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등록문화재 제도와 사유재산 조화에 관한 고찰

        강민제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고려법학 Vol.0 No.94

        In 2001, Republic of Korea introduce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RCHS’ hereinafter) to better preserve and utilize modern cultural heritage, which had not been adequately protected. With attention on the urban regeneration issue on the ris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is gaining more public interest as well. Moreover, various social issues surrounding Registered Cultural Heritage(‘RCH’ hereinafter) are also emerging. Meanwhil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intends to encourage registering modern cultural assets as RCH to properly preserve and utilize them. From 2018, cultural assets by line, and by area, were registered as RCH for the first time(at Gunsan, Mokpo, Yeongju). The Administrator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designate additional target zones for 2019, to spread the ‘Modern History Culture Space Regeneration Project’ to a national level. According to the revise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hich will take effect in December 2019, to allow city mayors and provincial governors to administer the RCH along with the Administrator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would lead to more active discussions on the registration of RCH. Meanwhile, the possibility of RCHS elevating social tensions cannot be ruled out. However, legal study on the RCHS has not yet been sufficient. In this light, this article will first examine the currently effective RCHS under Korean law. This article will further examine current system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RCH, how the basic rights of individuals are restricted in the process, and how to find the balance between the public interest of protecting RCH and the private interest of protecting private property rights. 등록문화재 제도는 2001년 기존 문화재보호 체제 하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근대문화유산을 잘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다. 최근 도시재생이 화두가 되며 근대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등록문화재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문화재청은 근대문화유산들의 등록문화재 등록을 더욱 활성화함으로써 이를 잘 보존・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2018년 최초로 선・면 단위로 등록문화재가 등록되었고(군산, 목포, 영주), 2019년에는 대상지역을 추가선정하고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사업을 전국적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또한 2019. 12.부터 시행될 개정 문화재보호법은, 현재 ‘문화재청장’으로 한정된 등록문화재 등록의 주체를 ‘시・도지사’로 확대하여 등록문화재의 등록에 관한 논의도 현재보다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동시에 등록문화재 제도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증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면 아직 등록문화재 제도에 대한 법학적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우선 현재 우리 법상 시행되고 있는 등록문화재 제도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등록문화재 보존・활용을 위한 어떠한 제도가 있는지, 이 과정에서 개인의 기본권은 어떻게 제한받는지, 제한받는 개인의 재산권과 등록문화재 보호라는 공익은 어떻게 조화될 수 있을지 살펴본다.

