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김용덕(Kim Yong Deok),최동연(Choi Do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확인해 보고, 성공적인 학습과 학교생활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를 도출하여 이를 통해 사이버대학교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지원활동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대전 소재 K사이버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연령과 입학 전 학력별로 살펴보고, 학습자들의 요구사항을 활동이론을 분석을 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2020년 3월 30일부터 4월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5개 역량군으로 확인하고 추가로 디지털 관련 문제 해결방법과 자유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와 자료검색 역량, 콘텐츠 개발역량은 연령대가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의사소통 역량은 연령에 의한 효과가 컸으며, 안전과 보안 역량과 문제해결 역량은 연령과 입학 전 학력에 관계 없이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은 구체적인 학습 목표의 제시, 프로그램의 시기와 학습규칙, 커뮤니티 차원의 활동, 학습시스템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level of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and to derive the demand for a digital literacy competency supporting program for successful learning and school life. Through these derived demands, the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supporting program of adult learners at Cyber University were derived. Specificall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575 students from K Cyber University in Daejeon to examin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by age and pre-admission. And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were analyzed by applying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pril 11, 2020, and the level differences of the five competency group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y supporting program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pril 11, 2020, and the gaps in the five competency groups were collected on for digital literacy, solutions to digital problems, and free require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ower the age group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re, the higher the ability both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data and to develop content are. However, communication competence is influenced by age, and safety and security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are all low, regardless of age and education. The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Literacy Enhancement Program were to provide specific learning goals, timing and learning rules, community-level activities, and interactions in the learning system. At the end of the study,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인경본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신태갑,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石堂論叢 Vol.0 No.57

        This case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 of Dong-A University. this printing-date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since the 1990s. hereby, this printing-date was utilized the source-material that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Nevertheless, this printing-date was some cases that the source- material was missing or unclear. therefore, the missing source- material can be compensated from these sources. the complementary-data is the digital material of Tripitaka-Koreana- institute(八萬大藏經硏究院) in the Haein(海印)-Temple, the printing- material of the Otani(大谷) University, the printing-material of the Woljeong(月精)-Temple. the supplemented source-material can be used as follows. it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the restoration of the Goryeo- Dynasty's Annals(高麗王朝實錄), the source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development,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original woodblock. 이 글은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인경본에 대한 자료적 가치와 보완방법 및 보완자료의 활용방안을 진단하였다. 1960년대 확보된 함진재 소장의 강화경판 인경본은 1990년대부터 원천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정리작업을 수행하면서 자료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어 주목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해인사 소장 강화경판의 원천자료를 열람할 수 없었으므로,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원천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구나 1970년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 영인본 총48책에 비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좌․우 변란과 그 외곽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자료와 함께 ‘외장(外藏)’ 자료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함진재 소장 인경본 자료가 연구자료로 활용되면서 상당한 연구성과를 축적하도 하였다. 우선, 강화경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밝히는 원천자료로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학자들이 강화경판을 소위 초조대장경판의 복각판(復刻板)으로 파악한 문화적 정체성(停滯性) 등을 극복하는 원천자료로 활용하여 역사․문화적 객관성을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조성사업의 주체와 목적에 대한 역사 실체를 객관적으로 정립하는 자료로도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자와 해방 이후 한국 연구자들이 강화경판의 조성주체․목적과 조성공간의 위치 및 참여자의 범위를 최씨무인정권과 연계시켜 축소․평가한 이해방식을 객관적으로 바로잡는 데 함진재 소장의 원천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내용을 새롭게 밝히는 원천자료로도 활용되었다. 그 결과, 대장․분사도감의 운영조직체계와 역할, 그 산하의 판각공간, 분사도감의 위치 등이 구체적으로 탐색되었고, 조성사업 참여자들의 다양한 출신성분과 그들의 현실인식 등도 새롭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1960년대 인출 당시 인경 전문가의 제한적 인식, 개별 경판의 마모나 훼손 등으로 원천자료가 누락되거나 불명확하게 인경된 경우도 있다. 특히 좌․우 변란의 밖이나 그 외곽 부분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공방(工房) 자료의 상당수도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누락된 원천자료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소장의 디지털자료를 원천텍스트로 삼고, 우왕 7년(1381) 인출된 일본 오오타니(大谷)대학 소장본의 자료집, 조선 고종 2년(1865)에 인출된 월정사 소장 인경본의 사진자료 등을 교차적으로 활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보완된 자료는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고려왕조실록의 복원,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의 원천소스, 마모․훼손된 원판의 복원, 원판과 후대 보각판의 진위여부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청년선교의 현재와 미래

