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TS 염기서열 분석 및 CAPS를 이용한 조이시아 속(Zoysia) 들잔디와 갯잔디의 구별

        홍민지(Min-Ji Hong),양대화(Dae-Hwa Yang),정옥철(Ok-Cheol Jeong),김양지(Yang-Ji Kim),박미영(Mi-Young Park),강홍규(Hong-Gyu Kang),선현진(Hyeon-Jin Sun),권용익(Yong-Ik Kwon),박신영(Shin-Young Park),양바오로(Paul Yang),송필순(Pill-Soon So 한국원예학회 2017 원예과학기술지 Vol.35 No.3

        Zoysia 속 잔디는 학교운동장 및 공원, 골프장, 스포츠경기장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식재되고 있는 중요한 잔디이다.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Zoysia 속 들잔디와 갯잔디는 외부 형태적 특성이 유사하여 외부 형태적 분류 뿐 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 분류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rDNA ̵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의 DNA 바코드 분석을 통해서 자생하는 들잔디와 갯잔디의 분자생물학적 신속한 분류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난지형 잔디인 Zoysia 속 들잔디(Z. japonica) 및 갯잔디(Z. sinica)와 한지형 대표 잔디인 크리핑 벤트그라스(A. stolonifera) 및 켄터키 블루그라스(P. pratensis)의 nrDNA - ITS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들잔디및 갯잔디, 크리핑 벤트그라스, 켄터키 블루그라스의 ITS 염기서열 전체 구간은 각 686bp와 687bp, 683bp, 681bp으로 확인되었으며, nrDNA - ITS 내부 염기서열구간 분석 결과, ITS1의 크기는 248 ̵ 249bp, ITS2는 270 - 274bp, 5.8S rDNA는 163 - 164bp의 차이로, 각 4종의 잔디가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식별되었다. 특히, 들잔디와 갯잔디 nrDNA-ITS 염기서열은 19 염기(2.8%) 차이를 나타냈으며, ITS1과 ITS2의 G + C 함량은 55.4 ̵ 63.3%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들잔디와 갯잔디의 ITS 염기서열 차이를 바탕으로 CAPS 마커로 전환하여 대조구 및 수집된 자생 Zoysia 속 잔디 영양체 62개체를 분석한 결과, 외부형태학적 분류법으로 들잔디 개체, 갯잔디 개체로 동정되었지만, ITS CAPS 마커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분류법으로 들잔디 36개체와 갯잔디 22개체 뿐만 아니라 들잔디와 갯잔디간의 자연교배종 4개체도 식별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들잔디와 갯잔디는 ITS 염기서열 및 ITS 기반 CAPS를 통하여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Zoysiagrasses are important turf plants used for school playgrounds, parks,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The two most popular zoysiagrass species are Zoysia japonica and Zoysia sinica. These are widely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growing zones and are morphologically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however, it is phenotypical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ose that grow along the coastal line from those in beach area habitats.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is desirable to efficiently identify these two plant cultivars. In this study, we used a rapid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DNA barcoding of the nr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The nrDNA-ITS regions of ITS1, 5.8S nrDNA, and ITS2 from Z. japonica , Z. sinica , Agrostis stolonifera , and Poa pratensis were DNA barcoded to classify these grasses according to their molecular identities. The nrDNA-ITS sequences of these species were found at 686 bp, 687 bp, 683 bp, and 681 bp, respectively. The size of ITS1 ranged from 248 to 249 bp, while ITS2 ranged from 270 to 274 bp. The 5.8S coding region ranged from 163 - 164bp. Between Z. japonica and Z. sinica , nineteen (2.8%) nucleotide sites were variable, and the G+C content of the ITS region ranged from 55.4 to 63.3%. Substitutions and insert/deletion (indel) sites in the nrDNA-ITS sequence of Z. japonica and Z. sinica were converted to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s, and applied to the Zoysia grasses sampled to verify the presence of these markers. Among the 62 control and collected grass samples, we classified three groups: 36 Z. japonica , 22 Z. sinica , and 4 Z. japonica /Z. sinica hybrids.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revealed only two groups; Z. japonica and Z. sinica . Our results suggest that used of the nrDNA-ITS barcode region and CAPS markers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Z. japonica and Z. sinica at the species level.

