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신성장동력 육성전략

        이상훈,이정임,고재경,빈미영,황상연,황금회,성영조,박성훈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11

        본 연구는 정부의 17개 분야 신성장동력 육성계획에 대한 추진 배경과 방향, 정책내용의 과제 및 문제점을 검토하고 정부정책에 맞추어 경기도 차원에서의 육성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각 부문별 현황과 과제 및 육성전략을 제시하였다. 정부가 신성장동력으로서 17개 부문을 발표하였으나 신성장동력을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종합적인 컨트롤 타워의 역할이 부족한 가운데 범국가적이기보다는 부처차원에서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내용들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전에 추진되었던 차세대 성장동력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제시된 17개 부문이 상호 연관성이 크고 복잡하게 연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복된 기술분야가 존재하며 사업부문간 비중의 편차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정부의 17개 분야 대부분의 신성장동력산업이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 신성장동력 육성목표를 ‘신성장동력 클러스터의 글로벌 거점화’ 로 설정하고 신성장동력 육성 방향으로서 첫째, 신성장동력 중심의 클러스터 구축, 둘째, 첨단산업과 신성장동력의 융복합화, 셋째, 시장수요 창출을 위한 제도개선 등으로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17개 성장동력 중에서 경기도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해야할 부문으로 13개 부문을 선정하여 해당부문별 현황 및 과제, 그리고 육성전략을 제시하였다. 녹색기술산업 부문 중에서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경기도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될 신규부문이 전략으로 제시되었고, LED 부문에서는 기존 사업영역에서 중점적으로 추진되어야 될 제도개선 부문이 포함되었다. 그린스송시스템에서는 기존사업의 활성화 및 교통정보 표준 프로토콜 등 시스템개발 등이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며, 첨단그린도시 부문에서는 기존사업의 개선방향이 주로 제시되었다. 첨단융합산업 산업부문에서 방송통신 및 SW 융합부문과 IT 융합부문, 신소재ㆍ나노융합부문에서는 주로 기존에 추진되던 사업을 활성화 하는 방향이 제시되었고, 바이오제약ㆍ의료기기 부문에서는 신규부문으로 주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도개선 부문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고부가 식품산업의 경우 기존의 산업부문에서 전략적인 클러스터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로 대안이 제시되었다. 한편, 고부가 서비스산업에서 글로벌 헬스케어 부문은 전략적인 부문에 대한 대안과 제도개선, 활성화 전략이 제시되었고, 녹색금융에서는 금융인프라 부문을, 문화콘텐츠 및 관광ㆍMICE 부문에서는 지역차원에서의 전략적인 육성방향과 활성화 전략이 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3개 부문에 대한 분석과 함께 각 산업부문별로 경기도에서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추진전략에서는 부문별 특징과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인 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경기도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서는 이들 전략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사업내용이 실국의 업무영역을 벗어나는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정책기획심의관실’을 주축으로 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정부의 신성장동력 육성계획에서 여러 관련 부처가 참여하고 있고 부처간의 협력과 조화가 사업추진의 효율성 제고에 절대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실국간의 이해관계 조정과 의견수렴이 효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신성장동력 부문의 경우 대부분 신기술 부문이고 초기 시장진출 단계로서 정책방향 설정과 법ㆍ제도 개선에서 실국간의 협조가 긴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진행되고 있는 시책에 대한 환류체계가 갖추어져야할 것이다. 둘째, 법ㆍ제도개선에 주력해야할 것이다. 시장 초기단계에서 공공부문의 역할은 시장이 일정규모로 성장하기 이전에 관련 산업 및 기술에 대한 수요창출과 공급확대를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요 공급의 확대를 위해서는 관련 법 및 제도적인 개선이 주요 역할이며, 민간부문의 참여확대를 위해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항이다. 셋째, 정부의 정책에 맞추어 경기도 전략을 추진하되, 경기도 지역의 특징이 반영되어야할 것이다. 17개 신성장동력 이외에도 경기도 지역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 부문에 대한 고려를 동시에 하여야할 것이다. 다행히 대부분의 신성장 동력이 경기도 지역에 비중 있게 소재하고 있으나, 17개 이외의 경기도형 신성장동력을 발굴하여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성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성장을 구현하며, 기존의 첨단산업과 신성장동력간의 융복합화를 통한 성장정책의 시너지 극대화 또한 필요하다. 한편, 본 연구는 정부가 선정한 17개 부문에 대한 검토와 함께 경기도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13개 부문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서, 경기도 신성장동력 선정시 17개 산업부문 이외의 지역 내 첨단산업 등 타산업을 포괄하여 재선정하고 권역별 및 연차별 실천계획을 수립방안도 향후 연구에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17개 부문이외에 광역권 선도사업과 4+9 지역전략산업 등 경기도에 특화된 산업을 중심으로 신성장동력을 선정하고 경제성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는 ‘경기도 녹색성장 계획’을 향후 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의 경기도 지역경제 파급효과와 제도개선 방안

