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을 매개하여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시내,김옥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와 이용자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 관계에서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서비스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종사자의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개선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f Seoul-type Kiwoom Center workers on the service effectiveness of use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6 employees and users of the Kiwoom Center in our Seoul-type neighborho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t the Seoul-type Kiwoom Center in our neighborhood affects service qua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oul-type Kiwoom Center workers affects service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Seoul-type Kiwoom Center workers and the service effectiveness of us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service effectiveness of the Seoul-type Kiwoom Center,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worker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were presented.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미영(Mi Young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동네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계층을 구분 지을 수 있는 동네의 경계를 마련하고, 전체 가구 수에 대한‘빈곤가구비율’(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 비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거쳐, 빈곤계층과 중산층 이상의 계층 간 확연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동네 12곳을 선정하였다.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353부의 설문응답결과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노인 우울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차원들을 동네애착, 이웃과의 유대, 이웃신뢰, 주민조직 참여로 나누어,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동네수준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동네수준 사회경제적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관련해서는 유일하게 동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태도 및 행동 중에서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대한 참여가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 수행되지 않은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이라는 변수를 통해서 분석을 했다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inquire into neighborhood effect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inquiring into literature and the actual pro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Samples were extracted an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with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years old to measure neighborhood effec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mong selected 12 places that were estim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es between the poor and over the middle class. The period of questionnaire distribution was from May 21th to May 31th and total 36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100% due to face to face survey but 353 copies were used as final data by removing unfaithful 7 copies. As a result by analyzing rank linear model to grasp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ach neighborhood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it appeared that neighborhood level dispersion was meaningful. However, socioeconomic status of neighborhood level was shown not to have an meaningful effect statistically. In reference to social capital, it showed that on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of neighborhood affected on depression. The direction of a regression coefficient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ells that the more participating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he lower depression they have.
곽현근 한국행정학회 2004 한국행정학보 Vol.38 No.6
최근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량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자기효능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수준의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독립적으로 개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동네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자원모형과 전염모형을 통해 빈공동네효과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논리로서 동네무질서에 주목하여 자기효능감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 16개 동네 816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빈곤동네는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나 동네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네무질서는 동네효과 및 개인수준의 자기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분석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서울 구로구의 동네 효과(neighborhood effect)가 외국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영향: 집합효율성과 외국인 친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영호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neighborhood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migrants among Korean residents living in Guro-gu, Seoul. The research specifically focuses on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neighborhood instability factors. For purposes of this research, data from the “2020 Guro-gu Resident Survey” and statistics on each dong of Guro-gu from the Seoul Open Data Plaza was pool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mode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migrants in each dong, the aging index, and the divorce rat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perception of migrants. In contras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collective efficacy and the presence of a foreign-national friend had a positive (+) effect. Furthermore, the research went on to confirm the exist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the divorce rate, as well as collective efficacy and the presence of a foreign-national friend. The negative (-) effect of neighborhood factors due to a high concentration of foreign-nationals was effectively suppressed by the positive (+) effect of the presence of a close foreign-national friend, and the interaction effect seen in this case was deemed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recommend community programs and policies that not only strengthen the interac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migrant and non-migrant residents but also simultaneousl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stinct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community and the heterogeneity among different neighborhoods (dong).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구로구 거주 한국주민을 대상으로 동네효과(neighborhood effect)가 외국인에 대한 인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적 요인인 집합효율성과 평소 알고 지내는 외국인 친구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상호작용 효과검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2020 구로구 주민실태조사」 자료와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구로구 동별 자료를 결합하여 다층자료를 구성하였다. 