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레이더 편파변수 오차 보정 프로그램 개발

        윤정수,황석환,강나래,이동률,이건행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12

        강우레이더는 시공간적으로 높은 해상도의 레이더 강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레이더 강우는 초단기 예측 강우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레이더 강우로부터 추정된 초단기 예측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돌발홍수 예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돌발홍수 예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레이더 편파변수에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레이더 강우의 정확도는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초단기 예측 강우 자료의 정확도 역시도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의 정확도를 실시간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더 편파변수 오차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비슬산 레이더의 과거 363개의 강우사례에 편파변수 편의 보정에 따른 효과를 비실시간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편파변수의 오차 보정 시 레이더 강우의 정확도(1-NE) 수준은 약 70% 내외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는 0.8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편파변수 오차 보정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레이더 강우의 정확도(1-NE)를 약 70% 내외의 수준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Rain radar provides high spatio-temporal radar rainfall that can be used as input data to short-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model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has developed a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that is providing flash flood forecasting based on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estimated by the radar rainfall. Accuracy of the radar rainfall as well as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however, can deteriorate when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have error. In this study, we develope real-time program that can correct the error inherent in the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First, effec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error was verified using 363 rainfall events on non real-time. The accuracy (1-NE) of the radar rainfall was approximately 70%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0.8 after correcting the error on non real-time. The accuracy (1-NE) using the real-time program was also approximately 70% after correcting the error.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합성과 연직 증발량 보정 기술개발

        오영아,손명재,김해림,석미경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기상레이더 기반의 격자 강수는 고해상도의 강수 정보로서 호우경보나 초단기 예측, 수문 모델 등 기상·수문학적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기상레이더센터는 다년간 레이더 품질관리기술(CLEANER)과 한국형 강우추정기술을 개발하여 레이더 자료의 관측상 및 기상학적인 오차 요인들을 해소함으로써 지상 강우량계의 누적강수량에 매우 근사한 레이더 강수량 산출을 가능하게 했으나, 지상과의 관측고도 차이와 레이더망 합성기법에 기인하여 약한 강도의 강수 영역을 과대관측함으로써 레이더 기반 초단기 예측 시 강수 오보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레이더 관측망 합성기법을 개선하고 Martinaitis et al.(2018)의 연직 증발량 보정기술을 적용하여 실제 지상 강수 영역에 더욱 유사한 레이더 강수 합성장을 산출하고자 했다. 지형 등의 비강수에코와 빔 차폐를 고려하기 위해 최적고도각면 구성기법을 이용하여 각 레이더에 대한 HSR(Hybrid Surface Rainfall)을 산출하고, 레이더 간 중첩영역에 대해 HSR 최저고도로 합성하여 상층의 레이더 에코가 반영되지 않도록 설계했다. 또, 산출한 합성장의 각 격자에 대해 강수 입자가 낙하하는 동안의 증발량을 3차원 온·습도, 기압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보정함으로써 실시간의 대기 상태를 고려하는 레이더 강수 증발 보정 기법을 구현했다. 개발한 기술에 대한 평가를 위해 기상청과 환경부의 현업 S-밴드 관측망 15개소에서 수집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강우 합성장을 지상의 현천계, AWS 강우량계 자료와 비교·분석했으며, 강수 실황 예측 모델(MAPLE)에 적용하여 강수영역에 대한 예측 성공률과 오보율을 개선하고자 했다. HSR 에코최저고도 합성기법을 사용하는 기존의 기상청 현업 레이더 강수 합성장과 비교하였을 때, 레이더 합성기법 개선을 통해 강수 영역 탐지 정확도와 오탐지율이 각각 18%, 22% 개선된 90%, 9%로 실제 지상 강수 영역과 일치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수 실황 예측에서도 향상된 예측 오보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기술은 2021년 5월부터 현업에 적용되어 향상된 정확도의 레이더 강수 합성장을 예보 관계자 및 대국민에 제공하고 있다.

