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학교 독도교육주간 운영에 관한 연구

        김미선(Kim, Mi Sun),이범관(Lee, Beom Gwan) 한국지적학회 2021 한국지적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초・중등학교의 독도교육주간으로 한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2019년과 2020년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에 따른 독도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독도 전문교사가 부족하고 둘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교사의 부족은 학년별・학교 급별 연계교육을 어렵게 함으로써 체계적인 독도교육이 실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독도교육이 행사 중심의 일회성 교육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문제점을 토대로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체계화된 전문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구축된 독도교육전문시스템을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를 양성해야 하며 셋째, 양성된 전문교사를 통해 독도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Dokdo Education Week among Dokdo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kdo education by deriving problems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ubjects, o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Dokdo Education Wee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Gyeongsangbukdo with the time range being 2019 and 2020., As for methods for searching, literature search methodology and Internet search methodology are used in combination, and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method of descriptive analysis is employ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Dokdo edu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us of Dokdo Education Week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professional system for Dokdo education, so there was a shortage of Dokdo teachers. Second, the lack of professional teachers for Dokdo education made it difficult to educate Dokdo by grade and school grade, and third, Dokdo education was conducted as one-time education centered on event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first, the systematic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specializ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should be trained through the established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and third, the Dokdo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train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독도교육 분석-6학년 사회과 <독도교육 특별단원>을 중심으로-

        이우진,이원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0

        독도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 ‘초등학교 교과교육과정 수준’까지 강화되었다. <독도교육 특별단원>이 정규 교과인 ‘6학년 2학기 사회과’에서 마련된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은 ‘「2014 독도교육내용체계」의 초등학교급 내용요소’를 기준으로 <독도교육 특별단원>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4 독도교육 내용체계」의 ‘초등학교 독도교육 목표’와 <독도교육 특별단원>의 ‘성취기준’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모두 ‘독도의 지리·역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독도 수호의지’와 ‘영토주권 의식’을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또한 <독도교육 특별단원>은 「2014 독도교육내용체계」에서 내용요소를 제시하는 순서와 동일하게 ‘지리적 영역 ⇨ 역사적·국제법적 영역’의 순서를 따르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에게 ‘독도수호의지’를 강조하기 앞서 ‘독도에 대한 이해와 관련지식을 함양’시켜야 한다는 입장에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마지막으로 <독도교육 특별단원>의 교과서를 검토하여 볼 때, 「2014 독도교육내용체계」의 내용요소를 텍스트와 이미지, 체험활동과 같은 여러 방식을 결합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익숙하지 않은 역사자료들을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적 이해수준에서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독도 사랑’에 대한 의식을 높이고자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독도교육 특별단원> 교과서’를 ‘「2014 독도교육 내용체계」 초등학교급 내용요소’의 반영비율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독도교육 특별단원> 교과서에는 「2014 독도교육 내용체계」의 초등학교급 내용요소’가 70%만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는 ‘「2014 독도교육 내용체계」의 초등학교급 내용요소’가 초등학교 전학년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독도교육 특별단원>의 대상인 6학년이 다루기에는 너무 평이하고 초보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제외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3학년 교육과정’ 가운데 또 하나의 <독도교육 특별단원>을 마련하여 나머지 30%도 가르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독도교육 특별단원> 교과서’에 에 반영된 ‘「2014 독도교육 내용체계」의 학교급별 내용요소’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급 내용요소가 약 76%였다. 나머지 약 24%는 초등학교급 내용요소를 넘어서고 있었다. 심지어 ‘역사적·국제법적 영역’은 ‘중학교·고등학교급 공통 내용요소 및 고등학교급 내용요소’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차후 교육과정을 마련할 때에 일정한 조정이 요청되는 부분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It used the ‘elementary school-level content elements of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as a criterion for judging. First, this paper compared the 'Educational Goals of Elementary School Dokdo' in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As a result, all of them emphasized 'understanding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okdo' and aimed to cultivate 'will to protect Dokdo' and 'consciousness of territorial sovereignty'. Also,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was the same as the order in which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in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Finally, the textbook of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was reviewed. We could confirm that the content elements of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were presented by combining various methods such as texts, imag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reflection ratio of the ‘the textbook of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to ‘elementary school-level content elements of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Only 70% of the ‘Elements of Elementary School-Level Contents of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of ‘the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To solve this problem, another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should be prepared among the ‘1st to 3rd grade curriculum’ to teach the remaining 30%. Next, the 'content elements for each school level of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in the textbook of 'Dokdo Education Special Unit' was reviewed.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level content elements were about 76%, 1and the remaining about 24% exceeded elementary-level content elements.

