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재건: 구조적 동종골 및 자가골 이식술

        정양국(Yang-Guk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6

        골종양 절제 후 남은 광범위한 골결손에 대한 골 재건 방법으로 구조적 동종골 이식술 및 재사용 자가골 이식술이 시행되고 있다. 동종골 및 재사용 자가골을 이용한 골 재건의 장/단점과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 등 다른 대체방법들에 대한 지식, 이식골의 생물학적 특성과 운명, 재건의 기능적 결과와 합병증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동종골 및 재사용 자가골을 이용한 골 재건에 있어 주요 기술적인 측면들을 잘 숙지하고 시행해야 한다. 이식된 골의 장기생존과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적응증과 적합한 동종골 또는 자가골의 선택, 안정된 내고정, 정확한 수술적 술기, 감염증의 예방 및 효율적인 재활 등이 필요하다. 구조적 동종골 및 재사용 자가골 이식을 통한 골종양 절제 후 결손의 재건 방법과 임상적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Structural allograft or recycled autograft bone transplantation has been performed for reconstruction of bone defects caused by bone tumor resection. Knowledge regard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one reconstruction using an allograft or recycled autograft, other alternatives such as reconstruction with tumor prosthesis, the understanding of biologic characteristics and fate of transplanted bones, functional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reconstruction are important. The surgeon should also be accustomed to the major technical points of allograft or recycled autograft transplantation. Proper indication, selection of an appropriate allograft or recycled autograft, rigid fixation, accurate surgical skills, preventive measures of infection and efficient rehabilitation are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long term survival of grafted bones and good functional outcome. Here, I will discuss the bone reconstruction methods using structural allograft or recycled autograft transplantation after bone tumor resection and their clinical results.

      •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이식 전후 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박미영,박정윤,손행미,이규형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1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1 No.-

        배경 및 목적: 암 환자의 영양 결핍은 질병의 경과와 치료 과정에 의해 다른 질환을 가진 환자들보다 높으며 약 40∼80% 가 영양 결핍 상태라고 보고하였다.이러한 영양 결핍은 혈액암 환자에서도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특히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를 요구하는 강도 높은 스트레스 상황으로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객관화된 영양 평가는 영양 결핍 환자의 영양 관리 및 영양 결핍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의 기본이 될 것이며 동종 조혈모세포 환자에서 이식 후 사망률과 이환율을 감소시키며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이식 전후의 영양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영양을 중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11년 1월 31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A병원에서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받기 위해 입원한 만 19세 이상 성인 환자 중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는 2명을 제외한 25명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양 상태 평가는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체질량 지수와 생화학적 지표인 알부민과 트란스페린을 수집하였다.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총 대상자 25명의 환자 중 남자 환자는 13명(52.0%), 여자 환자는 12명(48.0%)이었고 평균 연령은 42.0±13.7세였다. 대상자 중 16명(64.0%)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었고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 7명(28.0%)이었으며 림프종이 1명(4.0%), 재생 불량성 빈혈이 1명(4.0%)이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형태를 보면, 타인간 이식이 13명(52.0%), 형제간 이식이 8명(32.0%), 반일치 이식이 4명(16.0%)이었다. 2.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영양 상태: PG-SGA 평균 점수는 7.32±1.68점이었고 중등도 영양 불량이 22명(88%), 중증 영양 불량 환자가 3명(12%)이었다. 체질량 지수는 25명 중 12명(48%)이 정상이었으며, 8명(32%)이 과체중, 5명(20%)이 저체중이었다. 삼두박근 피하지방 두께는 2명(8%)의 환자가 정상군에 속하였으며, 7명(28%)이 경증, 6명(24%)이 중증도, 10명(40%)이 중증 영양 불량군에 속하였다. 상완위 근육 둘레는 1명(4%)이 정상이었고 1명(4%)은 중등도, 23명(88%)은 중증 영양 불량군이었다. 생화학적 지표 중 알부민 혈중 농도는 14명(56%)이 정상군, 11명(44%)은 비정상군에 속했으며 트란스페린은 6명(24%)이 정상군, 19명(76%)이 비정상군이었다. 3.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환자의 영양 상태: PG-SGA 평균 점수는 11.92±3.26점이었으며 1명(4%)을 제외하고 모두 중증 영양 불량군이었고 체질량 지수를 보면 대상자 25명 중 17명(72%)은 정상이었으며 4명(16%)이 과체중, 3명(12%)이 저체중이었다. 삼두박근 피하지방 두께는 대상자 25명 중 3명(12%)이 경증, 9명(36%)이 중등도, 13명(52%)이 중증 영양 불량군이었고 상완위 근육 둘레는 23명(92%)의 환자가 중증 영양 불량군이었다. 생화학적 지표 중 알부민 혈중 농도는 15명(60%)이 정상군, 10명(40%)은 비정상군이었으며 트란스페린은 4명(16%)은 정상군, 21명(84%)은 비정상군이었다. 4.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전후 영양 상태 변화: PG-SGA 도구를 이용하여 영양 상태를 평가한 결과 이식 과정을 통해 영양 상태가 더 불량해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를 보였다. 결론: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들은 영양 불량군에 속하였으며 이식 과정을 통해 환자들은 더 심한 영양 불량 상태에 빠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이식 전부터 체계화된 영양 상태 사정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영양 상태 평가를 통한 적절한 간호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동종신경이식 시 동결처리가 운동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최승식,박일용,현정근,정재욱,김종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3