      • KCI등재

        우리나라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 등록제도의 변천과 개선

        최민정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6

        우리나라는 1999년 1월 29일 문화재보호법이 일부개정 되면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 설립의 법률적·제도적 기반이, 2005년부터 문화재보호법과 동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이 갖추어야 할 인력, 시설, 기자재 등의 기준이 도입된다. 문화재보호법에서 분법되어 2010년에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이, 2011 년에 하위법령과 행정규칙이 제정·시행되면서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의 종류, 등록 요건및 절차, 행정처분 등 등록제도가 체계적으로 정비·발전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 하지만,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의 공공성·투명성·객관성 제고와 학술성·전문성 강화,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의 건전한 운영과 역할, 건전성 유도를 위한 관리·감독, 국내 개발사업의 환경변화 등이 간과된 채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 등록제도나 법인설립 기본재산 요건 등은 2008년도의 완화된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 결과, 기존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의 분열을 통한 전문법인의 난립과 영세화, 저가수주와 과당경쟁, 갑을관계 심화, 직업 윤리의식 결여,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품질저하 및 부실조사 우려뿐만 아니라 조사기관 선정과 비용 결정 주도권을 가진 개발사업 시행자의 무리한 조사기간 단축과 비용 축소,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의 전문성과 공익성, 가치와중요성에 대한 불신 등 악순환구조만 지속적으로 반복·재생되는 상황을 초래했다. 이러한 악순환구조를 선순환구조로 바꾸고, 시대적·환경적 변화를 반영한 선제적인 정책추진과 제도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의 공공성·투명성 제고와 학술성·전문성 강화, 품질향상 등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이 도산할 경우 현행 제도로는 도산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의 보고서 미제출, 국가 귀속대상 유물 미이관, 국가 미귀속대상 유물의 보관·관리, 유물 보존처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나 다른 전문법인이 그 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제도적·정책적 장치도 없다. 따라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의 건전한 운영·역할과 발전, 경쟁력과 건전성유도·확보, 공공성·공익성 강화를 통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의 투명성·객관성·신뢰성제고, 학술성·전문성 강화, 품질향상 등을 위해서는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수행 가능면적및 용역수행 가능금액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이갖추어야 할 전문인력 수, 기자재, 시설과 함께 신용평가등급 또는 보유 자본금(일반 순자산) 규모를 차등화 하는 방향으로 등록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시대적 환경변화를 반영한 합리적인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 등록제도의개선과 관리·감독, 그리고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매장문화재조사 전문기관의 육성·지원에 대한 국가의 책무를 이행하는 출발점이자 기초라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artial amendment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on January 29, 1999,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has been provided for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specialized in excavation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Organizations”). Through the amendment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in 2005, legislation and supplement of registration criteria on manpower, facility, equipment, materials, etc., of the Organizations have been provided. Branched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Regulation on Archaeological Heritage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was enacted in 2010 and subordinate laws and administrative rules were legislated in 2011, which provided momentum for systematic arrangement and development of registration system including kinds of the Organizations, registration requirement and procedures, administrative dispositions, etc. However, as for the registration system and requirements for minimum assets of the Organizations, the loosened regulations and policies of 2008 have been applied, overlooking the sound operation and role of the Organizations, management and supervision for soundness, environmental change and variables in the domestic development system, etc. As a result, the Organizations were split, which led to chaos formation of a lot of small Organizations, bidding with lower price, excessive competition, deepened imbalance of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ing parties, lack of vocational ethics, quality decrease, and inferior investigation, as well as excessive shortening of investigation period, cost reduction by developers who are decision-makers in selecting the organization and deciding cost, and distrust on their expertise, public interest, value, and importance. The vicious cycle would continue. If the organizations fail to change such structure to a virtuous cycle, promote proactive policies reflecting the period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improve systems, it would be harder to enhance public interest, transparency, and objectivity of excavation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and strengthen academic professionalism and quality improvement. There is no alternative institutional and/or policy system to act for the Organizations to deal with the jobs if the Organization went bankrupt, including submission of reports on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transfer of relics belonged to the country, steady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relics that are not belonged to the country, preservation disposition for relics, etc.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ransparency,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Organizations and strengthen academic professionalism and quality improvement through strengthening sound operation, roles, competitiveness, and public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s, it is required to set the size of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to perform, number of experts, equipment, facility to be equipped for the Organizations and differentiate credit rating or the size of capital(general net asset) of the registration system. Improvement for rational registration system of Organizations in consideration of social, historic,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s, would be the starting point and foundation to perform a duty of the nation for nurturing the Organizations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on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 KCI등재

        일본 무형문화재 및 무형민속문화재 등록제도 신설에 대한 고찰

        김현정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2021년 4월 16일에 일본의 문화재보호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문화재에 관한 여러 가지 중 요한 개정 사항이 있는데, 본고는 그 중 무형문화재와 무형민속문화재에 대해 등록제도를 신 설한 점에 주목한 연구이다. 무형문화재와 무형민속문화재에 대한 등록제도의 도입배경과 입 법까지의 경과, 등록제도의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고찰했다. 일본에서 기존의 유형문화재와 기념물, 유형민속문화재의 등록제도에 이어 2021년 무형문 화재와 무형민속문화재에까지 등록제도를 확장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생활양식의 변화와 저출산 고령화 등에 의해 무형문화재의 차세대를 책임질 사람이 감소하고, 무형문화재의 보 존과 활용을 둘러싼 상황이 악화해서 그 존속이 어렵다는 점, 그리고 코로나 19의 감염 확대 로 인해 특히 무형문화재의 계승에 있어서도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현 행의 문화재 지정제도로는 도저히 이런 위기상황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무형의 문화재에 대한 보다 충실한 보호조치를 위해, 지정제도와 더불어 소유자의 자발적인 신청과 국가의 지도와 조언 등을 기본으로 하는 유연한 보호조치인 등록제도를 도입할 수밖 에 없었던 것이다. On April 16, 2021, the Amendment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of Japan was made. There are several important amendments to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the newly established registration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intangible folklore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only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onuments and tangible folklore cultural properties have operated a registration system. In 2021, the registration system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intangible folklore cultural properties.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Due to changes in lifestyle and low birth and aging, the number of people responsible for the next gene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decreasing.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worsening and their survival is becoming more difficult. Lastly, the spread of COVID-19 is causing a serious crisis in the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ince the current designed system about cultural properties cannot adequately cope with such a crisis situation, it was created for more faithful protection measures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registration system refers to flexible protection measures based on the owner's voluntary application and the guidance and advice of the state.