      • 레이더강우자료의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노희성,신현석,강나래,김형수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지적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홍수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여러 선진국에서는 기상원격탐사(레이더 및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수현상을 감시하고 있다. 특히, 강우·기상레이더는 신속한 관측능력과 우수한 공간적, 시간적 강수 관측이라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세계 각국에서는 다수의 레이더를 설치하여 레이더네트워크 구성과 강수현상 감시 체계의 보편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토교통부 및 기상청의 레이더네트워크 구축 및 레이더자료의 정확도 확보와 활용을 위하여 레이더 인프라를 구축 중에 있다.하지만 현재까지 강우·기상 레이더 관련 연구는 대부분 레이더 자료 취득, 품질관리(QC : 시스템 및 기상학적 측면), 강우량 산출 등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수문/방재분야에서의 활용 및 적용성 검토에 대한 연구 추진이 미흡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기상레이더에 대한 기본지식과 레이더강우 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필요한 개념 및 절차(process)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및 경험, 전략 및 기술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레이더를 처음 접하는 수문/방재분야의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레이더자료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가이드라인은 레이더자료를 쉽고 빠르게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레이더 추정 및 재밍효과도 분석을 위한 전자전 시뮬레이터 구현

        박헌우,장지원,이동현,이석호,박소령,노상욱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9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5 No.1

        To improve our flight agents’ survivability in electronic warfare settings,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correctly identify what an enemy’s radar is. As our agents perceive electronic information emitted from the radar, they need to reversely extrapolate the radar for their exact situation awarenes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commend the radar from a set of radars in database, which is the most similar to the radar threat,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reverse extrapolation process. The method of recommendation is to compute the degree of similarity using the variables of electronic information perceived and the results of jamming toward the enemy’s rada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electronic warfare simulator that models the components of electronic warfare, i.e., receivers, radars, and jammings, and that repeatedly tests the identification of a radar. Using the simulator, we have also experimented the estimation process of a radar and a series of jamming effectiveness toward the radar threat. It turned out that the similarities between a radar and the enemy threat extrapolated were measured by over 85% of the same radar itself in all of scenarios, and that the resulting feature of jamming with different hardware components of radar could be identified. 전자전 환경에서 아군 항공기는 생존율 향상을 위하여 적의 레이더 위협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레이더 위협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아군 항공기는 레이더가 발산하는 전자정보를 수신하며, 이로부터 레이더의 정체를 추정한다. 본 논문은 추정한 레이더 위협의 검증을 위하여 수집한 전자정보와 재밍결과를 기반으로 유사도 계산을 수행하며, 역추정한 레이더 위협과 가장 유사한 레이더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천한다. 또한, 이러한 전자전 구성요소를 모델링하고 다양한 전자전 환경에서 레이더 위협체에 대한 역추정 및 검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전 시뮬레이터를 설계 및 구현한다. 개발한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유사한 레이더의 추정과 레이더 위협체에 대한 재밍효과도를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역추정한 레이더 위협체와 85%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레이더를 추천함을 확인하였으며, 레이더 시스템의 구성요소 차이에 따른 다양한 재밍의 응답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4 GHz 대역 레이더의 평면 커버와 레이더 간의 이격 거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여준호(Junho Yeo),이종환(Jonghwan Lee),류정탁(Jeong Tak Ryu) 한국산업정보학회 202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9 No.2

