and the conscious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was also heightened. This phenomenon can be said to be a glocal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lobal (the vision of world evangelization) and the local (unique and diverse cultures and religions) of today's World Christianity. Some see these changes in Lausanne as an influence from the ecumenical camp and a weakening of the 'priority of evangel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the early Lausanne spirit. However,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is trend of the Lausanne Movement stemmed from a bitter contrition on the result of not bearing the full fruit of the gospel witnessing as Christians failed to show the true disciples of Christ in spite of their evangelism efforts. This can be confirmed when we see that the spirit of repentance and reflection is melted here and there in the Lausanne documents. The Lausanne Movement is a repentance movement of the evangelical camp that failed to live up to the true discipleship beyond evangelism. This identifies the nature of the current Lausanne Movem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usanne Movement as a repentance movement is 1) a movement that practices true discipleship, 2) a movement that pursues a sound theological balance, and 3) a movement that acts as a double-edged sword for both the ecumenical camp and the evangelical camp. 이 논문의 취지는 로잔운동을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사역의 첫 메시지인 ‘회개’하라는 것(막 1:15)과 그의 마지막 지상명령인 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전파로 이어질 것(눅 24:47)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세계복음화를 기치로 시작된 로잔운동은 1차, 2차, 3차 세계대회를 거치면서 각각 로잔언약, 마닐라선언, 케이프타운서약이라는 문건을 창출하고 그 안에 로잔정신을 표명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로잔의 이러한 주요 3대 문건 속에서 ‘회개’에 대한 촉구와 자성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몇몇 LOP 문건들 속에서 나타나는 회개에 대한 성찰들도 살펴보았다. “온전한 복음을 온 교회가 온 세상”에 전파한다는 로잔의 건에서 살펴볼 때, 온전한 복음에 대해서는 복음의 의미와 내용을너무 축소한 부분,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주되심에 대한 담대한 선포 및 예언자적 소명의 부재, 복음과 삶의 불일치 등을 꼽을 수 있다. 온 교회에 대해서는 교회의 분열에 대한 통렬한 반성 및 연합의 제자도 부재, 내부지향적, 성직자 중심적, 남성위주의 교회문화, 지도자에 대한 우상화, 특히 서구교회와 서구신학의 한계, 지구촌 교회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부족, 교회의 세속화적 경향 등이 지적되고 있다. 온 세상에 대해서는 타문화와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 세상을 사랑으로 품지 못하고 판단하고 정죄하려는 태도, 미전도종족에 대한 선교사명의 부족, 피조세계에 대한 무관심 등에 대한 회개를 천명하고 있다. 전도의 우선성을 강조하며 스위스 로잔에서 시작된 로잔운동은 필리핀 마닐라, 그리고 남아공의 케이프타운에서 글로벌 상징성을 갖고 개최되어 오면서 그 영향력이 비서구세계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복음증거와 선교의 맥락 또한 확장되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 또한 고조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의 지구촌기독교(World Christianity)가 보여주는 글로벌 (세계 복음화의 비전)과 로컬(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조우 속에서 나타나는 글로컬(glocal) 현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일부에서는 로잔의 이러한 변화들이 에큐메니컬진영으로부터 받은 영향력이며 초기의 로잔정신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전도의 우선성’이 약화된 양상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이러한 로잔운동의 추이는 단지 복음을 전도하는데서 그치고 진정어린 삶으로 그리스도의 제자됨을 보여주지 못하여 결국 복음증거의 온전한 열매를 맺지 못한 결과에 대한 통렬한 반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이는 회개와 성찰의 정신이 로잔문건들 곳곳에 묻어있음을 볼 때 확인할 수 있다. 로잔운동은 복음전도를 넘어 참된 제자도를 구현하지 못한 복음주의권의 회개운동이다. 이것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로잔운동의 성격을 규명해준다. 회개운동으로서의 로잔운동은 1) 참된 제자도 의 실천운동이며, 2) 온전한 신학적 균형을 추구하는 운동이며, 3) 에큐메니컬진영과 복음주의진영 모두에게 양날의 칼로서 작용하는 운동으로 결론 내려 볼 수 있다.