        목적: 동종신경은 효율적인 자가 신경의 대체 조직체가 될 수 있으나 수혜체의 거부 반응으로 인하여 임상적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조직 공학적 방법과 생합성 신경도관이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 자가 신경을 대체할 이상적인 이식체는 없다. 본 연구는 쥐 실험 모델을 통하여 동종신경에 대한 동결처리가 신경 이식 후 운동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동종신경이식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총 39마리의 Lewis 쥐(공여체)와 13마리 Sprague-Dawley 쥐(수혜체)를 사용하였으며 모두 200-300 g의 수컷 쥐였다. 수혜체 쥐를 무작위로 세 군(자가신경이식-1군, 동종신경이식-2군 및 동결처리된 동종신경이식-3군)으로 나누어 일측성 좌골신경이식을 시행하였다. 신경 재생에 대한 효과는 신경이식수술 후 16주 뒤에 희생수기를 통하여 체중, 족관절 구축 각도, 복합 근육 활동 전위, 전경골근의 등척성 수축력, 전경골근의 무게와 말초 신경의 조직학적 평가를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결과: 동결보관된 동종신경이식은 전처리를 하지 않은 군보다 우수하고 자가신경이식과 비슷한 운동 신경 회복을 보였다. 결론: 동결보관을 이용한 동종신경이식의 전처리는 공여 신경에 대한 면역거부 반응을 줄이고 효율적인 운동 신경의 회복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동결처리된 동종신경은 자가 신경의 효율적인 대체 이식물이 될 수 있다. Purpose: Peripheral nerve allograft can be an acceptable alternative, but it has not yet become clinically useful because of immune response to foreign tissue. With significant advances in the research and tissue engineering, various alternatives to nerve autograft including synthetic nerve conduit and decellularization have been used, but their therapeutic effects were not satisfac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ryopreservation of the allograft nerve as a useful nerve-graft substitute. Methods: A total of 39 Sprague-Dawley rats (recipient) and 13 Lewis rats (donor) weighing 200 g to 300 g were used in this study.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3 groups and received ipsilateral sciatic nerve graft: autograft (group 1), al-lograft (group 2), and cryopreserved nerve allograft (group 3), Nerve regeneration was evaluated at sixteen weeks on the basis of the animal weight, ankle contracture angle,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isometric tetanic muscle force, wet muscle weight o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the histomorphometry.Results: Cryopreserved nerve allograft (group 3) showed superior motor recovery than allograft group (group 2), which was comparable to those of autograft (group 1).Conclusion: Pretreatment of nerve allograft using cryopreservation decreased rejection caused by immune response of the donor and improved motor nerve recovery. In clinical perspective, use of a pretreated nerve allograft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autograft.