        본 논문에서는 두꺼운 레이더 커버와의 이격 거리가 24 GHz 대역 레이더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레이더 앞에 두께 10 mm의 폴리카보네이트 레이더 커버가 놓일 때 레이더와 레이더 커버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른 레이더 성능의 변화를 레이더 커버가 없을 때와 비교하였다. 레이더 성능 지표로는 레이더에서 측정된 거리를 사용하였고, 건물 내 복도에서 사람이 일정한 속도로 레이더로부터 멀리 벗어났다가 다시 가까워질 때 거리를 측정하였다. 레이더와 레이더 커버 사이의 이격 거리는 2 mm, 5 mm, 20 mm로 정하여 실험하였다. 레이더 커버가 없을 때는 49.64 m까지 거리를 측정할 수 있었고 가장 오차가 적었다. 이격 거리가 2 mm일 때는 레이더 커버의 영향으로 37.61 m부터 거리 측정이 안되는 구간이 나와서 성능이 가장 좋지 않았다. 이격 거리가 5 mm와 20 mm로 증가시켰을 때는 49.56 m까지 거리가 측정되었으나 측정된 거리와 실제 거리와의 오차가 큰 구간이 레이더 커버가 없을 때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separation distance from a thick radar cover on the performance of 24 GHz band radar was studied through experiments. When a polycarbonate radar cover with a thickness of 10 mm was placed in front of the radar, the variations in rada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adar and the radar cover was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the radar cover. As a radar performance indicator, the distance measured from the radar was used, and the distance was measured using the radar when a person moves away from the radar at a constant speed in the hallway of the building and then approaches aga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adar and radar cover was tested at 2 mm, 5 mm, and 20 mm, respectively. When there was no radar cover, the distance could be measured up to 49.64 m and the error was the lowes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was 2 mm, there was a section where distance measurement was not possible starting from 37.61 m, so the performance was the wors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was increased to 5 mm and 20 mm, the distance was measured up to 49.56 m, but the section where the error between the measured distance and the expected distance was large occurred more often than when there was no radar cover.

      • KCI등재

        레이더 강우량의 불확실성 수준 평가: 미국사례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노희성,이동률,황석환,강나래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1

        Although there have been significant technological advances in radar technology in terms of electronics and computation, the impacts of overall radar-rainfall uncertainty, its factors, and the methods of its evaluation have not been presented clearly. Hence, this study estimated the radar rainfall for each radar-rainfall estimation algorithm(R(ZH), R(ZH,ZDR), R(JPL)) using data from the Biseulsan Rainfall Radar System (dual-polarization radar),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Then,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 with ground observation rainfall using radar performance statistical indicators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the R(ZH, ZDR) algorithm sensitively reacted to the bias of differential refletivity (ZDR), an observation variable, which caused large variation in instrumental observation errors. When the composite algorithm (R(JPL)) was applied, most of the radar performance statistical indicators were improved, which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estimation variable from the dual-polarization radar.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gorithms and variable test methods suitable for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rainfall rada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n reviewed to assess the level of Korean technology for uncertainty of rainfall data from the radar. The results showed a large spatial variability in data from the Korean radar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U.S. studies; there was also an improvement in the uncertainty of the radar-rainfall estima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ortant for establishing the evaluation criteria regarding the uncertainty of radar-rainfall estimation and for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uncertainty of radar-rainfall estimation. 레이더기술에 있어 전자, 전산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기술진보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총체적인 레이더강수 불확실성의 영향과 요인, 평가방법에 대한 명확한 결과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 도입된 비슬산 강우레이더시스템(이중 편파) 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더강수 추정 알고리즘별(R(ZH), R(ZH,ZDR), R(JPL)) 레이더강수량을 산정한 후 지상관측 강우량과 레이더성능 통계 지표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R(ZH, ZDR)은 관측변수인 차등반사도(ZDR)의 편의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기기적인 관측오차의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복합 알고리즘(R(JPL))을 적용한 경우 대부분의 레이더성능 통계지표에서 더 나은 값을 보여 이중편파레이더 산출변수의 효용성을 보여주었으나, 국내 강우레이더 관측 특성에 적합한 알고리즘 및 변수 검정 방법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레이더강수 자료의 불확실성에 대한 국내 기술수준 평가를 위해 미국의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비교⋅검토한 결과, 미국의 선행연구에 비해 국내 레이더자료의 공간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중편파레이더 산출변수를 이용한 레이더강수 추정 값에서는 불확실성 측면에서 향상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레이더강수 추정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레이더강수 추정 불확실성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수도권 돌발홍수 감시를 위한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운영 기술 및 수문 적용성