      • KCI등재

        초등학교 실천적 독도교육 방향 모색

        김혜진(Kim, Hye-Jin),서태열(Seo, Tae-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독도교육의 새로운 방향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일본의 주장에 대한 대응논리로서의 교육, 지식 중심 독도교육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교육방향의 모색이 있어야 한다. 이에 현재 독도교육 및 교재를 검토하여,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독도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나의 정체성 확대로서의 독도교육이어야 한다. 방어적 입장으로 일본에 대한 대응 논리를 익히는 교육에서 벗어나 영토자주권이라는 당위적 입장에서의 독도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활동중심 교육으로 학생이 독도를 감성적으로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미래역량을 기를 수 있는 창의융합형 독도교육이어야 한다. 독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가 살아온 땅이었으며 여러 근거에 의해 우리 영토임이 분명하다. 학생이 독 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동과 감성적 인식을 통해 영토감수성을 내면화하도록해야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영토애와 영토주권의식, 합리적인 민족애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rgues for the necessity of new directions for Dokdo education. Dokdo education needs to transfer to new directions out of the education and knowledge-centered Dokdo education, in response to Japan’s claim.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and proposes the directions for practical Dokdo education reflecting the new needs of the times. Dokdo education from now on, first needs to teach from the ‘should’ perspective of territorial sovereignty as Dokdo education for expanding our identity. Second, it needs to be activity-oriented Dokdo education that enables sensuous cognition. Third, it needs to be creative fusioned Dokdo education that enables to foster future capability. Dokdo is the land where we have lived in our long history and obviously our territory according to a number of grounds. Dokdo education necessary for the students who will be the citizens of the future should be the education that could awaken them to take interests in Dokdo and should be directed to make them internalize that Dokdo is our territory through activity and sensuous cognition. Through this, they should be able to foster a true love of territory and territorial sovereignty consciousness.

      • KCI등재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 대학생의 독도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강경리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2 독도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plan for Dokdo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with 17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The results are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the balance of the territorial education values through the objective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ial education values through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the curriculum, the balance of the Dokdo education field through a step-by-step curriculum and the integration of the Dokdo education field through the convergence curriculum;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the balance the scope of Dokdo educa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Dokdo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cutting-edge media; in terms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e systematization of the Dokdo education infra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linked to Dokdo education and the specialization of the Dokdo education infra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system of Dokdo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독도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은 교육목표 측면에서 객관적 교육을 통한 영토교육 가치의 균형과 세계 시민교육을 통한 영토교육 가치의 확장, 교육과정 측면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한 독도교육 영역의 균형과 융‧복합 교육과정을 통한 독도교육 영역의 통합, 교육방법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통한 독도교육 범위의 균형과 첨단매체 활용을 통한 독도교육 범위의 확대, 교육인프라 측면에서 독도교육 연계시스템을 통한 독도교육 인프라의 체계화와 독도교육 전문시스템을 통한 독도교육 인프라의 전문화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토 수호를 위한 독도교육의 방향 연구

        김종남(Kim, Jong Nam),백승철(Baek, Seung Cheol),김성우(Kim, Seong Woo) 대한부동산학회 2013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일대학교 독도·간도교육센터에서 독도교육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초·중·고에서의 독도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범위로 시간적 범위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로 한정하며, 내용적 범위는 초·중·고에 대한 독도교육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독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 독도교육은 먼저 독도문제의 본질이 무엇이며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향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독도교육은 언제 가르칠 것이고, 어디서 가르칠 것이며, 누가 가르칠 것이며, 무엇을 가르칠 것이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독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모델-영남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The Education about Dokdo as one among previous measures for ensuring Dokdo dominium, is very important for us. In this paper, the goal is looking for the model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law school of Yeungnam Univ. On the premise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followings. First, section ‘Ⅱ’ recapitulates a present conditions of education about Dokdo in Yeungnam Univ. and local universities in Kyeongbuk province. Second, section ‘Ⅲ’ analyzes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Dokdo in Yeungnam Univ.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ird, section ‘Ⅳ’ suggests the effective model of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And for the last, section 'Ⅴ’ proposes the ways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substituted by the conclusion. In light of the examinations and analyses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conclusions as followings. First, th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is very important to grow up legal specialist about Dokdo. Second, it should be confirmed the scheme that education about Dokdo must be taught from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law school step by step. Third, it needs to grow up specialist under a long-term plan who is well versed in Dokdo problems. Fourth, our nation and local government having heavy responsibility should be done a more affirmative education about Dokdo. Fifth, Korea and Japan should consistently discuss Dokdo problems among establishing Joint Research Council about Dokdo between two nations as civilian organization. Last, emphasizing that the best way to keep Dokdo as our territory depends on the love and concerns to Dokdo to our people. 독도교육은 독도의 영유권확보를 위한 선결적 수단 가운데 하나로서, 그 중요성은 따로 강조하지 않더라도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지난 3년 동안의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찾는데 목표가 있다. 이러한 목표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영남대학교를 비롯한 지역대학에서의 독도교육의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영남대학교에서 수행해온 독도교육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구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도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은 독도 관련 법률전문가의 양성 및 국가의 전략적 차원에서의 기여라는 점에서 크게 환영할 일이라는 점이다. 둘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독도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중・고교에서의 독도교육과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독도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양성프로그램이 요청된다는 점이다. 넷째 독도교육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가칭 ‘독도교육공동연구회’와 같은 민간 주도의 위원회를 설치하여,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틀 속에서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독도에 관한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지속된다면, 독도는 ‘아름다운 금수강산’으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