      • KCI등재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관리와 등록문화재 제도

        김미란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3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is an unpopular study in Korea. By reason of the increase in individual property rights, persistent development, untimeliness and so on, studies i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have practically laid aside. Especially, the studies upon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have not been lively performed, because an ordinary person think that the value of the heritage is less than the value of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low fertility and the population ageing are likely to result in an increasing demand for cultural enjoyment and population decentralization from the capital to the other provinces, and the need to protect and utilize cultural heritage comes to the fore. Particularly, emphasized is the protec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can be the cultural and reproductive resources for a regi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of Korea, following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ith limited budget and short manpower, takes up the priority protectionism which preserves in priority certain cultural heritage of particular importance by means of the designation or the registration for the effective protection. Between the protective measures, or the designation and the registration, the principal one has been the former which seeks the permanent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which are recognized most valuable by strong regulation and support. However, the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in the 1990s resulted in growing voices for the protection of the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of the modern ones. These voices, in June 2001, finally won the registration system to protect modern cultural heritage. A poor use and the centralized operation of the registration system and the absence of the legal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registered for public announcement, despite the adoption of the system, hinder an effective operation of the system as a protective measure for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meet an increasing request to tune up the registration system and enhanc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article defines the no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the registration system protects, first, and then the system itself is analyzed. With the result, the article points out drawback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Focusing on the legal defects,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gistration system is devised to cope more effectively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문화재보호는 개발중심의 한국사회에서는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는 아니다. 개인의 재산권의 신장, 지속적인 개발논리, 시의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문화재 보호에 관한 연구는 뒷전으로 밀려나는 것이 현실이고, 특히 등록문화재는 지정문화재보다 보호가치가 낮은 문화재라는 인식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진 않았다. 그러나 저출산・초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문화재 향유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가 지방으로 분산되면서 지역을 중심으로 한 문화재의 보존 및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역문화・재생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현대문화유산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한국은 특히 「문화재보호법」을 중심으로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 문화재중 특히 중요한 문화재를 지정이나 등록을 통해 중점적으로 보호하는 중점보호주의를 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화재중 극히 가치가 높은 것을 선정하여 국가의 강한 규제와 지원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보존하고자 하는 지정제도 위주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산업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 특히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보호의 목소리가 높아져갔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2001년 7월에 근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문화재 등록제도가 도입되었다. 문화재 등록제도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등록문화재 제도의 저조한 활용, 중앙중심의 등록문화재 제도 운영, 등록예고대상에 대한 법적 보호 부재 등으로 인해 등록문화재 제도는 도입취지와는 달리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효과적인 근・현대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해서 등록문화재 제도의 정비가 요구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등록문화재 제도를 통해 보호되는 근・현대문화유산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등록문화재 제도를 검토하여 그 한계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근・현대문화유산의 보호・관리 강화를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의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궁극적 목표이다.

