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노동의 성별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애라(Ae Ra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4

        디지털 경제는 소비자본과 기술을 통해 이용자들의 참여활동을 노동력으로 포획하고자 한다. 이러한 디지털 경제에서 여성들은 소셜미디어의 적극적 이용자 이자 생산자로서 무임 혹은 저임의 노동력으로 동원되고 있으며, 이들의 디지털 노동은 성별분업적 형태에 기반을 두고 있다. ‘페북스타’와 같이 소셜마케팅 시장에서의 디지털 노동을 대표하는 인물은 감각적이고 예쁜 여성으로서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는 자신의 일상을 지속적으로 전시함으로써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는 한편 상품판매 기업이나 소셜마케팅 기업과의 고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노동은 외견상 ‘놀이’처럼 보이지만 소셜마케팅 시장을 지탱하는 생산활동이며, 저임 혹은 무임의 항시적인 노동 상태에 있게 한다. 이처럼 일상적이고 항시적인, 그리고 노동 능력이 개인 외모와 매력을 통해 평가되는 디지털 노동의 과정 속에서 페북스타 여성들은 상품 소비적 여성성을 체화한 여성이 됨으로써 더욱 성공적인 디지털 노동자가 될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roles of young women in the emerging digital economy of South Korea. In the digital economy, the user’s participation is captured as labor power mediated by consumer capitalism and technology in the digital economy. Yong women are mobilized as free or low wage laborers by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content production and this is a gendered division of labor. ‘Facebook Stars,’ the exemplary figures of digital labor in socialmedia consumption market display their everyday lives to show their trendy and pretty womanhood. This exhibition helps them maintain their status as social media stars, as well as keeps her in labor contract with businesses and social marketing corporations. On the surface, these activities look like ‘play’; however, these activities produce content and value through the unpaid or underpaid labor of the young women. This kind of daily and constant digital labor is evaluated only by personal appearance and attractiveness. Young women are able to become more successful digital laborers who embody received womanhood.

      • KCI등재

        노동자 중심의 디지털 무역정책에 관한 소고 - 디지털무역협정상 디지털 포용을 중심으로 -

        이주형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외법논집 Vol.47 No.2

        In the ‘2023 Trade Policy Agenda and 2022 Annual Report’, the United States prioritised ‘worker-centred trade policy’. Not only does the U.S. want to create a ‘level playing field’ for U.S. workers through trade agreements, but it also require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digital trade on workers. The issue of ‘trade and labour nexus’ is also extending to the nexus between ‘digital trade and labour’, leading to the inclusion of labour-related provisions in the ‘digital inclusion’ clause of the Singapore-UK Digital Economy Agreement.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labour provisions in FTAs as a result of the linkage of labour to trade policy, and explores how labour provisions in digital trade agreements, alongside the concept of digital inclusion, may be improved in the near future. Countries have closely linked their trade policies to labour issues and reflected in their FTAs. The trend of adding elaborate labour-related provisions and establishing strong enforcement mechanisms to FTAs, especially in the US and EU, has been growing. Further, the number of labour-related disputes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DEPA and the Singapore-UK Digital Economy Agreement also provide for ‘digital inclusion’, specificall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labour policies to promote decent working conditions for workers in the digital economy, and adding the promotion of protections for workers in digital trade as an area of cooperation between the partie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FL-CIO, in its report ‘A Worker-Centred Digital Trade Agenda’, ha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ecuring government regulatory powers to protect workers’ privacy, and prevent digital offshoring in digital trade agreements. The report suggests that FTA labour clauses, which focus on enforcement of national laws, are insufficient to protect workers, and that separate labour clauses should be adopted in digital trade agreements in line with ‘digital inclusion’. As the right to work, which is one of the human rights, is in line with digital inclusion, which is also based on human righ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labour clause in a digital trade agreement that highlights the aspect of digital inclusion and cooperation rather than emphasizing the enforcement of labour-related laws. ‘2023 무역정책 의제 및 2022 연간보고서’에서 미국은 ‘노동자 중심의 무역정책’을 최우선으로 선정했다. 미국은 무역협정을 통해 미국 노동자들에게 ‘공정 경쟁의 장’을 마련하고자 할 뿐 아니라, 디지털 무역이 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렇듯, ‘무역과 노동’의 연계 문제는 ‘디지털 무역과 노동’ 간의 연계까지 확대되고 있고, ‘영국-싱가포르 디지털경제협정’에 있는 ‘디지털 포용’ 조항에 노동 관련 내용이 포함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무역정책에 노동을 연계시키면서 FTA 노동조항을 발전시켜 온 과정을 검토하고, 디지털 포용의 개념과 함께 등장한 디지털무역상 노동 관련 조항을 통해 향후 디지털무역협정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노동 관련 조항이 발전해 나갈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국은 자국의 무역정책을 노동 문제와 긴밀히 연계시켜 다루어 왔고, 이를 자국의 FTA에 반영했다. 미국 및 EU를 중심으로 FTA에 정교한 노동 관련 조항을 추가하고 강력한 이행메커니즘을 수립하는 경향이 확대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한 노동 관련 분쟁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DEPA뿐 아니라 ‘영국-싱가포르 디지털경제협정’도 ‘디지털 포용’을 규정한다. 특히 디지털경제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양질의 작업조건을 촉진하기 위한 노동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디지털무역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보호 촉진을 국가 간 협력 사항으로 추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AFL-CIO가 ‘노동자 중심의 디지털무역 의제’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무역협정에서 노동자, 개인정보보호 등을 위한 정부의 규제 권한 확보, 디지털 오프쇼어링 방지 등을 지적한 점은 유의미하다. 본고는 각국의 국내법 집행에 방점을 두는 FTA 노동조항만으로는 노동자 보호에 미흡하므로, 디지털무역협정에서 ‘디지털 포용’과 연계하여 별도의 노동조항을 채택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인권 중 하나인 노동권이야말로 인권에 근간을 두는 ‘디지털 포용’과도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노동 관련 법령의 집행강조 측면보다는 디지털 포용과 협력의 측면을 강조하는 디지털무역협정상 노동조항을 설계할 필요가있다.

