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종합병원 주출입부 로비공간 규모 및 형태에 따른 초미세먼지 영향 비교

        윤은지,임영환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11

        General hospitals are used by many, including patients and visitors that are physically vulnerable to fine dust. Passive planning with thespatial structure of hospitals to cope with fine dus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public health, climate adaptation and sustainability. The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hape and volume of a lobby space that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influx and influence ofexternal fine dust in the main lobby space of a general hospital. In this study, ultrafine dust(PM2.5), which can adversely affect health, wastarget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lobby spaces in general hospitals in the preceding study, the spread of PM2.5 in lobbyspaces was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The lobby and the elevator hall through which fine dust can spread throughout the building werecovered in the simu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If the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the amount of PM2.5 reaching the elevator hallslightly decreased as the lobby area increased, and it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height of the lobb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amearea and height of the lobby, when the X-axis length was longer than the Y-axis length, the amount of ultrafine dust reaching the elevatorhall was less. It implies that the direction of the incoming air with dust and the spatial axis is closely related, and the follow-up studyshould be conducted including variables such as climatic conditions, direction of openings, and spatial axis. 미세먼지 취약계층이 많이 방문하는 병원 건축은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연구가 더욱 필수적이며, 주출입부 로비공간은 특히 외부공기과 함께 미세먼지 유입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영역이다. 종합병원은 기계적 공조 시스템에 많이 의존하지만, 부하절감 및 효과적 설비계획을 위해서도 공간구조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효과에 대한 패시브적인 방안이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로비공간에서 외부 미세먼지 유입 및 영향을 저하시키는 데 유리한 병원 건축 로비공간의 형태구조를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초미세먼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에서의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형태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지방공공의료원의 로비규모 현황과 계획규모에 근거한 적정규모의 로비공간에서 초미세먼지(PM2.5) 확산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보았다. 주출입부 로비와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공간을 다루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비 면적이 증가할수록 엘리베이터 홀까지 다다르는 초미세먼지의 양은 소폭 감소했고, 로비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엘리베이터 홀까지 다다르는 초미세먼지의 양은 크게 감소했다. 같은 면적과 같은 높이의 로비의 경우, X축 길이가 Y축 길이보다 길 때 엘리베이터 홀에 다다르는 초미세먼지의 양이 더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입되는 공기 방향과 공간 축 방향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였다. 현재까지 주로 기능, 동선, 치유환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진 종합병원의 로비공간에 대해 본 연구는 미세먼지 대응의 측면에서 이뤄진 연구로서 의의가 있고, 기후, 출입구의 방향 등의 변수들에 의한 실내공간의 미세먼지 확산에 대해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호텔 로비공간의 텍스타일디자인 공간분석에 관한 연구

        어현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로비공간에 제시되어 있는 다양한 텍스타일디자인의 방법과 특성으로 인한 실제적인 공간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텍스타일디자인의 방안과 감성적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호텔 로비공간에서의 텍스타일디자인에 대한 세부적 분석을 위해 로비공간의 유형을 기초로 한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으로 텍스타일디자인이 실제적으로 적용된 호텔 로비의 사례를 조사하기 위하여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호텔, 부티크 호텔, 리조트호텔로 나누어서 유형별 공간분석을 하였다. 호텔 로비공간의 텍스타일디자인은 실제적 공간분석을 통하여 공간이미지 상승은 물론 이미지 창출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현대적인 모던 스타일과 웰빙 트렌드 등 최근 트렌드 호름에 상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감의 유연성을 가진 텍스타일디자인은 심리적 요소를 가진 디자인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심리적 쾌적함을 주는 디자인으로 공간과 인간을 잇는 감성 매개체의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호텔 로비공간 디자인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실질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al hotel lobby space with how diverse textile designs are displayed and what characters they have to know how affect the analysis to personal psychological aspects, and to suggest effect textile design and sensitive space design. To analyze textile design in hotel lobby space detail, research has done with 5 gold star hotels, business hotels, boutique hotels, resort hotels which have textile design match with lobby space type. By observing these hotels, this study focuses on space analysis based on types. Hotel lobby textile design strengthens image creation and synergy on current image. Also textile design reflects current modern and well-being trend that is popular nowadays. Because textile design is flexible with texture and has psychological element, textile design is a bridge to link between space and human sensibility. Hypothesis result of this study will suggest hotel lobby design pla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대규모 공연문화시설 로비 공간의 색채 경향에 관한 연구

