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시기 ‘자유중국’의 동아시아 지역질서 구상과 한국 인식(1949~1960)

        오병수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3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an attempt to review the idea of the regional order for East Asia and Chinese perspective on Korea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reechina, the most famous magazine for representing Chinese liberalist in the Cold War era. The ending of the World WarⅡand the rising of the Cold War roused the new spatio-temporal recognition among Chinese liberalists. The Chinese liberalist continuously designed a regional order of East Asia suitable for defending himself from threat by communist China and realizing the principles of freedom. That was tentatively named PPTO(Pan-Pacific treaty organization) modeled on NATO. The aim of that idea was for China to take a leadership for the regional order of East Asia by military support from America. But that is not realized, and the goal was retreated to establishing a regional organization based on individual groups with the soft power, because of the segmentation policy of the western for the stable order of EA, and the divided recognition on each other in EA. Hereafter, scope of EA that they contemplate is confined to Korea-China-Japan allied nations. But they learn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and redesigned East Asian Community a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Meanwhile, the change of their idea on regional system of EA of Freechina was accompanied with the change of their Identity and Perspective on Korea. The image of Korea in Freechina is changed from a peripheral nation to an allay nation for anti Communism. But recognition about Korea in Freechina is not systematic style but fragmented one. For better communication, it must be introduced more knowledge on each other into Knowledge system. 이글은 냉전시기 중국의 대표적인 자유주의 계통의 잡지인 『자유중국』을 통해 중국 지식인들의 동아시아 지역질서 구상과 한국 인식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2차 대전의 종결과 미․ 소 중심의 냉전체제의 성립은 종래와 다른 새로운 시공간 인식을 필요로 했다. 냉전시기 중국 자유주의 지식인들은 공산주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고 자유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지속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질서를 구상하였다. 애초에는 미국의 지원 하에 스스로 동아시아 지역 질서를 주도하려는 발상에서 북대서양 조약체계와 같은 太平洋公約 體制를 구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상은 영․미의 지정정책 및 역내 국가들 간의 분절적 지역 인식 때문에 실현되지 못하고, 오히려, 한중일 삼국동맹론이나, 아시아 반공연맹안으로 축소 후퇴하였다. 이후 『자유중국』은 대륙의 제삼세계 외교 전략에 대응하면서, 단순한 이념에 기초한 지역안보 체제보다는 경제, 문화를 포괄하는 지역 공동체등 새로운 구상을 시도하였다.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분절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었다. 한편 이러한 자유중국의 동아시아 인식 변화 속에서 한국 인식도 변화하였다. 애초에는 지역질서의 주변으로서 한국을 인식하였으나 이후에는 반공적 맹방으로서 한국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 인식은 체계적인 접근이 결여된 파편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진정한 상호 소통을 가능케 하는 지식 제도화 과정 결여, 미국의 보수주의의 영향등 인식상의 한계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중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한국 인식을 고려할 때 시사하는 바가 여전하다.

