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파견사업」에 관한 생활만족도 연구

        류인애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8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5 No.1

        인구의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혼자 일상생활을 영위하지 못해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의존성 노인들이 증가하고 독거노인들의 고독사, 자살, 유기되거나 방치하는 등의 사회현상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국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국가가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로 까지 인식되어 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과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하고,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서울 시립용산노인종합복지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독거노인 6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데이터를 참고로 작성되었다.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으로 새로 신설된 방문요양의 경우 재가급여에 해당되는데 주요서비스로는 장기요양대상자의 집을 방문해서 목욕, 화장실 이용, 옷 갈아입히기, 머리감기기, 취사, 생필품구매, 청소, 주변정돈 등의 기본적인 생활보조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가정파견사업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은 독거노인에 대한 생활실체 및 복지욕구 파악, 안전관리 및 생활교육실시, 노인관련 보건, 복지 서비스 연계활동을 통해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목적으로 2007년에 시작된 노인복지사업이다. 독거노인에 대한 방문요양서비스와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두 서비스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하는 점은 동일하다. 이 두 유형의 서비스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목표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지 그 서비스 효과에 평가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방문요양서비스와 독거노인생활관리사파견사업이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독거노인의 주기적 약 복용 관리를 위한 복합적 스마트 제품 서비스 연구

        조입염(CAO, LIYAN),김숙연(Kim, Sook Ye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1

        현재 사회는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독거노인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생활 및 심리적 욕구 문제를 충족시키는 것이 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하여 독거노인들을 보살피고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그들에게 마음의 위안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약 복용을 잊거나 약의 효능 정보를 잊는 등 건망증 증세와 약을 오용하는 현상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거노인 주기적 약 복용 관리를 위한 제품 서비스 디자인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생리적 특성, 심리적 특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들의 생활에서 사용되는 제품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독거노인의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기관의 생리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기 때문에 비관, 초조, 우울 등 심리적 문제가 생기기 쉽다. 이러한 부정적인 정서로 인해 심각할 경우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노인 자살률도 증가하고 있다. 둘째, 인터뷰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독거노인의 일상생활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들의 생활문제와 수요를 파악하였다. 독거노인은 일상생활에서 음식섭취 저하, 영양 불균형, 그리고 약 복용 관리 문제가 특히 두드러지는데, 약 먹는 것을 잊거나 약의 효능 정보를 잊는 등 건망증 증세와 약을 오용하는 현상 등이 있다. 셋째, 노인 스마트 제품 서비스 조사 분석을 통해 이러한 제품 서비스의 특징 알아보았다. 넷째, 이상의 일련의 조사 분석을 통해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독거노인의 약 복용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주력하여 서비스 디자인하였다. 청력 저하, 노안으로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 약 먹는 것을 잊는 경우, 약 놓는 위치를 잊는 경우, 약의 효능 및 효과를 잊거나 약 오용하는 경우, 긴급구조와 감성 수요 등 문제를 중점적으로 해결했다. 이러한 서비스 디자인 시도가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 제품 서비스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owadays, the aging of society is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and the numbe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constantl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hav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social problems. Thus, problems of their lifestyle and psychological needs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of the old people living alone, solve their difficulties in daily life and provide spiritual comf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mart product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ake medicine regularly, aiming at the forgetful symptoms such as forgetting to take medicine, forgetting the function information of medicine, and taking medicine randomly.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rough the study of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 have learned about the decline of sensory system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elderly, such as vision, hearing, touch, etc. They are very lonely, prone to pessimism, anxiety and depression. The accumulation of these negative emotions leads to a higher suicide rate among the elderly. Secondly, Through interviews and literature surveys,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life problems and needs. Poor diet, unbalanced nutrition; especially drug management problems, forgetting to take medicine, forgetting the function information of medicine and other forgetful symptoms and disorderly taking medicine often occur in daily life. And then,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mart products and services for the elderly,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ducts and services. Finally, the design elements are derived through a serie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better solve the problem of Drug Administration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ervice design tried to focus on hearing loss and presbyopia; forgetting to take medicine, forgetting the position of drug delivery, forgetting the functional attribute of the medicine, taking medicine in disorder; emergency assistance and emotional needs. I hope that this kind of design attempt will be helpful to the product desig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독거노인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학술지, 학위논문 중심으로

