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분석 및 방향 제언

        이지혜(Ji-Hye Lee),김정화(Jungwh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향후 변화될 교육의 방향에 대응하여 국내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도 변화해야 함을 논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개념과 유형을 논하고, 해외의 대표 사례들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프로그램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는 아직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의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문화유산에 대한 소개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문헌과 대표 사례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이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며 디지털 리터러시와 같은 교육적 능력도 함양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은 단순히 기존의 문화유산 교육에 디지털 기기가 추가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문화유산 교육의 본질을 디지털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목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 교육뿐만 아니라 미래 교육이 지향하는 인포멀 러닝의 다양한 형태로 도출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미래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통해 앞으로 미래형 디지털 문화 유산 교육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This research discusses the necessity for change in the domestic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following, this research analyzes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longside with several case studies of global institu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out the analysis, this research suggests a direction of domestic digital cultural heritage which has limitations. Currently domestic use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s currently limited to applying digital technology. Analysing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is research found that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an make learners be mature in perspective of historical thinking and digital literacy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not aim at pursuing education via digital platform simply, but rather fundamen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and future trend of education such as informal learning. Throughout the analysis of current cases and suggestion for future direction, the research aims at being a fundamental study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증강현실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전지윤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The cont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 need of a change.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further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important but also the advanced digital media literacy complex is requir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digital cultural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digital cultural contents with hands-on interactive smart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in the search for diversity with a designer mind and a technical approach of developing experiential interactive smart education in digital heritage education.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진보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개발하여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형 인터랙티브 스마트 교육으로 설계하는 과정을 통하여 디자인적 사고와 기술적 접근의 융복합된 과정이 기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에서 다양성의 한 모색으로 제시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증대를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활용 방안

        이진우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1

        디지털 매체의 확산은 세상의 모습을 변화시키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 아지면서 삶의 많은 부분이 디지털 매체와 연계되고 있다. 문화유산 부문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접 목하여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 문화유산으로 전환하려는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 털 문화유산은 보관뿐 아니라 배급이나 활용에서 획기적인 확장성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박물관은 소장품을 기반으로 인류의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체험하고 재해석하는 공간을 제공함 으로써 현대인의 삶에 공헌하는 평생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박물관이나 소장품 이 지닌 물리적인 제약은 이용자와의 자유로운 접촉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접근성의 개선과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훌륭한 소장품도 제대로 가치를 발휘할 수 없다. 박물관은 이용자와의 소통과 교류 기회를 확대하고 이용자 주도적인 학습과 몰입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디지털 기술의 접목은 박물관이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방안이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디지털 문화유산의 활용은 박물관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시공간을 초월한 접근뿐 아니라 현실에서 불가능한 체험을 사이버 공간 속에서는 다채롭게 펼칠 수 있다. 박물관은 디지털 문화유산을 통해 이용자와 양방향으로 소통하면서 사회적 공익을 확대하는 가치 창출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가상박물관 저작을 통한 문화유산 교육에 관한 연구

        이종욱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본 연구는 가상박물관 저작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상박물관 기획과 구축에 대한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가상박물관 기획과정과 구축과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 전시 공간 구현 디자인 프로세스를 참고하여 가상박물관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교육과정과 소프트웨어에 관한 설문 평가 및 인터뷰 결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문화유산 교육을 위한 가상박물관 저작이 특히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정보의 입력과 반응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표현하였다. 이 연구는 역사 교육, 박물관 교육, 디지털 콘텐츠 교육에 있어 가상박물관 저작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입증함으로써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교육의 보급과 교육과정 설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curriculum for planning and building a virtual museum using virtual museum authoring software. This study proposed the virtual museum planning and construction process for curriculum design. For this purpose, the virtual museum curriculum was designed with virtual exhibition space design process. As results of the survey evaluation and interviews on the curriculum and the software, we concluded that the creation of virtual museum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e curriculum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stimulating curiosity. However, it presents the most difficulty in the input and response of inform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semination of education using the virtual museum and curriculum design by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the virtual museum education program in history education, museum education and digital content education.