        이선우,이민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3

        최근 삶의 정신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 확대로, 문화와 예술을 담는 대규모 공연문화시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규모 공연문화시설은 단기 정책으로 건립되어 각각의 특색을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이미지를 결정짓는 로비의 아이덴티티가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규모 공연문화시설 로비 공간의 색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대상의 객관적인 현장 측색을 통해 분석하여, 대규모 공연문화시설 로비 공간의 색채 경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로비 공간의 기능적 요소와 특성, 색채의 시각적?감성적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하고, 베이지 계열과 고명도의 무채색 계열은 주조색으로 공공성을 드러내는데 적절하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브랜드 컬러로의 강조색 활용이 요구되었다. 공연문화시설의 실질적인 목표와 지역성에 적합하도록 차별화된 색채를 적용하여, 각 대규모 공연문화시설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담을 수 있는 창의적인 색채 계획이 이루어져 할 것이다. As more priority has been given to mental value of life recently,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large Performing Arts Center containing culture and art.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Arts Center because they were constructed for a short-range policy. Especially, brand identity of lobby space to decide the image is not clear. This study will perform case study by measuring the field color of each site objectively on the lobby spaces of domestic & overseas large Performing Arts Centers. Finally, the purpose is to suggest color plan and direction of lobby space of large Performing Arts Center. According to results, the lobby color shall be planned by considering the factor of functional & color. The colors of beige and high brightness can be used as dominant colors properly for showing public property. In addition, the use of brand emphasis color was required. Discriminated color plan that is proper for actual goal and local property of Performing Arts Center should be adopted so that the creative color plan can contain the brand identity of each large Performing Arts Center.

      • KCI등재후보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에 나타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 평가

        정유진,황연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4 No.2

        최근 들어 재활전문병원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신체 능력을 가진 사용자들을 고려한 실내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전문화된 의료 환경과 재활서비스의 변화 추세에 따라 모든 사용자를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병원의 로비 공간에 반영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향후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공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7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은 환자 및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이 양호하게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험한 상황에 대한 노출이 많으며 신체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안전사고 등의 기본적인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안전성이나 지원성에 관한 다양한 요소들이 전반적으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공간인 로비공간은 환자 및 사용자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계획특성들이 준수되어야 할 것이다. The lobb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space defining the image of the hospital, should reflect fundamental features of the pl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provide the patients and users with safe and comfortable us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reflected on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provide basic data for space planning of rehabilitation hospitals' lobbi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field survey on 7 samples of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to the rehabilitation hospitals' lobbies was found to have been well planned in providing easy accessibility with patients and users. Second, various elements regarding safety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ly qualified. The corners and edges of the furniture in the counter were found to need to be safely rounded and polished. And, the floor was found to be in need of a plan to lay the floor blocks for convenient and safe accessibility and use finishing materials on the floor to prevent patients and users from slipping. Third, highly visible signs or direction indicators needed to be install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moving of patients and users.

