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실 하가 구석기유적의 돌날제작기법 연구

        정보현 한국구석기학회 202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6

        The blade is a representative artifact of the upper Paleolithic of Korea. The study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blade and restoration of it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of survival skills of upper Paleolithic human. This paper researches into the technology and process of the blade production through the blade production technology we learned from ‘Refitting artifact’ of Imsil Haga site, and analogizes the kind of the hammer which they used for the blade production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of experimental archaeology on the blade production. Restoring the blade 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fitting artifacts’, 1. Shaping, removed cortical face and unnecessary parts of the raw material are made into sizes and shapes suitable for blade production using stone hammer direct percussion (refitting artifacts 1, 3). 2. creation of a striking platform, 3. blade debitage using the Antler hammer direct percussion. (refitting artifacts 1, 3) 4. Change the strik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production process, and blade debitage by making the most of the stones several times (refitting artifacts 1, 2). 5. When knapping accidents (step, hinge, and flange) appeared on the blade core, or when the size of the core became smaller and it became difficult to make a blade of the desired size, the blade was discarded without production more blades. The reason for the abandonment of the blade was 1. If it is no longer possible to make the blade due to the Knapping accidents (step, plunging, hinged), 2. If the size of the blade cannot be made, The ‘Refitting artifact 1’ includes two tools (tanged point), which analyzed the length and production space of the tool that the tool maker wanted. First of all, considering that the length of the blade identified in ‘Refitting artifact 1’ is about 40 to 88mm, and the tanged point is about 51, 54mm, it is thought that the stone maker made a blade with a length of about 50 to 70mm or made a tool. The excavation location of tanged point is about 2m away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bladecore, and it is thought that the tool was made by moving the blade after manufacturing it. 돌날은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를 대표하는 유물로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돌날의 제작 연구를 통해 돌감의 획득, 제작 준비, 제작, 제작된 돌날을 이용한 행위 등 다양한 모습에 대한 복원이 가능하다. 논문에서는 임실 하가유적의 붙는 유물(3개의 돌날몸돌에 붙는 유물 47점)의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과 과정을 연구하고 기존에 연구된 실험고고학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한 망치의 종류를 유추했다. 붙는 유물의 분석 결과로 돌날제작과정을 복원해보면 1. 몸체다듬기를 통해 자갈면과 불필요한 부분을 돌망치 직접떼기를 사용해 돌날 제작에 적합한 크기와 모양으로 만든다(붙는 유물 1, 3). 2. 다듬어진 몸체에 평평한 때림면을 만들고, 3. 뿔망치 직접떼기를 사용해 돌날을 제작한다(붙는 유물 1, 3). 4. 떼기 과정에 맞춰 때림면을 바꾸고, 다시 만들어가며 여러 차례에 걸쳐 돌감을 최대한 활용해 돌날을 제작한다(붙는 유물 1, 2). 5. 돌날몸돌에 의도치 않은 떼기(스텝, 힌지, 플런징)가 나타나거나, 몸돌의 크기가 작아져 원하는 크기의 돌날을 제작하기 어려워지면 돌날을 더 제작하지 않고 버렸다. 돌날몸돌이 버려진 이유는 1. 의도치 않은 떼기(스텝, 플런징, 힌지)로 인해 돌날제작이 불가능할 경우, 2. 돌날몸돌의 크기가 원하는 돌날을 제작할 수 없는 경우로 나타났다. ‘붙는 유물 1’에는 2점의 도구(슴베찌르개)가 포함되는데, 이를 통해 석기제작자가 원한 도구의 길이와 제작공간에 대해 분석했다. 먼저 ‘붙는 유물 1’에서 확인되는 돌날의 길이는 약 40~88㎜이고, 슴베찌르개가 약 51, 54㎜인 것으로 보아 석기제작자는 길이가 약 50~70㎜인 돌날을 제작해 사용하거나 도구를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슴베찌르개의 출토 위치는 돌날몸돌을 중심으로 한 집중부와 약 2m 정도 떨어져 있는데, 돌날을 제작한 후 이동하여 도구를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하면 하가유적에서는 유적 앞 섬진강 변에서 자갈돌을 가져와 돌망치 직접떼기를 사용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때림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돌날을 제작하기 적합한 몸체를 만들었다. 이후 뿔망치 직접떼기를 사용해 돌날을 제작했는데, 길이가 약 50~70㎜인 돌날을 제작했다. 몸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때림면을 다시 만들거나 바꿔가며 다시 돌날을 제작했다. 원하는 크기의 돌날을 제작하기 어렵거나 의도치 않은 떼기가 떼어질 때 더는 돌날을 제작하지 않고 몸돌을 버렸다.