        석종준(Jong-Joon Seok)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3 종교문화학보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urrent meaning of youth mission and the biblical outlook for the future, based on the sharing and analysis of data for youth mission for some of the so-called MZ generation. In order to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author intends to organize the following contents in order and reflect on their meaning. First, it is a reflection on the data that can confirm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Korean youth in our time. The author argued the results and the meaning of a survey on campus youth commissioned by Campus Evangelization Network to a specialized organization in 2022, namely, <2022 Youth Trend Report>. Among the data presented, we extract and organize the results of the survey data of the 10 items judge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reflect on their meaning. Second, the author introduces the current activities and situations of mission communities 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at have been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directly to young people from 2012 to the present. Through this, we can confirm that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members and drivers who are passionate about missions on campus has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many organizations, Christian students, missionaries, professors, and employees are still continuing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the author will argue that, as the situation of youth missions on university campuses has become very diverse and complex recently, there is a continuous need to seek comprehensive and organic communication and unity between various mission entities. Third, the author will argue for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church as a platform to effectively carry out organic activities and role division among youth missionaries on university. In other words, we will specifically discuss why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church is requested within a non-Christian foundation university and how it is meaningful in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local church-centered campus youth missions. In conclusion, the author makes a proposal for the future of youth missions. The future solution for youth missions in our time is not a proposal of any novel new method, but a return to the Bible and the mission field of the early church and “Ad Fonte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in. Accordingly, the youth mission of our time does not change much just because it is mainly targeting Generation Z, who are broadly distinguished by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natives’,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present-oriented tendencies’. In other words, missions in all times seek to assert that the essential principles of the ministry of spreading the “gospel” do not change even though the conditions of the world and the positions of life in which the missionaries live change. 이 논문은 이른바 일부 MZ 세대 청년선교를 위한 자료의 공유와 그 분석을 토대로,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청년선교의 현재 의미와 미래 전망의 성경적 전망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논자는 이 논문의 목적에 다가가기 위해 아래 내용을 차례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성찰하려 한다. 첫째, 우리시대 대한민국 청년들의 종교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성찰이다. 논자는 학복협(학원복음주의협의회)이 지난 2022년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캠퍼스 청년들에 관한 조사 결과물, 즉 <2022 청년 트렌드 리포트>라는 자료집에 나타난 데이터 중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한 10개 항목의 조사 데이터 결과를 발췌 정리하고 그 의미를 성찰한다. 둘째, 논자는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청년들에게 직접 선교활동을 하고 있는 서울대 캠퍼스의 선교 주체 또는 선교 공동체들의 현재 활동 내용 및 상황을 소개한다. 이것을 통하여 우리는 비록 이전에 비교하면 캠퍼스 내에서 선교에 열심을 내는 동력과 구성원들의 수가 작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많은 단체와 그리스도인 학생, 선교사, 교수, 직원들이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확인하게 된다. 또한 저자는 최근 대학교 캠퍼스의 청년선교가 상황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졌기에 다양한 각 선교 주체들 사이의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소통과 연합의 모색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셋째, 논자는 이러한 대학교 캠퍼스 내의 청년 선교 주체들 사이의 유기적 활동과 역할 분담을 효과적으로 감당할 플랫폼으로서 대학교회 설립의 시대적 당위성을 주장할 것이다. 즉 특별히 왜 비기독교재단 대학교 안에 대학교회 설립이 요청되는지, 이전의 선교단체와 지역교회 중심의 캠퍼스 청년선교의 한계를 어떻게 보완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인지를 논의하려 한다. 결론적으로 논자는 청년 선교의 미래를 위한 제안으로 우리 시대 청년선교의 미래적 해법은 어떤 기발한 새 방안의 제안이 아니라 다시 성경과 초대교회 선교현장의 의식과 “근원의 자리로 돌아가는 정신”(Ad Fontes)에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리서 우리 시대 청년선교 역시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개인주의적 성향’, ‘현재 지향적 성향’이라는 특징으로 대별 되는 Z 세대를 주요대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해서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 즉 모든 시대 선교는 선교 주체들이 거하는 세상의 조건과 삶의 자리는 달라져도 “복음”을 전하는 사역의 본질적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하려 한다.

