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남아의 시따, 인도의 시따: 여성주의 관점의 비교연구

        이옥순 ( Lee Ock-soon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3

        이 논문은 인도에서 탄생하여 동남아에 전파된 대서사시 라마야나의 여주인공 시따가 동남아와 인도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해석되었는지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비교한다. 인도와 동남아의 문화에 큰 영향을 준 라마야나는 많은 관련연구를 촉발했으나 대다수연구는 시따에게 주목하지 않았다.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이 늘면서 남성중심의 서사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현실을 고려하고, 동남아 여성이 (인도 여성보다) 사회적 위상이 높다는 주장도 검증하는 본 논문이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남아에서는 발미끼의 라마야나보다 비주류 버전-자이나교, 카슈미르 버전 등-의 영향이 더 많고, 이들 버전에서 시따는 라바나의 딸이며 라바나의 초상화를 그렸다고 추방된다. 시따의 정절을 증명하는, 이른바 `불의 심판`에 집중되는 발미끼의 버전들과 달리 이들 라마야나에서는 라마의 질투가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동남아 여성들이 인도여성과 달리 사회적으로 (性的으로도) 자유롭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동남아의 라마야나들에서는 시따를 위한 행복한 결말이 많다. 그 이유는 여성이 높은 지위와 능동적 삶을 누린 동남아에서 시따가 자살하지 않고 행복한 결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시따에 대한 대중의 상상은 믿음체계와 연계되는데, 인도는 가부장적 질서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려는 사회문화적 압박이 강한 반면에, 상대적으로 이런 부담이 적은 동남아에서 시따가 라마와 재결합할 수 있는 결말이 가능했던 것이다. 셋째, 그럼에도 동남아에서 남성중심의 라마야나에 대한 전복적 측면이 인도보다 도드라지는 건 아니다. 동남아 버전들도 아내의 정절을 의심하는 라마의 부당한 처사와 그로 인한 시따의 비극이 주요 서사이고, 진보적 관점의 라마야나들도 여성을 위한 새로운 해석과 관점을 제시하기보다 기존의 윤리와 편견을 약간 전도(顚倒)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여성의 문제가 당대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방식을 넘어설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시따가 아름다움의 상징이자 정절을 지키는 이상직인 여성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인도와 동남아의 라마야나들은 본질적으로 남성중심이다. 요컨대, 동남아의 라마야나들이 인도 버전의 라마야나들보다 친(親)여성적이지만 남녀평등의 패러다임을 함유할 정도로 급진적이진 않다. 동남아에 전파된 라마야나에는 현지인의 전통과 문화가 풍부하게 가미되었으나 여주인공 시따와 관련해서는 인도-동남아의 라마야나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the interpretation and portrayal of Sita in Southeast Asia and in India, the heroine of great epic Ramayana which was born in India and spread to Southeast Asia, in feminist perspectives. The influential epic Ramayana on Southeast Asian culture resulted many related studies but most of them did not focus on what and who was Sita. Getting grow the number of educated women, it is inevitable to consider the critics on the male centered narratives in reality. And as such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idea that Southeast Asian woman enjoy higher social position than that of Indian woman.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ny Southeast Asian versions of Ramayana are not based on Valmiki`s version, but on Jain version or some other periphery Ramayanas. And in those versions, Sita is a daughter of Ravana, being expelled for the reason of drawing Ravana`s portrait. Apart from the Valmiki version which is focused on `fire ordeal` to prove Sita`s chastity, Southeast Asian versions do not treat Rama`s jealousy to his wife`s sexuality directly. It might be the reason for those Southeast Asian women enjoyed more freedom than that of Indian women socially and sexually. Second, among Southeast Asian versions the story was made happy ending for Sita. It could be possible for Sita not to commit suicide but to enjoy her life in the place where women lived positive way with reasonable position in history. The sincerity of Sita which is related to public imagination was quite something in India where the socio-cultural pressure to control the female sexuality to keep the patriarchal order was significant. But in Southeast Asia the pressure was not so much serious and thus Sita could be reunited with Rama and lived happily ever after. Third, Southeast Asian versions do not show any crucial overturn the male-centered narratives with all those evolution of the story on behalf of Sita. Still, the main theme of those versions was the tragedy of Rama`s doubt on sita`s chastity and its inappropriateness. The progressive perspectives of some Indian and Southeast Asian versions of Ramayana on women also limited to suggest little betters on ethics and prejudice rather than bring up totally new ideas or reinterpretations. It is because woman related agendas could not come up for discussion, something beyond the socially permissible bounds at the time. On the point that Sita was depicted as the symbol of beauty and the ideal of chastity indicated Ramayanas are male-centered epic per se both Valmiki versions and Southeast Asian versions together. To make it clear, though Southeast Asian versions tended to pro-feminine, as long as the paradigm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was not connoted in the narratives, they could not be more progressive than that of Indian counterparts. It is true that the Ramayanas in Southeast Asia shaped full of local senses of tradition and culture but in relation to Sita and her position, there was no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Indian versions and Southeast Asian versions.