      • KCI등재후보

        문화마케팅 유형요소 5S를 적용한 기업 아이덴티티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기업 사옥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신승수 ( Seung Su Shin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4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은 자사의 문화를 창조함으로써 소비자와 자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기업 사옥 로비공간의 특성이 기업을 대표하며 기업 이미지를 상징하는 곳으로 발달하면서 기업의 문화마케팅 유형요소 적용의 필요성이 더 중요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마케팅 유형요소가 적용된 현 기업 사옥 로비공간 연출의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기획될 기업 사옥 로비공간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범위)본 연구는 문화마케팅 유형요소 5S를 고찰하고 로비공간에 나타난 기업 아이덴티티와의 상관성을 파악한 분석틀을 이용해 국내 기업 사옥 로비공간의 연출 사례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정량화하였다.(결과)연구결과 문화마케팅 유형요소 5S가 로비공간 내에 균등하게 적용되어야 기업 아이 덴티티 표출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이것은 소비자와 기업 상호간에 긍정적인 교감을 유도해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큰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는 결론을 도출했고, 현 기업 사옥 로비공간의 문화마케팅 유형요소 5S 적용이 부분적으로 치중된 문제점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Consumers understand that production has increased and that corporations are expending lavish efforts to satisfy consumers needs and wants through autonomous communication in the form of a created culture. The application of corporate marketing to spatial design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lobby design for corporate office buildings is intended to represent an organization`s products and symbolize the enterprise`s imag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an analysis of basic data regarding the lobby areas of current corporate office buildings into identify the tangible elements of cultural marketing. (Research)In this study, 5S methodology utilized in cultural marketing was explored, and an analysis of various domestic building designs was conducted. An analysis framework for expressions of company identity through lobby spaces, along with quantification of results was used. (Result) Findings indicate that application of the 5S methodology to lobby space design must be equitable to maximize its effect for a company; accordingly, we can conclude that company`s image can be influenced greatly by positive rapport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Moreover, cultural marketing for current corporate lobby design is focused only partially on issues to be resolved.

      • KCI등재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 디자인의 치유환경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아 ( Jeong Ah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고령화가 증가하고 사람들은 건강과 미, 여가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산업과 에코투어리즘이 주목받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수준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리조트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리조트 개념에서 발전하여 건강검진, 미용, 노화방지, 식단관리 등의 육체적 부분과 명상, 심리치료 등의 정신적 치유를 위한 폭넓은 시설을 지닌 웰니스 리조트는 그 영역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웰니스 리조트의 중심이 되며 첫인상을 결정짓는 로비공간의 치유환경 표현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표현요소를 분석하여 향후 국내 웰니스 리조트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웰니스, 웰니스관광, 웰니스 리조트를 이해하고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의 치유환경 표현의 필요성을 파악한다.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치유환경표현 특성 및 요소를 도출하여 자연친화성, 공간성, 사회성으로 구분한다. 자연친화성은 자연경관, 실내공간의 자연요소적용, 공간성은 인공물/색채/재료/질감/사물의배치 및 개방감/친근감으로 구분된다. 사회성은 사회활동 촉진을 위한 가구 배치로 분류하여 치유환경 디자인이 부각된 해외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을 사례분석한다. 사례범위는 2007-2019년 개관된 해외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으로 문헌조사, 해외 뉴스 트레블 관련 추천사례, 인터넷 사이트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7곳을 선정하였다. (결과) 사례분석결과 치유환경 표현특성인 자연경관, 공간성은 모든 사례공간에서 나타났으나 실내공간의 자연요소적용, 사회활동 촉진을 위한 가구배치 등은 다소 부족한 곳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현대 공간디자인이 단순성 강조를 위하여 구조적 측면과 실내조경, 전시 중심의 공간을 추구하는 경향 때문이라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는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으로 국한시켜 치유환경 표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의료관광호텔의 전체 공용공간에 편중되어 있는 기타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의료관광 활성화로 향후 국내 웰니스 리조트 계획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현 상황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치유환경 표현특성이 국내 의료관광 관련 리조트, 치유공간 설계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the aging is increasing and peoples’lifestyle is being changed to recognizing importance of health, beauty and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medical tourism industry and eco-tourism receive attention and resort facilities are required for users to receive high-level services in more pleasant environment. Wellness resorts developed from the concept of the existing resorts, having extensive facilities for physical healing like medical checkup, beauty care, preventing aging and dietary control etc. and mental healing like meditation and psychological therapy etc. are expanding their area. The study is to identify importance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of the lobby space as a center of a resort, decisive of a first impression, and provide basic data when designing domestic wellness resorts in the future by analyzing expression factors. (Method) The study examines necessity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of the lobby space at wellness resorts by understanding wellness, wellness tourism and wellness resorts through studies on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commonly presented in previous researches home and abroad are extracted and divided into nature-friendliness, spatiality and sociality. Nature-friendliness is divided into natural landscape and applying natural elements to indoor spaces, and spatiality into artificial objects/ colors/ material/ texture/ object layout and openness/ friendliness. Sociality is divided by furniture layout to promote social activities and it is to analyze cases of the lobby space at overseas wellness resorts with remarkable design for healing environment. For the scope of cases, 7 place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data like the literature search, cases recommended about traveling in the overseas news and web sites on the internet among the lobby spaces at overseas wellness resorts opened between 2007 and 2019. (Results) As a result, natural landscape and spatiality,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were shown in all cases but there were some places where were somewhat insufficient in applying natural elements to indoor spaces, the layout of furniture to promote social activities etc. The reason is thought to be the tendency of modern space design seeking structural aspects, indoor gardening and spaces focusing on exhibition to emphasize simplicity of space design. (Conclusions) The study has obvious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searches limited to the entire public space of the existing hotels for medical tourism by limiting it to the lobby space at wellness resorts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through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resorts and healing space about domestic medical tourism under the current situation expecting that domestic wellness resort projects will be progressed actively in the future by revitalization of medical tourism.