      • KCI등재

        「문화재보호법」상 문화재지위 성립에 관한 고찰

        김민섭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0 No.3

        State has duties to protect heritages for realizing the principles of cultural station on the constitution an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in effect for performing the duties. the articles that regulate the status of heritages i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important because they confirm the objects to prot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articles to regulate the status of heritages. I regard it as appropriate that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article 23) and reg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article 53) are acts of confirmations in administrative law. The opinion that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a act to command duties is incorrect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nt and purpose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It is serious problem that provision to apply for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does not exist i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at provision to apply for reg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exists in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case that someone makes petition to designate certain cultural heritage as treasure but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ny or omit to designate, he cannot institut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because the right to apply is absent. And It violates the rule of law that the provision to apply for reg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exists in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The legislative purpose of reg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that has enacted to supplement problems of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that cannot preserve modern cultural heritage. It is required to reorganiz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o be distinguished the requirements to register cultural heritage from the requirements to designate cultural heritage. Lastly, the definition of the term "cultural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uncertain. So It is required to define the term "cultural heritage" clearly. 헌법 제9조를 중심으로 하는 헌법상의 제 규정들로부터 도출되는 문화국가원리를 실현하는 한 방안으로 국가는 문화재를 보호할 의무를 지니고, 국가의 문화재 보호의무를 실현하기 위하여 「문화재보호법」이 시행되고 있다. 「문화재보호법」은 이러한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규정들을 두고 있다. 그러한 규정들 중 문화재지위 성립에 관한 것들은 「문화재보호법」에 근거한 보호의 대상을 확정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문화재지위의 성립에 관한 「문화재보호법」의 규정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문화재보호법」상 지정행위 및 등록행위는 모두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인 확인행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특히 지정행위의 경우 그 침익적 효과를 강조하여 하명으로 보는 입장도 있으나 「문화재보호법」의 입법취지 및 목적에 의할 때 그러한 해석은 타당하지 않다고 볼 것이다. 그리고 입법론적 해결이 필요한 것으로는 지정문화재에 있어서 지정행위를 위한 신청의 규정이 존재하지 않고, 등록문화재에 있어서의 등록행위를 위한 신청의 규정은 법률이 아닌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지정행위의 경우 법령의 근거가 없는 관계로 비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지정을 청원하는 경우에 그 거부나 부작위가 있다하더라도 그에 대해서는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한다. 입법적 미비가 아닐 수 없다. 또한 등록의 경우에도 문화재 소유자 등의 신청에 관한 규정이 법률이 아닌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는바, 이는 신청권의 성립과 관련하는 것으로 법률유보의 원칙에 위배될 수 있다고 본다. 또 등록문화재의 경우 지정제도를 보완한다는 당초의 입법취지와는 달리 법률 및 하위 법령의 규정이 이러한 입법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등록문화재의 등록요건과 지정문화재의 등록 요건을 확실히 구분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정·등록 문화재 이외의 일반문화재의 경우 「문화재보호법」에서의 정의 규정인 동법 제2조 제1항에 의해 성립할 수밖에 없는데, 그 규정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불명확하여 문화재라는 공물의 지정 근거규정으로서 타당한지 의문이다. 하위 규범으로의 위임을 통해서라도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개념의 정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

        등록문화재 활용현황분석을 통한 활용모델 연구 : 소유자에 따른 운영유형을 중심으로

        이정수,임초롱,황보영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3

        본 연구는 최근 등록문화재의 등록 및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등록문화재의 활용 및 운영 현황의 조사를 기반으로 등록문화재 활용모델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등록문화재 활용의 구성요소는 활용 유형, 참여 주체, 재원, 관리·운영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소유자와의 관계에서부터 출발하고 있어 주목된다. 둘째, 활용 중인 등록문화재를 대상으로 등록문화재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활용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셋째, 현황조사를 통해 등록문화재의 운영 유형을 직영, 위탁, 임대로 구분하고, 소유자에 따른 재원 및 운영 세부내용을 분류하여 등록문화재 활용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모델은 추후등록문화재의 활용 시, 기획, 재원 확보, 관리⋅운영주체의 설정 및 활용 재원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 확장과 등록문화재 제도 개선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산물로 보존하고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을 문화 재라고 한다. 가치가 있는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 지정․등록 제도를 도 입해서 운영해왔다. 법적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다. 그런데 문화재 관리와 보호를 적극화하면서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점차 넓히고 있다. 근현대 시기에 형성된 것들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현재의 문화재 지정․등록 제도는 적어도 50년 이상 된 것들로 그 대상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한계 를 보완하기 위해 예비문화재 제도 도입을 검토해왔고, 서울특별시 등에서는 미래 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예비문화재 제도나 미래유산 제도는 그것을 문화재로 지정하거나 등록하는 것이 아니어서 강제력을 가질 수 없다. 사실상 목 록화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현대 문화재까지 포괄하도록 등록문화재 제도를 확대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선결 조건이 있는데, 이로 인해 재산권을 침해 하지 않게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재원이 문화재보호기금이다. 이러한 제도 보완을 통해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넓히고 관리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t is said that cultural heritages are worth preserving and utilizing as products that have been inherited from the past. In order to protect valuable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Such systems are intended to clarify what needs to be legally protected. Modern or contemporary heritages are typical examples of this. However,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is limited to those that are at least 50 years old. By actively managing and protecting cultural properties, it is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the target cultural properties. Although it has attempted to protect the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times, the current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of cultural heritages is limited to those that are at least 50 years old.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the government has considered introducing a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everal local governments are operating a future heritage system. However, the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future heritage system do not designate or register it as cultural property. It is a system that expects the owners of cultural assets to preserve and manage autonomously,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y cannot take compulsory measures necessary to protect cultural assets. In fact, it can be called cataloging,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effectivenes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shall be expanded to cover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There is a prerequisite for this, which prevents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Fund may be utilized here. These system supplements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 KCI등재