      • 청소년·청년 디지털 플랫폼노동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유민상,최정원,이수정,장혜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공유경제의 성장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플랫폼 노동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고, 정보기술에 익숙한 젊은 세대는 디지털 노동 플랫폼 속으로 급격히 유입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 노동은 새로운 기술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고, 비인간적인 알고리즘에 의해 통제되는 불안정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 연구는 디지털 노동 플랫폼을 통해 일거리를 제공받고 노무를 제공하는 것이 인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노동시장에서 노동이력을 시작하는 청소년과 청년들의 삶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누군가에게 플랫폼 노동은 개인에게 자유를 주는 새로운 기회가 되기도 하고, 빠져나가기 어려운 굴레가 되어버리기도 한다. 왜 ‘자유로운’ 플랫폼 노동자들은 ‘자유롭게’ 플랫폼을 벗어나 버릴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가? 이 연구는 청소년과 청년들이 전통적인 형태의 노동이든 새로운 기술에 의한 플랫폼 노동이든, 노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보호 받으며 진정한 자유(혹은 적극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방향으로 우리사회가 발전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With the growth of the sharing economy around the world, digital platform labor is rapidly expanding, and young generations familiar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re rapidly entering the digital platform. Gig work is sometimes described as promoting individual freedom through new technologies, or as unstable, controlled by inhuman algorithms.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provision of work and labor through a digital labor platform affects human life.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how it affects the lives of youth and youth who start their work careers in the labor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in parallel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found that there is not only one phenomenon in the real world. In other words, for some, platform work can be a new opportunity to give freedom to individuals, or it can be a difficult to get out of. Why do “free” platform workers say that they cannot “freely” leave the platform? This study suggests that youth workers, whether they are working in traditional forms of work or platform work with new technologies, should be protected from the social risks that may arise from work, and that they should develop toward real freedom (or positive freedo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여성의 노동 : 디지털 전환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다혜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0