      • KCI등재후보

        호텔 로비공간에 있어서 텍스타일디자인의 감성평가를 통한 상호관계성 연구

        어현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로비공간에 제시되어 있는 다양한 텍스타일디자인이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 어떠한 감성적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감성평가를 고려한 효율적인 텍스타일디자인의 방안과 감성적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호텔 로비공간의 이미지와 인간의 심리, 텍스타일디자인의 상관성은 감성에 의한 논의로 특징과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로비공간은 대기·전이공간이므로 심리적인 노출이 많은 심리적 공간이며, 텍스타일디자인은 심리적 소재이므로 양자의 관계를 볼 때 인간심리와 관계가 있었다. 둘째, 호텔 로비공간의 텍스타일디자인은 이용자의 만족도와 행동에 영향을 주므로 감성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맥락에서 호텔 로비공간은 감성평가에 의한 이용자 관점에서 감성적 반응을 효율적으로 적용한 공간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al hotel lobby space with how diverse textile designs are displayed and what characters they have, to know how affect the analysis to personal psychological aspects, and to suggest effect textile design and sensitive space design. The relation among hotel lobby space image, personal psyc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textile design is considered and I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hotel lobby is waiting·crowded place that means people express their minds easily. Textile design is related to psychology. Therefore, hotel lobby and textile design are related to human psychology. Secondly, textile design in hotel lobb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that means textile design affects sensibility evaluation. Lastly, in this context, hotel lobby space needs to be filled with textile design that responses effectively with customer sensibility evaluation.

      • KCI등재

        부티크 호텔 로비의 공간구성 연구 - 2010년대에 개관된 호텔을 중심으로 -

        임주원 ( Ju-won Lim ),윤갑근 ( Gab-geun Y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1

        연구배경 부티크 호텔은 산업혁명으로 말미암아 개인 소득 증가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차별화 또는 개인맞춤화된 디자인과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는 이용자의 취향에 발맞춰 등장하였다. 로비는 호텔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일종의 관문과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상징성을 가진 공간으로써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이용자에게 다양한 공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티크 호텔 로비의 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추후 부티크 호텔 계획 시 참고자료를 만들고 나아가 국내 관광산업의 발전을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티크 호텔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부티크 호텔만이 가지는 특징을 파악한다. 또한 로비의 개념 및 기능과, 공간구성에 따른 로비의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틀을 작성하고 이 틀을 바탕으로 부티크 호텔의 로비 공간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구성에 따른 로비의 분류기준을 분석틀에 적용하고 부티크 호텔의 로비공간을 분석한 결과, 단면에 따른 분류와 로비-실들의 연결관계에 따른 분류기준을 부티크 호텔에 적용했을 때는 대부분 혼재되는 양상이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온 이유는 일반 호텔에 비해 협소한 대지와 소규모로 운영되는 부티크 호텔의 특성상 제약이 많은 조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부티크 호텔은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테마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티크 호텔 로비의 공간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Background Boutique hotels have emerged in line with the tastes of users interested in differentiation or personalized design and services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crease of personal income and cultural level. The lobby is a kind of gateway to use the services of the hotel, and it is a symbolic space that can give a variety of senses to the user depending on how it is constr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lobby of a boutique hotel and to make a reference for future boutique hotel planning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Methods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outique hotels, the characteristics of boutique hotels are identified. In addit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lobby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lobb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lobby, an analysis framework is prepared and based on this framework, the lobby space of the boutique hotel is analyzed to draw conclusions. Resul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obby according to the space composition to the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ing the lobby space of the boutique hotel, Most were mixed.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eems to be a way to accommodate various programs under conditions that are constrained by the nature of the boutique hotel, which is narrower and smaller than the general hotel. Boutique hotels have a theme that meets the needs of society. Therefor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research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boutique hotel lobb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공간 시나리오 특성 연구