      • KCI등재

        디지털시대 문화유산교육 - 메타버스 기반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장진희 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논집 Vol.86 No.-

        This study, recognizing the contemporary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designed and applied a metaverse-based exhibition planning class as a practical measure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and analyzed its effectiveness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he study results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cultural heritage education utilizing metaverse platforms induces high levels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among learners, enhances learning satisfaction, and effectively increases their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learners and cultural heritage significantly improves their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rest.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methods that allow learners to directly experience and engage with cultural heritage, beyond mere information delivery. However, the educational use of advanced technologies requires infrastructure support, such as high-performance digital devices and stable networks,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evaluation to utilize suitable metaverse platform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al settings by presenting the detailed design and application process of metaverse-base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thereby suggesting new possibilitie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 KCI등재
      • KCI등재

        ‘명승(名勝)’ 지역 콘텐츠를 통한 디지털 교육 활용 방안

        김경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2 No.-

        이 논문은 2025년 시행 예정인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2024년 현재 디지털교과서는 사회와 과학교과에 시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고 보완하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지역 문화와 관련된 교육 방법과 자료를 탐색하였다. 우리 고장에 대한 탐색과 관련된 자료로 조선시대 <남승도>와 1929년 어린이 잡지에 발표된 <조선 13도 고적탐승말판>에 담긴 지역 콘텐츠의 내용을 점검하였다. <남승도>와 <조선 13도 고적탐승말판>에 담긴 명승 콘텐츠를 토대로 ‘명승’ 지역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을 시도하였다. 2015년 개정 초등 사회과 ‘3학년 1학기 2단원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 이야기>를 통하여 우리 고장의 지리적 환경과 옛이야기, 문화유산에 대한 탐색을 시행하였다. 평면적인 종이 교과서의 공간을 디지털 공간으로 범위를 넓혀 학습자의 상상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서 통일 한반도의 지역과 문화를 이해하고 디지털 공간에서 ‘명승’ 지역 콘텐츠를 탐색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학습자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은 더 쉽고 편리해졌지만, 방대한 정보 속에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할 수 있는 비판적 교육이 더욱 절실해졌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ways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gital textbook content scheduled to be implemented in 2025. In this paper, we will explore educational methods and materials related to local culture in order to devise ways to utilize and supplement digital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1st semester of 3rd year, unit 2, “Stories we learn about the local area”, we explore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ld stories, and cultural heritage of our local area. As materials related to the exploration of our region, we examined the regional content contained in “Namseungdo” from the Joseon Dynasty and “Joseon 13 Province Historic Site Exploration Report” published in Eolin-i magazine in 1929. Based on the scenic spot content contained in “Namseungdo” and “Joseon 13 Province Historic Site Exploration Edition”,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digital educational content for ‘scenic spot’ areas. By expanding the space of the paper textbook into a digital spac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earner's imagination was presented. Furthermore,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gion and culture of the unified Korean Peninsula and seek ways to develop local ‘scenic spot’ content in the digital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ways for learners to acquire information have become easier and more convenient, but critical education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real and fake information in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has become more urgent.

      • KCI등재

        통일을 대비한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 -디지털 전통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박재영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3 중앙사론 Vol.0 No.37

        In this paper, web-service construction and necessity of its practical use for 'N generation(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mmon people have been considered into four groups as following:First, North and South Korea shared the ethnic homogeneity of cultural heritage can contribute to the recovery and reunification as one of the cultural content. Second, what is the Status and Problems in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and service? Third, what is Heritage Status and challenges of digital contents of North Korea? Fourth, what is Heritage Status and challenges of digital contents of North Korea? Fifth,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that is currently available, how should be taken advantage of a unified educatio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r future national unity meet the requirement and change of the unity-oriented and post-cold war era for the restoration of homogeneity, and should move into the direction of accommodating not exclusive and non-ethnic nationalism but a variety of ethnic and cultural view point. In addition,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building organic network between government agencies, private research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at provides information in cyberspace should have to be implemented and focused to apply efficient use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o prepare the Unification with the active promotion against general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