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대 도읍지 해석을 통해 본 고대 풍수의 원형 -함양, 장안을 중심으로-

        조민관 ( Cho Min-kwan ),천인호 ( Cheon In-h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4 No.-

        본 연구는 중국 고대 도읍에 관한 각종 문헌과 현지조사를 통해 고대 도읍에 적용된 풍수의 원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함양과 장안을 중심으로 현지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고전 풍수이론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중국 고대 도읍은 중국 고대 천문학과 『역경』 및 점복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고대 천문학에서 중심지는 황제의 거처인 자미원과 자미원을 둘러싼 태미원, 천시원이다. 이 중 태미원은 문무대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국 고대 도읍은 태미원의 형세를 구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역경』의 乾卦를 형상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의 규모인 規局을 중시하였다. 풍수고전서에도 陽基의 경우 규국의 크기를 중요시 하고 있는데 이는 도읍의 인구규모를 고려한 것으로 현대 입지론에서도 타당한 것이다. 셋째, 풍수고전에서도 물을 산보다 우선한다고 하였는데 중국의 고대 도읍도 산보다는 물을 우선하였다. 이는 결국 강을 통한 수상교통로의 확보, 생활용수의 공급 및 강을 통한 자연적인 군사방어적 측면까지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중국 고대 도읍은 음택풍수의 산 중심의 사신사가 아니라, 북쪽에 산, 동쪽에 강, 남쪽에 연못, 서쪽에 도로가 있는 양택풍수 사신사인 山川道澤이 적용되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볼 때 함양궁의 배산임수의 지세와 관중분지로 인해 藏風에 유리한 점, 그리고 周, 漢, 隋·唐의 도성들이 각각 두 물줄기 사이에 위치한 眞龍의 형태라는 점 등이 전통 풍수 이론과 부합한다. 그러나 秦의 궁궐이 위수의 남북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는 점과 장안이 뒤에는 강이 있고 앞에는 산이 있는 背水臨山의 지형이라는 점 등은 음택풍수가 아닌 양택풍수의 원리와 부합한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ototype of fengshui applied to the ancient capital based on various documents and field survey of Chinese ancient capital. For thi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ield survey mainly over Xianyang and Changan, and was compared it with classical fengshui theory.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ly, Chinese ancient capital was reflected with Chinese ancient astronomy, 『Yeokgyeong』, and Jeombok idea. The central areas of ancient astronomy were Jamiwon, the emperor’s residence, Taemiwon, and Cheonsiwon, which surrounded Jamiwon. Among them, Taemiwon implied literary and military officers, and Chinese ancient capital pursued the topography of Taemiwon. Also, it embodied Geonwae(乾卦) of 『Yeokgyeong』. Second, it highly regarded Gyuguk(規局), the scale of city. In the classical fengshui books, also, the size of Gyuguk was highly regarded in respect of Yanggi(陽基), and considering the population of capital, this was valid in modern location theory also. Third, classical books about fengshui also mentioned that water took priority to mountain, and Chinese ancient capital also put water above mountain. This eventually implies that they considered natural military defensive aspect as well as securement of waterway traffic and living water through the river. Fourth, not Sasinsa mainly with mountain based on Eumtaek fengshui(陰宅風水), but Sancheondotaek(山川道澤), which was Yangtaek fengshui(陽宅風水) Sasinsa, which had mountain in the north, river in the east, pond in the south, and road in the west, was applied to Chinese ancient capital Concretely, the topography of Baesanimsu(背山臨水) of XianyangPalace, the advantageous Jangpung(藏風) due to Gwanjungbunji and the shape of Jinryong(眞龍), having the capitals, Zhou(周), Han(漢), Su(隋)·Tang(唐), located between two streams respectively, etc. coincided with traditional fengshui theory. However, the points that the palace of Chin(秦) was located through the south and the north of Weisu and Changan had the topography of Baesuimsan(背水臨山), with the river in the rear and the mountain in front, coincided with the principle of Yangtaek fengshui, instead of Eumtaek fengshui.