      • KCI등재

        アジアの後期旧石器時代開始期研究の現状と課題: 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石器群を考える

        佐藤宏之(Hiroyuki SATO) 한국구석기학회 2017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5

        수양개 제6지점의 최근 발굴조사에서 많은 대형 돌날과 슴베찌르개가 제4문화층(39~44ka)에서 출토되었고, 소량의 좀돌날몸돌이 제3문화층(34~36ka)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석기갖춤새는 현생인류의 동아시아로의 확산과 관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시아의 후기구석기시대 개시기(IUP, Initial Upper Paleolithic)에 대한 진전된 연구 성과와 좀돌날석기의 기원에 대한 기술적 연구에 기반하여, 수양개 유적 제6지점 제3⋅4문화층이 갖는 고고학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현재 IUP는 동유럽에서 동북아시아까지 북유라시아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그 연대는 35~50ka 이다. IUP 이후 지역적 변이가 크고 주요 석기 형식의 차이가 각 지역에 따라 다양하여, IUP를 단일한 문화 양상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그러나 모든 IUP는 후기구석기시대 첫 단계에 속하고, 중기구석기적인 석기 기술이 남아 있으면서도 돌날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어 현생인류 확산 과정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석기갖춤새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Zwyns (2012)는 알타이의 IUP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IUP는 중기구석기시대 도구 형식의 유지 및 용량이 감소하는 대⋅소형 돌날기법 등 2가지 요소가 병존하는 Kara-Bom 전통(40~44ka)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중형의 돌날기법과 작은 돌날⋅좀돌날기법이 보이는 EUP(Early Upper Paleolithic)의 Ust’ Karakol 전통이 이어진다고 하였다. 수양개 제6지점 제4문화층에서 나온 일련의 용량 감소형의 대형 돌날기법은 알타이의 IUP와 공통되는 특징인 반면, IUP에 슴베찌르개는 나오지 않는다. 모비우스 라인으로부터 알타이 IUP를 포함한 서부 유라시아에는 IUP의 돌날떼기 기법을 발생시킨 르발루아 기법의 무스테리안이 존재하지만, 한반도를 포함한 동부 유라시아에는 무스테리안이 분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6지점에서 나온 대형 돌날기법은 북부지역으로부터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제3문화층에서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룹에 속할 좀돌날몸돌이 출토되었다. 좀돌날몸돌은 알타이 EUP 표준 석기의 하나이며, 레반트, 이란, 인도, 스리랑카의 후기구석기시대 전반기에 존재한다. 인도와 스리랑카에서는 좀돌날이라기보다는 작은 돌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형태상으로 불안정하지만 투창의 부품이 아닌 소형의 돌날 찌르개의 몸체였을 가능성이 높다. 본문에서 언급했듯이 작은 돌날/좀돌날이 40ka를 거슬러 올라가는 예도 보고되었으나, 알타이 IUP에는 좀돌날기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Zwyns의 가설이 옳다면 이 오래된 그룹과 EUP 사이는 단절된다. Recent excavation of the Locality 6 of the Suyanggae Site yielded many large blades and tanged points from the fourth cultural layer, dated to 39-44 ka, and some ‘microblade cores’ from the third cultural layer, dated to 34-36ka.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se lithic assemblages are concerned with the event of modern human dispersal into East Asia. So that, in this paper these archaeological meanings are estimated, based on the recent advances of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UP) and the emergence of first microlithic technological studies in Asia. Presently, the IUP is widely distributed from Eastern Europe to Northeast Asia in northern Eurasia, dated to 35-50ka. Since the IUP have large regional variation and main stone tool types are different each area, it cannot be thought that the IUP is a single cultural entity. As all IUP, however, are belong to first stage of the Upper Paleolithic and base on the blade technique, in spite of remaining the lithic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 Paleolithic, the IUP is recognized to be first lithic assemblage in the process of modern human dispersal. Recently, Zwyns (2012) analyzed to the Altai IUP in details. He insists that the IUP is Kara-Bom tradition, dated to 40-44ka, which have two types, large and small sized, of blade technologies with volumetric reduction, in spite of preserving the Middle Paleolithic tool types, and consequently, Ust’ Karakol tradition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EUP), having middle sized blade technology and bladelet/microblade technology, continued. Large blade technology with volumetric reduction sequence from the fourth cultural layer in the Locality 6 of the Suyanggae Site is mutual character with the Altai IUP, while tanged points are not found in the IUP. Although, in the western Eurasia including the Altai IUP from the Movius line, there present Mousterian with Levallois technology rising to blade technology of the IUP, Mousterian did not distribute in the eastern Eur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is high likely that large blade technology of the Locality 6 was dispersed from the northern regions. From the third cultural layer, ‘microblade cores’, which may be appertained to oldest group in Asia, are unearthed. Bladelet/microblade cores are one of type tools in the Altai EUP and presented in the Levant, Iran, India and Sri Lanka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lthough, in India and Sri Lanka, bladelets can be called rather than microblades and these are unstable morphologically, it is high likely that these are blanks for small bladelet points with retouched base, not for composite thrown spears. While bladelet/microblade being older than 40 ka reported as mentioned above regions, if Zwyns’s hypothesis, which the Altai IUP have no microblade technology, is correct, there present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se old one and EUP.