      • KCI등재

        동아시아 4개국 학생들의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 비교: 과학캠프에 참가한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형재 ( Hyeong Jae Lee ),박상태 ( Sang T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는 일본 Nara Woman`s University Secondary School에서 이루어졌던 과학캠프에 참가 한 동아시아 4개국(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10학 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한국 학생 12 명, 일본 학생 46명, 대만 학생 9명, 싱가포르학생 10 명으로 전체 77명에 대하여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전체 평균 비교 결과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본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과 동아시아 3개국(한국, 대만, 싱가포르) 학생들 간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t 검증 비교 결과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이 일본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하위 영역별로 평균 비교 결과 기술성 영역에서는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고,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과의 기술성 영역의 t 검증 비교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5). 관리 성 영역의 평균 비교에서는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 본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3개국 학생 들과 일본 학생들 간 t 검증 비교 결과는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다(p<05). 유용성 영역의 평균 비교 결과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본 학생들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 간 t 검증 비교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안전성 영역의 평균 비교 결과 한국, 대만, 일본, 싱가포르 학 생들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아시아 3개국 학생들과 일본 학생들 간 비교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5). 과학 캠프에 참가한 동아시아 4개국 가운데 한국 학생들의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위 모든 영역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 동안 정부에서 원자력사업자와는 별도로 원자력홍보전문기관을 설립하여 원자력 발전에 대해 과학적, 객관적 정보를 가지고 활발하게 계몽 및 홍보활동(원 자력문화 활동)을 펼쳤고, 학생들이 이에 대한 홍보를 많이 접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우리나라 보다 12년 앞서 원자력발전을 시작한 일본의 경우 원 자력홍보전문기관인 일본원자력문화진흥재단의 원자력문화 활동을 학생들과 성인 등을 대상으로 계몽 및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과학캠프에 참가한 동 아시아 4개국 중 가장 많은 원자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운영을 하고 있으나 지진해일(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방사능 누출에 따른 피해와 우려로 인하여 일본 학생들의 핵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원자력 관련 기술이나 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관리된다는 정보보다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같은 대재난이나 중대한 사고 들에 대한 정보가 대중의 위험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 치며, 이러한 대형 사고들은 그 빈도가 매우 낮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는 비정상적인 위 험이 존재한다는 강한 신호(signal)를 만들어내고, 이러한 신호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식을 고착시켜 최종적으로는 원자력 관련 기술에 대한 낙 인화(stigmatize)를 초래하기도 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이를 통해 원전의 안전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국가의 정책전환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한번 형성된 인식이나 결정은 계속 보강, 유지되어 교정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one at a scientific camp sponsored by Nara Women`s University Secondary School, Japan. In this school, 10th grade students from 4 East Asian countries: Korea, Japan, Taiwan, and Singapore, participated. We made a research on students` perceptions about nuclear energy. Sample populations include 77 students in total, with 12 Korean, 46 Japanese, 9 Taiwanese and 10 Singaporean students. Overall perceptions comparison about nuclear energy shows average values from the order of highest Korea, Taiwan, Singapore, and to lowest, Japan. We implemented a T-test to identify perception differences about nuclear energy, with one group that include 3 countries (Korea, Taiwan and Singapore) and another group that includes all the Japanese students. T-test results of perceptions about nuclear energy shows students from the 3 countries of Korea, Taiwan and Singapore having higher average than Japanese students. (p<.05). Korean average scores regarding overall perceptions about nuclear energy show as the highest in all 4 East Asian countries and also highest in all subcategories. On the contrary in Japan, they have lower and negative perceptions of nuclear energy. In spite of these facts, perceptions of Japanese students about nuclear energy seem lowest and negative mainly because of the recent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disaster, caused by the tsunami and its subsequent damages and fears of radiation leaks, etc. This shows that negative information about future disasters and its resulting damages like the Chernobyl nuclear accident could influence more on people`s risk perception than general information like nuclear energy-related technologies or the news that the plant is operating normally, etc. Even if the possibility of this kind of accident is very low, just one accident could bring abnormal risks to technology itself. This strong signal makes negative image and strengthens its perceptions to the people. This could bring a stigma about nuclear energy. This study shows that Government`s policy about the highest priority for nuclear energy safety is most important. As long as such perception and decision are fixed, we found that it might not be easy to get changed again because they were already fortified and maintained.

