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미영(Mi Young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동네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계층을 구분 지을 수 있는 동네의 경계를 마련하고, 전체 가구 수에 대한‘빈곤가구비율’(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 비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거쳐, 빈곤계층과 중산층 이상의 계층 간 확연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동네 12곳을 선정하였다.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353부의 설문응답결과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노인 우울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차원들을 동네애착, 이웃과의 유대, 이웃신뢰, 주민조직 참여로 나누어,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동네수준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동네수준 사회경제적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관련해서는 유일하게 동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태도 및 행동 중에서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대한 참여가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 수행되지 않은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이라는 변수를 통해서 분석을 했다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inquire into neighborhood effect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inquiring into literature and the actual pro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Samples were extracted an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with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years old to measure neighborhood effec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mong selected 12 places that were estim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es between the poor and over the middle class. The period of questionnaire distribution was from May 21th to May 31th and total 36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100% due to face to face survey but 353 copies were used as final data by removing unfaithful 7 copies. As a result by analyzing rank linear model to grasp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ach neighborhood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it appeared that neighborhood level dispersion was meaningful. However, socioeconomic status of neighborhood level was shown not to have an meaningful effect statistically. In reference to social capital, it showed that on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of neighborhood affected on depression. The direction of a regression coefficient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ells that the more participating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he lower depression they have.

      • KCI우수등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곽현근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6

        최근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량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자기효능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수준의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독립적으로 개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동네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자원모형과 전염모형을 통해 빈공동네효과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논리로서 동네무질서에 주목하여 자기효능감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 16개 동네 816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빈곤동네는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나 동네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네무질서는 동네효과 및 개인수준의 자기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분석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동네효과 분석: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윤 ( Hui Yun Kim ),백학영 ( Hak Young Bae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0 사회복지정책 Vol.37 No.3

        본 연구는 동네환경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즉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한 동네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동네환경에 따라 부모의 교육적 관여 행동의 체계적인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한 교육적 관여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영구임대주택 거주기간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은 개인, 가족수준의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한 동네효과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발달의 주요한 지표 중에 하나인 학업성취 문제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접근에서 아동이 거주하는 동네환경이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한 동네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교육적 관여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의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and also estimates the pathway of this focusing on the role of parental involvement.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duration of living on public housing, high-poverty area,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is relationship lasts even after controlling individual and family-level variables(household income, family structure, welfare dependence, etc). Also, results from this study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living on public housing and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is mediated by the parental involve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in tackling educational attainment, one of the critical index of child development, we should consider not only individual and family-level factors but also the rol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Moreover, w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enhance the level of parental involvement to allevi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high-poverty neighborhood.

      • KCI등재

        서울 구로구의 동네 효과(neighborhood effect)가 외국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영향: 집합효율성과 외국인 친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영호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neighborhood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migrants among Korean residents living in Guro-gu, Seoul. The research specifically focuses on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neighborhood instability factors. For purposes of this research, data from the “2020 Guro-gu Resident Survey” and statistics on each dong of Guro-gu from the Seoul Open Data Plaza was pool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mode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migrants in each dong, the aging index, and the divorce rat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perception of migrants. In contras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collective efficacy and the presence of a foreign-national friend had a positive (+) effect. Furthermore, the research went on to confirm the exist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the divorce rate, as well as collective efficacy and the presence of a foreign-national friend. The negative (-) effect of neighborhood factors due to a high concentration of foreign-nationals was effectively suppressed by the positive (+) effect of the presence of a close foreign-national friend, and the interaction effect seen in this case was deemed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recommend community programs and policies that not only strengthen the interac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migrant and non-migrant residents but also simultaneousl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stinct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community and the heterogeneity among different neighborhoods (dong).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구로구 거주 한국주민을 대상으로 동네효과(neighborhood effect)가 외국인에 대한 인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적 요인인 집합효율성과 평소 알고 지내는 외국인 친구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상호작용 효과검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2020 구로구 주민실태조사」 자료와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구로구 동별 자료를 결합하여 다층자료를 구성하였다. 다층모형 분석 결과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로구의 동별 속성이 외국인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는 요인이 유의미하였다. 즉 동네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외국인에 대한 인식은 지역 주민의 요인뿐 아니라 이들이 거주하는 지역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해체이론에 따른 동네효과 요인 중 외국인주민비율, 노령화지수, 이혼율이 이주민에 대한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적 특성 중에서 집합효율성과 평소 알고 지내는 외국인 친구 유무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호작용효과 검증 결과 집합효율성과 빈곤율이, 집합효율성과 이혼율이 각각 유의미하였다. 접촉가설에 따른 요인인 외국인 친구 유무는 외국인거주비율과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외국인 거주 비율에 따른 밀집도 요인의 부(-)적인 영향을 평소 알고 지내는 친구의 정(+)적인 효과가 억제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주민과 선주민의 유대와 상호교류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객관적인 환경과 동별 이질성을 충분히 고려한 지역사회 차원의 정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방정치 참여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수준분석: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곽현근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 neighborhood effect on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in neighborhood level.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political participation as 5 categories including voter turnout in local election. It also uses rate of minimum living expense recipient families in a neighborhood as the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It carries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52 neighborhoods' resi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applied to the final 3,185 data. The result shows there exists a neighborhood effect in terms of its socioeconomic status only on voter turnout so that the lower the neighborhood 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voter turnout will be. As another neighborhood-level variable, the status of residing in apartment area or not also affects voter turnout, contact with public official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group level. Housing ownership, length of residential stay, particip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 community attachment, political efficacy, and government trust as additional individual-level variables appear to be diversly related with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시민의 지방정치 참여와 관련하여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동네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정치참여는 지방선거 투표참여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각 동네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을 사용하였다. 실증연구과 관련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52개 동네를 선정하고, 주민 3,185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5가지 유형 중 지방선거 투표참여와 관련해서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동네일수록 투표참여율이 높다는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수준에서 고려한 동네의 아파트지역 여부도 지방선거 투표참여, 공직자 접촉, 집단수준의 적극적 참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의 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이외에 고려한 주택소유여부, 주거기간, 주민조직참여, 지역사회 애착, 정치적 효능감, 정부신뢰는 정치참여 유형에 따라 다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공동체의 형성이 주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종수(李鍾秀) 한국지방자치학회 2018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0 No.2