      • KCI등재

        시베리아 돌날석기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한반도 자갈돌석기 전통의 연속성

        이헌종 ( Lee Heon Jong ),임현수 ( Lim Hyoun Soo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2 No.2

        최근 시베리아에서는 지난 20여 년간의 돌날석기 문화연구 결과 까라봄 문화와 까라꼴 문화가 동시에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단계에서 나타나게 되었다. 까라봄 문화은 돌날석기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까라꼴 문화는 돌날석기 문화 기반위에 세형돌날 문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것은 기존의 석기문화에 대한 문화연속성에 대한 틀을 바꾸는 새로운 개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자갈돌석기 전통을 근간으로 하는 석기 문화가 후기구석기시대 중기까지 이어진다. 시베리아 기원의 돌날석기 문화는 우리나라 자갈돌석기 전통의 유적들 가운데 돌날석기 문화 기반의 양상이 공반 되는 양상이 보인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자갈돌석기 전통이 중기 구석기시대로 부터 계승되면서 후기구석기시대에 정착되었을 뿐 아니라 그와 더불어 돌날석기 문화의 환경의 영향을 함께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후기구석기시대에는 자갈돌석기 전통의 유적들이 한반도에 남아있을 때 외래로부터 돌날석기 문화가 들어와 정착했으며, 돌날석기 문화가 확산되는 시점에 세형돌날 문화가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양상이 전개되었다. Recently Kara-Bom and Karakol culture appeared at the same time of the first stage of Upper Paleolithic in Siberia at the result of the 20 years research. Kara-Bom culture is based on the blade technique and Karakol culture is characterized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This is new concept to understand the chronology of the Upper Paleolithic in Northeast Asia. Pebble Tool tradition persisted middle Upper Paleolithic in Korea. Altai origin's Blade tool culture had effected to the paleolithic sites of Pebble Tool tradition. It means that Pebble Tool tradition was persisted from Middle Paleolithic of Northeast Asia and effected from the cultural environment of the Blade tool culture in contiguous territories. Blade Tool culture was spreaded and fixed, and co-existed with Pebble Tool tradition and Microblade Culture from 30ka B. P. to 25ka in Korea.