      • 양성 골 종양의 소파술 후 실시한 동종골 이식에서 혈소판 풍부 혈장 투여의 효과

        김재도,김지연,장수진,정소학,정구희,Kim, Jae-Do,Kim, Ji-Youn,Jang, Su-Jin,Chung, So-Hak,Jung, Gu-Hee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목적: 양성 골종양의 소파수술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동종골 이식시 골 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를 주입한 후 골 유합 시기를 비교하여 골 치유 과정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양성 골종양 환자 중 병소의 소파술 실시 후 동종골을 이식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평균 추시 기간 14.6개월, 12-26개월)이 가능하였던 총 21예(남자 12명, 여자 9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골과 함께 동종골 이식을 실시한 환자는 배제하였다. 동종골 이식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주입한 13예와 동종골 이식만을 실시한 8예에서 수술 전후 단순 방사선 소견상 병소 크기, 골 유합 시기,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의 투여량,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대상 환자의 수술 시 나이는 평균 23.6세였으며(4-73세), 원인 질환은 단순 골 낭종 7예, 골내연골종 4예, 거대 세포종 3예, 분류 미상의 양성 골종양 3예, 섬유성 이형성증 1예, 비골화성 섬유종 1예, 골내 지방종 1예, 동맥류성 골 낭종을 동반한 단순 골 낭종 1예이었다. 결과: 방사선 사진 상 술 전 병소의 부피는 평균 33.5 $cm^3$ (2.3-181.9 $cm^3$)이었으며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한 집단은 평균 29.4 $cm^3$,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없이 동종골 이식만을 실시한 집단은 평균 40.2 $cm^3$였다. 동종골 이식술과 함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한 집단에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의 평균 투여량은 7.4 cc (3-12 cc)이었으며, 골유합은 술 후 평균 3.0개월(1.5-5.8개월)에 이루어졌으며 동종골 이식술만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술 후 평균 5.3개월(4-8개월)에 이루어졌다. 이 중 각각 3예에서 병변의 재발, 병적 골절 등이 발생하여 제외하였는데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한 집단에서는 2예에서 병변이 재발하였으며 1예에서 불유합으로 인한 골절이 나타났고,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2예에서 병변이 재발하였고 1예에서 골절이 나타났다. 혈소판 풍부 혈장 투여의 합병증으로 술 후 3주 째에 발열이 있었으나 이는 항생제 경구 투여로 호전되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의 소파술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실시한 동종골 이식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하여 골 유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골절, 불유합 등에서도 동종골 이식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하여 골 유합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 ciency of Platelet-rich plasma (PRP) for acceleration of bone healing process on allograft transplantation after curettage in benign bo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09, twenty-one patients who had benign bone tumor and underwent allograft transplantation after curettage were evaluated. Mean follow-up period was 14.6 months (range, 12-26 months). We compared with 13 cases of PRP group and 8 cases of non-PRP group in terms of size of lesion, bone resorption, amount of applied PRP and complications. The mean age at surgery was 23.6 years (range, 4-73 years).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simple bone cyst (7) followed by enchondroma (4), giant cell tumor (3), undifferentiated benign bone tumor (3) and so on. Results: The mean size of lesion was 33.5 $cm^3$ (range, 2.3-181.9 $cm^3$) (29.4 $cm^3$ in PRP group and 40.2 $cm^3$ in non-PRP group). The mean volume of injected PRP was 7.4 cc (range, 3-12 cc). Bone union started at 3.0 months (range, 1.5-5.8 months) in PRP group and 5.3 months (range, 4-8 months) in non-PRP group. Three cases for each group were excluded due to recurrence and pathologic fracture. One patient had febrile episode 3 weeks later after surgery which subsided with antibiotics. Conclusion: The PRP could accelerate bone union in allograft transplantation after curettage of benign bone tumor. Furthermore, we expect that PRP can accelerate bone union in fracture or non-union.