        세계화 시대에 공동체는 하나의 선택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시장(市場)의 힘과 세계화의 원심력 속에서 공동체는 약화되고 있지만, 이것이 인간의 행복에 갖는 함의는 중요한 연구와 실행과제를 남겨주고 있다. 다른 일각에서 공동체를 선택이 아닌 하나의 규범적 당위로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그 효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은 많지 않다. 사회자본이론이 공동체적 특성을 지역발전의 관점에서 주목하는 이론이라면, 관계재(relational good)이론과 친밀권역 이론은 공동체 형성의 효과를 인간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정 지역 안에 공동체성이 강화됨으로 나타나게 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동네효과’(community effect)라 명명하고, 그 가운데 행복에 미치는 공동체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동네효과의 실재여부를 확인한 후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도시지역 내에서의 그룹 활동, 문화생활을 위한 어울림, 자원봉사 활동, 지역애착의 요소가 친밀권역으로서 공동체를 구성하고, 이들 요인들이 주민의 행복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개념적으로 중요성을 보유하나, 본 연구에서는 분석 단위의 상이함으로 말미암아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고,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공동체가 활성화 된 지역의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재 이론과 친밀권역 개념이 제기하는 시각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ommunity tends to be treated as a matter of personal choice in the era of globalisation. Though some of academics illuminate the issue of community as a normative Sollen, it is not easy to prove the need and necessity of community in an empirical world. Social capital theory was an example which considered local community as a source of regional development by focusing on such elements as trust and networks. Recently relational goods theory and intimacy sphere perspective provides with a good point through which we examine the ‘community effects’.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community on residents’ happiness. After exploring the existence of community effects and the study examines the community effects on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local residents feel in that community.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community building increases the level of local residents’ happiness. At the same time, it can be improved by group activities, cultural satisfaction and voluntary works. These factors transform locality into an intimate sphere which makes local residents feel happy. It seems worthy to apply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al goods theory and intimate sphere concept to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mes in the future.

      • KCI등재

        소속동네의 빈곤이 주민들의 이웃관계에 미치는 맥락효과 : 동네의 거주불안정성 및 무질서의 영향을 중심으로

        탁장한 ( Jang Han Ta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2

        연구는 이웃관계가 냉각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동네의 빈곤상태가 그곳에 거주하는주민들의 이웃관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context)으로서 기능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렇다면 효과가 어떠한 방향성과 기제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2010)에서 포괄하는 680개 읍·면·동 및 16,557명의 주민들을대상으로 2수준 다층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주로 동네빈곤과 이웃관계의 부적관계를 상정하는 사회해체이론의 예측과는 달리 소속동네가 빈곤할수록 주민들의 이웃관계가 긍정적으로 보고되었으며, 동네수준 거주안정성의 증가가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부분 혹은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들 결과를 토대로 주민조직화사업, 동네재생사업 등 이웃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 개입의 지점들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neighborhood poverty functions as a context ofresidents’ neighborship in our society where neighborship has been chilled recently. Soit deals with the directivity and mechanism of contextual effects. In order to solve theresearch questions, 2-level multi-mediation analysis was done with 680 neighborhoodsand 16,557 individuals in the data called ‘Korean Crime Victim Survey(2010).’The study results tell us that the poorer the neighborhood, the higher the degreeof neighborship, which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expectation according to socialdisorganization theory. Also the increase of neighborhood-level residential stability wasfully or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hood poverty andneighborshi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oints of theeffective interventions improving neighborship, such as community organizing andcommunity renewal projects.