      • KCI등재

        동남아 한류드라마의 한국고전문학 재생산과 한(韓)ㆍ동남아(東南亞) 서사코드

        권도경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3 아태연구 Vol.20 No.1

        The starting point in this paper is what only certain partial works among a lots of Korean wave drama, are popular in the Southest Asia. What the word “certain” means isn’t related with the material, but the type. This paper confirmed in the dimension of typical category that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s are reproduced in a group of the Southeast Asian Korean wave drama. What is the standard dividing the category, is the types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It fixed the standard of the category as cheongisoseol(傳奇小說)· jaehagainsoseol(才子佳人小說)· Kongjuee Patjuee cheon(콩쥐팥쥐전)· yeoseongyeongungsoseol(女性英雄小說)· yeongungsoseol(英雄小說). This paper classified the Southeast asian Korean wave drama into the above five categories and discover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ch type in it. The finding is what only certain partial works among a lots of korean wave drama, is popular in the Southest Asia n the memory of the narrative code that Korea and the Southeast Asia shared in the medievaltimes. 본 연구는 하필이면 수많은 한류 드라마 작품들 중에서 특정한 일부의 작품들이 동남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데서 출발했다. 여기서 의미하는 ‘특정한’이란 비단 소재 차원이 아니라 유형 차원을 의미한다. 일군의 동남아 한류드라마 속에서 한국고전서사가 재생산 되고 있다는 사실을 유형 범주의 차원에서 확인하였다. 여기서 우선 범주 구분의 기준이 된 것은 한국고전서사의 대표격인 고소설의 양식 범주다. 전기소설·재자가인소설·계모형 가정소설·여성영웅소설·영웅소설 범주 기준에 속하는 동남아 한류드라마를 분류한 뒤에 각 고소설의 고전서사원형의 양식적 특징을 그 속에서 확인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상기 다섯 가지 고소설 장르를 분지시키는 양식적 지표들을 각 범주에 귀속시킨 동남아시아 한류드라마 속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 소설 · 재자가인소설 · 계모형 가정소설·여성 영웅 소설 · 영웅소설과 본고가 유형 분류한 동남아 한류드라마들이 동일한 양식적 지표들을 공유하고 있었다. 본고는 이처럼 한국고전서사원형을 재생산한 드라마 작품들이 하필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수용된 동남아 한류드라마 범주를 형성하게 된 배경을 한국과 동남아시아가 중세시기에 특정한 고전서사문학을 공유했던 향유코드의 기억에서 찾았다.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는 시기에, 한(韓)·동남아(東南亞) 사이에 존재했던 전기소설·재자가인소설·여성영웅소설·영웅소설, 그리고 유사 설화 공유 코드가 한국고전서사를 재생산한 동남아 한류드라마의 향유 배경이 되었다고 보았다.