      • KCI등재

        로잔운동과 신학교육

        장훈태(Hun Tae Chang)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1974년 시작된 로잔운동은 북반부 중심의 선교에서 남반부 및 전 세계를 향한 신학자 및 목회자들의 모임이었다. 이후 1989년 마닐라 선언, 2010년 케이프타운서약에서 그 이념과 방법 등이 재확인 및 적용되었다. 로잔신학의 핵심은 창조주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 성, 성령의 역사 등이다. 또한 성경의 신적 권위를 재천명(闡明)하였다.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온 세계 교회를 일깨우고 ‘전도의 긴박성’, ‘사회적 책임’ 등을 강조하였다. 오늘날 ‘선교지에 진정한 선교사가 없다’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가는 중에 로잔언약에서 강조하는 ‘전도의 긴박성’, ‘교회의 선교협력’ 등은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로잔 운동이 시작된 지 4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복음운동, 로잔신학, 선교운동 등의 활동이 제한되 어 있다. 이 같은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근자에 ‘한국 로잔위원회’가 결성되어 로잔운동이 신학적으로 정립되고 그 사상과 방법적 추이가 보다 구체화되도록 연구 및 상론(相論)되고 있다. 특히 로잔언약 11항의 주제를 그 모음의 구심점으로 삼아 신학교육 개선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로잔의 당위성’, ‘로잔정신의 현대 교회의 적용’, ‘로잔운동과 하나님의 통치와 정의 이해하기’ 등으로 세분하여 고찰될 수 있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하여 신학 교육이 고정된 틀 속에서 벗어나 성경적 표준에 의한 지역적 상황에 착념해야 한다. 이어진 마닐라 선언과 케이프타운 서약에서도 개혁주의를 바탕으로 한 로잔의 신학 교육의 중요성이 표출되고 있다. 비교적 근자에 시행된 케이프타운 선언에서 두드러진 사항은 선교인력의 전략적 재배치와 선교 장애적 요인을 분쇄하는 현장적응에 관한 다양성이다. 로잔운동과 이어서 발표된 선언문 등에 하나의 맥으로 흐르는 신학교육적 정책 명제는 ‘로잔신학을 이해하는 자들이 그리스도의 모범을 좇아 가난한 자를 변화시키는 곳이 예수 그리스도가 계신 곳’이 라는 확신이다. The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Lausanne Movement. The Lausanne Movement emphasized the primacy of evangelism from 1974, the Lausanne Movement gathered theologians, missionaries, and ministers among all the world. After the Lausanne Movement in 1974, applying in the 1989 Manila Forum and the 3rd Lausanne Congress in Cape Town, South Africa, 2010. The Lausanne theology focuses on the God of Creator, Only oneness of Jesus Christ, and power of Holy Spirit. Moreover, it emphasis the Bible of divine authority. The Lausanne Movement highlights the urgent of evangelism, social responsibility all over the world church. In spite of the Lausanne Movement since 40 years, the mission movement and evangelism limits all over the world. Today, the mission should be learn the urgent of evangelism, missional partnership of church through The Lausanne Forum. The movement started discussing the topic of theology education, which was the main agenda of the Lausanne Forum. The study argues that such issues is caused mainly theological education themes 1) appropriateness of The Lausanne Movement; 2) contemporary church of application from the Lausanne mind; 3) the understanding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sovereignty of the God; 4) theological education of the Bible standard; 5) The Lausanne Movement announced declaration of the Lausanne through thesis of the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로잔운동의 관점에서 본 교회개혁