      • KCI등재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 근부 치환술

        김재현,나찬영,오삼세,이창하,백만종,김종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3

        Background: Homograft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has many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hemodynamic performance, faster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regression, resistance to infection and excellent freedom of thromboembolism. To find out the results of homograft AVR, we reviewed our surgical experiences. Material and Method: Eighteen patients (male:female=16:2, mean age=39.3±16.2 years, range: 14~68 years) who underwent homograft aortic valve replacement between May 1995 and May 2004 were reviewed. The number of homografts was 20 (17 aortic and 3 pulmonic homografts) including two re-operations. Ten patients had a history of previous aortic valve surgery. Indications for the use of a homograft were native valve endocarditis (n=7),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n=5), or Behcet's disease (n=8). The homograft had been implanted predominantly as a full root except in one patient in the subcoronary position. Result: Mean follow-up was 41.3±26.2 months. There was one operative mortalit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postoperative bleeding in 3 patients, and wound infection in 1. There was no late death. Three patients underwent redo-AVR. The etiology of the three reoperated patients was Behcet's disease (p=0.025). Freedom from reoperation was 87.5±8.3%, 78.8±11.2% at 1, 5 years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there was no recurrence of endocarditis. There was no thromboembolic complication. Conclusion: Although longer term follow-up with larger numbers of patients is necessary, the operative and mid-term results for homograft AVR was good when we took into account the operative risks of Behcet's disease or infective endocarditis. Behcet's disease was a risk factor for reoperation after the homograft AVR. We think homograft AVR is the procedure of choice,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서론: 대동맥판막 치환술 시 사용되는 동종이식편은 훌륭한 혈역학적 기능과 우수한 좌심실 근육량 감소(enhanced left ventricular mass regression), 감염에 대한 내성, 혈색전증 발생 위험이 적다는 등의 많은 장점들이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한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및 대상: 1995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18명의 환자(남:여=16:2, 평균 연령=39.3 16.2세, 연령 범위: 14∼68세)에서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치환술은 20예가 시행되었다. 2예의 재수술을 포함하여 대동맥 동종이식편이 17개 사용되었고 폐동맥 동종이식편이 3개 사용되었다. 대동맥 판막에 대한 수술 과거력이 있는 환자는 10명이었다. 동종이식편 사용의 적응증으로는 자가판막 심내막염(n=7), 인공심장판막 심내막염(n=5), 혹은 Behcet 병에 동반된 대동맥판막 질환(n=8) 이었다. 수술방법은 관상동맥하 삽입술(subcoronary implantation)을 시행한 1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완전 근부 치환술(full root replacement)을 이용하였다. 결과: 평균 관찰기간은 41.3 26.2 개월이었다. 수술사망이 1예 있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수술 후 출혈이 3예, 종격동염이 1예 발생하였다. 만기 사망 예는 없었으며 3예에서 대동맥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하였고 3명이 모두 Behcet 병 환자였다(p=0.025). 재수술에 대한 자유도는 1년과 5년에 각각 87.5 8.3%, 78.8 11.2%였다. 심내막염 환자들에서 수술 후 심내막염의 재발은 없었다. 관찰 기간 중 항응고 요법은 사용하지 않았고 판막에 의한 혈색전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Behcet 병과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 위험도를 고려할 때 동종이식편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수술결과 및 술 후 관찰 결과는 양호하였다. Behcet 병은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치환술 후 재수술의 위험요인이었다. 심내막염 환자들에서 동종이식편 대동맥판막 치환술은 최선의 수술방법이라고 생각하며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 척추 유합술에서 자가 이식골과 동종 이식골의 비교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정필현,김태훈,채동주,문상호,박윤근,배호균,이재학 東國大學校 1999 東國論叢 Vol.38 No.-

        척추 유합술에 있어서 자가 골 이식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술 시간과 실혈량이 늘어나고 공여부의 통증 및 감염의 위험등 단점으로 동종 골 이식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동종 이식골의 효용성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어온 것은 사실이나 여러 변수들, 즉 나이, 성별, 흡연력, 수술의 종류등에 따른 영향을 완전히 배제시키지 못하여 순전히 동종 이식골과 자가 이식골간의 비교가 어려웠다. 저자들은 척추관 협착증으로 후방 감압술 및 후방 기기 고정술, 후외방 골 이식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우측은 자가 이식골, 좌측은 동종이식골로 골 이식을 시행한 후 4년 추시에서 자가 골 이식한 부위는 견고한 골유합 소견을 보였으나 동종골 이식 부위는 이식 골이 모두 흡수되는 소견을 체험하여 같은 조건하에서 자가 이식골이 동종 이식골보다 골유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더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Posterior decompression, spinal instrumentation and bone grafting are the standard operative treatment method of spinal stenosis and other low back disorders. Although autograft bone is considered the standard in performing fusion of the bone, allografts are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bone graft agent becaue of the lack of complications at the donor site such as infection, increased blood loss and prolonged operative time Autografts have the other limitations because of inadequate quality and quantity. Many investigators have compared autografts and allografts in posterior spinal fusion, and there are proponents as well as opponents of allograft use. Numerous factors are thought to affect fusion, including age, sex, nutritional status, associated disease, type of fusion, length of fusion, types of instrumentation and smoking status. The validity of comparison studies between allografts and autografts is questionable when these variables are not controlled. We describe a man who had a spinal stenosis at the level of L4-5 and L5-S1. He was operated with posterior decompression, spinal instrumentation and underwent a posterolateral bone graft, comparing autografts and allografts in the same patient. At 4-year follow up, autografts have a solid union but allografts are resorbed completely.