      • KCI등재

        학교 운동장 조건에서 봄철 그린업 전후 답압 강도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 운동장의 품질 차이

        김기동(Ki-Dong Kim),이정호(Jeong-Ho Lee),장석원(Seog-Won Chang)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2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은 이용자의 안전 확보, 자연친화적 공간 제공 및 환경조절 기능이 우수하여 맨땅, 인조잔디 운동장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천연 잔디 운동장이 갖는 장점이 뚜렷하고 천연 잔디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잔디 관리의 부담감으로 학교마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잔디 운동장의 보급 확산과 효율적 잔디 관리를 위해 가상의 학교 운동장 조건에서 그린업 전후에 답압의 강도가 들잔디와 금잔디로 조성된 운동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답압 처리는 들잔디와 금잔디 포장에서 70 kg의 성인 남성이 10분간, 빈도는 주 1, 3, 5회 및 무답압 처리로 3주간 실시하였다. 토양경도는 들잔디와 금잔디 포장 모두 답압 빈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주 3회 이상의 답압 조건에서 뚜렷하였다. 답압이 멈추면 토양 경도가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공 튀김 높이는 들잔디와 금잔디 포장 모두 답압 빈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린업률과 지상부 밀도는 답압 빈도가 높을 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답압을 멈추면 그린업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전체적으로 봄철 그린업 시기에는 금잔디가 들잔디에 비해 답압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경향을 보였다.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have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bare land or artificial turf grounds for its excellence in user safety, nature friendly space, and environment control function. However,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though having many benefits and a high preference, are limitedly used at schools because of the burden of turfgrass care. In this study, playground quality by human compaction before and after spring green-up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in school playground conditions were evaluated for the expansion of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and its efficient use. Human compaction was applied for three weeks by an adult of 70 kg for 10 minutes, under the condition of no compaction, once, three times, and five times per week in Z. japonica and Z. matrella field. Soil hardness of both Z. japonica and Z . matrella field significantly was increased as more compaction frequency, and it showed obviously under the condition of more than 3 times per week. When the compaction stopped, the soil hardness tended to decrease. Ball rebound height of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fiel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more compaction frequency.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decreased significantly as more compaction frequency. But after human compaction was stopped, the green-up progressed quickly. In general, during the spring green-up period, the Z. matrella tended to be less affected by the human compaction than Z. japonica.

      • KCI등재

        들잔디에 오버씨딩 시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과 초종전이

        정기완,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4

        Research was initiated to evaluate cool-season grass (CSG) overseeding effects on coverage and species transitionin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and to determine CSGs and their seeding rate for a practical overseeding. Treatmentswere comprised of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 Lolium perenne L.), tall fescue (TF, Festucaarundinacea Schreb.) and their mix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urfgrass coverage and species transition. Sinceoverseeding, the coverage was highest in PR, followed by TF and lowest in KB. The highest coverage in polystand was associatedwith Mixture IV (TF 50 + PR 50) at a seeding rate of 150 g m-2 which had highest PR and TF, but without KB. Regarding turfgrasstransition, zoysiagrass recovery continued to come back up to 80% from late March. But it reduced after early October. Zoysiagrassin monostand was greatest in KB and lowest in TF, but variable in polystand. For the fast and great coverage in winter, it would bethe best to apply with PR at 100 g m-2 and equal combination of PR and TF by 1/2 in the mixture at 150 g m-2. For the smoothspring transition to zoysiagrass, however, KB application at 50 g m-2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들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단파 및 혼파로 오버씨딩 후 잔디피복율 및 초종전이 특성과 함께 적합한 초종 및 파종량을구명함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수행하였다. 한지형 잔디 피복율 및 난지형 잔디의 초종전이는 처리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피복율은 초기부터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 초종이 우수하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저조하였다. 혼합구는 초종 구성상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가 많고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없는 파종량 150 g인 Mixture IV가 가장 양호하였다. 초종 전이는 3월 하순부터 지속적으로진행되어 최대 80%까지 들잔디 점유율이 증가하였지만, 10월 초순 이후 점유율은 감소하였다. 단일 초종구에서 들잔디 점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처리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이었고, 가장 낮게 나타난 처리구는 톨 페스큐이었으며,혼합구의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동절기잔디피복에 적합한 처리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100 g,혼합구인 경우 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1/2씩혼합해서 150 g을 파종할 경우 가장 적합하였다. 하지만 들잔디로 초종전이는 단일 초종구인 켄터키 블루그래스 50 g이 가장 우수하였다.