      • KCI등재

        후기구석기시대 시베리아 지역의 돌날몸돌 및 세형돌날 몸돌 연구

        손동혁 ( Son Dong Hyuk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6 No.2

        시베리아 지역은 중앙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 걸쳐 다양한 구석기시대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후기구석기시대의 유적들이 다량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시베리아 지역의 후기구석시대 유적들은 전체적으로 돌날문화와 세형돌날문화로 나누어진다. 돌날문화는 약 45,000BP 전후의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확산되다가 약 27,000BP의 시기에 세형돌날문화가 시작되면서 점차 대체되어간다. 이러한 두 문화시기를 특징지어주는 유물로는 돌날몸돌과 세형돌날몸돌을 들 수 있다. 돌날몸돌은 돌날문화 초기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후기구석기시대 말기까지 꾸준하게 사용되어졌다. 크기와 형태, 형식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후기구석기시대 전 시기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세형돌날몸돌은 돌날문화가 점차 세형돌날문화로 대체되어 가는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약 20,000BP를 전후한 시기에는 시베리아 전역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세형돌날몸돌도 유적이 속한 지역적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 비슷한 유형에 속하는 몸돌들이 시베리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돌날몸돌 및 세형돌날몸돌은 초기 돌날문화에서부터 후기구석기시대 후기의 세형돌날문화에 이르기까지 시기적인 차이가 있지만 계속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세형돌날몸돌의 경우는 후기구석기시대가 끝날때까지도 유지되고 있었으며,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어도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따라서 돌날몸돌과 세형돌날 몸돌은 세부적인 기술적 차이는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기술적인 연속성을 가지면서 변화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즉,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석기들의 종류와 크기, 특성 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구를 만들기 위한 몸돌에서도 돌날문화에서 세형돌날문화로 넘어가면서 기술체계가 더욱 발전하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In the Siberian region, various Paleolithic sites have been found in the east and west with Central Siberia as the center. In particular, large amounts of sites from the Upper Paleolithic have been discovered. The sites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in these Siberian regions are generally divided into the blade culture and the micro blade culture. The blade culture began to appear around 45,000 BP, gradually spread, and then replaced with the beginning of the micro blade culture at about 27,000 BP. As stone tools that characterize these two cultural periods, there are the blade core and the micro blade core. Blade core started to be used from the early days of blade culture and continued to be used until the end of the Upper Paleolithic.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size, shape, and form, they appear throughout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Micro blade cores begin to appear at a time when the blade culture is gradually replaced by the micro blade culture, and spread throughout Siberia around 20,000 BP. There are als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icro blade cores. However, as a whole, micro blade cores belonging to a similar type are commonly found in Siberia. These blade cores and micro blade cores are used continuously,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from the early blade core to the micro blade culture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Also, in the case of micro blade cores, they were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and were still actively used even after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Age.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technical differences in detail between blade core and micro blade core, they appear to have been changed with technical continuity as a whole. In other words, the types, sizes,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It is thought that the technological system developed further as the core for making these tools moved from the blade culture to the tmicro blade culture.

      • KCI등재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이정철(Lee, Jungchul) 중부고고학회 2018 고고학 Vol.17 No.2