        박보경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49 No.-

        로잔운동은 세계선교를 위한 전 교회적 노력의 일환으로 교회의 갱신과 개혁을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여 왔다. 로잔진영 안에서 교회개 혁에 대한 논의는 1974년 로잔대회에서 부터 시작되었고, 1989년 마닐라 대회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토론되어왔다. 1989년 마닐라 대회가 끝난 후부터 2004년에 이르기까지 로잔운동은 쇠퇴기를 맞이하 였기에, 교회개혁에 대한 논의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였으나, 2004년 파타야 대회를 기점으로 하여 교회개혁의 문제를 다시 다루기 시작하였 다. 특히 2010년 3차대회를 준비하면서 2007년부터 교회개혁의 문제 는 로잔운동 안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였다. 2010년을 전후로 하여 로잔운동은 교회개혁의 주제를 하나님의 선교의 방해 요소가 되는 교회의 타락, 부패의 문제와 연결하여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교회의 번영신학에 대하여 로잔운동은 매우 적극적으 로 문제제기하였다. 결국 로잔운동의 교회개혁에 대한 관점은 오늘날 교회 개혁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한국교회에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issues relating to the churches’ renew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usanne Movement. For more than four decades the Lausanne Movement claimed that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hindrance of churches’ participation in the Missio Dei. In 1974 when the first Lausanne Congress was held, the discussion on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was initiated by Latin American evangelicals. It continued to be one of the leading agenda discussed in various meetings. However, after 1989, the issues of churches’ reformation was not actively discussed. The prophetic voice of the reformation of churches rekindled during the Pattaya Forum in 2004. By that time,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became an even more significant topic. And to this day, theologians continue their efforts to tackle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by revealing the negative aspects of prosperity theology.

      • KCI등재

        로잔 운동이 세계 선교에 끼친 공헌과 한국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안희열(Heui Yeol Ah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7 No.-

        로잔 운동은 ‘복음주의 선교 운동의 플랫폼’과 같다. 현대 선교신학이나 선교 전략 그리고 오늘날 사용되는 선교학계의 대다수의 자료가 로잔운동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로잔 운동이 중요하다. 감사한 것은 2010년 10월 16일부터 25일까지 남아공 케이프타운(Cape Town)에서 제3차 로잔 대회가 열렸다. 3차 로잔 대회의 주제는 “세상과 자신을 화목케하시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이다. 그리스도는 유일한 화목자시며, 그리스도만이 진리이시며, 그리스도만이 복음의 안전성이 되신다는 사실을 재확인하였다. 이 세상은 끊임 없는 기독교 박해와 탄압, 주변 국가 간의 전쟁, 내전, 자연 재해, AIDS, 생태계 파괴, 도시화에 따른 빈부 극차 등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죄로 죽을 수밖에 없던 우리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가까워졌듯이 그리스도 역시 세상과 화목하시기를 원하시는 것이 제3차 로잔 대회의 메시지이다. 사실 로잔 운동은 빌리 그래함(Billy Graham) 목사가 WCC의 급진적선교관에 대항하기 위하여 복음주의 선교대회를 1974년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한 것에서 비롯된다. 1차 로잔 대회의 특징이라면 ‘선교=복음 전파+사회적 책임’이라는 통전적 선교 개념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하지만 복음전파가 항상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 순위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자들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에 관심을 갖도록 한 것은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2차 로잔 대회는 랄프 윈터 박사가 1970년대 후반에 주장한 미전도 종족 개념이 강조되었다. 종전의 추수 이론과는 반대되는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아직도 복음을 전혀 접하지 못한 종족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큰 도전과 헌신을 불러일으켰고, 이것은 전방 개척 선교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교회가 1974년 제1차 로잔 대회에 참여할 당시는 그저 "구경꾼’에 불과하였다. 당시 한국 선교는 걸음마 단계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후2차 로잔 대회가 1989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렸을 때는 로잔 대회가 한국교회로 하여금 ‘눈에 비늘을 벗기게 해 준 귀한 대회’ 였다. 왜냐하면 1990 년까지 1천 명밖에 안 되던 선교사가 1989년부터 실시된 해외 여행 자율화로 단기 선교가 급증하면서 한국 교회로 하여금 세계 선교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주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한국 교회는 2만 명이 넘는 선교사를 파송하게 되었고, 선교 단체도 급격히 늘어났으며, 선교 전문가도 많이 배출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번 3차 로잔 대회에서 한국 교회는 적극적인 참여자’로 참가하였다. 인적으로도 물적으로도 큰 공헌을 하였다. 바라기는 제4차 로잔 대회가 열릴 때는 한국 교회가 이 단계를 넘어서서 세계 선교의 ‘주도자’(leader)가 되길 바란다. 그래서 한국 교회는 인재를 키워야 한다. “선교의 꽃은 사람을 키우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젊은 일꾼들을 많이 길러 내어 훗날 세계 선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로잔운동과 구약에 나타난 성경적 선교론 연구