      • KCI등재

        한국 사과의 동남아시아 수출경쟁력 강화 방안

        조재환 ( Jae Hwan Cho ),김진수 ( Jin Soo Kim ),이한성 ( Han Sung Lee ),김태균 ( Tae Kyun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1

        우리나라 사과 재배면적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년 이후부터 국내 사과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폭락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사과가격 지지의 일환으로 사과 수출증대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반면에 한국사과 수출의 신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우 한국산 사과 제품속성에 대해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갖고 있다. 더욱이 중국의 경우 사과 수출이 연평균 16.47%씩 성장하여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우리나라 사과 수출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사과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시장에서의 한국 사과의 수출경쟁력 평가와 수출요인 규명 작업을 토대로 우리나라 사과를 지속적으로 수출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과 수출의 신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시장에 대한 우리나라 사과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한국산 사과에 대한 수입수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한국 및 세계 사과의 생산과 수출 동향과 한국사과 수입국의 사과수입 동향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수출경쟁력 분석을 위해서는 가격경쟁력, 기술경쟁력과 함께 현시비교우위지수, 현시경쟁우위 지수를 산출하여 이를 경쟁국들과 비교한다. 그리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한국산 사과에 대한 수입수요 분석을 위해서는 사과가격, 환율, 지출 등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행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해서 향후 국내산 사과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건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한국 사과의 수출가격은 일본산 사과 수출가격 다음으로 높아 경쟁국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낮은 수준이며, 단위면적당 생산량으로 본 기술경쟁력에 있어서도 경쟁 국가들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국은 RCA가 1보다 작게 나타남으로써 사과품목이 여타 품목에 비해 비교우위에 있다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출 경쟁력이 급격히 쇠퇴하고 있어, 중국과 일본의 경우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의 한국사과 수입수요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과 수출량의 증감은 환율과 수출가격에 의해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사과산업의 국제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한국 사과수출이 위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남아시아 수입국의 소득 및 지출 증대에 따라 한국산 사과 수입이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한국 사과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품질을 높이고 가격은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생산자들은 수출물량의 확보와 생산비절감을 통해 생산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고 기술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해야 하며, 정부에서는 물류비와 수출 부대비용에 대한 지원의 검토가 필요하다. 동남아시아 소비자들의 소득 및 지출 증대에 따라 한국산 사과 수입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수출가격 인하 노력과는 별도로 품질향상 측면에서 수출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사과의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수출마케팅 활성화 방안으로는 사과수입국별 선호체계에 부합하는 사과 수출농가의 조직화ㆍ규모화 추진, 사과수출 마케팅 보드의 운영, 수출대상국의 검역기준에 대한 농가지도 등을 들 수 있다. Area under cultivation of apple has been growing fast since mid-2000 in Korea and apple price is likely to fall sharply in domestic market in the near future. Exporting appl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to overcome the drop of apple price. Export of Korean apple amounted to 11~18 thousand tons during the late 1980s, but it decreased drastically to 1.3 thousand tons in 2007. On the contrary, apple export of competing countries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competitiveness and import demand of Korean apple in southeast Asian markets which are emerging as a target export market of Korean apple. To be more specific, trend of production and export of Korean apple and worldwide apple were examined. For the competitiveness analysis, export price, productivity, and 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of Korean appl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peting countries such as China, Australia, and so on.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estimate the demand for Korean apple of southeast Asian consumers using FAO statistical data. Finally, policy suggestions were derived based upo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Korean apple has lower export competitiveness in terms of price and productivity compared to other apple-exporting countries to southeast Asian markets. Export price is higher than any other competing countries except Japan while productivity is at a low level. The RCA is smaller than one which means Korean apple does not have comparative advantage among the whole export products from Korea. Moreover,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apple has kept on worsening.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exports of Korean apple to southeast Asian markets are critically affected by the export price and exchange rate with the demand elasticities of export price and exchange rate 0.97 and 1.37, respectively. Demand elasticity of expenditure turned out to be 0.43 which means that as one percent of southeast Asian consumers` expenditure increases, 0.43 percent of demand for Korean apple increases. Also, it turned out that export of Korean apple decreases, as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apple increas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policy suggestion is derived to promote exports of Korean apple to southeast Asian markets. First of all, export price of Korean apple should be lowered whereas quality should be improved. Producers should try to secure the quantity of apple to a certain amount for export, lower the production costs of export apple, and enhance the productivity of apple production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Korean government need to support distribution costs and other incidental costs to apple exports. For quality improvement, secure quality contro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export apple. Quality should be improved to meet the tastes of importing countries` consumers. Incentives need to be provided to the farmers who produce and export high quality apple. Above this, foreign market developing commission is necessary to promote Korean apple to southeast Asian markets and the buyers. They should maximize their performance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and conduct differentiated promotion according to individual importing country`s situation and its consumers` taste. Database also need to be established for buyers of importing country. Apple marketing board consisting of apple export experts is need to be reviewed for specialized apple export. The board should play a role of unified channel of Korean apple export. The board should take charge of entire process from post-harvest to export so that farmers can devote themselves to producing apple.