        In order to understand regionality of the Paleolithic industry in Central Korea, it was divided into 6 areas mainly in the river system. After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the stone industry and stratigraphic chronology by area, the spatiotemporal regionality was examined through comparison. As a result, the beginning of the Paleolithic in the lowest C layer has a regional time difference. The hand-axes classified as large tools are concentrated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the Bukhan river area,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e chopper-chopping tools are concentrated in the Namhan river area. 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technique of hand-axes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has many types and skillful proces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the Bukhan river area show differences in stone industry between the sites of main stream and the branch of stream. In the B2 lay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ccupancy of large and small tools between the areas. The technical transfiguration of hand-axes is observed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End-scrapers are concentrated in the sites of the river area of Youngdong, the Anseongcheon area, the Bukhan river area and the branch of Namhan river area. In the B1 layer, the large tools are decreasing and small tools are increasing rapidly. However,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Bukhan river area and decline of large tools is unclear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Anseongcheon area. The hand-axes are concentrated in the some sites of the Anseongcheon area,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Bukhan river area.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appear sequentially in all areas except Anseongcheon area and river area of Youngdong. In the case of blade technique, there is a very difference in appearance by region. But the case of micro-blade technique,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appearance by region. Also, quartz-quartzite small tools have been miniaturized in the latter period except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Anseongcheon area. In the A layer, which is the top layer, except for the Anseongcheon area, quartz-quartzite small tools are miniaturized obviously. In the B1 layer,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ar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area, but the blade technique is cut off in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and the micro-blade technique is appearance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Meanwhile, new tools such as arrowheads and stone axes continuing to the Neolithic Age are confirmed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is difference in spatiotemporal regionality can be attributed to the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used in stone tools making and the function of the sites. However, differences in the stone industry are also observed within the same area, it should be avoided to simply understand the stone Industry from the Paleolithic. 중부지방의 구석기 유적을 수계망에 따라 영동하천, 북한강, 남한강, 한강본류, 임진-한탄강, 안성천의 6개 권역으로 구분한 후, 기존 연구 가설을 기반으로 각 권역 내 석기공작의 전개와 층서 편년을 파악하고, 비교를 실시하여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하층인 C퇴적층에서 구석기시대의 시작은 권역간 시간적 차이가 있으며, 대형석기인 주먹도끼류는 영동하천권역, 북한강권역, 한강본류권역, 임진-한탄강권역, 찍개류는 남한강권역에 집중된다. 특히 임진-한탄강권역과 한강본류권역의 주먹도끼류는 타 권역에 비해 기술형태적으로 여러 형식이 존재하며 일부 숙련된 공정이 나타난다. 이밖에 임진-한탄강권역과 북한강권역에서는 대하천과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유적간 석기공작의 차이가 보인다. B2퇴적층에서는 권역간 대형 및 소형 석기의 점유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임진-한탄강권역과 한강본류권역에서는 주먹도끼류의 기술 변용이 관찰되며, 밀개는 남한강권역의 지류와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 안성천권역의 일부 유적에 집중된다. B1퇴적층에서는 대형석기가 감소하고 소형석기가 급증하지만, 북한강권역에서는 그 변화가 거의 없고,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에서는 대형석기의 감소가 불분명하다. 대형석기 중 주먹도끼류는 안성천권역,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의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일부 유적에만 집중된다.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안성천권역과 영동하천권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돌날 기법의 경우 권역별 출현 시기의 차이가 큰 편이나 좀돌날 기법은 시기 차이가 적다. 또한 석영계 소형석기는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을 제외하고는 후반부에 소형화되고 있다. 최상층인 A퇴적층에서는 안성천권역을 제외하면 석영계 소형석기의 소형화가 뚜렷하며, B1퇴적층에서 출현한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권역에 따라 유지되지만 한강본류권역에서는 돌날 기법이 보이지 않으며, 영동하천권역에서는 좀돌날 기법이 뒤늦게 나타난다. 한편 신석기시대까지 연속되는 화살촉, 석부 등의 새로운 석기가 영동하천권역과 임진-한탄강권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시공간적인 지역성의 차이는 주로 석기제작에 이용하는 돌감의 선별과 취득, 유적의 기능 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동일 권역 내에서도 석기공작의 차이가 관찰되므로 구석기시대의 석기공작을 단순히 이해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 KCI등재

        인제 부평리 구석기유적의 연대에 대한 고찰

        Cha, Jae dong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6 江原史學 Vol.0 No.28