      • KCI등재

        탈냉전기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

        박명림(Park Myung-Lim),지상현(Chi Sang-Hyun)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을 대통령 시기의 김대중을 사례로 분석한다. 탈냉전 이후 비교적 선명한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을 보여준 김대중에게 한국문제는 곧 지역문제였다. 1971년 대선 때부터 주창해 온 4대국 안전보장론은 지역문제 및 국제문제로서의 한국문제인식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이후 1동맹(미) 3우호(중ㆍ일ㆍ러)체제 구상으로 발전하여 집권 이후 한국과 동아시아 문제를 다루는 기본 틀이 된다. 김대중은 4대 지역강국과 모두 원만한 국제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역협력을 통해 한국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다. 집권 이후 김대중의 지역인식은 구체적인 구상과 정책으로 나타난다. 먼저 미국을 동아시아 역내 국가로 인식하여 클린턴 정부와의 협력관계를 구축, 한국문제와 동아시아 지역질서에 대한 공동보조를 취하였다. 또한 그는 박정희 이래 가장 적극적으로 일본을 포용한 한국 지도자였다. 오부치 총리와 한일 공동 코뮤니케를 발표하고, 일본문화 개방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전후 최초로 일본 해상 자위대와 공동 훈련을 실시하는 등 긴밀한 한일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중국과도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공동노력에 합의하고, 경제협력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구축하였다. 건국 이래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지지를 얻는데도 성공한다. 김대중 시기 한국은 외환위기를 맞아 활성화된 ASEAN+3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동남아시아를 중국과 일본과 함께 동북아의 확고한 협력대상으로 인식하고 활용하였던 것이다. 김대중 시기 한국의 지역구상은 비교적 관점에서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미국을 역내 국가로 인정하고 활용하려했다는 점에서 역내의 마하티르(말레이시아), 리콴유(싱가포르) 등의 구상과의 일정한 차별성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은 중-일 사이에 위치하고 북한과 대치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지역구상이 경제영역에 한정될 수는 없었다. 즉 김대중의 지역구상에는 안보영역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또 동남아와 동북아를 긴밀히 연결하려 했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었다. 그러나 김대중의 지역협력 구상은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였다. 첫째, 다양한 역내 협력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협력의 제도화나 기구 창설과 같은 뚜렷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 못하였다. 둘째, 취임 이전부터 존재했던 4자회담과 같은 틀을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다자주의를 제도화하지 못한채 한미, 남북, 한중, 한일관계와 같은 전통적인 양자접근 방식에 치중했다. 셋째, 한반도 문제의 지역화 구상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김대중 정부가 추진한 한국문제 해결노력 중 가장 중요한 성과물인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에서 국제ㆍ지역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원칙은 배제되었다. 대신에 민족과 자주가 강조되었다. 이렇듯 지역주의 구상을 다자주의 기구나 제도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주변 4대국과의 양자관계적 협조와 지지에만 의존한 결과 미국에서 정권이 교체되자 상황은 극적으로 변전되었다. 결국 김대중의 지역협력ㆍ지역주의 구상은 그 선견성과 적극성에도 불구하고 다자주의 대신 양자주의 강조, 한국문제에서의 지역ㆍ국제접근 대신 민족ㆍ남북 우선 접근, 제도화보다는 리더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특성을 보임으로써 궁극적인 성취에는 이르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말았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Kim Dae-Jung’s perception, idea and cooperative strategy of East Asia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As a president of South Korea from 1998-2003, Kim suggested very distinctive configurations of regional perceptions and ideas of cooperation relating to the Korean problem. Above all he pursued a ‘de facto’cooperative security system about the Korean question. According to him, the Korean question has been a regional and international problem for a long time. Then, without the cooperation and assurance of the neighboring powers, Korea’s security and development would not be possible and stable. The Korean-American alliance is the key pillar of all the external relations. To him, the USA is an East Asian power. Based on the ROK-US alliance, he strengthened the close cooperation in economics, culture, trade, and security with China, Japan, and Russia, striking distinction from the cold war period. He laid the foundations of security guarantee with China, Japan, and Russia without weakening the strong alliance with America at all. Also,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Kim Dae-Jung suggested various governances, structures, and frameworks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multilateral solidarity. In doing so, firstly, he tried to embrace the US as an East Asian country in order to check and balance the neighboring countries, secondly to connect North East Asia and South East Asia especially in economics and trade, and thirdly to construct an East Asian community ultimately. However, Kim’s idea showed significant limitations. In spite of suggesting many ideas of regional cooperation, he failed to establish some pertaining institutions or institutionalized templates. Secondly, he definitively preferred and continued the way of bilateral approach rather multilateral one in dealing with the Korean question, also preferred leadership to institution. Then multilateralism would not be institutionalized and stabilized on the Korean issue. Finally, about the North Korean issue, national value and approach was more central than the regional and global ones to him.