        태극기문화재 활용방안 - 진관사 소장 태극기를 중심으로 -

        송명호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8 No.-

        우리나라 국기는 태극기이다. 태극기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1882년 9월 박영효가 고종 임금의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사신으로 갔을 때, 항해 중 선박 안에서 국기를 만들어 사용했다. 이러한 기록은 박영효가 일본 체류 중 기록한 자신의 일기 사화기략과 일본 동경 발행 시사신보 기사에 남아있다. 태극기는 실로 우리 민족의 애국정신과 함께 시대별 애환까지 담고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문화재청은 200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60돌을 맞아 태극기 18점을 문화재로 등록시켜 역사적․사료적 가치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국민들이 알고자 하는 태극기 문화재들이 독립기념관과 박물관 등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태극기문화재 등록에 관한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고, 서울의 진관사소장 태극기를 중심으로 활용 방안을 피력했다. 전제로 태극기가 발견된 진관사의 역사적 배경, 진관사 대웅전 계단에 새겨진 태극문양의 의미, 태극기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 백초월 스님과 항일운동 행적을 살펴보았다. 활용방안으로는 태극기의 상징과 의미가 규정되지 않은 현행 대한민국 국기법 개정을 비롯해서 국민 누구나 한 장소에서 관람할 수 있는 태극기문화재 공원 만들기, 스토리텔링과 콘텐츠 개발, 태극기문화재 보존 및 전시관 건립 등을 제시하였다. 등록문화재 영역에서 태극기가 문화재로 등록된 지는 불과 수년에 지나지 않지만 태극기의 역사성이나 우리 민족의 사상적 상징에 비추어 볼 때 단지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하는데 의미를 갖기 보다는 활용에 더 큰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흩어져 보존 중인 태극기문화재를 국민 생활 가까이서 쉽게 관람하고 역사 교육의 현장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도 강구되기를 기대했다.

      • KCI등재

        무형문화재 보전 수단으로서 등록무형문화재 제도 도입 필요성과 그 의미

        류호철(Ryu, Ho-cheol)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무형문화재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그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유형을 다양화했다.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을 수용하여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하고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분리 제정한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무형문화재의 범위를 확대하고 유형을 다양화한 것은 단순히 법적 지위를 확보한 무형문화재의 수를 늘리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전 관점에서 무형문화재의 특성과 환경이 훨씬 다양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해지는 무형문화재의 특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보전 방법을 다각화할 때 새 법에 근거한 무형문화재의 범위 확대는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새 법률에 따라 확대되는 무형문화재들은 보전 관점에서의 특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보유자 · 보유단체를 인정하여 적극적으로 보전해야 하는 것들이 한 가지이고 무형문화재로서의 법적 지위만 부여한 채 자연스럽게 전승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한 것들이 다른 한 가지이다. 전자는 종래와 같이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후자는 등록무형문화재 제도를 도입하여 자생력을 강화하도록 보전해야 할 대상이다. 이렇게 등록무형문화재 제도를 도입하여 지정 제도와 등록 제도를 병행하는 것은 무형문화재 각각의 특성에 맞는 보전 방법을 확보하는 것으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다. 또한 무형문화재로서 가치가 있음에도 지정 제도만으로는 포괄하기 어려워서 미지정문화재로 남아 있는 것들에 법적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공식화하고 무형문화재 보전의 지평을 확대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We enacted the Act on Preserving and Promo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vised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o embrace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means we extended the sco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order to preserve them more actively. Extending the scope means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preserved by related acts have more various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point of preservation. So we have to complete the legal system to embrace the characteristics diversified by the new acts. There are two kin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 first is the ty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actively protect by recognizing the holders and holding organizations. And the second is the ty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need to give legal status to as an object of protection, but we do not need to actively protect. It is effective to designate the former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le registering the latter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ther words, we need to introduce a registering system to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 get several effects by having both the designated heritage system and the registered heritage system. First, we can preserve eac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a more appropriate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ritage. Second, we can preserve far mor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y register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have not been designated. We apply the registering system to the heritage which is not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on the acts. Third, th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ill do the work more actively with self-respect, because they will be transmit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have obtained legal status as valuable heritages. Consequently, we can strengthen the base of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y introducing the registering system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