        인제 부평리 구석기유적은 돌날 및 좀돌날문화로 대표된다. 돌날문화와 좀돌날문화가 동시에 영위된 것으로서 심지어는 돌날몸돌과 좀돌날몸돌이 부합되기도 한다. 이 유적은 북한강유역은 물론 한국 후기구석기 문화사에서 중요한 자료로 각인되고 있다. 더불어 인제부평리유적의 경우(앞으로도 계속되는 검토의 과정을 거쳐야 하겠지만) 돌날 및 좀돌날로 대표되는 1문화층의 경우, AMS 연대가 7,670±50 yrs BP, OSL 연대가 7.74 ± 0.84 kyrs BC으로 나타나고, 지질학적으로도 갱신세가 아닌 홀로세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문화층에서 출토된 갈판과 갈돌류는 신석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유물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에서 후빙기 즉, 신석기시대가 도래한 이후에도 일부에서는 구석기문화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2문화층인 암갈색 고토양층 기질물(matrix)내에서 출토되는 석기류와 고도 약 187.6m 부근 지점에서 출토되는 1문화층 명갈색찰흙층의 석기류들은 주로 흑요석제, 안산암제, 유문암제, 응회암제, 석영제 등으로 제작된 돌날 、좀돌날몸돌이나 돌날 、 좀돌날로서 후기구석기를 지시하며, 지층 형성시기를 고려했을 때, 2문화층은 약 3~2만 년 전 후기구석기에 속하지만 1문화층은 홀로세에 해당되는 시기로 해석된다. 1문화층에 형성된 석기류는 최종빙기최성기 이후의 암갈색 고토양층 상부에 형성된 후기 구석기문화를 이어받는 맥락으로 파악되며, 홀로세 초기의 명갈색 지층이 형성되면서도 후기구석기말의 석기들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이러한 석기전통이 후기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이행되는 전환기에도 석기 제작기술이 연속성을 가진다는 가설을 더 잘 뒷받침 할 수 있는 지질매체의 발견과 세석기의 발굴사례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며, 제4기 지질환경과 유적의 지층연대 규명을 위한 분석자료 등 학제적 공동노력이 더 필요한 편이다. The Paleolithic site in Bupyeong ri, Inje, is represented with the blades and the micro-blades. The blades and the micro-blades were used at the same time period. Sometimes the blade cores and the micro-blade cores look similar. The site together with the site of north Han River valley is recognized importantly for the cultural history of upper Paleolithic time. The first cultural layer of the site of Bupyeong ri, Inje is represented by the blades and the micro-blade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y are from 7,670±50 yrs BP for AMS era and 7.74 ± 0.84 kyrs BC for OSL era. (But it should be examined more correctly later.) Geologically it is the period of Holocene not the period of Plestocene. The saddle querns and the milling ston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first cultural layer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Neolithic era. It shows that even in the postglacial stage which is the Neolithic age, Paleolithic culture was maintained in some part of Korea. The stoneware that was discovered at the matrix of dark brown high soil layer in the second cultural layer and the stoneware that was discovered at the bright brown soil layer in the first cultural layer in the area which is 187.6m from sea level were cores of blade cores and micro-blade cores or blades and micro-blades made of obsidian, andesite, rhyolite, tuff and quartz. It indicates that they were from upper Paleolithic time.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the layers, it is believed that the second cultural layer belongs to upper Paleolithic time which is 20~30 thousands years ago but the first cultural layer is for the period of Holocene. The stoneware formed in the first cultural layer is believed to inherit the upper Paleolithic time that wa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dark brown paleo soil after Last Glacial Maximum. It is analyzed that the stoneware of the upper Paleolithic time still existed even after the bright brown color stratum for the early Holocene was formed. Lipid media tha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stone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has continuity even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upper Paleolithic time and Neolithic age should be found. More discovery of microlith is also required. It is necessary to co-work with scholars to understand the time of layers of the remains and the geological environment of the 4thQuaternaryPeriod.

      • KCI등재

        우리나라 돌날몸돌 제작기술체계의 특징과 변화 시고

        이헌종,이상석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9

        Chronology of blade tool culture is examined through absolute dating, it is confirmed that it had been maintained for 20~15ka around 35ka in Korea. As for the raw material for the blade tools, the volcanic rocks ro sedimentary rocks were mainly used for tis manufacturing. The blade core confirmed at the site had passed through the core shaping process in order to detach blad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iking platform and the working face, the type of one striking platform-one working face is the most popular and the next is the type of 2 striking platform-1 working face. In the case of large blade core, the type of one striking platform-one working face is main techonological system, and the middle or small size blade core have various types of striking platform and working face.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blade core with blade tools, 2/3 length or whole length of blades were consecutively detached using hinging method on the basis of perpendicular flaking. And the straight blade received from this process use for the materials of tanged point and end scraper and others. It can be classified as two stages based on the change of blade core technical system. The 1st stage(35ka~30ka) is characterized mainly pebble tool tradition with small number of blade cores and blade tools without controled technological system, and it is belonged to Hopyeong-dong site and Chongok site. The 2nd stage(30~15ka) is the charaterized the typical blade tool technology, and it is included to Yongsan-dong site, Gorae-ri site, Jinguneul site, Juknae-ri site, Oji-ri site, Sinhwa-ri site, Jeongjang-ri site etc. 절대연대를 통해 살펴보면, 우리나라 돌날석기문화의 편년은, 35ka를 전후로 시작하여 20~15ka 어느 시기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석재는 화산암이나 퇴적암계의 암석이 주류를 이룬다. 유적에서 확인된 돌날몸돌을 타격면 및 작업면의 상관관계에 따르면, 1타격면 1작업면의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2타격면·1작업면의 몸돌이다. 대형의 돌날몸돌일수록 1타격면 1작업면의 형태가 가장 많고, 중·소형의 돌날몸돌은 타격면과 작업면의 형태가 다양해진다. 돌날몸돌과 돌날을 복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수직박리를 기반한 hinging기법을 이용하여 2/3 혹은 전 길이의 돌날을 연속적으로 박리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비교적 곧은 돌날은 그런 돌날이 필요한 슴베찌르개와 끝날긁개 및 다른 돌날석기 제작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돌날석기 제작기법 변화는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1기는 자갈돌석기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돌날석기관련 석기들과 몸돌이 공반되는 시기(35ka~30ka)이며, 호평동 유적과 촌곡 유적이 그에 해당된다. 2기는 전형적인 돌날석기 제작 기술체계를 잘 나타내주는 시기 (30~15ka)로서 용산동 유적, 고례리 유적, 진그늘 유적, 죽내리 유적, 오지리 유적, 신화리 유적, 정장리 유적 등이 이에 해당된다.