      • KCI등재

        한ㆍ중 항일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동아시아 역사인식

        조은경(Cho, Eun-Ky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7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항일기념관인 독립기념관과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을 중심으로 건립과정과 전시 내러티브를 비교검토하고 전시에서 재현된 동아시아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두 기념관은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파동을 계기로 1987년 건립하였으며 항일투쟁사를 주제로 전시 내러티브가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일제의 침략만행을 고발하고 민족단결의 통합가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성이 있었다. 동아시아 역사인식에 대한 검토 결과 두 기념관 모두 일제의 침략만행을 고발하고 있으나 오늘날 일본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독립기념관은 일본의 역사왜곡과 영토분쟁을 규탄한데 반해 항전관은 중일우호관계를 강조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상호인식, 한중공동항일투쟁에 대한 인식은 충분치 않았다.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대(군), 일본군‘위안부’ 등 공통된 전시주제가 확인되었지만 두 기념관 전체 전시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적고 역사해석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볼수록 양국 간 역사인식차가 더욱 커진 원인은 두 기념관 모두 각국에서 공식적으로 공유되는 집단기억을 전시 내러티브로 삼았기 때문이다. 역사인식의 주체와 목적이 달랐기 때문에 전시되는 내용 또한 다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한국과 중국이 일본제국주의에 의해 피해를 입었고 항일투쟁을 전개한 유사한 역사경험을 했기 때문에 역사인식 또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 두 기념관이 한국과 중국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염두에 두어볼 때 기념관에서 확인되는 역사인식과 내러티브의 차이는 한·중 양국의 근현대사 인식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의 역사왜곡이 확대 강화되는 현재 독립기념관과 항전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두 기념관은 철저한 고증을 거쳐 일본의 역사왜곡을 실증적으로 반박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교류로 한중 양국의 역사해석을 공유하고 상호 인식을 확대하여 한중 역사공조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두 기념관의 활동을 통해 동아시아 공동의 역사인식을 형성하고 반침략 평화주의를 후손에게 전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대 초기 한 조선인 혁명가의 동아시아 인식 -님 웨일즈의 아리랑을 중심으로-

        이해영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에서는 조선해방사업을 위해 중국에서 중국혁명에 투신하여 싸웠던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생애를 다룬 님 웨일즈의 아리랑에 나타난 김산의 내면의식을 그의 동아시아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김산은 동아시아 연대론의 입장에서 중국혁명의 승리가 곧 조선의 독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하에, 중국혁명에 투신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한때는 지도자적 위치에도 있었고 또한 국제적 연대의 동지로 믿어왔던 중국 공산당에 의해 처형당한다. 그의 삶이 띠고 있는 전기적 색채 때문에, 또한 그가 1938년 연안에서 중국 공산당에 의해 비밀리에 처형당한 것 때문에 이제껏 그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생애에 대한 복원과 의문의 죽음에 대한 조명에 집중되어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의 생애와 죽음에서 한걸음 물러나 그의 사상과 혁명이론, 나아가 실천적 투쟁과 그의 삶 전체를 관통하고 있던 그의 동아시아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삶이 결국 비극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김산은 비록 중국혁명에 투신했으나 그의 목표는 시종 조선해방 즉 민족해방이었으며 국제적 연대로서 중국혁명이나 공산주의는 그에게 있어서 이념이나 목표라기보다는 민족해방에 이르기 위한 하나의 길 내지 방법적 차원에 불과했다. 그러므로 그는 광동대혁명, 북경시절의 지하당 투쟁, 중국 공산당의 수뇌부인 연안에 이르기까지 혼신의 힘과 정열을 다 바쳐 중국혁명에 투신하지만, 조선의 해방을 잊지 않고 있었으며 조선 문제를 중심에 놓고 있었다. 이러한 민족해방에의 열정은 그로 하여금 조선 혁명의 가능성에 대해 지나치게 자신감을 갖게 하였으며, 또한 중국 혁명이나 중국 공산당의 투쟁노선이나 방침, 그들의 실착이나 좌절에 대해 지나친 조급정서를 드러내게 했으며, 비판과 함께 강한 회의를 갖게 하였다. 그는 동아시아 3국의 연대론을 주장하면서도 소수의 주체성과 독자성을 견지했으며 중국혁명에 투신한 조선인 혁명가들이 물속의 소금이 되는 것을 두려워했다. 조선혁명과 그것을 둘러싼 동아시아 제반 환경에 대한 김산의 인식과 일본에 대한 이원적 인식, 중국과 중국혁명에 대한 날카로운 성찰 등을 통해 우리는 김산이 얼마나 조선해방을 갈구했는지 알 수 있었고, 그에게 있어서 공산주의는 이념적 차원이 아니라 단지 민족해방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적 차원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This dissertation illustrates from a perspective that San Kim’s interpretation of the Far East corresponds to Nym Wales’ song “Arirang”. “Arirang” is a song moderately showing the consciousness of San Kim, a Korean-Chinese revolutionist, who fought for Korea’s liberation in China while taking part in the Chinese Revolu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mong the Far East countries, Kim assumed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will lead to Korea’s Independence. However, ironically, he is executed by the Communist Party, despite the fact he was once their leader and a faithful comrade. Because of his unique lifetime background and his confidential death at Yan An, China in 1938 held by Chinese Communist Party, most of Kim’s research was focused on details of his life or the reasons for his death. Therefore, this thesis spotlights another viewpoint about Kim’s ideology and revolutionary theories and concludes that Kim’s life had to come to a tragedy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of the Far East. Though Kim sacrificed himself in the Chinese Revolution, his goal from beginning to the end was Korea’s liberation. Kim joined the Communist Party merely to liberate Korea rather than because he had the same doctrine. Kim participated in revolutions and battles, but his goal of Korea’s independence was always the priority. His passion towards success of the independence brought him over confidence regarding to a possibility of a Korean Revolution. Furthermore, Kim’s desperation of the Communist Party’s collapse resulted in criticism and skepticism. Not only he pursued the three Far East countries’ collaboration, but also maintained the subjectivity and the uniqueness of the minority. Kim was afraid that all the other Korean-Chinese revolutionists’ effort would become useless. Scrutinizing Kim’s interpretation of various opinions of the Far East countries regarding a Korean Independence and his reflection upon China and Chinese Revolution conveys his eagerness towards Korea’s Independence. Kim did not conside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s a political matter, but viewed as a helper to liberate Korea.