        강경리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ffectiv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free grade system. In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the actual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plan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was found to be the case of individual subject-related classes and school-level project classes in the topic selection activity, the operation of the Dokdo Experience Center-centered program i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the Dokdo Keeper-centered activity in the club activities. The limita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are the difficulty in designing and operating classes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in the topic selection activity, the absence of a differentiated program in the free grade system, a one-time program centered on events, and linkages with institutions in the career experience activity, absence of programs linkage with curriculum, and lack of community-linked clubs in club activities were fou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are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territory through class innovation,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of awareness and experience from the territory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of action and practice for the territor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The plans of improvement of Dokdo education in the free grade system are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extended implementation, the setting of core competencies for systematizati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program) contents for Differentiati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program) methods for persist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ac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자유학년제에서 독도교육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자유학년제에서 효과적인 독도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2장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현황에서는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실태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3장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방향에서는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특징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실태는 주제선택활동에서 교사 수준의 교과 연계 수업 사례와 학교 수준의 범교과 연계 프로젝트 수업 사례, 진로탐색활동에서 독도체험관 중심의 독도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동아리활동에서 기존 독도교육 동아리인 독도지킴이 활동 사례로 나타났다.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한계는 주제선택활동에서 자유학년제의 취지와 방향에 적합한 수업 설계‧운영의 어려움, 진로체험활동에서 자유학년제 학생 대상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부재, 단기간의 일회성 프로그램 운영, 기관 연계 프로그램의 부재, 동아리활동에서 교육과정 연계 동아리의 부재, 지역사회 연계 동아리의 부재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특징은 수업 혁신을 통한 영토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교육 강화, 다양한 경험을 통한 영토로부터의 자각과 체험의 교육 강화, 공동체 활동을 통한 영토를 위한 행동과 실천의 교육 강화로 나타났다.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개선점은 확대 시행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정책 수립, 체계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핵심역량 설정, 차별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수업(프로그램) 내용 개발, 지속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수업(프로그램) 방법 개발, 활성화의 관점에서 자유학년제의 독도교육 인프라 구축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중・고교생 대상 독도교육의 모델 -교과부의 ‘초・중・고등학교의 체계적인 독도교육내용’과 비교해서-

        이용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4 No.-

        Todays, the territory distortion education surrounding Dokdo for the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e conducted by Japan is changing aggressive and active. These distortion is made up scrupulously in Japan's government level, and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Therefore, dealing with distortion of Dokdo education doing by Japan, it’s time for to think deeply about how to educate Dokdo to Kore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 in this thesis, for the goal that is under the notice of Dokdo’s dominium from more effective Dokdo education, and it’s dealing with these some aspects. First, section ‘Ⅱ’ recapitulates an actual conditions of Dokdo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t present. Second, section ‘Ⅲ’ analyzes past Dokdo education’s substance,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ird, how to consist Dokdo education for the effective Dokdo education, section ‘Ⅳ’ shows the model of Dokdo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a survey of Dokdo education’ and ‘systematic Dokdo education substance of elementary・middle and high school.’ And for the last, section ‘Ⅴ’ proposes the ways for effective Dokdo education substituted by the conclusion. There are some conclusions for realizing effective and internal stability of Dokdo education target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objective of research. Firs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model of Dokdo education’ is mentioned in ‘Ⅳ, 3’ of this paper as a standard of Dokdo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realize the final draft of systematic scheme to realize systematic and by stage Dokdo education for kinder garden to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high, university and also adult. Third, make a plan under a long-term plan of training specialist who is well versed in Dokdo problems. Fourth, for the effective and actual Dokdo education, we have to use the theory, field and also various educational tools, like as movie, song, moot court, e-learning and so on. Fifth, our nation having heavy responsibility should be done a more affirmative Dokdo education. Last, change of education policy to be more active and positive in role for the government that is having an original responsibility in Dokdo education. 오늘날 일본의 초・중・고교생에 대한 독도를 둘러싼 영토왜곡교육이 보다 적극적이고 공세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왜곡은 일본정부 차원에서 주도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이 자행하고 있는 독도교육의 왜곡에 대응하여, 우리나라도 초・중・고교생에게 어떻게 독도교육을 시킬 것인가에 관해 깊은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실현을 통해 독도의 영유권을 공고하게 한다는 목표 하에서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첫째 현재의 초・중‧고교생 대상 독도교육의 실태를 개괄하고자 한다. 둘째 전기 독도교육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 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셋째 효과적인 독도교육을 위해서는 어떻게 독도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것인가에 관해 상기 ‘초・중・고등학교의 체계적인 독도교육내용’과 ‘독도교육 설문조사’ 등을 기초자료로 하여 ‘초・중‧고교생 대상 독도교육의 모델’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효과적 독도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표에 따라 초‧중‧고교생 대상 독도교육을 내실 있고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앞의 본문 ‘Ⅳ, 3’에서 제안한 초‧중‧고교생 대상 독도교육의 모델을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독도교육 기준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유치원에서부터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는 물론 성인(대학생 제외)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유기적인 로드맵을 확정하여 실현해야 한다. 셋째 독도문제에 정통한 전문교사의 양성이 장기적 계획 하에 입안되어야 한다. 넷째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독도교육을 위해서는 이론교육과 현장교육은 물론이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독도교육에 제1차적 책임을 지고 있는 국가가 독도교육에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성인 대상 독도교육의 모델