      • KCI등재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1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ace and the clay or sandy clay deposit at the end of the pediment. Layers which artifacts were excavated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y conventional research. The uppermost part is A layers group (after 16~15 ka), 1st artifacts layer at Botong-ri, Songho-dong and Suyanggae Loc. . The B1 layers group (40~16 ka) include artifacts layer at Sinpyeong-ri, 1 st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Songam-ri and Yeonyang-ri , 2 nd artifacts layer at Songho-dong and Botong-ri, 3 r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1st and 2 nd , 3 rd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2 nd , 3 rd and 4 th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The B2 layers group (65~40 ka) include 1 st artifacts layer at Hoamdong, 2 nd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and Songam-ri, 3 rd artifacts layer at Botong-ri, 1 st and 2 n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The lowest part is C layers group (before 65 ka), 2 nd and 3 rd artifacts layer at Hoam-dong and Yeonyang-ri . While quartz-quartzite raw material is dominant in most sites, other raw materials are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from the B1 layers group. The stone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large tools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to small tools, and small too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can be summarized addition of absolute dating data to the middle paleolithi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one industry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and confirming stone industry in late middle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fication of artifacts layer in many areas, the origin, emergence and diffusion of the blade technique, additional confirm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micro-blade technique and providing evidence of artifacts layer classification in B1 layers group.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산록완사면 말단에 퇴적된 점토 및 사질점토층에서 석기가 출토된다. 석기가 출토되는 퇴적층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네 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상부는 A퇴적층(16~15ka 이후)으로 단양 수양개 지구 1유물층, 원주 송호동 1유물층과 보통리 1유물층, B1퇴적층(40~16ka)에는 평창 송정리 1유물층, 단양 수양개 지구 1·2·3유물층와 수양개 지구 2·3·4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3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1유물층, 원주 신평리 유물층과 송호동 2유물층 그리고 보통리 2유물층, 여주 연양리 1유물층, B2퇴적층(65~40ka)은 평창 송정리 2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1·2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2유물층과 호암동 1유물층, 원주 보통리 3유물층, 최하부는 C퇴적층(65ka 이전)으로 충주 호암동 2·3유물층, 여주 연양리 2·3유물층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석영계돌감이 우세하지만, B1퇴적층부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등장하면서 기타 돌감이 증가하고 있다. 석기공작은 찍개 위주의 대형석기에서 소형석기 중심 공작으로 전환되며, 소형석기는 점차 소형화된다. 구석기 신자료의 의의는 중기 구석기시대에는 절대연대 자료의 추가 확보, 찍개 중심 석기공작과 지역성,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석기공작의 확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 구석기시대 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유물층 확인, 돌날 기법의 기원·출현과 (재)확산, 좀돌날 기법 관련 유적의 추가 확인, B1퇴적층 내 유물층의 세분 가능성이 주목된다.