다층모형 분석 결과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로구의 동별 속성이 외국인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는 요인이 유의미하였다. 즉 동네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외국인에 대한 인식은 지역 주민의 요인뿐 아니라 이들이 거주하는 지역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해체이론에 따른 동네효과 요인 중 외국인주민비율, 노령화지수, 이혼율이 이주민에 대한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적 특성 중에서 집합효율성과 평소 알고 지내는 외국인 친구 유무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호작용효과 검증 결과 집합효율성과 빈곤율이, 집합효율성과 이혼율이 각각 유의미하였다. 접촉가설에 따른 요인인 외국인 친구 유무는 외국인거주비율과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외국인 거주 비율에 따른 밀집도 요인의 부(-)적인 영향을 평소 알고 지내는 친구의 정(+)적인 효과가 억제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주민과 선주민의 유대와 상호교류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객관적인 환경과 동별 이질성을 충분히 고려한 지역사회 차원의 정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지방정치 참여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수준분석: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곽현근 한국행정학회 2007 한국행정학보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 neighborhood effect on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in neighborhood level.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political participation as 5 categories including voter turnout in local election. It also uses rate of minimum living expense recipient families in a neighborhood as the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It carries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52 neighborhoods' resi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applied to the final 3,185 data. The result shows there exists a neighborhood effect in terms of its socioeconomic status only on voter turnout so that the lower the neighborhood 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voter turnout will be. As another neighborhood-level variable, the status of residing in apartment area or not also affects voter turnout, contact with public official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group level. Housing ownership, length of residential stay, particip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 community attachment, political efficacy, and government trust as additional individual-level variables appear to be diversly related with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시민의 지방정치 참여와 관련하여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동네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정치참여는 지방선거 투표참여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각 동네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을 사용하였다. 실증연구과 관련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52개 동네를 선정하고, 주민 3,185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5가지 유형 중 지방선거 투표참여와 관련해서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동네일수록 투표참여율이 높다는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수준에서 고려한 동네의 아파트지역 여부도 지방선거 투표참여, 공직자 접촉, 집단수준의 적극적 참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의 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이외에 고려한 주택소유여부, 주거기간, 주민조직참여, 지역사회 애착, 정치적 효능감, 정부신뢰는 정치참여 유형에 따라 다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 아동 양육자의 서비스 효과성을 매개하여 관계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옥녀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4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과 이용아동 양육자의 관계 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효과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서울지역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 125명, 이용아동 양육자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 집단의 경우, 결혼 여부, 직급, 고용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과 이용 아동 양육자의 관계 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효과성의 직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고용 및 근로환경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effect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by workers at the Our Neighborhood Kiwoom Cent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s of children using the service,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is. To conduct the stud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5 workers at the Our Neighborhood Kiwoom Center in Seoul and 125 caregivers of children using the serv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s.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employees at Our Neighborhood Kiwoom Center regarding service qua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based on marital status, rank, and employment statu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workers, the effectiven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using the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of the caregivers of children using the children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Third, a direct mediating effect of service effectivenes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Our Neighborhood Kiwoom Center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s of children using the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for workers.
곽현근(Kwak, Hyon-Kun)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계층의 공간적 집중이 만들어낸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더불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설명변수로서 개인이 인식한 동네무질서를 분석모형에 포함하고 있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동네 52개를 선정하고, 주민 3,204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만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에 기초한 동네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무질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ighborhood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caused by spatial concentrationsof poor population. It also focuses on neighborhood disorder as an explanatory variable fo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For empirical stud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applied to the final 3,204 questionnaires of survey data collected in52 neighborhood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identifies a neighborhood effect only in terms of self-efficacy by showing that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measured by rate of minimum living expenses recipient families in a neighborhood remain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individual-level variables. The neighborhood disorder appears to affect negatively both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conclusion provides some research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곽현근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계층의 공간적 집중이 만들어낸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더불어 자아존중 감과 자기효능감의 설명변수로서 개인이 인식한 동네무질서를 분석모형에 포함하고 있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동네 52 개를 선정하고, 주민 3,204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만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에 기초한 동네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무질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전과자가 인식하는 동네질서와 범죄두려움의 관계: 경찰신뢰와 범죄대응의 매개효과