        이민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society is focusing on healthcare, the pillar for goo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s it transitions to an aging society. In particular, service design methods regarding healthcare, represent a comprehensive environment in which service communication is formed through the provision of medical service, and space scenarios for user experience takes on added importance.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bby servicescape space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as a typical case of a healthcare space. The overall service environment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ysical evidence of each service experience and the extent of reflection of servicescape characteristic factors in the space scenario. The service experience results of healthcare space us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pace scenario analysis model of “healthcare space servicescape” that structured the servicescape characteristic factors (physical contexts, sequential process,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the space scenario composition factors extracted from theoretical studies an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healthcare spaces and servicescap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ting space centered around a media wall used as guiding signage with differentiated color and size acted as mutual communication factors for the overall space, increasing both convenience and informativity. Moreover, it also acted as a primary visual device, enabling an accessible sequential process by providing a link for its smooth influx into a subsequent service experience. Meanwhile, service pain points were caused by the lack of aesthetic difference among major typical components of the servicescape, such as the information desk and amenities, and an arrangement that disrupted the consequent flow, which were problematic for the delivery of services in the healthcare space. (Conclusions) The formation of servicescapes based on space scenario study on service experiences was found to be essential for accommodat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needs of users in healthcare spaces like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lobby space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service touch points reflecting the factors of the servicescape. In other words, the servicescape of healthcare spaces should be formed with spatial design that ensures a smooth continuation of various service experiences on the basis of continuous and consecutive flow, leading to an effective mutual communic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고령화됨에 따라 정신과 육체의 건강인 헬스케어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헬스케어에 대한 서비스디자인 접근 방법으로의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이 형성되는 종합 환경으로, 서비스스케이프에서의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경험에 대한 공간 시나리오가 중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헬스케어공간의 대표 사례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선정하여, 그중에서도 다양한 서비스스케이프 구성 인자를 보유한 로비공간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에서의 공간 시나리오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공간 시나리오에서의 각 서비스 경험이 갖는 물리적 증거별 특성과 서비스스케이프 특성 인자의 반영도를 분석하여 종합 서비스 환경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헬스케어공간과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이론 연구와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서비스스케이프 특성 인자(물리적 상황, 순차적 프로세스, 상호적 커뮤니케이션)와 공간 시나리오 구성요소를 구조화한 ‘헬스케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공간 시나리오 분석 모형’을 기준으로 하여, 헬스케어공간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컬러와 크기를 차별화한 안내사인과 물리적 증거 간의 연결 위치에 배치된 미디어월을 중심으로 한 휴식 공간이 공간 전체의 상호적 커뮤니케이션 인자로 작용하여 편의성과 정보성을 상승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음 서비스 경험으로의 유입을 원활하게 연결시킨 높은 접근성에 의한 순차적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시각 장치로도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안내데스크, 편의시설 대여 같은 서비스스케이프의 대표적인 주요 구성 인자들에서 심미적 차이의 부족과 순차적 흐름을 방해하는 배치 등으로 인한 서비스 패인포인트가 발생하여, 헬스케어공간에서의 주요 서비스 전달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서비스 경험에 대한 공간 시나리오 연구를 통한 서비스스케이프의 구현은, 서비스스케이프 인자들의 반영 평가를 통한 서비스 터치 포인트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양산부산대학교병원과 같은 헬스케어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심리적・육체적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필수 사항임을 알 수 있었다. 