        윤정수(Yoon, Jungsoo),황석환(Hwang, Seokhwan),이동률(Lee, Dong-Ryul),강나래(Kang, Narae)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2

        레이더는 넓은 영역과 높은 시공간 해상도의 강우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도시지역에서의 돌발홍수 대응에 유리하다. 2014년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도입하였고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수도권 지역에서의 돌발홍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수재해정보플랫폼 융합 기술 연구단은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다양한 장점에 주목하여 수도권에 2기의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KRU 레이더와 YSU 레이더)를 2017년에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RU 레이더와 YSU 레이더의 특성 및 관측전략, 품질관리기술을 서술하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의 강우 사례를 분석하여 수도권 지역에서의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수문 적용성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Radar is useful for monitoring flash flood in urban areas because it provides rainfall data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for a wide area. In 2014, th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introduced the first X-band dual-polarization radar in Korea and has subsequently been researching on flash floods in the metropolitan area using the rainfall data. Considering the various advantages of X-band dual-polarization radar, the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in Korea introduced two X-band dual-polarization radars (KRU and YSU radars) into the metropolitan area, in 2017. This stud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KRU and YSU radars, their observation strategies, and quality control techniques. Moreover, we also assessed the hydrological applications of the X-band dual-polarization radars in the metropolitan area by analyzing three years of rainfall data from 2017 to 2019.

      • 레이더 비교관측소 확대 운영 방안

        이경훈,권병혁,김상진,김민성,김유진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한반도(Korean Peninsula)는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기상학적 특성으로 인해 지역별로 강수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상레이더센터는 레이더로 관측한 강수량, 대기수상체 등의 산출물을 비교·검증하기 위해 진천레이더비교관측소를 운영 중이며, 레이더비교관측소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정확도 개선에 활용하고 있다. 강수 미세물리 특성 분석을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지상관측 기반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기상레이더와 비교 및 검증하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비교관측소가 한정되어있어 각 지역을 대표하는 강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각 지역의 강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기상레이더와 비교하고, 검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레이더비교관측 지점 확대 및 관측망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레이더 비교관측지점 확대를 위해 기존에 설치된 기상관측장비와 비교관측소 입지 선정 기준 및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최적의 관측망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레이더 비교관측 자료를 사용한 강수특성 분석 관련 연구 및 레이더 비교관측소의 기상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강수특성 연구를 위해 운영 중인 최신 기상관측장비 현황과 활용을 조사하였다. 국외 기상레이더 비교관측을 위해 운영 중인 관측소의 규모, 운영 형태, 구축 환경, 입지 조건 등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기상레이더 비교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한 연구 및 현업 개선 등 활용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였다. 국내 위험기상(호우, 우박, 대설, 낙뢰 등) 발생지역,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 빈도, 경제적 손실 등의 통계자료를 조사하여 비교관측지점 확대 구축이 필요한 지역을 제시하였다. 레이더 자료와 비교분석을 위하여 관측소와 레이더 간 거리, 빔 고도 및 주변 지형(차폐 정도) 등 기상학적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관측지점의 기준을 제시하고, 기상학적, 경제적,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비교관측소 입지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레이더 비교관측지점의 관측망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개발 및 비교·검증, 통계분석 등에 효과적 활용을 위한 산·학·연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 지상강우와 레이더강우를 이용한 남강댐유역 분포형 유출해석