      • KCI등재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장석원,구준학,성창현,이정호,박소준,지재욱,윤정호,Chang, Seog-Won,Koo, Jun-Hak,Sung, Chang-Hyun,Lee, Jeong-Ho,Park, Sho-Jun,Jee, Jae-Uk,Youn, Jeong-Ho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우리나라에서 벌초는 추석 성묘와 시향에 앞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벌초는 보통 추석 1-2주 전에 집중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잘못된 벌초 방법은 흙이 드러나 토양 유실을 유발하거나 묘지 잔디의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라서 벌초시기의 분산과 올바른 벌초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벌초 시기는 추석 1주전, 2주전, 3주전, 4주전 잔디 깍기 처리를 두었고, 벌초 방법에서는 잔디 깍는 높이를 달리하여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들잔디에서 추석과 시향 시기를 기준으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금잔디에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각각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에 비해서 금잔디의 초장은 잔디 깍기 시기에 관계없이 짧게 유지되었으며 피복률과 밀도도 높게 유지되었다. 벌초는 들잔디와 금잔디 모두 짧게 할 수록 초장이 짧아졌고, 피복률과 밀도도 낮아졌다. 또한 벌초 시 들잔디와 금잔디는 각각 지상부의 40-50 mm or 30-40 mm 남겨둘수록 묘지 잔디의 밀도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mowing the grass of a grave (Beolcho) is a very important event preceded by Chuseok (Korean thanks giving day) and Si-Hyang (annual ancestral feast). Because Beolcho usually takes place one or two weeks before Chuseok, the traffic accidents on roads are getting worse and safety accidents are getting more and more. Erroneous Beolcho methods can cause the soil to be exposed and cause the loss of soil or the low shoot density of graveyard grass or weed occurrence. Therefore, the dispersion of the Beolcho timing and the approprite method can be import issu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grass mowing timing and height before Chuseok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The mowing timing was evaluated at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before Chuseok, and the mowing hei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wo type of grass. In Z. japonica, the faster mowing before Chuseok, the longer the plant height, and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higher. In Z. matrella, the faster mowing, the longer the shoot length,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r tendency. As compared to Z. japonica, the plant height of Z. matrella was kept short regardless of the time of mowing. In both grasses, the plant height was shortened when mowing was done at low cutting height,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shoot density of graveyard lawn by 40-50 mm or 30-40 mm cutting above the ground for Z. japonica or Z. matrella, respectively.

      • KCI등재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지반에서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 비교