        김성욱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4 No.-

        21세기 한국교회의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선교사역을 유지하고 선교의 동력을 추진하기 위해서도 성경적 선교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20세기 중반에 급진적인 선교사상에 대응하기 위해 성경중심적인 복음주의 지도자들에 의해 결성된 로잔선교운동은 복잡한 세상속에서 성경적 신학에 근거한 현대선교운동을 활성화 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로잔운동은 성경중심적인 선교가 종교혼합주의적인 상황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알고 존 스토트와 빌리 그레이엄을 중심으로 선교운동을 전개하였다. 제1차 로잔운동에서 발표된 로잔언약에서 현대선교의 중심은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고 영감된 성경이 신앙과 삶의 유일한 척도임을 강조하였다(2항). 제2차 로잔대회에서 발표된 마닐라선언에서 성경의 복음이 하나님께서 주시는 메시지임을 확언하고 이 복음을 변호하고 선포한다(3항)고 명시하고 있다. 제3차 로잔대회 케이프타운서약에서도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사랑한다”고 강조하였다. 모세오경과 선지서, 그리고 시편에 나타난 선교메시지는 예수님과 사도들, 초대교회 지도자들이 활용한 선교사역의 교과서였다. 오늘도 효율적인 선교사역을 위해 구약성경에 나타난 선교주제들을 심도있게 연구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missionary message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Lausanne Movement. Recently, this topic has been mainly discussed by the missiologists such as Christopher Wright and Walter Kaiser, Jr. In order to improve missionary work in a modern complex society, the Korean Church also needs a clear understanding of biblical messages of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The Lausanne Movement stressed the necessity of biblical mission since its beginning in the 1970s. The Lausanne Covenant(1974) confessed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Bible in mission. The Manila Manifesto(1989) proclaimed that we obey God’s word because it is God’s messages. The Cape Town Commitment(2010) encourages us to love the word of God. The Old Testament is considered as a text of missionary work. There are many missionary messages in the Pentateuch, the Prophets and Psalms for modern missionary works.