        이상훈,박성훈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9

        신성장 동력부문에 대한 시장전망 및 경쟁가능성과 정부의 신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과제 및 경기도의 신성장동력의 과제를 분석한 후, 정부의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이 경기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경기도의 신성장동력 육성관련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가 선정한 17개 신성장동력이 기술부문과 산업부문이 혼재된 가운데 상호 연관성이 크고 복잡하게 연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복된 기술분야가 존재하며 사업부문간 비중의 편차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기도내 신성장 동력 관련 투자액이 6조9천억원이고 계획대로 투자될 경우 산업 전체적으로는 약 18조8천억원의 생산유발효과를 보일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취업유발효과도 13만 7천명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성장동력의 경우 노동집약적이지 않기 때문에 생산유발효과는 높은데 반해, 취업유발효과는 생산유발효과 대비 상대적으로 낮지만 경기도내 취업유발효과는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성장동력의 전후방 연쇄효과 분석에서 전방연쇄효과인 감응도계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후방연쇄효과인 영향력계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신성장동력산업 발전을 위한 규제개선의 목표를 ‘기업활동 관련 제도의 글로벌 스텐다드화’로 설정하였고, 이를 위한 추진방향으로 첫째, 시장 및 기술수요 창출, 둘째, 첨단화 및 융복합화 추세의 반영, 셋째, 선택과 집중에 의한 재원의 효율적인 배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으로 시장 및 기술수요 창출을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선도적 수요 창출 및 보급확대, 가치사슬(value chain)을 통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파트너십 지원, 규모화에 의한 구조고도화와 제도개선,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첨단화 및 융복합화 추세 반영을 위해서는 바이오 제약관련 제조규정의 선진화, 첨단그린도시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국제기관을 통한 의료서비스 수준 인증 등이 제시되었다. 그 외, 선택과 집중에 의한 자원배분을 위해서는 전략부문에 대한 재정 및 금융 지원 강화, 펀드조성에 의한 바이오산업 지원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전제로 신성장동력과 관련하여 경기도 차원에서 추진될 수 있는 제안될 수 있는 내용은 첫째, 신성장동력 부문 수요공급의 확대를 위한 관련 법 및 제도 개선 추진이다. 둘째, 대기업 투자관련 규제 해소책을 제시하여야할 것이다. 셋째, 신성장동력 부문이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투자를 선택적으로 집중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폐기물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제고이다. 다섯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파트너십을 지원한다. 여섯째, 공공부문의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확대이다.

      • 땅속작물수확기를 이용한 수확작업의 소요동력 및 부하특성

        이주연 ( Ju-yeon Lee ),황석준 ( Seok-joon Hwang ),박정현 ( Jeong-hyeon Park ),남주석 ( Ju-seok Na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밭토양에서 작업조건에 따른 감자 수확작업의 부하특성을 구명하고, 소요동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격 출력 23.7 kW인 트랙터에 땅속작물수확기를 부착하여 수확작업을 수행하였다. 트랙터 주행속도 및 PTO 변속단수(gear stage of PTO)에 따른 엔진출력축, 후차축, PTO축의 회전속도 및 토크부하를 계측하였다.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크에 대한 부하스펙트럼을 작성하고 소요동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후차축 소요동력은 작업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TO축의 소요동력 및 토크부하는 작업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엔진출력축의 소요동력은 작업속도가 감소할수록, PTO의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작업조건에 따른 엔진출력축의 소요동력은 PTO축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부하스펙트럼에서는 토크비의 편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선행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수확작업, 로터리작업, 쟁기작업의 소요동력 특성을 비교하였다. 쟁기작업에서는 견인동력, 로터리작업에서는 PTO동력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작업에서는 PTO 소요동력은 엔진 소요동력의 29∼41%, 후차축의 소요동력은 엔진소요동력의 18∼23%로 로터리작업에 비해 PTO축과 후차축에서 비교적 고르게 동력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트랙터 장착형 일관작업 둥근두둑 복합기의 동력 및 연료소비특성