        이정규,윤영희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통합사회복지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 Korean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garding their periods, contents, methods, and subjects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nd then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to investigat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them.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selected 856 journals and dissertations o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1991 until July, 2018 in Korea and then analyzed the trends of them and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trends, about the periods of those studies o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y constantly increased from 1995 and then rapidly increased from 2010. Regarding their contents, practical studies are much more than foundational ones. About study methods, quantitative studies are more frequently found than qualitative ones or literature reviews. Concerning subjects selected in them, those targeting human beings are more often found than those dealing with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researcher has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is situation having super-aged society right ahead, it is needed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problems and needs existing in social welfare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ctiv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n a view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s humans in ethical perspective. In order to prevent various problems that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re facing ultimately, not superficially, it is needed to provide social support and form a viewpoint for them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ethic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that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re experiencing in the field of welfare actively so that it can be balanced and harmoniz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olve welfare issues related with elderly people living alone. Fourth,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satisfy their need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targeting personal matters so that related welfare issues can be settled down within the social network effectively. Fifth, it is needed to conduct systematic and personalized consumer-oriented research concerning how to develop practical human service program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provide support for them, and develop and distribute systems for deliver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독거노인과 관련하여 연구된 학술지, 학회지 논문의 시기, 내용, 방법, 연구대상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 영역에서 독거노인의 연구 현황을 파악하여 독거노인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독거노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1년부터 2018년 7월까지 출간된 국내에서 연구된 독거노인에 대한 학술지, 학위논문 연구물 85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동향을 분석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동향분석 결과, 독거노인 관련 연구 시기는 1995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0년도에 들어와서 급격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구내용은 기초연구 보다는 실천연구가 월등히 많으며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질적 연구와 문헌연구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적 대상 연구가 물적 대상 연구보다 많이 연구되어졌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예상하는 상황에서 독거노인의 다양한 사회 복지적 문제들과 욕구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독거노인에 대한 인간관과 윤리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독거노인이 가지는 여러 문제를 단회적인 처방이 아닌 근원적인 예방을 위한 인권과 윤리적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와 관점을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복지현장에서 독거노인이 경험하는 삶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으로 양적연구와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독거노인의 복지적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넷째, 독거노인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관계망 안에서 복지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적대상의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독거노인을 위한 실제적인 휴먼서비스의 프로그램, 지원, 전달체계에 대한 개발과 보급에 있어서 체계적인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희년,서홍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4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pression levels and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of 380 lonely frail elders in Gimhae area. Based on the study findings, practical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t was showed that 52.2% of the study subjects had mild and medium levels of depression, and other 33.4% had severe degree of depression. But, Only 11.5% of subjects admitted that they suffered from depression which showed very low level of self-recognition. Among sub-factors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self-care strategies, relational coping with caregivers, performance-related quality of life, and accepting help were clarified as impacting factors of elderly's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nd economic conditions, and gender were also turned out as meaningful factors to effect on depression. Therefore, encouraging elders to decide and plan activities for themselves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Instead of delivering services without considering elder's opinions, the practitioners need to work together with elders for whol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cess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condition of lonely frail elders. 본 연구는 경남 G시에 거주하고 있는 380명의 요보호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자기효능감이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며, 이를 토대로 요보호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과 정신건강의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52.2%가 경․중증도의 우울을, 33.4%가 심각한 수준의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대상자의 11.5%만이 우울증상이 있다고 응답하여 우울증에 대한 요보호독거노인들의 인식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수발자 효능감 척도(care-receiver efficacy scale)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이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 척도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자기 케어 전략, 케어제공자와의 관계상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대처, 삶의 질과 관련된 역할수행, 그리고 도움 수용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외에 주관적인 건강상태, 성별, 그리고 주관적인 경제 수준도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보호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들은 노인들에게 일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개입의 전체 과정에 이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등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함이 요구된다.