      • KCI등재

        일본 고도 평안경(교토)의 풍수 사신: 평가와 문제제기

        천인호 ( In Ho Che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고대 도읍인 평안경(교토)의 풍수 사신사 논의, 즉 山川道澤설과 天心十道설을 평가하고 일본 고대 도읍은 삼산과 연못의 사신사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논증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일본 평안경의 풍수 사신사 논의는 『作庭記』를 기반으로 한 산, 강, 도로, 연못을 의미하는 산천도택설과 四山을 중심으로 한 천심십도설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러나 산천도택설은 당시 일본 고대도읍 관련 기사에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천심십도설은 중국 宋代 이후에 나온 이론이라는 점에서 그 적용 여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일본 고대 도읍 중 藤原京은 大和三山이라고 불리는 耳成山, 天香久山, 畝傍山과 주작으로서의 花田池가, 平城京은 奈良山, 春日山, 生駒山의 삼산과 주작으로서의 五德池(越田池)가, 平安京의 경우 船岡山, 嵐山, 大文字山의 삼산과 주작으로서의 巨량池가 있었다. 이는 일본으로 풍수를 전파한 백제의 수도인 사비(부여)가 三山 아울러 주작으로서 연못이 있는 구조와 일치하였다. 즉 삼산과 전면이 개방되고 주작으로서의 연못이라는 공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으로 전래된 풍수는 산 중심의 사신사와 산천도택의 사신사가 동시에 전래되었는데 초기에는 삼산과 주작으로서의 연못이 사신상응으로 적용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중국의 풍수서의 영향을 받은 『작정기』 이후 평안경에 산천도택의 사신상응이 적용되었고 이후 일본풍수에서 이것이 고착화된 것으로 보았으며, 고대 도읍의 풍수 원형은 삼산과 전면이 개방되고 주작으로서 연못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Fengshui(風水) Four Gods(四神) of Heiankyo(平安京, Kyoto), the old city of Japan, namely to evaluate Sancheongdotack(山川道澤) theory(theory that Four Gods are composed of mountain, river, road and pond) and Cheonsimsipdo(天心十道) theory (theory that it was built at the center where 4 mountains intersect) and to demonstrate that the old city of Japan was composed of Four Gods composed of 3 mountains and pond. Fengshui Four Gods are Black tortoise(玄武,), Red bird(朱雀,), Blue Dragon(靑龍,) and White tiger(白虎,) which mainly protect Hole(穴, The place where energy is most intensively concentrated in Fengshui) and concentrate energy. To date, the discussion on the Fengshui Four Gods of Heiankyo(Kyoto), the old city of Japan could be divided into Sancheongdotack theory and Cheonsimsipdo theory based on Sakuteiki(作庭記). However, the applicability is questionable in that Sancheongdotack theory could not be verified in the article on the old city of Japan and Cheonsimsipdo theory arose after Song(宋) Dynasty of China. Based on such sense of problem, this study clarified that Fujiwarakyo(藤原京) Heijokyo(平安京), Heiankyo out of the old city of Japan were composed of 3 mountains and Red bird. This had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Sabi(泗비), the capital of Backje(百濟). Thus, this study viewed that the Fengshui transmitted to Japan was simultaneously transmitted as Four Gods mainly based on mountain and Four Gods of Sancheongdotack and the pond as 3 mountains and Red bird was applied to Sasinsangeung(四神相應) at the beginning and Sasinsangeung of Sancheongdotack was applied to Heiankyo after Sakuteiki influenced by Chinese Fengshui was published & the prototype of Fengshui of old city existed as 3 mountains with open front and pond existed as Red bird.

      • KCI등재
      • KCI등재

        《시경詩經》의 주거지住居地 선정選定과 특색特色 연구

        박순철,최윤금 한국중국문화학회 2024 中國學論叢 Vol.0 No.82

        본 논문은 시경을 통하여 시경 시대 사람들이 어떤 방법으로 자신들의 주거지를 선택하여 살았고 이 이유와 목적은 무엇인가를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시경의 내용을 주거지의 선정방법과 천이(遷移)의 배경(背景) 두 부분으로 나누고 선정방법에서는 점복과 풍수의 관념과 방법을 살펴보고 천이의 배경에서는 그 이유와 목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경 시대에는 주거지의 선정방법으로 점복과 풍수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점복은 감성적 방법이고 풍수는 이성적 방법이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주거지를 옮겨서 도읍과 읍성의 조성, 개인주거의 안배, 자연경관의 추구를 실현하였다. 새로운 도읍과 읍성의 조성 목적은 방어와 안전 그리고 풍요의 달성이었고, 개인주거의 안배는 생산과 안락이었으며 자연경관의 추구는 여가의 유희였음을 밝혔다. 결론적의 주거지의 선택과 목표는 추길피흉(追吉避凶)을 통한 풍요와 안락의 추구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people in the ShiJing period chose their cities and personal residences based on certain criteria through Shijing, as well as their activities and way of life. To achieve this, the paper divides the selection of living places into two categories: the selection of cities and the selection of personal residences. These categories are further analyzed in three aspects: the physiological benefits of natural geography, enjoyment, and emotional selection. Consequently, the choice of towns and residences revolved around production and exchange during the ShiJing period. People preferred places where they could pursue and appreciate natural scenery, as also escaping from political and social oppression and extortion. Furthermore, the choice of residences evolved to incorporate aesthetic, political, and social perspectives alongside practical considerations. This resulted in a desire for material abundance, emotional pleasure, and beauty, ultimately seeking a life free from political and social restraints and oppression. In summar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hanges gradually emerged, starting from survival practicality, moving towards aesthetic enjoyment, and encompassing political and social choi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