        김병묵 ( Byung Mook Kim ),구영모 ( Young Mo Ko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과 ‘로컬푸드’ 선호 추세에 따라 경쟁력을 증대하기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집약농업 생력화를 위하여 기존의 농작업 기계들을 하나로 합일시켜 농작업을 일관 수행할 수 있게 복합작업기를 고안하였고 특성분석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요동력과 연료소비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로터리를 기본으로 한 복합작업기의 집약 밭농업에서의 효율적인 작업 운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포장 실험은 PTO회전속도(RPM), 기어단수에 따른 주행속도(SPD), 경심(DEP)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각 3회 반복수행(REP)하였으며 같은 실험을 2회 반복(SET)하였으며 견인력과 주행속도, PTO회전속도, 토크 및 연료소모량을 측정하였으며 소요동력은 견인동력, PTO동력, 구동륜의 축동력의 합으로 계산하였다. 견인동력은 작업속도가 빨라질수록 증가하였고. PTO 동력은 회전속도와 주행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PTO 동력이 증가하였다. 축동력은 견인동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소요동력은 PTO 동력의 경향과 유사하였으며 PTO동력이 소요동력의 60-80%를 구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비체적 연료소비율(Specific volumetric fuel consumption)은 경심이 깊어질수록, PTO 회전속도가 빠를 수록,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소요동력의 증가율이 연료 소비량의 증가율보다 크기 때문에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트랙터의 최저 비체적 연료소비율은 0.31L/kWh 수준으로 최대 동력의 0.72일때로 판단되며 포장실험에서는 작업기의 무게로 인한 정적 후방전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Category Ⅱ 트랙터를 사용하여 최대 출력의 0.5-0.6수준으로 나타났다. Category Ⅰ 트랙터를 사용하여 연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트랙터 전면 평형추(ballast)로서 전방 버킷 로더를 장착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

        해저 동력케이블 보호를 위한 대상 선박 선정에 관한 연구

        이윤석,김승연,유용웅,윤귀호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6

        최근 제주도를 비롯한 도서지역의 전력 사용량 증가 및 해상풍력 발전단지 개발 등으로 인해 해저 동력케이블의 신규 설치가 검토되고 있다. 해저에 설치되는 동력케이블의 보호를 위해서는 선박의 투묘, 주묘, 어로 작업 등에 대한 특성을 기반으로 매설 깊이를 산출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해저 동력케이블 보호를 위한 대상 선박의 규모와 관련된 설계기준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 동력케이블과 유사한 국내 해저배관의 보호를 위한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동력케이블의 설치 환경을 고려한 긴급 투묘의 형태별 분류를 토대로 위험도 매트릭스 모델을 개발하여 보호 대상 선박의 규모를 해당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의 크기별 누적함수 규모에 따라 설계하였다. 해저 동력케이블 보호 기준에는 설치 해역의 수심과 조류 등의 환경 조건, 투묘와 주묘 등과 같은 해양사고 조건 등을 연계하였고, 선박의 운항 환경을 항계, 연안해역과 근해해역으로 구분하여 동력케이블의 구체적인 보호 대상 선박의 규모를 검토하였다. 대상 선박의 규모 결정에 대한 적정성 및 유용성 차원에서 완도에서 제주구간에 신설 예정인 제3호 해저 동력케이블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해저 동력케이블과 해저배관 등의 보호를 위한 대상 선박의 선정 기준은 향후 매설깊이 설정에 따른 앵커 중량 선정은 물론 해저케이블 물리적 보호시스템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submarine power cables is under consideration due to the increase of electric power us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offshore wind farm in island areas, including Jeju. In order to protect power cables installed on the seabed,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burial dept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nchoring, dragging and fishing, etc. However, there is no design standard related to the size of target ships to protect the cables in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sign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domestic submarine pipelines similar to submarine cables, and developed the risk matrix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y emergency anchoring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then designed the size of target ships according to the cumulative function scale by ship size sailing through the sea concerned. Also, we linked marine accident conditions, such as anchoring, dragging, etc.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urrent, sea-area depth of installation etc. to the criteria of the protection of submarine cable, and examined the size of specific target ships by divid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ships into harbor, coastal and short sea. To confirm the adequacy and availability of the size of target ships, we verified this result by applying to No. 3 submarine power cables, which is to be installed in the section from Wando to Jeju Island. This result is expected to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a protection system for submarine cables and pipelines as well as the selection of anchor weigh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burial depth.