      • KCI등재

        동종 심장이식 후의 대동맥 혈관병증에 관한 연구

        정원상,정윤상,김영학,김혁,강정호,백승삼,송동섭,장효준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2

        Background: Chronic rejection after a cardiac allograft usually occurs about six months after the operation. Vasculopathy due to chronic rejection causes atherosclerosis in the coronary artery of the transplanted heart and then this causes myocardial injury. We intended to discover and document those findings that occur in a transplanted ascending aorta. Material and Method: In rats weighting 200∼300 gm (Spraque-Dawley rat), we carried out heterotopic heart allo-transplantation with the modified Ono-Lindsey method and then the rats were administrated cyclosporine (10 mg/kg/day). After three months survival, we acquired biopsy materials from the native ascending aorta and the allo-transplanted ascending aorta and we compared them. We classified each severity of 1) intimal thickening, 2) medial hyperplasia, 3) medial calcification, 4) medial inflammation and 5) chondroid metaplasia, which are specific biopsy findings for chronic rejection after a cardiac allograft. Each severit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inion of one pathologist, in the native ascending aorta biopsies (n=9) and the allo-transplanted ascending aorta biopsies (n=13). The data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y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using the Mann-Whitney test (SPSS version 12.0 window). Result: The important changes of the allo-transplanted aorta were intimal thickening (p<0.0001), medial calcification (p=0.045), medial inflammation (p<0.0001) and chondroid metaplasia (p=0.045), but not medial hyperplasia (p=0.36). Conclusion: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was seen in the transplanted ascending aorta, the same as was seen in the coronary artery, after allograft cardiac transplantation.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chronic rejection also progresses in the aorta. 배경: 동종이형의 심장이식 후에 나타나는 만성 거부반응은 수술 후 약 6개월이 지나 나타나며, 이로 인해 이식된 심장의 관상동맥의 동맥 경화 소견과 심장의 손상을 일으키는 혈관병증이 나타나는 바, 대혈관인 대동맥에서도 이러한 소견을 보이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00 gm의 백서(Spraque-Dawley Rat)에서 이소성의 동종이형의 심장이식(heterotopic heart allo-transplantation)을 Ono-Lindsey method로 시행한 후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A 10 mg/kg/day, 종근당 제공)을 투여하여 3개월 이상 생존한 군에서 동물을 희생시킨 후 자가 상행 대동맥과 이식된 심장의 대동맥에서 각각 조직 절편을 얻어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자가 상행 대동맥의 조직 검사(N=9, native ascending aorta)와 동종 이형의 이식된 심장의 대동맥(N=13, allo-transplanted aorta)의 조직 검사를 동종이형의 심장이식 후의 만성 거부 반응의 특징적인 조직 검사 소견인 1) 내막 비후(intimal thickening), 2) 중층 비후(medial hyperplasia), 3) 중층 석회화(medial calcification), 4) 중층 염증(medial inflammation), 5) 연골 화생(chondroid metaplasia)에 대하여 한 명의 병리의에 의해 대조군과 이식군에서 각각 심한 정도를 통계처리(Mann-Whitney Test, SPSS version 12.0 Windows)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중층 비후 외(p=0.36)에 내막 비후(p<0.0001), 중층 석회화(p=0.045), 중층 염증(p<0.0001), 연골 화생(p=0.045)에 있어 이식된 심장의 대동맥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 동종 이형의 심장 이식 후에 만성 거부 반응에 의한 혈관병증(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은 관상 동맥을 침범하여 심근의 손상을 가져오며, 이와 같은 만성 거부 반응에 의한 혈관 병증의 변화는 대혈관인 이식된 대동맥에서도 상기의 결과와 같이 나타나 대동맥에서도 만성적인 거부 반응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토끼 경부기관의 초냉동보관 동종이식편 기관 이식술 - 생육성 및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 -