      • KCI등재

        미국의 디지털 도서관 구축현황

        최호남,Choi, Ho-Nam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199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26 No.3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하부구조에 있어서 가장 으뜸가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대학도서관의 디지털 도서관 추진형태는 정보기술 하부구조 구축, 본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젝트 중심의 설계로 집약된다. 본 고에서는 미국의 미시건대학교, 카네기멜론대학교, 버지니아공과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털도서관 구축실태와 현황을 고찰하였다. A system of networked digital libraries will be a primary compon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e general strategy for digital libraries by the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is summarized as building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content database construction, and project-based design. This paper describes the present feature and status of digital libray programs being implemented by the libraries of Michigan University, Carnegie Mellon University and Virginia PolyTech & State University.

      • KCI등재

        デジタライゼーションによる日本語教育のDXに関する考察 -サイバー大学の授業実践を中心に-

        八野友香 ( Hachino Tomoka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4 日語日文學硏究 Vol.128 No.-

        본 연구는 일본어 교육의 Digitalization과 사이버대학의 교육 DX에 대해 고찰하였다. 교육 DX는 디지털 기술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지도 모델 구축에 힘쓰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실천한 수업을 통해 사이버대학의 단점인 일방향성의 일괄적인 수업을 보완함으로써 개별 지도를 가능하도록 하고 u러닝(Ubiquitous Learning) 실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 스타일을 명시하였다. 연구에 앞서 ICT 용어를 개관하고 교육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사이버대학의 현황과 과제를 명시하였다. 이어서 다양한 디지털기술을 이용하여, LMS 공개작문 peer learning, LMS 공개 악센트 peer learning, H5P를 활용한 발음 연습, ZOOM 회화 연습, 유튜브 보충 학습 등 총5개의 인포멀 수업을 실천하였다. 그 결과 e-Learning의단점인학습수요에대한즉각성과인터랙티브성을보완하였으며,개별 지도 최적화와 보충수업 ATAPL을 가능하게 하여, u러닝 교육 패러다임을 충족시키는 학습 환경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d digitalization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cyber university education DX. Education DX means not only introducing digital technology, but also making use of technology to build new teaching models. In this article, informal classes were implemented to supplement the one-way simultaneous classes, which are disadvantages of cyber universities, and a new educational style through digitalization was specified. In this article, when first considering the DX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e outlined ICT terminology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reform, and then clari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cyber universities. In this study, we practiced LMS public writing, LMS public accent practice, H5P pronunciation practice, ZOOM conversation practice, and YouTube supplementary lessons using various tools through digitalization. These class practices complemented the immediacy and interaction of learning needs, which are disadvantages of e-learning, enabling individual guidance optimization and ATAPL for supplementary classes, and demonstrating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s to meet ubiquitous learning education paradigms.

      • KCI등재후보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교양교육 수업사례 - <영미문학과 영화>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김경희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실천연구 Vol.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 course design and teaching methods using digital tools based on the case of optional liberal arts <English-American Literature and Film> class conducted as cyber lectures due to the 2021 COVID-19 pandemic. In the era of the digital revolution advanced by the COVID-19 pandemic,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using digital tools can improve the project-oriented self-directed learning effects and Silla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communication, challenge, thinking, learning, cooperation, and sharing. <English-American Literature and Film> goes beyond encourag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opening the possibility of creative activities and ethics-based global talent, using Shilla University's e-class system, media, video production tools, and digital tools "Dall-e 2" and "Spatial" metaverse platforms.