즉, 헬스케어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는 효과적인 상호적 커뮤니케이션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경험이 연속적으로 순차적 흐름에 따라 원활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공간디자인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직관적 공간인지를 위한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 종합병원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유진욱 ( Jinwook Ryu ),이은영 ( Eunyoung Lee ),이돈일 ( Don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병원이 지어지기 시작한 1950년대 이후 60여 년 동안 병원의 건축 계획에 있어서 기능, 규모, 운영, 서비스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병원이라는 공간의 의미는 치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치유도 함께 포함하는 공간으로 나아가고 있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병원의 기본적인 통합 서비스 부분 중 하나인 웨이파인딩에 대한 관심은 아직까지 계속 연구되어지고 있다. 웨이파인딩 서비스는 종합병원들이 병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 부분이다. 병원을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들이 복잡한 종합병원 내에서 수많은 사인시스템을 보고 이동한다. 하지만 병원 내 웨이파인딩 시스템 구축이 미비하고 길 찾기를 함에 있어 인지가 부족한 이용자들은 길 찾기를 반복,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병원의 재방문율을 낮추고 병원이미지에 큰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종합병원에서 길찾기를 하면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들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여 평가해 보고자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웨이파인딩 관련논문 및 문헌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웨이파인딩 요소들을 알아보고 이를 재정립하여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을 도출한다. 그리고 대구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은 종합병원 5곳의 로비공간에서 환자·이용자들의 길 찾기를 분석하고 공간에서 보여지는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들의 점수를 체크하여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들의 순위가 어떻게 나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 중에서는 결절점 요소가 가장 높게 나오고, 사인체계와 랜드 마크 요소가 비슷하게 나왔고, 길 요소가 가장 낮게 나왔다.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에서는 가독성과 쾌적성이 높게 나왔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편리성과 안전성이 미흡하여 점수가 가장 낮게 나왔다. (결론) 대구지역 종합병원 5곳의 종합병원 로비공간에서 환자·이용자들이 직관적인 웨이파인딩을 함에 있어 앞서 도출된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로 분석하고 얻은 결과로는 전반적으로 사례분석 한 종합병원 로비에서는 미로처럼 되어버린 공간을 인지하여 결절점 부분에서 가장 많이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길 요소부분을 가장 소홀히 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웨이파인딩 서비스를 이행할 때 편리성과 안전성에 신경을 쓰고, 길 요소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면 이용자·환자들의 길 찾기가 더욱 더 잘 되어 병원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업무의 효율성도 함께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hospitals in the sixty years since the 1950s, when the first modern hospitals began to be built in Korea, including changes in function, size, operation, and service. The meaning of a hospital space has transformed from just a space for treatment only to a space that includes healing as well. As hospital services grow, so too does their need for effective way-finding, one of the basic necessary integrated services of hospitals. Way-finding, a part of services that general hospitals use strategically to establish a their identity, enables users visiting the hospital for the first time or infrequently to navigate. Usually this involves multiple sign systems in complex hospita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way-finding system in the hospital, and the users who do not know how to do the route may have to spend a lot of time repeating the route search, which may reduce the return rate of the hospital and damage the image of the hospital.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way-finding service elements that users most need while searching for direction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way-finding to identify way-finding theories and elements, and redefine them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finding services. We analyzed the directions of patients and users in the lobby space of five general hospitals in the Daegu area and checked the scor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finding service in the space, ranking them against each other. (Result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node index elemen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way-finding service elements that relied on the sign system; the landmark elements were similar; and the road elements were the lowest. The readability and comfort of the way-finding services characteristics were high. The overall scores were the lowest when they involved lack of convenience or safety. (Conclusions) Analyzing the way-finding service factor derived in the intuitive way-finding of patients and users in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of five general hospitals in Daegu area yielded the following the results. The study was most concerned with the nodal point by recognizing the space, but it neglected the part of the way. Future studies should pay attention to convenience and safety when implementing the way-finding service, and if there is a plan to improve the road element, users and patients will be better able to navigate, the hospital will improve its image, and everyone`s pedestrian travel will be more 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