        원태희,서정욱,성숙환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2

        배경: 광범위한 기관의 병변시 이를 절제하고 기관을 대체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대치물질로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기관의 초냉동보관 동종이식편의 상피세포 및 연골조직의 생육성 유지와 항원성의 변화를 토끼 기관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토끼 45마리를 각각 15마리씩 3개의 군으로 나누어 1군은 자가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2군은 초냉동보관하지 않은 동종이식편으로 기관 대치술을 시행하였으며 3군은 영하 196$^{\circ}C$에서 1달간 보관한 초냉동보관 동종이식편으로 경부기관 정위치에 이식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7일, 14일, 30일 후에 각군 당 5마리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기관 이식편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상피세포 및 연골조직의 생육성 및 거부반응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상피세포 재생정도에 있어서 7일째에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4일과 30일에는 1군에서 2군과 3군에 비해 상피세포 재생정도가 좋았다. 2군과 3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7일째까지 거부반응은 2군과 3군 모두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14일과 30일째에는 7일째에 비해 2군과 3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거부반응이 많이 나타났다(P<0.05). 3군에 있어서 2군에 비해 거부반응이 적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모든 경우에 연골세포는 생육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거부반응도 없었다. 결론: 1달 동안 초냉동보관 된 기관의 동종이식편은 상피세포와 연골의 생육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초냉동보관 기관 동종이식편이 기관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냉동보관으로 항원성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며 따라서 거부반응을 더욱 더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겠다. Background: There are no ideal substitutes for tracheal replacem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of cryopreserved tracheal homograft with special interest in the viability and rejection of the epithelial cell and cartilage. Material and Method: Rabbit's trachea was sected and stored in liquid nitrogen tank for 1 month. Tracheal replacement was done in 45 rabbits with autograft(n=15, Group 1), fresh allograft(n=15, Group 2) and cryopreserved homograft(n=15, Group 3). After 7, 14, and 30 days, 5 rabbi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nd the regeneration of epithelium and cartilage and the degree of rejection were assessed by counting the monocellular infiltration. Result: Investigation at day 7, showed no difference in epithelial regeneration, however, at days 14 and 30, Group 1 showed better regeneration of epithelium than groups 2 and 3. There was no difference of epithelial regeneration between group 2 and 3. There was little rejection at day 7, but at days 14 and 30, there was significant rejection in group 2 and group 3.(P<0.05). Group 3 showed lesser rejection than group 2 at days 14 and 30,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rtilage showed no rejection and maintained its viability in groups 2 and 3. Conclusion: Cryopreserved tracheal homograft can maintain its viability, therefore it may represent a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for tracheal replacement. However, cryopreservation can not eliminate the antigenicity of the trachea completely. Furthere studies for lowering the antigenicity and rejection should be performed for an ideal substitute for tracheal replacement.

      • 동종골과 이종골을 층별로 이식한 상악동골이식술

        김경원, 이은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3 忠北醫大學術誌 Vol.23 No.2

        치조골의 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로 인하여 상악 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골이식술은 이미 보편화된 술식이며, 그 예후도 아주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조직은행 등을 통하여 다양 한 동종골 이식재들이 공급되고 있으며 또한 그 이식재의 특성도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재는 비교적 흡수가 빨리 일어나는 단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으로 이종골이나 합성골을 섞어서 사용하여 이식재의 빠른 흡수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저자는 상악동골이식술 시 동종골과 이종골을 섞어서 이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악동저의 환자의 자기 골조직과 접촉되는 부분은 동종골을 이식하고, 상부의 상악동점막에 접촉하는 부분은 이종골을 이식하 여 흡수에 보다 저항할 수 있도록 동종골과 이종골을 층상으로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양호한 결 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