        김경남(Kyoung-Nam Kim)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2

        본 연구는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주요 초종의 연중 녹색 유지 기간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초종은 전체 9종류로 들잔디 세 품종과 한지형 잔디 조합종 및 혼합구가 각각 세 종류이었다. 잔디지반 및 초종 별로 연중 색상 품질 및 녹색 유지 기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반 간 차이는 약식구조에 비해 다단 및 USGA구조에서 잔디의 색상이 우수하였으며, 녹색 기간도 더 길게 나타났다. 초종 간 색상 차이는 계절적으로 12월 하순부터 녹화가 시작되는 이른 봄까지 크게 나타났다. 녹색 유지 기간은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에 비해 더 길게 나타났다. 들잔디의 평균 녹색유지 기간은 약 6개월 정도였고, 이른 봄 녹화 시점은 5월 1일-5월 14일 사이, 가을에 휴면에 들어가는 시점은 10월 28일-11월 8일 사이로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는 3월 초순-4월 초순 사이 녹화가 완료되어 동절기인 12월 중순-2월 초순까지 색상이 유지되어 초종에 따라 전체 지반 평균의 푸른 기간이 약 8.5-11개월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잔디지반 유형에 따라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경우 10-11개월 정도로 가장 길었고, 반면 톨 훼스큐가 8.5-9개월 정도로 가장 짧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9-10개월 정도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훼스큐의 중간 정도의 녹색 기간을 나타냈으며, 한지형 혼합구의 푸른 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많이 혼합 될수록 길어지고, 톨 훼스큐가 많이 섞일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반에 따른 초종별 녹색기간 차이는 난지형인 들잔디의 ‘야지’, ‘중지’ 및 ‘제니스’간의 차이는 2-6일로 짧은 반면, 한지형 잔디는 최소 7일-최대 36일 까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즉 초종 및 지반에 따라 녹색 유지 기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원, 공원,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컨셉에 의한 초종 및 지반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결과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스포츠 잔디밭 설계 시 기대하는 녹화기간에 따라 지반선정 및 초종 선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green color retention under three different soil systems. Several turfgrasses were evaluated in multi-layer, USGA, and mono-layer systems. Turfgrass entries were comprised of three cultivars of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as warm-season grass (WSG) and three blends and three mixtures of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 Lolium perenne L.), and tall fescue (TF, Festuca arundinacea Schreb.) as cool-season grass (CS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visual turf color and green color retention among soil systems and turfgrasses. Both the multi-layer and USGA system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better color ratings and longer color retention, as compared with the mono-layer system. Seasonal variation of visual turf color greatly occurred from late December to early spring. CSG exhibited longer color retention than did WSG. The latter maintained green color for approximately 6 months, regardless of the soil system. Spring green-up of Korean lawngrass occurred from early to middle May, while it underwent discoloration from late October to early November. Among the CSGs green-up occurred between early March and early April and leaf color was maintained until middle December to early February. Therefore, the CSGs were green for 8.5 to 11 months, depending on turfgrass and soil system. The mean period of green color duration across all soil systems was approximately 10-11, 9-10 and 8.5-9.0 months for PR, KB and TF, respectively. As for the CSG mixtures,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PR, the longer the green color retention, whil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F, the shorter the color retention. There was greater variation in green color duration among the CSGs than the WSGs. Across soil systems, color retention differences of 2 to 6 days were observed for the Korean lawngrass, but 7 to 36 days for the CSG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reen color retention varied greatly according to soil systems and also among turfgrasses. Selections of turfgrass and soil system should be made using a concept-oriented approach, when establishing garden, park, soccer field, golf course and other sports field.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select soil systems and turfgrasses based on the expected degree of leaf color retention.