      • KCI등재

        한국 동남아 국제개발협력 연구 동향 분석: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 고찰

        김소연 ( Kim So-yeun ),강하니 ( Kang Ha-nee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2

        2000년대 이후,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본격적 확대와 더불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활동과 연구 또한 상당한 발전을 경험해 왔다.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는 단기간 내에 양적으로 성장하였으나,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시각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 연구는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동남아시아 지역 관련 국제개발협력 연구의 시기별, 주제별 특성 등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학술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이슈를 다룬 논문 수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넘어 개발협력, 국제개발로 연구영역이 확장되었으며, 세부 연구주제들도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남아 지역의 현지 사례를 통해 국제개발/개발협력의 인식론적 깊이를 더하는 연구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여, 그간 학술연구의 폭은 넓어졌으나 깊이는 깊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현실비판적/기초학문형 (비판적/대안적) 연구가 지닌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현재 실용적 관점 중심의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명확히 직시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주류 담론과 레짐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현지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발/발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고민과 성찰을 다룬 학제적 연구의 발전 가능성 또한 제시한다. Domestic debat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hitherto been rather more focused on the narrow topic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therefore,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enquiries for the former’s effective implementation have dominated the field as a result. However, such lack of foundational debates on ‘development’ has rendered the field inept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development landscape since the new millennium both globally and in Southeast Asia. With this particular problematique in mind, the paper argues for the utility of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in enriching theoretical debates in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studies. In doing so, we analysed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published since 2000, of which theme concern international development with a specific geographical focus on Southeast Asia. The result shows that such publication and the thematic issues have witnessed rapid quantitative growth since 2007 - while the nature of the publications still clearly remained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ODA. We therefore propose the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to overcome the problematique above by emphasising more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hat challenge the hegemonic paradigm in the field.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김희숙 한국동남아학회 2019 동남아시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 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 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 들이주로국제및경제, 문화영역에편중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통해한국의언론담론속에서동남아가중국과미국, 일본등의강 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 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 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관계비중이높은일부국가들에대한편중성이크다는점이다. 이러한현상 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 가있는것으로, 언론및대중담론과학술담론사이에간극이나지체는없는지 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 KCI등재

        외연의 확대, 지평의 확산: 동남아 미술 연구 10년

        강희정 ( Kang Heejung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3

        이 글은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2008년 이래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약 10년간 동남아시아 지역학 분야에서의 동남아 미술 연구를 검토했다. 이 연구들은 동남아의 미술을 어떻게 다뤘는지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검토했다. 이 기간에 발표된 동남아시아 미술 연구 논문은 50편이며, 베트남 미술과 인도네시아 미술에 관한 논문이 다수를 점한다. 11개국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전문적인 분야라는 점에서 연구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짧은 기간에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음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자기와 조각에 집중된 제한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이 기간의 연구는 불균형한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와 동남아 지역 연구 환경을 살펴보면 지역별,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지난 10년간 동남아 미술 관련 연구가 발전을 거듭했지만 연구 분야와 대상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역학의 한 분야로서 동남아 미술 연구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There was few research deal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or the arts of Southeast Asia before, however many articles and books on the arts of Southeast Asia were published since 2008. There are more than 50 papers dealing Southeast Asian art during the period. It was Vietnamese ceramics and the Buddhist relics of Indonesia which paid attention among those articles. This was relevant to the launching of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07. A study on Southeast Asian arts from each of eleven countries is difficult t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quite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At this point we can say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are developed in an unbalanced extent in the limited area focused on ceramics and sculptures. Over the past decade,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has developed, but we still need more experts in specific regions and fields. For establishing the art history as a field of regional studies,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specialists in each region for the profound and balanced understanding the value of Southeast Asian art.