      • KCI등재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 연구

        곽현근(Kwak, Hyon-Kun)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계층의 공간적 집중이 만들어낸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더불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설명변수로서 개인이 인식한 동네무질서를 분석모형에 포함하고 있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동네 52개를 선정하고, 주민 3,204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만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에 기초한 동네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무질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ighborhood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caused by spatial concentrationsof poor population. It also focuses on neighborhood disorder as an explanatory variable fo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For empirical stud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applied to the final 3,204 questionnaires of survey data collected in52 neighborhood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identifies a neighborhood effect only in terms of self-efficacy by showing that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measured by rate of minimum living expenses recipient families in a neighborhood remain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individual-level variables. The neighborhood disorder appears to affect negatively both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conclusion provides some research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 연구

        곽현근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계층의 공간적 집중이 만들어낸 동네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더불어 자아존중 감과 자기효능감의 설명변수로서 개인이 인식한 동네무질서를 분석모형에 포함하고 있다. 실증분석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동네 52 개를 선정하고, 주민 3,204명의 설문응답결과에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만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비율에 기초한 동네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동네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네무질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과자가 인식하는 동네질서와 범죄두려움의 관계: 경찰신뢰와 범죄대응의 매개효과

        공정식 한국테러학회 2020 한국테러학회보 Vol.13 No.4

        In this study, we assume ex-offenders as vulnerable people who need social support, and people who can also feel fear of crime damage due to neighborhood disorder. Of course, just because ex-offenders feel threatened with crime does not justify their crimes. However, ex-offenders are also vulnerabl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f community stagmize and isolate them, it is more likely that ex-offenders recidivate. Therefore, we assume that police trust and crime response would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order and fear of crime perceived by ex-offenders. Domestic studies have mostly viewed ex-offenders as perpetrators and not as victims of criminal fears. However, foreign studies consider ex-offenders as victims who are also afraid of crimes, which is the preposition of the study.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ex-offenders perceive the neighborhood as chaotic, the greater the fear of crime. Moreover, lower trust of police and weaker crime response have been found to have double-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order and fear of crime. However, neither police trust nor criminal fears had mediating effec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we provide various suggestions. Specifically we suggest regional policies to enhance the collective efficiency of local residents, criminal policies that consider active police activities, which is a factor that increase the trust of local residents. Moreover, criminal policies that enhance the individual's ability to respond to crimes by enhancing the police confidence of local residents, development of manuals for crime response by individuals on the individual level, and expansion of the national budget for social adjustment of vulnerable ex-offenders are also recommended. 본 연구에서는 전과자들을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으로 인식하고, 이들도 동네의 무질서로 인하여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고 가정한다. 물론 전과자들이 범죄두려움을 느낀다고 해서 그들이 범한 죄가 정당화될 수는 없다. 그러나 전과자들도 취약계층이고 지역사회의 구성원이다. 지역사회가 그들을 낙인찍고 배척할수록 전과자들은 다시 재범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에 전과자가 인식하는 동네질서와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경찰신뢰와 범죄대응이 매개효과를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전과자들에 대하여 대부분 가해자로만 연구되었고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피해자로 인식하여 연구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외국의 선행연구에서는 전과자도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피해자 관점에서 접근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전과자들도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범죄두려움이 높아진다는 가설은 채택되었고, 전과자들이 동네질서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고, 이어서 개인차원의 범죄대응력의 약화에도 영향을 주는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며, 이는 범죄두려움을 높인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반면에 동네질서는 경찰신뢰를 매개로 하여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 그리고 동네질서는 범죄대응을 매개로 하여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동네 주민들의 집합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정책, 동네 주민들에게 경찰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는 요인은 적극적인 경찰활동이라는 점을 고려한 형사정책, 동네 주민의 경찰신뢰를 높여서 개인의 범죄대응력을 강화하는 형사정책, 개인적 차원에서의 범죄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범죄유형별 개인의 범죄대응 매뉴얼 개발, 취약계층인 전과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국가예산 혁신적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