        이용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3 No.-

        Be confronted by the distorted Dokdo education be conducted by Japan, it's time to consider what our nation is opposed. In fact the Dokdo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us, it's a previous question for ensuring dominion. On the premise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followings. Firstly section ‘Ⅱ’ examines an actual conditions of Dokdo education for adult at present. Secondly section ‘Ⅲ’ analyzes the contents of Dokdo education for adult and points out the limits of Dokdo education by various methods. Thirdly section ‘Ⅳ’ suggests the model of Dokdo education for adult for effective Dokdo education. Fourthly section ‘Ⅴ’ suggests the ways for effective Dokdo education. In light of the examinations and analyses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conclusions as followings. First, I propose the model of Dokdo education for adult mentioning this papers as a standard of Dokdo education. Second, it should be confirmed the scheme that Dokdo education must be taught from kinder garden,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to adult step by step. Third, to be effective and real Dokdo education should be used not only theory and field education but also a various educational tools, like as movie, song, moot court, e-learning and so on. Fourth, our nation having heavy responsibility should be done a more affirmative Dokdo education. Last, the goal of Dokdo education must be emphasis on increasing concerns to Dokdo to our people. 일본의 왜곡된 독도교육에 직면하여, 우리나라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관해 깊은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된다. 사실 독도교육의 중요성은 따로 강조하지 않아도 자명한 것으로서, 독도에 대한 영유권확보를 위한 선결적 수단으로서, 모든 국민에게 부과된 명령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실현을 통해 독도의 영유권을 확보한다는 목표 하에서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첫째 현재의 성인에 대한 독도교육의 실태를 개괄하고자 한다.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성인 대상 독도교육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 기타 방법론적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셋째 효과적인 독도교육을 위해서는 어떻게 독도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것인가, 즉 독도교육의 모델을 정리해서 소개해 보고자 한다. 넷째 독도교육의 방법 등 효과적 독도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독도교육이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던 바,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성인 대상 독도교육의 모델을 하나의 독도교육 기준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초・중・고등학교의 독도교육은 성인의 독도교육과 매우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치원에서부터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는 물론 성인(대학생 제외)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는 로드맵이 확정되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독도교육을 위해서는 이론교육과 현장교육은 물론이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예컨대 다양한 교육방법(토론회의 개최, 영화와 노래 및 연극의 이용, 언론매체의 이용, 각급 학교교육의 이용, 모의재판의 개최, 우편엽서만한 크기의 코팅된 카드의 제작・배포, 소책자의 발간, 단면으로 된 인쇄물의 이용, 전문서적의 출판, 동영상물의 이용 등)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오늘날 첨단매체인 e-러닝(또는 인터넷을 통한 교육)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넷째 독도교육에 제1차적 책임을 지고 있는 국가가 독도교육에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역할을 하는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독도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국민들로 하여금 독도에 대한 지속적 사랑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그 내용과 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교육의 실태와 방향

        한경근(Han, Kyoung Gun),박윤정(Park,Youn Ju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먼저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기존 독도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교육의 현 실태를 조사하고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학교급별 교육목표와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초·중·고 독도교육의 목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독도교육의 목표에 따른 교수·학습의 방향을‘학생 중심’으로 구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접근의 필요성과 학교급별 독도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교수·학습의 주안점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seek future directions. First, contents of the existing Dokd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discussed. Additionally,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the need for Dokdo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se, the goal of Dokdo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istency with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Basic Curriculum of 2015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oposed goals for Dokdo education, the necessity of the instructional approa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be perceived as ‘student-centered’ and the main points of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school-level Dokdo educ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