      • KCI등재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김이재(Kim, Ej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를 고찰하였다. 한국 사회과 교과서의 세계지리 영역에서 동남아가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 추이와 함께 그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고, 특히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관련 서술 내용과 동남아가 재현되는 방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대 한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중에서 교수요목기(1945년∼1954년) 교과서의 동남아 지역 비중이 가장 높았고, 동남아에 대한 설명도 비교적 충실했다. 이는 당시 지리교육이 인문지리 및 자연지리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고, 미국식 사회과 교육의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았기에 가능한 방식이었다. 둘째, 1차 교육과정 이후 한국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동남아 관련 내용 비중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동남아에 대한 내용 서술도 부실해졌다. 또한 여전히 제국주의 시선에 갇힌 교과서는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시키고 급변하는 동남아의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여러 문제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셋째, 최근 정부 주도로 다문화 교육이 강조되며,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화려한 축제나 음식을 통해 동남아를 소개하고 있으나, 오리엔탈리즘에 오염된 내용을 피상적인 관광객 접근법에 의해 제시함으로써 부티크 다문화주의에 그치는 한계를 지닌다.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넘어 동남아의 현실과 잠재력을 정확하게 포착하려면 지리적 상상력을 적용한 참신한 교육 소재와 콘텐츠 개발이 시급해 보인다. Since 1945, researchers have analyzed the changing contents of Southeast Asian textbooks, by focusing on Korean primary schools. The content analysis highlighted Southeast Asia as the biggest unit, with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syllabus during the 1945-1954 period. However, since the period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downsizing of geography under the influ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on Korean schools, content related to Southeast Asia has decreased and has even been marginaliz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rimary school textbooks. In addition, Southeast Asia has been stereotyped, mainly because of the euro-centric content structure embedd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inertia of textbook writers. Despite the recent introduction of interesting educational material such as Southeast Asian festivals and foodscap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s from Southeast Asia, the perspectives on Southeast Asia remain superficial and even distorted by Orientalism. The removal of prejudices against Southeast Asia and the cultivation of geographical imagination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resources and creative content that show the true face of Southeast. Refashioning Southeast Asia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to overcome boutique multiculturalism is also long overdue.

      • 오바마 행정부의 동남아 정책

        백창재 ( Chang Jae Baik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1 동북아연구 Vol.16 No.-

        최근 학계와 언론 및 외교정책 써클 내에서 동남아 지역과 역내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 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지난 10여년간 놀라울 만큼 증대되었다는 점이다. 경제교류의 폭발적 성장과 중국의 소위 “매력 공세”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중국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베트남 철군 이후, 그리고 탈냉전 이후에는 더욱 이 지역에 무관심했던 미국이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선 즈음부터 다시 동남아에 대한 “재관여”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정책 전환의 원인과 의도가 무엇인지, 동남아에 대한 미국의 재관여 정책이 어느 수준까지 전개될 것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현재 동남아 지역은 미국과 중국이 적극적인 관여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대상이 된 것이다 미국과 중국의 동남아 정책이 어떤 목적을 향해 어떤 모습으로 전게될 것이며 양자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상호작용할 것인지, 그리고 동남아 지역과 개별국가들이 양자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미국의 동남아 정책을 살펴본다. 우선 오바마 행정부 이전 시기 미국의 동남아 정책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본 후, 오바아 행정부의 재관여정책의 양태를 살펴본다. 그리고 동남아에 대한 미국의 재관여의 의도와 동인이 무엇인지, 이에 따라 미국의 동남아 정책이 향후 어떻게 전개 될 것인지 분석한다. This article analyzes U. S. policy toward Southeast Asia and its implication in the regional order. Currently, Southeast Asia, in general, and countries in the region, in particular, are getting more attention in the academic and policy networks for two reasons. First, China`s influence in the region has grown beyond expectations. The geo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rapidly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between China and APEC countries and the real intention of China`s so-called “charm offensive” in the region are becoming critical issues. Secondly, after decades of “Vietnam syndrome,” the United States began to pursue “re-engagement” aggressively, particularly since Obama administration. The reason and the extent of this re-engagement are becoming critical, too. In short, Southeast Asia has become a region where the two superpowers pursue aggressive engagement, and possibly where the hegemonic rivalry between the two are unfolding. This article, in this context, traces U. S. policy shift in the region and analyzes its reasons and consequences.