        This article predicts how “digital transformation,” recently being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affect the labor of women who are suffering from inequality and tries to derive leg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accordingly. While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has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gender inequality at labor is yet to be resolved as women still assume care obligation in accordance with gender stereotypical practices. Will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accompanying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market serve as a favorable opportunity for women, or will they remain stuck without addressing existing inequalities? Since the main cause of gender inequality in women's labor is the fact that care work is unfairly dedicated to women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gender rol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care work. Although care work is undervalued compared to wage labor as it is still treated as an informal sector in the system, wage work and care work are interrelated in terms of reproductive functions. If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noble effect on care work, it will eventually affect the overall status of women both at home and workplace. In light of such perspective, this article analyzes digital transformation in two main areas. The first one is paid care work done as an occupation in the labour market; the second one is unpaid care work, such as household chores and childcare, mostly by women at home. First, as for paid care work, this article introduces recent trends in which care work is carried out through digital platform, and tries to find what legal measures are requir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of these ‘platform care workers.’ Second, as for unpaid care work at home, the article looks at whether digital trans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work-life balance, considering that women are at an disadvantage in the labor market because they bear care penalty. Ultimately, it suggests that in order for digital transformation to contribute in a way that promotes gender justice, normative choices and institutional responses are necessary. 본 논문은 최근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일컬어지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기존에 불평등을 겪고 있는 여성의 노동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 전망하고 그에 따른 법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는 과거에 비해 개선되었다고 하나, 많은 여성은 여전히 전통적 성역할에 의해 기대되는 돌봄 의무를 떠맡고 있어 노동에서의 젠더 불평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및 그에 수반되는 산업 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는 여성에게 유리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까, 아니면 기존의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지 못하고 고착화된 상태로 남아있게 될 것인가?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답하기 위하여 디지털 전환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여성 노동에서 젠더 불평등의 주요 원인은 돌봄의 여성화, 즉 돌봄노동이 남성보다는 주로 여성에게 불공평하게 전담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므로, 디지털 기술혁신이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여성 노동의 불평등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가정에서의 돌봄노동(care work)과 일터에서의 임금노동(wage work)은 재생산을 매개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지털화가 돌봄노동에 미치는 영향은 결국 임금노동을 비롯한 여성의 노동 전반에 대한 영향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여성 노동에 대한 영향을 일터에서 직업으로서 행해지는 유급 돌봄노동과, 육아 및 가사 등 가정에서 부담하는 무급 돌봄노동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유급 돌봄노동 영역에서 최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돌봄노동이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동향에 대해 소개한 뒤, 플랫폼 돌봄노동자의 근로조건이 개선되고 양질의 노동(decent work)을 보장받기 위해서 어떠한 법적 대응이 필요한지 살펴본다. 아울러 가정에서의 무급 돌봄노동에 대해서는 여성이 가정에서 경제적 대가를 받지 않고 가사, 양육 등 돌봄노동에 시간과 에너지를 투입하기 때문에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디지털 전환이 일과 삶 양립(work-life balance)에 기여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궁극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여성의 남성화’ 뿐 아니라 ‘남성의 여성화’도 가능해지는 방향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규범적 선택과 제도적 대응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노동 관점으로 바라보는 수용자의 디지털 광고 경험에 관한 고찰 : 저평가 노동(underestimated labor) 개념 제시를 중심으로

        유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4 문화정책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인지자본주의에서 논의되는 비물질 노동 개념을 수용자의 디지털 광고 경험에 적용하였다. 플랫폼 기업이 디지털 광고 경험이라는 수용자의 비물질 노동을 활용해 이윤을 창출한다는 측면을 고려할 때 수용자의 비물질 노동에 대한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고 있는지, 적절한 보상이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의 디지털 광고 경험을 무임금 노동으로 바라볼 수 있는지와 관련된 세 가지 관점에 대해 논의하며, 무임금 노동 개념이 지닌 한계를 지적한다. 이후 무임금 노동의 대안으로 ‘저평가 노동(underestimated labo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용자가 인지된 노동성, 인지된 강제성, 인지된 저보상이라는 세 가지 하위 요인을 통해 디지털 광고 경험을 비물질 노동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앞선 논의를 종합하여 플랫폼이 수용자의 비물질 노동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immaterial labor discussed in cognitive capitalism to users’ digital advertising experiences. Considering that platform companies use users' immaterial labor in the form of digital advertising experiences to generate profits, it is crucial to assess whether this immaterial labor is adequately valued and compensated for. This study discusses three perspectives on whether digital advertising experiences can be considered free labor and highlights the limitations of the free labor concept. We then propose a new concept of "underestimated labor" as an alternative to free labor. Furthermor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N=8) and surveyed the general public (N=439) to gather empirical evidence. The results showed that users perceived digital advertising experiences as immaterial labor in three dimensions: perceived labor, compulsion, and low benefits. Furthermore, they perceived these digital advertising experiences as undercompensated. This confirms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underestimated labor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explain users' free labor in digital advertising experiences.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we propose directions for platforms to adequately value users’ immaterial labor and achieve sustainable growth.