      • KCI등재

        ICT기반 신성장동력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기술평가모형을 기반으로 -

        박주연,성창수,박명일,성형석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ICT기반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위한 신성장 동력의 성공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보증기금에서 제시하는 기술평가모형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ICT기반 신성장동력 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경제성과 공공성으로 나누어 효과를 검증하고, 기술평가모형의 요인들 즉, CEO역량, 기술성, 사업성이 기업의 경제성 및 공공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성장동력 산업에 해당하는 기업의 경제성 및 공공성에 대한 파급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사업화 역량은 경제성과 공공성 효과를 증가시킬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의 기술혁신 산업정책의 관리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conomic effects and success factors of ICT based growth engine industry for forth 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KTRS(kibo Technology Rating System) provided by KIBO is used for an analysis of this study. Specifically, the economic effects of growth engine industy are classified with financial(productivity, growth rate, etc) and non-financial(R&D investment and employment) effects. Moreover, the impacts of KTRS factors including CEO capability, technology ability, commercialization and marketability on the economic effects are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raise management issues on technology innov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on industrial policies for ICT based growth engine industry.

      • KCI등재

        주요 농작업에 따른 78kW급 농업용 트랙터의 소요 동력 분석

        김완수,김연수,김택진,박성운,최용,최일수,김영근,김용주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3 No.1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wer requirement of a 78 kW agricultural tractor for the optimal design of a power transmission system. Moldboard plow tillage, disc plow tillage, rotary tillage, baler operation and loader operation are selected as major agricultural operations. The power measurement system is constructed for the driving axle, PTO axle, main hydraulic pump and auxiliary hydraulic pump. The total power requirement for the moldboard plow tillage, disc plow tillage, rotary tillage, baler operation and loader operation are 53.69, 37.50, 65.61, 36.84 and 17.55 kW, respectively. The rotary tillage consumed about 84 % of the engine rated power, with the highest required power compared to other agricultural operations. The power requirement of the driving axle, PTO axle, main hydraulic pump and auxiliary hydraulic pump are 13.6, 31.5, 2.01 and 1.84 kW, respectively. The sum of the power requirements is 48.9 kW, which is 63 % of the engine rated power. 본 연구는 트랙터의 동력전달시스템 최적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78kW급 농업용 트랙터의 소요 동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트랙터 소요 동력 계측시스템은 주요 동력 소모원인 차축, 동력 취출 장치, 주 유압펌프, 보조 유압펌프에 대하여 구축하였으며, 필드시험은 주요 농작업기 5종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몰드보드 플라우, 디스크 플라우, 로타리, 베일러, 로더 작업 시 총 소요 동력은 각각 53.69, 37.50, 65.61, 36.84, 17.55kW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농작업 중 로타리 경운 작업에서 엔진 정격출력의 약 84%의 동력 소모로 가장 높은 소요 동력을 나타냈으며, 로타리 경운 작업 외 주요 농작업별 평균 소요 동력은 엔진 정격출력의 70% 미만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요 동력 소모원별 소요 동력은 차축, PTO 축, 주 유압펌프, 보조 유압펌프에서 각각 13.6, 31.5, 2.01, 1.84kW로 나타났으며, 주요 동력 소모원의 소요 합은 48.9kW로, 정격 출력의 63%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간동력항공기의 항력저감 및 동력증강 설계

        신병준(Byung Joon, Shin),조영희(Young-hee, Jo),김학윤(Hak-Yoon, Ki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기술 Vol.12 No.2