      • KCI등재

        진안 진그늘유적 구석기문화층의 성격과 의미

        이기길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19 No.-

        용담댐 수몰지역에서 2000년에 발굴된 진안 진그늘유적은 전라북도에서 최초로 발굴된 구석기유적이며, 후기구석기시대의 돌날제작기법을 제대로 복원할 수 있고, 20겨 개의 석기 무리와 화덕자리 및 슴베찌르개로 대표되는 석기들이 드러나 유적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기 좋은 연구 대상이다. 석기 무리의 공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구석기인들이 여러 번 유적에 와서 석기를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함께 발견된 2개의 화덕자리가 약 66m 떨어져 있는 점도 구석기인들이 한번 이상 들렸을 가능성을 뒷받침해준다. 그리고 대부분의 석기 무리는 주로 돌날, 격지, 부스러기 등으로 이뤄져 슴베찌르개의 몸체인 돌날을 대량으로 만들면서 남겨진 것이지만, 한 무리는 격지나 부스러기가 드물고 여러 점의 대형밀개와 긁개, 뚜르개 등의 완성된 석기들로 이뤄져 석기 사용 공간으로 미뤄진다. 진그늘유적은 다른 구석기 유적과 달리 해가 늦게 들고 일찍 지는 곳에 자리하고 있지만, 유적 앞에 양질의 돌감이 풍부하고 연장 중 슴베찌르개가 90여 점으로 가장 많아 석재 산지에 위치한 생산유적으로 가늠된다. 한편 곱게 갈릴 줄자국과 얕게 패인 자국의 자갈돌에서 석기 만들기 이외에 뼈나 뿔을 가공한 행위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진그늘유적은 구석기인들의 유적 반복 이용과 공간활용 그리고 특정 석기의 생산과 경제활동을 복원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용담댐 수몰지역에는 진그늘유적과 연관되었을 여러 성격의 구석기 유적들이 미처 발굴되지 못하고 물에 잠겨있어 이에 대한 조사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The Jingeuneul site is the first excavated Palaeolithic site in Jeollabukdo Province. As the site yields a full range of blade industry, so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how to make blade by Upper Palaeolithic man in Korea, And over 20 clusters of stone artefacts, two hearths and flat cobbles with usewears were also unearthed. It is postulated that Upper Palaeolithic man had visited the site several times as the clusters were overlapped and two hearth were situated separately. Most of clusters were composed of blade manufacturing remains for making tanged point chiefly. But only one cluster was mostly consisted of the accomplished tools such as several large end-scrapers, side-scraper, and awl. So it is supposed to be the place where the tools had been used for treating animal skins, etc.. Although the quantity of sunshine of the site is lesser than that of other palaeolithic sites, there are plenty of high qualified rhyolite gravels for detaching blade on stream bed in front of the site. As the proportion of tanged point is absolutely high among finished tools, and they are divided into broken, unfinished, and accomplished one, so the site had been used as a workshop for producing tanged point mainly. This approach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Jingeuneul Palaeolithic site will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use of space and economic activity of Korean Upper Palaeolithic man.

      • KCI등재

        라샨하드 유적과 몽골 동부의 이른 시기 돌날석기 공작

        이선복(Seon-bok Yi)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8

        라샨하드 유적은 몽골 동부지역의 대표적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특히 1980년을 전후해 그 주요 부분이 조사되었으나,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지극히 간략한 내용만이 알려졌다. 따라서 몽골 동부지역의 구석기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몽골 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합동으로 2010년과 2011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퇴적층의 상당한 부분이 동물에 의한 굴 파기 등의 생물학적 요인으로 심하게 교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수습 유물의 특징으로 미루 어볼 때 퇴적층이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교란으로 인해 문화층의 구별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물의 변화 양상은 판단하기 어렵다. 발굴은 지표에서 1.5m 내외까지 이루어졌고 퇴적층은 그 아래로도 이어지는데, 발굴 부분의 가장 아래에서는 낙반으로 후대에 동물이 훼손하지 못한 구역이 확인되었다. 이 파괴를 면한 퇴적층에서는 돌날 석기 공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석기가 수습되었 고, 함께 발견된 동물 뼈에서는 약 4만 년 전의 방사성탄소연대가 얻어졌다. 이와 유사한 석기공작은 몽골 서북부 오르혼 강 유역 및 중국 내몽고와 영하에서도 발견되고 있는바, MIS 3 단계에 동북아시아 내륙 지방에서는 돌날석기 공작이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음을 시사해준다. Rashaan Khad is perhaps the only palaeolithic site so far known in eastern Mongolia, but we know little about its stratigraphy and lithic industry. In 2011 and 2012, a joint Mongolian-Korean team from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and the Seoul Natonal University tested the site. It was revealed that the bulk of the deposit had been destroyed by various biological agents, particularly by burrowing animals. Only the small portion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excavated deposit escaped such wholesale destruction where stone tools made on blades were recovered. C-14 dates obtained from faunal remains suggest an age of ca. 40 ka. Artifacts of similar nature are known from the Orkhon River basin in northwestern Mongolia. Also, it may well be that the sites of Jinsitai in Inner Mongolia and Shuidonggou in Ningxia, China, also share similar materials. Reduction sequence related to blade production at these sites is not clear yet. However, when taken together, it appears that blade production had been widely adopted in inner parts of Northeast Asia prior to ca. 30 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