      • KCI등재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김예성 ( Kim Ye S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현상황에서 독거여부가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건강증진행위 변인이 지니는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내 3개구 독거노인지원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독거노인들과 노인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독거노인 208명과 가족동거노인 199명에 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선행연구들에 기반하여 노인의 독거여부가 직접적으로 또는 건강증진행위를 매개로 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 방정식을 통해 이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은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건강증진 행위 및 신체적 정신적 건강 수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는 독거 여부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매개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사회가 독거노인의 열악한 건강수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임을 알려준다. 나아가 독거노인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독거노인들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건강증진행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시키고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ving alone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in the present situation of increase of senior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mainly examined.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ering surveys to elderly people living alone belong to th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people who use elderly welfare centers or senior citizen centers located in 3 districts of Seoul area. As a result, data from 208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199 elderly people living with family members were us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analytic model supposing the variance of living alone would a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directly or indirectly mediated by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developed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are lower than elderly those of people living with family members. And the vari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mediating factor of the variance of living alone and the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From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Attentions to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re needed and the systems for increas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uld be prepared and diffused for protecting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KCI등재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정현,최소연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and who live with others by comparing the level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15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held in 2020,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had a high sense of depression, low self-esteem, and low life satisfaction. For both of them, the old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e regression model, which added depression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of them, but the effect of self-esteem was higher (β=.40, .41) than that of depression (β=-.28, -.29).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R2=.409) than in elderly people who live with others (R2=.398).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policies and practice directions to enhance self-esteem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수준을 비독거노인과 비교하면서 선행변수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2020년에 진행된 한국복지패널 1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1,533세대와 비독거노인 3,130세대를 대상으로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노인은 비독거노인에 비해 우울감은 높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독거노인은 여성의 생활만족도가 높은 반면, 비독거노인은 남성의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독거, 비독거노인 모두 나이가 많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존중감 (β=.40, .41)의 영향이 우울 (β=-.28, -.29)의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거노인 (R2 =.409)이 비독거노인 (R2=.398)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제고하며 생활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영선,강은나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not alone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ith those purposes, ‘Dementia Health Literacy Survery’ which was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urvey was conducted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0 to 79. Data was selec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In-home interview were conducted by professional interviewers between July and August 2016. This study analyzed total 526 respondents for final analysis, including 128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398 older adults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Common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were age and education. In addition, a factor affect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whereas a factor influenc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with others was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and depression level.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the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elderly’s health literac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만 60세 이상80세 미만 노인 52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치매정보이해능력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독거노인 128명과 비독거노인 3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수준이 비독거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세부항목 중 글로 쓰인 건강정보 이해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영향요인에서 독거노인이 가지는 차별적인 요인은 사회적지지와 사회참여 특성을 포함한 사회적 관계 요인이었으며, 비독거노인은 외래이용 여부와 우울수준 등 건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가구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구결과를토대로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에 나타난 제도적 지원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이척희 ( Chuck-he Lee ),노재철 ( Jae-chul Noh ) 산업진흥원 2020 산업진흥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2018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을 중심으로 독거노인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독거노인 지원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일상생활 관련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서비스를 연계할 구체적인 방안과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증대가 필요하다. 독거노인에 대한 문제해결은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망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독거노인을 위한 법률 제·개정을 제안한다. 기존 법률의 일부 개정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노인일자리 유형에 대한 기준과 정의, 노인일자리 사업 전담기관을 포함한 전달체계에 대한 재정비, 근로자성 관련규정, 노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등 개별 법률 제정을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독거노인에 대한 복지지원은 종합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한다. 독거노인의 복지는 우선적으로 맞춤형 돌봄서비스가 시행되어야 하며, 사회적 관심도의 증대를 토대로 해서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향시키고, 독거노인을 위해 법제·개정이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the General Support for Living Alone Elderl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8. Results, First, a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meets the most basic daily life needs, and a specific plan and a support system to link services should be prepa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Solving proble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preceded by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network. Third, it proposes legislation and amendmen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ome revisions of existing laws have limitations, and are resolved through individual laws, such as standards and definitions for various types of elderly jobs, reorganiz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ncluding agencies dedicated to elderly jobs, workers-related regulations, and preferential purchase systems for senior products. It is desirable to do. In conclusion, welfare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personalized car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irst, and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promoted on the basis of increasing social interest, and laws and revisions must be actively and proactively mad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노년기 삶에 대한 독거효과 분석 연구: 성향매칭분석을 통한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