      • KCI등재후보

        디지털 전환 시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재편 방안

        류기락(Ryu Ki-Rak)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1 노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 시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재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과 플랫폼 경제의 확대로 대변되는 디지털 전환은 이중구조화와 불평등 확대 경향을 가속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새로운 직무의 출현과 기술 융합으로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디지털전환이 미시·거시 경제 수준의 임금불평등 및 구조적·정책적 요인과 결합하여 생산성과 노동소득의 탈동조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음을 언급한다. 다음으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직업훈련 관점에서 디지털 전환이 숙련투자 불평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현재 우리나라 노동시장정책은 여전히 직접 일자리 창출 사업 중심으로 직업훈련과 고용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미흡한 현실이다. 디지털 전환시대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우리나라 숙련형성체제의 재편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그 성과는 기존 체제의 장점을 취한 기업맞춤형 훈련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전환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에 부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직업능력정책을 사회정책과 노동시장정책을 연계하는 가교로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address major challenges that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confron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 epitomized by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expansion of platform economy is accelerating labor market dualism and inequality on the one hand, while it is expected to bring about innovation owing to the emergence of new promising tasks and technology convergence. Digital transformation may further invoke decoupling of labor income share from productivity growth by means of both between-firm and between firm dynamics as well as structural and policy relevant factors. It also is likely to widen inequality in human capital investment with respect to active labor market and job training measures. Given that labor market policy is still tilted towards direct job creation schemes rather than employment services or job training, active labor market policy has room to move towards a new skills formation regime. However, policy effects are found in the area of firm-customized digital training, which cast light on directions for ALMP to pursue in the future. Finally, this paper is set to place skills policy as a bridge between social policies and labor market policies.

      • KCI등재

        디지털 노동자의 고용 관계와 계층화: 알고리즘과 데이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노성철,이정아,김문정 한국산업노동학회 2022 산업노동연구 Vol.28 No.2

        Complementing prior research that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precarity of platform workers, we aimed at develop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who we termed ‘digital workers’ who engag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digital platform services. To do so, we draw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f digital workers in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which has undergone a rapid shift to the platform economy. Our findings show that digital work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based on their role in the circulation of algorithm and data throughout platform services: core, peripheral and boundary digital workers. While core digital workers design and develop an algorithm that shapes the labor process of the boundary workers, the latter produce data that the former use to improve the algorithm. The peripheral digital workers play an intermediary role in the circulation of data and algorithm. Further, we highlight the nature of stratification which has been emerging among digital workers in terms of wage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our findings. 본 연구는 플랫폼 서비스의 개발ㆍ운영ㆍ실행에 참여하는 ‘디지털 노동자’ 집단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플랫폼 노동에 대한 논의의 확장을 꾀한다. 지난 5년 동안 빠르게 성장한 우리나라의 모빌리티 플랫폼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세 디지털 노동자 집단의 직무, 임금수준 그리고 노동시장 이행 성과를 조명했다. 디지털 노동자들의 직무는 그들이 노동과정에서 알고리즘 및 데이터와 맺는 관계에 따라서 달라진다. 개발자 집단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을 기획, 구현, 개선한다. 실행자 집단에 해당하는 디지털 노동자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며 그 과정에서 데이터를 생산한다. 끝으로 운영자 집단은 개발자와 실행자 집단 사이에서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중계한다.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가 요구하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의 끊김없는 순환은 상이한 제도적ㆍ조직적 공간에서 일하는 세 노동자 집단 사이에 상호의존성을 만들어내고 기술적 분업을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용보험DB를 이용한 양적분석은 세 집단 사이의 계층화의 양상을 드러냈다, 개발자ㆍ운영자ㆍ실행자 디지털 노동자 집단은 고용형태와 임금수준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고, 노동시장 이행은 그러한 차이를 공고화하는 방향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개발자 집단에 속한 디지털 노동자들은 데이터에 기반한 성과지표를 자신들의 경력자원으로 삼아서 노동시장 이행에 적극 활용하는 반면, 운영자-실행자 집단에게 데이터는 접근이 불가능한 조직의 소유물에 불과했다. 아울러, 효율적인 알고리즘 생산을 위한 기술적 분업이 계층 간 이동을 어렵게 만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기술의 발전과 불평등의 심화에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공유노동 종사자의 법적 지위와 수요자에 대한 책임 - 플랫폼노동을 중심으로 -