공정식 한국테러학회 2020 한국테러학회보 Vol.13 No.4
In this study, we assume ex-offenders as vulnerable people who need social support, and people who can also feel fear of crime damage due to neighborhood disorder. Of course, just because ex-offenders feel threatened with crime does not justify their crimes. However, ex-offenders are also vulnerabl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f community stagmize and isolate them, it is more likely that ex-offenders recidivate. Therefore, we assume that police trust and crime response would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order and fear of crime perceived by ex-offenders. Domestic studies have mostly viewed ex-offenders as perpetrators and not as victims of criminal fears. However, foreign studies consider ex-offenders as victims who are also afraid of crimes, which is the preposition of the study.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ex-offenders perceive the neighborhood as chaotic, the greater the fear of crime. Moreover, lower trust of police and weaker crime response have been found to have double-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order and fear of crime. However, neither police trust nor criminal fears had mediating effec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we provide various suggestions. Specifically we suggest regional policies to enhance the collective efficiency of local residents, criminal policies that consider active police activities, which is a factor that increase the trust of local residents. Moreover, criminal policies that enhance the individual's ability to respond to crimes by enhancing the police confidence of local residents, development of manuals for crime response by individual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expansion of the national budget for social adjustment of vulnerable ex-offenders are also recommended. 본 연구에서는 전과자들을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으로 인식하고, 이들도 동네의 무질서로 인하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고 가정한다. 물론 전과자들이 범죄두려움을 느낀다고 해서 그들이 범한 죄가 정당화될 수는 없다. 그러나 전과자들도 취약계층이고 지역사회의 구성원이다. 지역사회가 그들을 낙인찍고 배척할수록 전과자들은 다시 재범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에 전과자가 인식하는 동네질서와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경찰신뢰와 범죄대응이 매개효과를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전과자들에 대하여 대부분 가해자로만 연구되었고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피해자로 인식하여 연구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외국의 선행연구에서는 전과자도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피해자 관점에서 접근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전과자들도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범죄두려움이 높아진다는 가설은 채택되었고, 전과자들이 동네질서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고, 이어서 개인차원의 범죄대응력의 약화에도 영향을 주는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며, 이는 범죄두려움을 높인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반면에 동네질서는 경찰신뢰를 매개로 하여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 그리고 동네질서는 범죄대응을 매개로 하여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동네 주민들의 집합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정책, 동네 주민들에게 경찰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는 요인은 적극적인 경찰활동이라는 점을 고려한 형사정책, 동네 주민의 경찰신뢰를 높여서 개인의 범죄대응력을 강화하는 형사정책, 개인적 차원에서의 범죄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범죄유형별 개인의 범죄대응 매뉴얼 개발, 취약계층인 전과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국가예산 혁신적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전라북도 청년층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가구소득 효과에 대한 동네환경, 사회관계, 사회활동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김재우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3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young adults in Jeollabuk-do and to analyze whether and how the effect of household income changes depending on perceived neighborhood conditions,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primary group member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ased on stratification by gender and age reflecting the substantial heterogeneity of the targeted population, we conduct subgroup analysis of the sampled residen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in 2015. The main results related to the focal variables of our interest are as follows. First, household income is a crucial factor in the life satisfaction of adults in 20s and females in 30s except males in 30s, with the highest strength of association among males in 20s. Second,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regular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groups are more significantly coupl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adults than the frequency of offline contact with family, friends, or neighbors: particularly, there are greater positive impacts of neighborhood social capital and activities in religion, companionship and volunteering among men in 20s and of activities in religion, companionship and recreation among women in 30s. Lastly, the dependency of life satisfaction on material wellbeing for males in 30s is rather enhanced by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neighborhood amenities. On the contrary, the household incom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mong men in 20s tends to attenuate considerably with increased interactions with others in primary group and mor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Social activities only appear to play such a buffering role among women in 30s. Focusing on these two types of moderation, we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key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청년들의 삶에 대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동네환경에 대한 인식, 1차 집단 구성원들과의 교류 정도, 사회적 활동 참여 수준에 따른 가구소득 효과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중 전라북도 청년 전체 표본을 사용하였으며, 청년층 내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성별, 연령별로 층화한 후에 하위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한 요인들과 관련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구소득은 30대 남성을 제외한 20대 남녀 및 30대 여성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여타 변수들과 비교할 때 20대 남성에게 가장 결정적이었다. 동네환경 요소들에 대한 만족도와 다양한 사회적 모임의 정기적 참여는 가족, 친구, 이웃과의 직접적인 만남이나 연락 빈도보다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더 유의미하게 결부되어 있었다. 특히 20대 남성의 경우 동네 사회자본과 종교·친목·자선봉사활동, 30대 여성의 경우에는 종교·친목·여가활동의 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었다. 한편 30대 남성 사이에서는 동네의 물리적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삶의 만족도의 소득 의존성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 존재하였다. 20대 남성의 경우 가구소득 효과에 대한 사회관계 및 사회활동의 조절 효과가, 30대 여성에게는 사회활동에 의한 조절 작용이 나타났다.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소득의 영향력은 1차집단과의 접촉 빈도나 사회활동성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띤다. 끝으로 이와 같은 상승 작용과 완충 작용에 초점을 맞춰 본 논문의 핵심적 발견이 가지는 정책적 함의를 논의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