      • 제3장 동아시아 정세 변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접근 : 동아시아 주요국 간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한동균 제주평화연구원 2019 JPI Research Series Vol.48 No.-

        21세기 들어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 중 하나는 중국의 급격한 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급부상이 오히려 미중 간 경쟁과 대립을 심화시키는 결과 를 초래하였고, 그 가운데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내비치면서 최근 한반도 외교 및 동아시아 안보 상황이 크게 변화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한반도에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이 동아시아지역 정체성과 비전에 있어 더욱 많은 영향력 을 행사함에 따라 북한과 동아시아 주요국 간 정상회담을 통해 동아시아 정세 변 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접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한국의 올바른 대(對)동아 시아 정책 수립 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최근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정세 변화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중국은 시진핑 주석 취임 이후 자국 중심의 실용주의적 외교노선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지역 안정과 평화 유지를 위해 강대국들과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면서 영 향력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더욱이 역사적으로나 지정학적 측면에서 한반도 및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는 주변국들의 보장 없이 유지되기 매우 어려운 구조이 므로 격변하는 동아시아 국제환경에 있어 현명하고 현실적인 안보의식과 종합적 국익을 고려한 국가적 혜안 마련과 우리의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most remarkable phenomena in the 21 century is the rapid rise of China. However, the rise of China deepens the conflicts and competitions between US and China. Furthermore, as chairman Kim Jong-un shows his strong will on promoting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turned its focus to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situation that China put more influence on the East Asia regional identity and vis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ina’s perception and approach on East Asian changes by analyzing several summits. This is very important for South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appropriate East Asia policy and minimize its side effect. In general, China has shown a positive reaction to the recent East Asian change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Since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inauguration, China has been expanding its influence by coordinating its interests with the powers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and peace in East Asia based on its pragmatic diplomatic strategy. Moreover, in terms of historical and geopolitical aspects, stability and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are very difficult to maintain without supports by neighboring countries. In this dynamic East Asian international environment, our efforts to create national benefits considering realistic security awareness and comprehensive national interests should be continued.

      •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

        비온티노 유리안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간과 문화 연구 Vol.20 No.-

        본고는 지역연구사적 문화사적 시각으로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일상적 접촉이 없는 일반 독일인이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독일의 동아시아 각국(일본, 중국, 한국과 북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에 대한 연구의 역할과 한류의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despite of a lenghty history of German – East Asian relations, there is no special view on East Asia in present Germany. German perspectives on the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explained from a japanologist perspective and a cultural history approach. Afterwards it is shown which East Asia discourses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East Asian Area Studies in Germany. It is to see that these Area studies are taking the lead in forming a German perspective on East Asia. This is supplemented by an overview of how the „Korean wave“ came to Germany and which role it plays in fostering a German understanding of East Asia.