      • KCI등재

        잔디유전자원 보전원에서 잔디 초종 및 채집 개체별에 따른 잔디혹응애 피해

        김종주,이채민,정영학,배은지,이광수,추호렬,전병덕,이동운,Kim, Jong Ju,Lee, Chae Min,Chung, Young Hack,Bae, Eun-Ji,Lee, Gwang Soo,Choo, Ho Yul,Jeon, Byungduk,Lee, Dong Woon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잔디혹응애(Aceria zoysiae)는 잔디에 중요한 해충의 하나로 특히 한국잔디에 피해가 심하다. 본연구에서는 자생 채집 잔디 유전자원 보존원에서 잔디혹응애 저항성 잔디 개체의 선발을 위하여 잔디혹응애 피해를 조사하였다. 온실에서 295 계통의 자생지 채집 잔디를 대상으로 잔디혹응애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잔디혹응애 피해는 잔디 종과 채집 계통별로 차이가 있었다. 잔디혹응애 피해가 가장 많은 잔디 초종은 들잔디와 중지였다. 들잔디가 97.6%의 개체들이 잔디혹응애 피해를 받았으며 중지와 갯잔디가 각각 87.7, 81.1%의 개체들이 잔디혹응애 피해를 받았다. 2개체의 왕잔디도 잔디혹응애 피해가 있었지만 일부 개체들은 온실과 야외에서 잔디혹응애 피해가 없었다. 야외에서 잔디혹응애 피해는 5월부터 발생하여 7월이후 급증하였다. 본 조사에서 잔디혹응애의 피해가 없는 잔디계통들은 향후 잔디혹응애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Zoysiagrass mite, Aceria zoysiae is one of the main turfgrass pests causing significant damage on zoysiagras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damage by zoysiagrass mite for the selection of zoysiagrass mite-resistance turfgrass individual in natural collected turfgrass isolates transplanted in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area.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295 turfgrass isolates collected from Korea, damage level was different depending on turfgrass species and individuals. Zoysia japonica was highly damaged representing 97.6%, followed by hybrid zoysia and Z. sinica with damage percentages of 87.7% and 81.1% respectively. Additionally, 2 individuals of Z. macrostachya were also damaged by zoysiagrass mite. However several individuals were not damaged by zoysiagrass mite in green house and field. Damage by zoysiagrass mite was occurred from May and peak at after July in field. The study highlighted some important resistant turfgrass individuals which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zoysiagrass mite.

      • KCI등재

        한국잔디 신품종 ‘남부1’ 개발

        배은지,이광수,윤준혁,전권석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4

        2010년도 국내 남·동해안 및 서해안, 도서, 내륙지역에서 zoysiagrass 159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잔디유전자원은 유전자원포장에 이식을 하여 2011년~2013년 3년간 포장조사를 실시하여 형태적으로 구별성,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생육이 우수하고, 밀도가 높은 ’남부1’을 선발하였다. ’남부1’의 초장과 엽장은 12.8과 10.9 ㎝로 ’들잔디’와 ’제니스’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나, 엽폭은 3.5 ㎜로 중엽형으로 ’들잔디’와 ’제니스’에 비해 좁은특성을 나타내었다. 최하위 잎의 높이는 1.6 ㎝ 로 ’들잔디’에 비해 낮게 자라며, 포복경 길이는 39.5 ㎝로 길었고, 생육이 왕성한 특성을 갖고 있다. 봄철그린업은 ’들잔디’와 ’제니스’와 유사하게 3월 중순부터 잎이 나오기 시작하여그린업속도가 빨랐다. 다른 종들에 비해 왕성한 포복·지하경형 생장 특성을 가졌으며, ’들잔디’에 비해 확연히 지면피복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 KCI등재

        들잔디 재배지에 발생한 총생 증상 및 형태적 특성

        전창욱,배은지,한정지,김동수,곽연식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1

        Yellow tuft symptoms of a dense cluster 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occurred extensively at cultivated fields of zoysiagrass sods in Jangsung. The dense cluster of zoysiagrass showed significant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the tufts of shortening of internodes. The disease symptom was spread on a large scale throughout stolon nodes with multiple short leaves and it thrives in broom-like shaped clusters, exhibiting light green or yellow color on their leaves. The dense cluster of zoysiagrass had approximately 5.8 times more leaves on each node of its stolon then healthy zoysiagrass. Also, these zoysiagrass had poorly developed root and stolon caused by the tufts of a dense cluster of shoots. The dense cluster of zoysiagrass were collected for the putative causal agent incubation and upon close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the sporangia took the shape of a lemon, each sporangium was pointed at the end of its axis and was measured to be 60~96×42~51 μm. These findings were analogous to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angia formed by the pathogen Sclerophthora macrospora. The symptoms of yellow tuft were prevalent in spring and autum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fundamental data in relation to yellow tuft on zoysiagrass in Korea. 장성지역 잔디 재배지에서 총생 증상의 들잔디가 발생하였다. 총생 증상의 들잔디는 작고 다발형태로 유의한 형태적인 변화를 보였고, 병징은 여러 개의 잎이 짧은 포복경마디에 무더기로 발생되어 빗자루처럼 총생 형태를 보였으며, 총생 형태의 잔디는 잎이 황화되면서 연녹색이나 노란색을 띄었다. 총생 증상을 보이는 들잔디는 건전한 들잔디에 비해 포복경 1개 마디당 약 5.8배 이상의 잎이 발생하였다. 또한 과도한 지상부 생육으로 인해 포복경과 지하부 생장이 저조하였다. 총생 병징의 들잔디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배양한 후 관찰한 결과 포자낭의 모양은 레몬모양 이었으며, 포자낭 축의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었고, 크기는 60~96×42~51 μm로 관찰되었다. 이는 Sclerophthora macrospora 병원균이 형성하는 포자낭의 균학적 특징과 유사하였고, 봄과 가을에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잔디 재배지 총생 증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덧파종한 난지형 및 한지형 혼합 식생 잔디밭에서 잔디밀도, 균일도 및 분얼경 특성 비교