      • KCI등재후보

        유튜브 플랫폼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학습자중심 토론교육의 중요성 연구

        신희선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실천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유튜브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의 <비판적 사고와 토론>수업을 통해 대학생들이 유튜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선정한 ‘유튜브, 규제해야 한다’는 논제로 아카데미 토론 실습을 하였고, ‘토론교육에 유튜브 활용의 효용성’에 대해 논술 글을 작성하였다. 토론과 글쓰기 활동을 통해 유튜브의 양면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유튜브의 긍정적 측면으로 의사소통교육을 위한 자료의 보고로서 가치가 있고,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균형 잡힌 시각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반면 유튜브의 부정적 측면으로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인한 확증편향 가능성, 상업적으로 오용되고 있는 측면, 가짜뉴스의 빠른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 세대인 학습자들을 위한 토론교육은 학생 스스로 유튜브 공간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하고, 토론 준비 과정을 통해 조별 협동심과 의사소통능력을 키우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개발할 수 있는 방향이 되어야 함을알 수 있었다. 유튜브 플랫폼에 대해 학생 스스로 성찰해 보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정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 실천의 장으로서 <비판적 사고와 토론> 수업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전자도서관 웹사이트의 품질향상을 위한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응봉,류범종,김석동,김우성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usability for improving quality of Hoseo university digital library website. Compatibility of web browser and loading speed are analyzed in using Doctor HTML and Web Site Garage, and seven major attributes of website, that is navigation, functionality, user control, language and contents, system and user feedback, consistency, architectural and visual clarity, are analyzed and evaluated in using online questionnaire method. Finally this paper was suggested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at website mentioned above, and general guidelines of website construction based on usability in university digital librar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호서대학교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하여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도구를 이용한 분석(Doctor HTML 및 Web Site Garage)을 적용하여 웹브라우즈의 호환성 및 접속속도를 분석하였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성, 이용자의 통제, 언어 및 컨텐츠, 시스템 및 이용자 피드백, 일관성, 구조적 및 시각적 명료성 등의 주요 속성에 관한 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분석 및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사용성에 기반한 우리나라 대학의 전자도서관 웹사이트 구축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원격교육의 시각적 최적화를 위한 모듈의 개발과 구조분석

        김동호 ( Dong Ho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기존의 인터넷 강의는 주로 하드웨어의 기준에 맞게 제시되어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안정된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우리 주변의 영상출력 장비들 역시 과거 하드웨어적 기준에 의존한 채 그 형태가 정해져왔으며 현재에도 별다른 규격이 없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16:10의 디스플레이 비율은 고대부터 사용되어온 황금비율인 약 1.618:1에 가장 가까운 비율로, 인간의 시야각을 기준으로 조망할 때 시각적인 최적화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금비율과 가장 근접해 있는 디스플레이를 근거로 하여, 여기에 가장 디자인적으로 완성된 구조의 배치를 황금비율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선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황금비율에 근거한 모듈을 개발하여 이를 학습 콘텐츠 화면에 대입시켜 그동안의 콘텐츠가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이 고대부터 사용해 온 가장 이상적인 비율의 사용으로, 최적화된 온라인 학습 환경을 창출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학습 환경을 안정적이고 쾌적하게 극대화시키는 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 황금비율에 의해 제시된 모듈의 모형에 대한, 그동안 개발된 원격교육 콘텐츠의 대입은 시각적으로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을 없애고 학습효과의 증진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의 WBI형과 저작도구형의 콘텐츠에, 개발된 모듈을 대입시켜 개선할 부분을 명확히 드러내는 동시에 원격교육 학습의 시각적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해 개발된 모듈을 각종 콘텐츠에 적용한다면 편안한 시각적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원격교육의 디자인적 모듈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existing internet lectures fail to provide visually stabilized contents to the students since they were mostly developed according to hardware standard. Image output devices around us were also shaped according to the hardware standard. Even today, there are no differentiated specs. However, the 16:10 display ratio that was developed recently is the ratio that is close to the ratio of 1.618:1 which is the golden ratio that was used from the ancient times. It is possible to achieve visual optimization when viewed using the human beings’ viewing angle as the standar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presentthe layout of the structure that is most complete at the design level through the standard line that is generated by golden ratio based on the display that is most close to the golden ratio. Towards this end, module based on golden ratio needs to be developed, and this needs to substitute the learning contents screen to assess whether the contents to this day can convey visual stabilization. These efforts can create optimiz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using the most ideal ratio that was used by human beings from the ancient times, and to optimize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 in a stable and refreshing manner at the same time. Substitute with the remote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until now when it comes to the model of the module proposed by the golden ratio can eliminate the visual impediments to learning and can increase learning effect. To apply as such, this study seeks to create the visual standard for remote education learning while revealing the improvement areas clearly by substituting developed module with the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s WBI type and authoring tool type of contents. If the module developed using this type of standard is applied to all types of contents, this could serve as the turning point for developing the design module for remote education while providing comfortable visu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그리피스와 한국, 편지를 통해 본 윌리엄 그리피스의 사회관계망