        안소라 ( So Ra Ahn ),하림 ( Rim Ha ),임혁진 ( Hyuk Jin Lim ),한명선 ( Myoung Sun Han ),김성준 ( Soeng 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2012년 강우 및 태풍사상에 대하여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점 강우자료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격자기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IMSTORM(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에 적용하여 유역 내에의 홍수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레이더 강우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비슬산 이중편파 강우레이더에 의해 관측되는 반경 100 km 내에 포함되는 남강댐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4개의 강우 이벤트(카눈, 집중호우, 볼라벤, 산바)에 대하여 한강홍수통제소로부터 보정된 레이더 강우자료를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레이더 강우를 분포형 모형에 적용하기 위해 LCC(Lambert Conformal Conic Projection) 좌표를 Bessel TM(Transverse Mercator) 좌표체계로 투영하고, 1시간 단위, 500 m 격자로 재구축하여 준비하였다. 먼저 레이더 강우와 지점 강우를 비교분석한 결과, 유출량산정 지점별 면적평균 강우량은 대체적으로 레이더가 지점 강우보다 더 낮은 값으로 예측되었지만, 강우의 패턴은 상당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R²는 0.97, 편차가 0.84로 매우 우수하게 분석되었다. 공간분포를 비교한 결과 특히 집중호우의 경우 실제 유역에 지점 관측소의 부재로 인해 남강댐을 통과하는 호우를 레이더는 잘 나타내고 있지만 지점 강우는 잘 재현하지 못하였다. 이후 분포형 유출해석을 위해 KIMSTORM을 이용하였으며, 지형 자료로 DEM, 흐름방향도,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종류도, 유역경계를 준비하고 5개의 유역(AU, SC, SA, CC, NR)으로 분할하였다. 최종적으로 격자크기 500×500m 해상도의 156행×137열의 총 21,372개의 셀로 모형을 구축하였다. 지점강우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상류부터 안의(AU), 산청(SC), 신안(SA), 창촌(CC), 유역 출구점인 남강 댐방수로 지점(NR)의 유량자료를 비교한 결과 R², ME, VCI의 평균은 각각 0.85, 0.78, 1.09 %로 모의유량이 관측유량을 잘 재현하였다. 첨두유량도 비교적 잘 모의하였으며, 유출용적편차가 10% 이내로 분석되었다. 레이더와 지점 강우를 분포형 모형에 적용하여 유출을 비교분석한 결과 평균 R²는 0.85로 같은 값을 보였고, ME는 레이더와 지점 강우 각각 0.79, 0.78로 레이더가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유출용적오차는 레이더가 4 %, 지점 강우가 9 %로 유출해석에 있어 레이더의 활용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이중편파 레이더의 홍수예보 활용성 평가

        김정배,최우석,배덕효,Kim, Jeong-Bae,Choi, Woo-Seok,Bae, Deg-Hyo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4

        본 연구에서는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의 홍수예보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비슬산 강우레이더 100 km 반경 내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123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레이더 추정강우의 오차를 레이더 반경 및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가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오차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의 홍수예보 활용성 평가 및 적용을 위해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가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관측치에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강우형태에 관계없이 강우 강도가 강한 부분에서 이중편파 레이더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그러나 차등반사도를 통해 산정된 강우는 과대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인 SURR 모형에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를 통한 유출량이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유출용적오차는 약 12~63%, 첨두유량오차는 약 30~42% 감소하였으며, 평균제곱근오차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에 의해 산정된 유역평균강우량을 유출모형에 적용할 경우 AWS 강우로부터 추정된 유출결과보다 더 우수한 경우가 있어 향후 홍수예보 활용 시 예보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ual-polarization radar for flood forecasting. First, radar rainfall has temporal and spatial errors, so estimated radar rainfall was compared with ground observation rainfall to assess accuracy improvement, especially, considering the radar range of observation and increase of the rainfall int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rror for estimated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was less than single-polarization radar rainfall. And in this study,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for flood forecasting was assessed using MAP (Mean Areal Precipitation) and SURR (Sejong University Rainfall Runoff) model in Namkang dam watershed. The results of MAP are more accurate using dual-polarization radar. And the results of runoff using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showed that peak flow error was reduced approximately 12~63%, runoff volumes error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30~42%, and also the root mean square error decreased compared to the result of runoff using single-polarization radar rainfall. The results revealed that dual-polarization radar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flood fore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