        이준희 한국소비자법학회 2021 소비자법연구 Vol.7 No.4

        The labor provision system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spread of the sharing economy or platform economy. Labor related laws, which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factory laws in the er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cannot have have power of rule over new ways of working, so the legal system must be completely reconstructed. In this study, I defined the sharing economy as “an activity that creates economic value by providing tangible or intangible goods and services held by someone for use by idle capacity”, and the worker who provide labor in sharing economy as “a labor provided under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haring economy”. And, based on these definitions, I analyzed the legal relationship and their respective legal status between the three parties, platform workers, digital platform operators, and consumers, focusing on platform workers, the main type of the worker who provide labor in sharing economy.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 legal status of platform workers as employe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n Korea. Therefore, the legal status of platform workers should be determin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labor provis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platform workers according to each type, I selected five types : “crowdwork service provision system”, “food delivery agency service provision system”, “other delivery agency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household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for each type, it was judged whether the platform workers working in the each type were employees or individual businesspersons. Whether platform workers can be recognized as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erms of consumer protection. This is because if a platform worker is an employee who has a labor contract relationship with a digital platform operator, the digital platform operator will bear the responsibility for the incompleteness of labor provision, so that consumers can be more reliably protected. However, even if a platform worker is not an employe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of the digital platform operator, the digital platform operator may be liable for Performance assistant liability or Employer’s responsibility under the Civil Act. Finally, I also pointed out that consumers of platform labor can bear the responsibility for paying remuneration and safety consideration to platform workers. 이 글에서는 공유경제와의 긴밀한 연관관계 하에서 제공되는 노동의 유형으로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노동의 문제를 공유노동이라고 정의하고 공유노동의 주된 유형인 플랫폼노동을 중심으로 플랫폼노동 종사자, 디지털플랫폼 운영자, 수요자 등 각 당사자 사이의 법률관계 및 각자의 법적 지위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공유노동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플랫폼노동 제공체계의 유형들을 선별하여, 크라우드워크 서비스 제공체계, 음식배달대행 서비스 제공체계, 기타 배달대행 서비스 제공체계, 여객운송 플랫폼 서비스 제공체계, 가사서비스 제공체계 등으로 정리하여 각 유형별로 해당 플랫폼노동 종사자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아니면 개인사업자에 불과한 것인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플랫폼노동 종사자를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와 근로계약관계를 맺은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는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노무를 수령하는 수요자, 즉 소비자의 보호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플랫폼노동 종사자가 특정 디지털플랫폼에 소속된 근로자라고 볼 경우 노무제공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책임을 해당 디지털플랫폼이 부담하도록 하여 소비자를 더욱 두텁게 보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랫폼노동 종사자가 디지털플랫폼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되지 않는 때에도 디지털플랫폼이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행위에 대하여 민법상 이행보조자책임 또는 사용자책임을 부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보수와 안전에 대하여 소비자인 플랫폼노동의 수요자가 일정한 책임을 부담하게 된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창의노동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9 No.1