      • KCI등재후보

        로잔운동과 디아스포라 선교

        최형근 ( Choi Hyung Keu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4 No.-

        본 논문은 로잔운동에서 시작된 디아스포라 선교운동이 디아스포라 선교학으로 발전되어 나가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하고 성경적, 선교적 관점에서 이주의 공간에서 타자에 대한 변화된 인식과 이해 그리고 환대와 급진적 이웃됨의 의미를 고찰하며 한국교회의 이주민 선교의 원리와 전략을 광범위한 관점에서 제시한다. “온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온 세상에 전하라”는 로잔운동의 슬로건은 변화하는 세상에서 불변하는 복음에 대한 확고한 선교학적 원리를 담고 있다. 로잔운동의 변화하는 세상, 특히 글로벌 이주현상과 그 함의에 대한 로잔신학의 관심은 제2차 마닐라 로잔대회문서인 “마닐라 선언문”과 제3차 로잔대회 문서인 “케이프타운 서약”에 드러나 있다. 특히 로잔운동의 디아스포라 선교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의 출발은 2004년 태국 파타야에서 열린 로잔 파타야 포럼이었다. 여기에서 디아스포라 이슈그룹이 형성되었고, 이어서 디아스포라 리더십 팀이 조직되었다. 수차례에 걸친 로잔운동 내의 협의회들을 거쳐 케이프타운 대회에서 디아스포라 선교학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었고 마침내 글로벌 디아스포라 네트워크(GDN)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2015년 3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글로벌 디아스포라 포럼(GDF)에서 디아스포라 선교학에 관한 논문들이 발표되었고, 2016년 글로벌 디아스포라 선교학이 출판되었다. 일반적으로 로잔운동의 케이프타운 서약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복음주의적 선교학적 성찰을 담고 있으며, 선교적 교회론을 주창하고 있다. 이 점에서 하나님의 선교에 근거한 총체적 관점을 견지하고 나그네와 거류민 인 현대의 이주민들에 대한 환대와 급진적 이웃됨의 의미를 담고 있는 로잔의 정신과 신학은 이주민 선교와 디아스포라 선교학의 구축을 위한 초석이 되었다고 평가된다. 로잔운동에서 출발한 디아스포라 선교와 선교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교회의 이주민 사역과 디아스포라 선교사역은 다음과 같은 선교전략과 선교학적 접근들을 취해야 할 것이다: 1) 글로벌 이주현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해하며 타문화와 타인종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성 육신적 태도를 취하라; 2) 우리 곁에 가까이 와 있는 이주민을 단순히 선교의 대상으로 여기지 말고 환대와 함께해야 할 이웃으로 여기며 관계중심적 인 공동체를 그들 가운데 형성하라; 3) 지역교회가 처한 이주상황을 주도면밀하게 연구조사하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주민들의 영적, 물질적, 정신적 필요들을 파악하고 그것들을 채워줄 수 있는 사역들을 개발하라; 4) 이주민 사역을 위해 지역교회 신자들을 동원하고 적절하게 구비하라(적합한 선교 전략); 5) 이주민 사역을 위한 신학교의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선교단체들로 하여금 이주민 사역 패러다임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조성하라; 6) 이주민들에 대한 선교 뿐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친구들이나 본국의 친족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제자훈련 시스템과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하라; 7) 이주민 교회들을 세우고 그들로 하여금 자체적인 선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구축하도록 격려하고 협력하라; 8) 이주민 교회들로 하여금 720만 해외 한인 디아스포라들 가운데 존재하는 디아스포라 교회들과 한인 선교사들(3만 명)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격려하고 동원하라; 9) 자립, 자치, 자전, 자신학화(자선교학화)를 추구하는 이주민 교회를 세워나가라 (권한이양과 성장을 위한 플랫폼 제공). This article delineates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diaspora mission movement which has been started by the Lausanne Movement since its beginning. Also from biblical, historical and missiological perspective it reflects the fresh and robust understandings of others, and the meaning of genuine hospitality and radical neighborliness among the migrant people living in the Korean society. Lastly it suggests the principles and appropriate mission strategies of mission to migrant people in the Korean society. The Lausanne slogan, “The whole church taking the whole gospel to the whole world,” contains the robust missiological principle of unchanging gospel in the changing world. in terms of the changing world, especially a phenomenon of global migration, the Lausanne’s concern to its implication is presented in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 Town Commitment.” Especially a concrete concern for diaspora mission of the Lausanne Movement has begun in the Pattaya Forum held by the Lausanne Movement in 2004. In this forum diaspora issue group has been formed and Diaspora Leadership Team was officially organized in LCWE. Through several Lausanne consultations the discussions on diaspora missiology was deepened in the 3rd Lausanne Congress and finally Global Diaspora Network has been organized. As a result, articles on diaspora missiology have been presented at Global Diaspora Forum held in Manila in March 2015 and GDN published the book, Scattered and Gathered: A Global Compendium of Diaspora Missiology in 2016. In fact, the Cape Town Commitment proposes an evangelical missi-ological reflection on missio Dei and contains missional ecclesiology at various level. From that point, the Lausanne theology embraces the holistic perspective based on missio Dei and points out the meaning of genuine hospitality and radical neighborliness to the migrant people as global diaspora people. In this respect, it can be evaluated as a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genuine diaspora missiology as well as diaspora ministry. On the basis of deep reflection on the formative process of diaspora missiology and ministry, the Korean church would be taking the following mission strategies and missiological stance for the diaspora people: 1) Be receptive and understanding the global phenomenon of migration and try to overcome biases toward other cultures and people group and taking incarnational lifestyle; 2) Not treat the migrant people who live in our next doorstep as objective of missions, but regarding them as our neighbor being cared and living together; 3) Conduct careful research for the context of the local church facing the migrant and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rying to develop the ways of filling their spiritual, mental and physical needs; 4) In order to do effective diaspora ministry, mobilize and equip believers of the local church(appropriate mission strategy); 5) Construct programs of seminaries and platform for diaspora ministry for mission agencies to share paradigms of diaspora ministry; 6) Encourage migrant church leaders to continuously construct discipleship programs for reverse mission work for them to reach their friends and relatives in their homeland as well as make a plan for migrant mission in host country; 7) Help the migrant people establish their own churches and attempt to make a genuine partnership with them to train missionaries; 8) Encourage the migrant churches to construct networks with Korean diaspora churches and Korean missionaries in mission fields; and 9) Try to establish indigenized and contextualized migrant churches that enable to be three self principles and self theologizing and self missiologizing church(to provide a platform for peaceful leadership transf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