        이혜은 (재)한국연구원 2021 한국연구 Vol.- No.9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William Elliot Griffis’s (1843~1928) correspondences relating to Korea, preserved in the Archives at Rutgers Universit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ffis and Korea. In addition, digital humanities projects about the correspondences were studied, and the collection of Griffis’s correspondences was visualized. Griffi s wrote Corea, the Hermit Nation (1882), Corea, Without and Within (1885), Th e Unmannerly Tiger and Other Korean Tales (1911), A Modern Pioneer in Korea : The Life Story Of Henry G. Appenzeller (1912), Korean Fairy Tales (1922) among others. His work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Korea. Although Griffi s visited Korea only in 1927, he wrote many books on Korea and needed much information for his writing activities. Th e Griffi s Collection shows how he collected data about Korea. Griffis’s correspondences included exchanges with missionaries, Japanese authorities, and Koreans in Korea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Th rough this, it is confi rmed that Griffi s interacted with signifi cant fi gures in modern Korean history, like Horace Newton Allen, Henry Appenzeller, Homer B. Hulbert, Philip Jaisohn and Syngman Rhee. 이 연구는 미국 럿거스대학교 아카이브에 소장된 윌리엄 엘리엇 그리피스(William Elliot Griffis, 1843~1928)의 한국 관련 편지를 대상으로 그 특징을 살피고 이를 통하여 그리피스와 한국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편지를 주제로 한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고 그리피스 편지 컬렉션의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리피스는 『은자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1882), 『한국의 안과 밖(Corea, Without and Within)』 (1885), 『호랑이와 한국이야기(The Unmannerly Tiger and Other Korean Tales)』(1911), 『아펜젤러 전기(A Modern Pioneer in Korea : The Life Story Of Henry G. Appenzeller)』(1912), 『한국동화집(Korean Fairy Tales)』(1922)과 같은 한국에 관한 저서를 남겼고 그의 저서는 당시 한국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많은 한국 관련 저서에도 불구하고 1927 년에야 처음 한국을 방문한 그리피스는 저술 활동을 위하여 많은 자료가 필요했을 것이고 그리피스 컬렉션은 그리피스의 한국에 대한 자료 수집의 과정을 알게 해준다. 특히 그리피스 컬렉션의 편지 자료들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한국에서 활동하던 서양 선교사들, 일본 관리들, 한국인들과 주고 받은 것으로 이를 통하여 그리피스가 알렌(Horace Newton Allen), 아펜젤러(Henry Appenzeller), 헐버트(Homer B. Hulbert), 徐載弼, 李承晩등 한국 근대사의 주요 인물들과 교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