      • KCI등재

        德富蘇峰의 동아시아 인식 - 청일전쟁부터 한국병합 시기를 중심으로-

        방광석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The study examines the views on East Asia held by Tokutomi Soho (1863-1957), an influential journalist and historian in modern Japan. This study focuses on his views of East Asian countries like China and Korea especially from the Sino-Japanese War (1894-95) to the annexation of Korea (1910), when he shifted to nationalistic and imperialist logics. Tokutomi's views on East Asia were related to the Datsuaron (Advocacy of Escape from Asia) He argued that Japan equipped with Western civilization could be separated from its East Asian neighbors like China and Korea, which were still barbaric and lacked the ability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civilized countries. Then, China and Korea were seen not so much a part of alliance with Japan in resistance against the inroad of Western powers as an object of Japanese expansionism. As an influential journalist, Tokutomi played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se imperialist views. Such Tokutomi's views remained unchanged even after his firsthand contacts with China and Korea. He travelled China for a long time in 1906 (righ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again in 1917 (right after the World War I). Although, he subscribed to the policy of friendly relation with China, rescinding the idea of dividing China, he repeated his unchanging views on China that the Chinese lacked modern consciousness of nation, and that they were imbued with debilitating literary values and private personal interests, which hindered them from reforming their country and society. With regard to Korea, he maintained that Koreans were so corrupt and lazy that they were unable to achieve civilization on their own, thus justifying its annexation by Japan. In justifying Japan's aggression against Korea by its role of civilizing mission, lied his deep sense of disdain and discrimination against Korea, which remained uncivilized to his eyes. The views of Tokutomi were also shared by contemporary Japanese leaders and intellectuals. He tried to be an initiator in proposing a variety of imperialist foreign policy suited to changing circumstances. Therefore, he put forth the theory of harmony of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when his Datsuaron lost practical significance due to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theory of yellow peril. Later, when Japan pursued with expansionist policy after the World War I, he advanced pan-Asianism, departing from the idea of Peaceful expansionism. His views on East Asia were in line with the course of Japanese imperialism, maintaining consistency in rationalizing and theorizing the expansionism of Japanese empire. 본 연구에서는 언론인자 역사가로서 근대일본의 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친 도쿠토미 소호(徳富蘇峰)의 동아시아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 한국병합 시기에 걸쳐 도쿠토미가 국가주의, 제국주의의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조선과 중국 등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구체화시켜 나갔는지를 추적하였다. 도쿠토미의 동아시아 인식은 ‘脫亞論’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일본은 서양과 같은 문명을 구비하고 있어 ‘아시아적’이지 않으며, 중국과 조선 등 주변 아시아 국가는 기본적으로 야만적이어서 스스로 문명화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주변 나라가 일본과 마찬가지로 구미열강의 침략에 대항하는 동일한 입장을 갖고 있다는 측면은 무시되고 구미열강과 일본의 팽창의 대상으로만 파악했다. 도쿠토미는 언론활동을 통해 이러한 제국주의적 동아시아 인식을 주도했다. 도쿠토미의 동아시아 인식은 직접적인 견문을 통해서도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는 러일전쟁 직후인 1906년과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7년 두 차례에 걸쳐 장기간 중국을 여행했다. 그 사이 ‘지나분할론’에서 ‘지나친선’론으로 대외정책론은 변모를 보였으나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기본적 인식은 변하지 않았다. 중국인에게는 근대적인 국가의식이 없다든가 중국은 ‘文弱’하고 개인의 ‘이해관계’만 앞세워 스스로 개혁의 가능성이 없다고 파악했다. 조선에 관해서도 조선은 매우 부패하고 조선인은 게으르므로 스스로 문명화할 수 없으며 시대의 대세로 보아 일본에 의한 병합은 어쩔 수 없다며 식민통치를 정당화했다. 그 밑바탕에는 조선사회를 ‘야만’사회로 보는 멸시감과 차별의식이 뿌리 깊게 깔려 있었다. 따라서 일본에 의한 ‘문명화’를 강조하며 침략을 합리화해 나갔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당시 일본정부나 대부분의 일본지식인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오히려 도쿠토미는 ‘제국주의’국가 일본의 전략을 미리 제시하고 그것을 선도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대외정책론을 변화시켜 나갔다. 러일전쟁과 ‘황화론’을 통해 ‘탈아론’이 논리적 현실성을 잃자 ‘동서문명조화론’을 내세웠으며, 제1차대전 후 일본이 중국에 대한 침략을 실행해나가자 ‘평화적 팽창주의’에서 ‘아시아주의’로 나아갔다. 그는 꾸준히 일본의 대외팽창을 합리화하고 이론화하며 일본제국주의와 운명을 같이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의 러일전쟁에 대한 역사인식과 역사교육