      • KCI등재

        일본의 동남아 지역연구 연구동향과 한국에의 시사점

        이미지(LEE Miji)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일본 내 동남아 지역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한국과 비교적 시각에서 살펴보고 한국의 동남아지역연구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의 동향에 대해서는 교토대학 동남아시아지역연구연구소가 발행하고 있는 학술지 『동남아시아연구(東南アジア研究)』의 양적분석을 시도한다. 일본에서 동남아 전문학술지의 발간은 1960년대에 이루어졌으며, 일본의 동남아연구는 서구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형태로 발전되고 정착되었다. 동 학술지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가장 큰 특징은 자연과학이 선행하여 초기 동남아연구를 주도해왔으며, 인문·사회과학이 뒤따르는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는 것이다. 지역적으로는 동남아 개별국가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국민 국가를 초월한 지역단위, 나아가 동남아 외의 지역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였다. 그리고 필드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학제연구, 비교연구를 통한 일반화의 시도 등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점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outheast Asian area studies in Japan and figure out their characteristics. It also aimed to examine them by comparing them with South Korean perspectives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outheast Asian area studies in South Korea. Especially for the research trends in Japan, the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Japanese journal, Tonan Ajia Kenkyu(Southeast Asian Studies), published by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CSEAS) at Kyoto University. It was in the 1960s that Japan started to issue academic journals on Southeast Asia. Since then, Southeast Asian studies in Japan has developed and settled down in unique form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We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journal identified the biggest characteristic, which was that natural science took the lead in early Southeast Asian studies and was followed by social science. Another noteworthy characteristic is that research at the regional level beyond nation-states and further research on regions other than Southeast Asia recorded a huge percentage as well as research on individual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re were very active attempts at generaliz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and comparative researches based on field work, which offers many implications for Southeast Asian stud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지역연구로서의 ‘아세안 연구’: 학술적 함의와 현실적 필요성

        김동엽 ( Dong-yeob Kim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21 東亞 硏究 Vol.40 No.1

        “한국인은 동남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동남아 사람들이 한국을 좋아하고 신뢰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동남아 사람들은 한국을 별로 신뢰하지 않으면서 대중적인 인기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동상이몽 같은 상황은 한국인과 동남아인 간의 상호 이해 부족과 오해 그리고 편견이 낳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동남아를 미래 동반자로 상정하는 ‘신남방정책’이 바로 잡아야 할 최우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동남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로막고 동남아 연구의 제도적 확장에 장애가 되는 동남아라는 용어에 담긴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방안으로써 아세안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아세안은 주로 지역 기구로서 제도적 연구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아세안 10개국을 포괄하는 지리적 경계와 2015년 아세안공동체 출범 이후 단순히 지역 기구를 넘어 동남아 지역 정체성의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연구의 대상으로 접근할 수 있다. 현실적 측면에서 한국인은 ‘아세안’이란 용어를 ‘동남아’란 용어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각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언어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하여 ‘동남아’라는 용어에 내재한 편견을 해소하고 상대를 올바로 이해하는 방안으로써 ‘아세안’이 가지는 가능성을 말해 준다. 또한, 한국 동남아 학계가 지속해서 주장하는 대학의 동남아 관련 학과 설립과 같은 교육과 연구의 기반 확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ns do not understand Southeast Asia properly but believe that Southeast Asians like and trust Korea. On the other hand, Southeast Asians do not trust much in Korea but their mass popularity of Korea is increasing.” Such ironic situation could be a result of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between Koreans and Southeast Asians. This should be the top priority that the “New Southern Policy,” which considers Southeast Asia as a future partner, should be correcte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SEAN studies as a path through the popular prejudice embedded in the term “Southeast Asia”, which hinders Koreans' true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and obstruct institutional expansion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Korea.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SEAN has been perceived as a regional organization and, ASEAN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institutional approach. However, given that geographical clearness encompassing 10 regional countries and that emerging regional identity since the launch of the ASEAN Community in 2015, ASEAN could be approached as a subject of area studies.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various data analyses show that Koreans perceive the term 'ASEAN' more positively than the term 'Southeast Asia'. This tells the possibility of ‘ASEAN’ as a path through the prejudice inherent in the term ‘Southeast Asia’ based on the logic that “language could affect a person’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is could also help promote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Southeast Asian-related studies and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which consistently advocated by Korean academia of Southeast Asi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