        인간동력항공기의 개념을 분석하여 최고 성능의 인간동력항공기 개발을 위하여 필요시되는 동력증강 및 항력감소 설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12년 인간동력항공기 시범경진대회에 출전하기 위하여 유선형 동체 채택에 의한 항력저감 및 팔과 다리 힘 동시사용에 의한 동력증강개념을 제시하였으며 개념 확인을 위하여 동체의 전산해석 및 동력장치 설계를 수행하였다. 유선형 동체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체형상 설계가 중요하며 팔의 동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종 장치의 설계가 중요하고 비행실험이 요구된다. To achieve the best performance, the concept of drag reduced and power increased Human Power Aircraft(HPA)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HPAs in the world. To participate the "2012 HPA competition" in Korea, the streamlined fuselage and the simultaneous use of hands and feet were introduced. Furthermore the CFD analysis and power unit design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concept.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streamlined fuselage effect, the fuselage shape design is important and to supply the hand power to the power unit, the control system design is important, also the test flight is required for validation.

      • 인간 동력 항공기용 동력시스템 연구

        황오식(Oh-sik Hwang),김형모(Hyungmo Kim),박부민(Poomin Park),조명득(MyeongDeuk Cho) 한국추진공학회 201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인간 동력 항공기는 인간의 근력으로만 비행을 하는 항공기이다. 하지만 인간의 근력은 다른 동력기관에 비해 좋지 못한 동력원이다. 그래서 인간의 근력을 최대한 손실없이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파악하고 인간의 근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 동력 항공기의 동력부를 모사한 아이언버드를 제작하였다. 또한, 아이언버드를 이용하여 조종사의 훈련을 수행하였다. 아이언버드를 이용하여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에 따른 성능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인간 동력 항공기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A human powered aircraft flies using only human muscular strength. The human power is not efficient as power source compared with other engines. So, it is important to use the human power as lossless as possible. For this reason, Ironbird was manufactured by simulating the power system of the human powered aircraft in order to comprehend the mechanism of power transmission and develop the method to deliver the human power to a propeller with high efficiency. It can be also used for training pilo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ronbird, torque and speed were measured with various composition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hese data were used as supporting references to improve the human powered aircraft.

      • 주행속도에 따른 자주식 마늘 수집기의 소요동력 분석

        민이서 ( Yee-seo Min ),이상희 ( Sang-hee Lee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김완수 ( Wan-s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국내 농업 인구 고령화로 인하여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인력 요구가 큰 마늘 수확 작업의 기계화율이 43.8%로 낮아, 현장에 적합한 마늘 수집기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주식 마늘 수집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작업조건별 마늘 수집기의 소요동력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자주식 마늘 수집기는 중량 3,170kg, 엔진 정격출력 44 kW 이며. 변속기는 HST이다. 수집기는 궤도형 주행부, 토양에 삽입되어 작물을 굴취하는 수집부, 굴취된 작물을 톤백이 장착된 기체 후방으로 운송하는 이송부로 구성된다. 수집기 소요동력 계측시스템은 주행부 토크 및 회전속도, 이송부 및 수확부 유량 및 압력, 주행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수집기의 주행부 소요동력은 토크 및 회전속도를 통하여 계산하였고, 이송부 및 수확부의 유압동력은 유량 및 압력을 통해 계산하였다. 수집기 작업 중 실험조건은 수집부 회전속도 45 rpm, 이송부 회전속도 75 rpm, 굴취 깊이 10 cm로 선정하였다. 각 작업부의 작업조건별 소요동력 분석을 위해, 토양 노면 조건에서 주행속도 3수준(0.05, 0.15, 0.25 m/s)에 대하여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주행부 평균 소요동력은 주행속도 0.05, 0.15, 0.25 m/s에서 각각 0.556, 1.789, 3.333 kW, 수집부 평균 소요동력은 주행속도 각각 0.967, 0.989, 1.044 kW, 이송부 평균 소요동력은 각각 1.617, 1.606, 1.550 kW로 나타났다. 주행속도가 증가할 때 유입되는 토양의 증가로 수집부 소요동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수집기 주행속도별 소요동력은 수집기 설계 및 부하 예측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