        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1

        본 연구는 한국잔디에 주요 한지형 잔디인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페스큐,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이들 초종의 혼합구를 오버씨딩 후 혼합 식생 잔디밭의 잔디밀도, 균일도 및 분얼경 비교와 함께 적합한 초종 및 파종량을 규명함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대조구인 한국잔디를 포함해 한지형 단일 초종구 3종류 및 혼합구 4 종류-전체 8개 처리구를 준비하였다. 2007년 10월 초순 오버씨딩 시 파종량은 처리구에 따라 50-150 g m−2 사이로 적용하였다. 잔디밀도 및 균일도는 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연중 잔디밭 밀도 및 균일도는 혼식잔디가 한국잔디에 비해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오버씨딩 초종, 파종량 및 계절에 따라 잔디밀도 및 균일도 차이가나타나서 초기에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파종량이 많고, 켄터키 블루그래스 파종량이 적은 처리구일수록 잔디밀도 및 균일도가 양호하였다. 하지만 오버씨딩 다음해에는 우열관계가 바뀌어 장기적으로 단일 초종구의 경우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페스큐에 비해 양호하였다. 혼합구일 경우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파종량이 많을수록, 반대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파종량이 적을수록 잔디밀도 및 균일도가 양호하였다. 그리고 대조구인 한국 잔디의 밀도 및 균일도는 3월 초순부터 9월 하순까지 증가하였지만, 늦가을에 기온이 하강하면서 크게 감소하였다. 중정도 수준의 혼식 잔디밭에서 지속적으로 잔디밀도 및 균일도에 적합한 초종 및 파종량은 단일 초종구인 경우 켄터키 블루그래스 50 g, 혼합구인 경우 켄터키 블루그래스,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세 초종이 33%씩 혼합해서 75 g을 파종할 경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연구결과는 한국잔디로 조성된 공원, 잔디구장 및 골프장을 한지형 잔디로 오버씨딩해서 혼합 식생 잔디밭으로 전환할 경우 실무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오버씨딩 시 한지형 초종 및 파종량 범위를 적절하게 선정할 경우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과 함께 잔디밀도 및 균일도 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The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verseeding warm-season grass (Zoysia japonica Steud.) with coolseason grasses (CSG) on turfgrass density, uniformity and tiller appearance and to determine turfgrass species and seeding rate applicable for a practical use. Treatments were comprised of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Lolium perenne L.), tall fescue (TF,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d their mixtures. Overall turfgrass density and uniformity were much better with the overseeded treatments over the control. In early stage after overseeding, the greater the PR in treatments, the greater the turfgrass density and uniformity. But the higher the KB, the lower the density and uniformity. From the middle-stage evaluation, however, we observed the opposite results as compared with early-stage findings. Accordingly, the KB was highest in turfgrass density and uniformity, while the PR lowest. In regards of mixtures, both turfgrass density and uniformity were better with increased KB and decreased PR in overseeding rates. As for a medium-quality mixtures of Korean lawngrass with CSG, it would be the best choice to apply with KB at 50 g m−2 and equal combination of KB, PR and TF by 1/3 in mixing at 75 g m−2 in terms of sustainable density and uniformity.