        강은나,이민홍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whether the effect of living alone influences overall life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health enhancement behaviors, social network, and quality of life by living arrangements were examined with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method. The data obtained from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in 2017 which were based on face-to-face interviews with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alone group=2,362, non-living alone group=7,324).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community, comparing with non-living alone groups of similar SES levels, were more likely to have poor mental health, high nutritional risk and smoking rate, and high exercise participation. The social network and quality of life in the living alone group were poorer than those of the older adults who live with spouses or their children, and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were more likely to think about suicide. Unexpectedly, the effects of living alone were not associated with physical or cognitive disability and network reduction in the sampl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strateg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1인가구가 노년기 보편적인 가구형태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 노년기 부정적인 삶의 결과들이 혼자 생활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인지 아니면 노화 또는 고령 등과 같이 노인들이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독거(living alone)와는 무관하게 발생하는 것인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향점수매칭방법(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을 활용하여 독거노인 집단과 비독거노인 집단 간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동, 사회관계, 그리고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 중 본인응답자, 장기요양등급 미인정자, 그리고 1년 이상 동일한 가구형태(독거, 비독거 가구)를 유지한 노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독거노인 2,362명(24.4%)과 비독거 노인 7,324명(75.6%)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에서 혼자 생활하는 노인은 인구, 사회, 경제적 조건이 유사한 비독거노인에 비해 노인의 정신건강과 영양관리 수준이 열악하고, 흡연율이 높지만 운동참여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와 삶의 질 영역에서는 노년기에 혼자 거주하는 노인은 혈연적 지지체계가 약하고, 삶의 만족수준이 낮고, 자살생각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혼자 생활하는 것이 노년기의 신체적 기능상태나 인지적 기능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사회참여 규모나 비혈연 지지체계를 축소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설정과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남녀 독거노인들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연구

        김혜령 ( Hye Ryoung Kim ) 대한보건협회 2014 대한보건연구 Vol.40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 가운데 여성독거노인 1,462명과 남성독거노인 28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우울 유병률은 여성독거노인 35.0%, 남성독거노인이 34.9%로 차이가 없었다. 우울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독거노인은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이 아닌 노인에 비해서 수급 대상인 노인, 친인척·친구와 매일 접촉하는 노인에 비해서 매일 접촉하지 않는 노인, 진단받은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세 개 이상의 질병을 진단받은 노인, 6-8시간 수면을 취하는 노인에 비해서 6시간미만의 수면을 취하는 노인, 쉬지 않고 열 계단을 오를 때 전혀 힘들지 않는 노인에 비해서 약간, 매우 힘들거나 전혀 불가능한 노인에서 우울 발생이 높았다. 이에 비해 남성독거노인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노인, 읍면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동부에 거주하는 노인, 자가 주택을 소유한 노인에 비해서 월세 주택에 거주하는 노인, 진단받은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세 개 이상의 질병을 진단받은 노인이 우울의 고위험인구로 추정되었다. 진단받은 질병 수와 BMI는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 노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기초국민생활보장 수급 여부, 친인척·친구 매일 접촉 여부, 수면시간, 쉬지 않고 열 계단 오르기는 여성독거노인에서만, 교육수준, 거주지역, 주택소유는 남성독거노인에서만 우울 유병률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은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가 한국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 우울 고위험인구 관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n Korea. Methods: A total of 1,462 of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from 2011 Report on the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were selected.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 in prevalence of depression between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Depression was more prevalent as the elderly female living alone who have received basic livelihood support; in the elderly female who contacted with relatives or friends less than everyday; as the elderly female with 3 and more of diagnosed diseases; in the elderly female who slept less than 6 hours; as the elderly female who can hardly climb stairs without respite. Depression of the elderly male living alone was affected by lower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s; home ownership, diagnosed diseases, and BMI. Conclusion: The finding of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s expected to promote the differentiated strategy for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at risk of depress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