        朴正鉉 한국중국문화학회 2003 中國學論叢 Vol.16 No.-

        현재 세계는 자본의 이동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가 간 교류가 확대되고 지역 간의 통합과 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동아시아 지역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고 공통의 이해에 기반한 교류와 협력의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교류와 협력의 확대만큼 동아시아 각 국이 동아시아 지역의 유대와 평화를 위해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작업은 지금까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근대 이후 동아시아의 역사는 서구 열강과의 관계, 동아시아 국가 간의 상호관계에 의해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 이러한 역사적 흐름은 오늘날까지 동아시아 국가 상호관계에 직&#8228;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동아시아 국가들은 모두 자국&#8228;자민족 중심주의에 입각한 역사관을 바탕으로 역사를 서술하고 있어 이것이 국가 상호관계나 협력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것은 최근 불거졌던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로 비판을 받고

      • KCI등재

        동아시아의 고대사와 문화는 하나 - 인식 전환으로 보이는 사서의 진실 -

        밝완서,오재성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사람의 인식이란 터무니없이 쉽게 변할 수도 있지만,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교육, 환경, 체험 등으로 굳어지면 맹목적이 되어 좀체 바꿀 수 없음이 현실이다. 불행스럽게도 大韓 사람들의 역사인식은 근세조선에서 형성되고 식민통치암흑기에 심화된 반도사관으로 몰입됨에 문화의 발생과 발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리정보가 왜곡되어 모든 학문을 오도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 암담하기는 학계가 학맥으로 묶여 그 왜곡된 족쇄를 스스로 보완,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고의 목적은 ‘우리’의 정체성과 역사강역을 동아시아 전역으로 회복하여 문화를 폭넓은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을 때 올바른 학문이 구축될 수 있음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 논지를 성립시키기 위하여 최근 급격하게 발달하는 유전학과, 그와 軌를 같이 하는 언어학에서 밝혀지는 현생인류의 이동 상황으로 동아시아가 하나일 수밖에 없는 바탕을 제시하고, 우리 역사서인 삼국사기가 삼국사를 왜곡시킨 명칭임을 밝히면서, 그 삼국사와 함께 위서로 취급당하는 환단고기의 천문기록을 과학으로 증명한 례로 그 두 사서가 신뢰성이 충분함도 증명하지만 그 역사서가 동아시아 광역의 역사서임을 거증한다. 이 모두를 이해함으로 한반도에 한정되어 있는 우리의 정체성이 동아시아로 자연스럽게 확대도록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학문발전과 세계의 평화공존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It is true that sometimes our perception can be unreasonably easily changed. However, in reality it i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once this perception became crystalized through education, environment, experiences and etc. that encompasses the individual which eventually makes him a blind follower of the preconceived notion. Sadly enough, sinc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DaeHan(Korean) people has been absorbed i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which was formulated in the late JoSeon(Lee Dynasty) and intensified during the dark age of colonial governance, the geographic information which has a decisive effect on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has been significantly distorted and consequently became a decisive misleading factor for all the academics. Even gloomier is that academic circle which is fettered by school ties further aggravates already distorted academic environment and fails to correct the definite error in the historical percep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when we observe the culture with the broader perspective through restoring our identity and extending our historical territory up to the entire East Asia,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academic tradition could be possible and the right academic results could be attained as well.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point clearly I will suggest the theoretical ground that supports the thesis 'the East Asia must be one' from the territorial point of view which was supported by most recent findings of the rapidly developing genetics and the linguistics that goes with the genetics which shows the traces of migration of the modern humans that also points to the same conclusion. Furthermore, I will make it clear that our history book 'Sam- GukSaGi' is the perverted name of 'SamGukSa' and despite the astrological records in the 'HwanDanGoGi' has been proved right by the modern scientific observation these two history books have been treated as a forged books unreasonably. Therefore I would like to testify that above two history books deserve the reasonable reliab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history books of the broad territory of the East Asia. With understanding above all facts and suggestions our perception on the territorial identity might be extended up to the entire East Asia in a natural course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o the peaceful coexistence of the worl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