      • KCI등재

        USGA 지반 및 약식지반에서 난지형과 한지형 잔디의 대취축적 비교

        김경남,김병준,Kim, Kyoung-Nam,Kim, Byoung-Ju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1

        본 연구는 다층구조의 USGA 지반 및 단층구조의 약식지반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대취축적 차이를 평가하고자 시작되었다. USGA 지반은 전체 45cm 깊이로 이루어진 구조로 식재층 30cm, 중간층 5cm, 배수층 10cm로 조성하였고, 약식지반은 전체가 30cm 깊이로 식재층으로만 조성된 지반이다. 공시 초종은 9종류(난지형 3, 한지형 6)의 처리구를 각 지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9종류의 처리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통계분석 시 처리구 평균간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으로 실시하였다. 잔디지반에 따라 대취축적 정도는 달랐으며 USGA 지반에서 대취층은 약식지반에 비해 9% 정도 높았다. 초종별 대취축적은 대체적으로 난지형 들잔디가 한지형 잔디에 비해 높았지만, 그 차이는 지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한지형에 비해 난지형 들잔디의 대취층은 USGA 지반에서 34~87% 그리고 약식지반에서 16~75%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들잔디 품종간 차이는 USGA 지반 및 약식지반에서 모두 중지 품종이 각각 3.58cm 및 3.21cm로 대취축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 초종 간 차이를 보면 USGA 지반에서는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2.53cm로 가장 높았으며, 톨 훼스큐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각각 2.05cm 및 1.98cm로 나타났다. 약식지반에서도 한지형 잔디의 대취축적은 USGA 지반과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대취층이 가장 높았던 것은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지하경 생장(R-type)을 하기 때문에 주형생장(B-type)을 하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훼스큐 보다 왕성한 생장으로 인해 유기물 생성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잔디그라운드에서 적정 수준의 대취는 내마모성 증가 및 쿠션효과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잔디품질, 환경적응력 및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선수 보호차원에서도 우수한 초종이라 판단되었다. 하지만, 잔디대취의 과다 축적 시 건조 피해, 환경스트레스 내성 저하, 병충해 피해 증가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어 적정 수준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잔디관리 시 지반 및 초종에 따라 차별화 된 관리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atch accumulation in several turfgrasses grown under two soil systems. The 45 centimeter deep USGA system was constructed with rootzone, intermediate and drainage layers. The mono-layer system, however, was made with only a 30cm rootzone layer. Turfgrasses used in the study were comprised of 3 varieties from Korean lawngrass of Warm-Season Grass(WSG) and 3 blends and 3 mixtures from Cool-Season Grass(CSG). A total of 9 turfgrass treatments were replicated three times in RCBD in both systems. Cultural practices for the research plot followed a typical maintenance program for highly managed turf. Treatment differences for thatch accumulation were observed among the turfgrasses in both soil systems. Thatch under the USGA system was 9% greater than under the mono-layer system due to its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turf growth. Higher thatch depth was found with Korean lawngrass, 34~87% in the USGA system and 16~75% in the mono-layer system when compared with CSG. Among WSG, the Joongji variety was the highest in thatch layer under both the USGA and mono-layer systems. Kentucky bluegrass(KB) was the greatest among CSG, since it is a rhizomatous-type in growth habit, resulting in faster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over bunch-type of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Proper depth in the thatch layer was known to be beneficial by enhancing the resiliency and wear tolerance of the turf in athletic fields. Thus, KB was considered to be a very excellent turfgrass in terms of turf quality, environmental performance, physical properties and soccer player safety. However, disadvantages such as poor water-holding properties, more inclined to injury from environmental stresses and severe diseases and insect injury were also expected where thatch was excessively accumulated.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ore frequent measures for controlling thatch such as vertical mowing, topdressing or coring should be employed for soccer fields with Korean lawngrass and KB over other turfgr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