        디지털 창의 노동이란 문화화와 소비주의가 확장하며 노동질서의 유연성과 불안정성이 격화하고 신자유주의적인 이념이 지배적인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유 · 자율 · 자발을 추구하는 에토스와 문화적 창의성과 참여를 지향하는 실천들이 디지털 네트워크를 매개로 왕성하게 촉발, 발현, 교통되고, 이들이 정치·경제·문화 권력과 다양한 방식들로 접합 혹은 분절하는 노동 문화를 의미한다. 디지털 창의노동은 개인의 자유를 기치로 표방하는 신자유주의적인 이념 체제 안에 있으면서도 기업화된 디지털 자본주의의 자장 안에서 생성되기에 통치권력과 주체형성의 모순과 갈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창의성과 열정, 자기 혁신과 성공적인 미래와 같은 긍정적 가치가 강조되는 동시에 이것을 실행하는 경제적 합리성과 자기 경영의 원리가 중시된다. 그 과정에 주체의 의지, 기업의 경영기술, 대중의 익명화된 권력, 사회적으로 팽배한 상상과 환영의 힘들이 개입하면서 자기 통치적인 주체가 형성된다. 이처럼 디지털 창의노동자는 창의성과 자유의 문화적 가치를 지향하고 디지털 네트워크의 참여성과 자발성의 가치를 추구하기에 오히려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체제에 타협적으로 접합되는 역설 안에 있다. Beyond the technological behaviorism-oriented notion of prosumers,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question of digital creative labour of the youth in the interrelated context of post-capitalist crisis and neoliberal ethos of selfhood. This analysis is situated particularly in the social conflicts and struggles in Korea, wher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recariza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have been increasingly aggravated (in the realm of embodied reality) whereas their digital activities have been highly expressive (in the realm of mediated reality). The contradictions embedded in the question of the labour of the youth are delineated in the respect of the subjectivities of young free labour, or ‘digital creative labour’ in proposed terms: the precarious young free labour in Korea is the compound of social fragmentation, economic polarization, expansion of cognitive and emotion labour, boom of hedonistic consumerism, economic-cultural celebration of creativity and self-entrepreneurship, technological saturation of digital media, subjective/collective affects around excitement and ambition but also of anxiety and fear. The ambivalence and complexity of the young free labour is converged at the emergence of homo-economicus (Michel Foucault) through the subjectivation of the social (con)fusion of post-capitalist crisis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of selfhood.

      • KCI등재

        디지털플렛폼에 의한 긱노동(gig work) 종사자의 노동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김소영 ( Kim Soh-yeong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0 과학기술법연구 Vol.26 No.2

        디지털 플랫폼에 기반한 긱노동(gig work)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오프 라인에서 이루어져 왔던 노동과는 그 근로실태나 고용형태가 크게 다르고, 자영업자의 형태로 노무를 제공하는 경우부터 사실상 종속노동에 종사하는 것과 다름없는 경우에 이르기까지 그 스팩트럼이 다양하다. 또한, 자영 노동과 종속노동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혼성고용(hybrid employment)의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디지털 플랫폼노동 종사자 가 음식 배달, 대리운전, 음식점 보조ㆍ서빙, 요양의료 등의 업종에서 긱노 동(gig work) 형태로 일하고 있으며 이들은 불안정 취업집단을 의미하는 디지털 프리캐리아트(precariate)로 불리우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 긱노동 종사자들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불안정한 법적 지위와 낮은 소득 수준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대부분 저소득을 극복하기 위한 장시간 노동과 노무제공 과정에서의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노동법은‘사용자와 근로자 의 1:1 관계’에서 노무를 제공하는 정규직의 임금근로자를 상정하고 제정되어 현재까지 기본 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전속성과 계속성이 희박하고 다수당사자가 참여하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 긱노동에 대하여 기존의 노동 법적 이론으로는 접근하기 어렵다. 디지털 플랫폼노동 종사자 보호를 위한 입법적 개선 방안으로서 인적 종속성을 배제하고‘경제적 종속노무제공자 (Economically dependent worker)’라는 개념을 설정하여 제3의 영역으로 포섭하여 보호하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노동시장 현실과 정확한 실태 파악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접근은 보호방안을 마련한다 해도, 오히려 법과 현실의 괴리가 더욱 커질 것이고 자칫 대부분의 플랫폼노동 종사자는 노동시장에서 위장된 자영업자의 무리에 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사회적 대화와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입법적·정책적 대응방안 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policy considerations for protection of gig worker. To this end, I have reviewed the employment figures and working conditions of gig workers and the labor leg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Technological advances -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and robotics - will create new jobs, but those who lose their jobs in this digital transition may seize the opportunities as a gig worker. The working method by the digitalization and gig economy leads to profound changes in the field of business and work. Nevertheless, since the traditional labor law judges whether a worker is based on the subordinate employment relationship, it becomes difficult to regulate the new employment type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Labor Standards Act defines the worker as “a person, regardless of being engaged in whatever occupation, who offers work to a business of workplace for the purpose of earning wages.” Therefore, the scope of an employee is determined through various multi-factored tests dependant on the facts of the relationship that may be derived from court prece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formally defining certain subgroups as being independent from traditional labor law framework as regards legal protection coverage. It’s time to try a revolutionary change of labor law, removing restrictions on protecting gig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