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정보모델 - 지상·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김은형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7 No.1

        The adop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is increasing for the realization of new effective u-City services. u-City is defined as a next-generation informatization city that can innovate a city's various functions, such as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citizenry, ensuring safety based on systematic urban manage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and increasing convenience in city life, by merging cutting-edg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s with urban space. There is therefore a need to recognize that a successful u-City implementation strategy involves developing the previous UIS into a ubiquitous technology-based UIS and integrating UIS's various urban informations with effective u-City services. In this paper, for UIS-based u-City implementation, the intelligent integration model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nteroperability is proposed.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은 도시정보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이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는 기존 지자체GIS 서비스를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시공간정보에 대한 연계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시시설물의 효율적 관리와 상호운용성 기반의 센서기반 도시정보 활용을 위한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정보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 u-UIS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 모델 - 지상․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김은형,최현상,김태훈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기술과 함께 유비쿼터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비쿼터스 기술은 도시정보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보장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이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는 기존 지자체GIS 서비스를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시공간정보에 대한 연계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시공간정보의 효율적 활용과 상호운용성 기반의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을 위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 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adop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is increasing for the realization of new effective u-City services. u-City is defined as a next-generation informatization city that can innovate a city's various functions, such as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citizenry, ensuring safety based on systematic urban manage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and increasing convenience in city life, by merging cutting- edg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s with urban space. There is therefore a need to recognize that a successful u-City implementation strategy involves developing the previous UIS into a ubiquitous technology-based UIS and integrating UIS's various urban informations with effective u-City services. In this paper, for UIS-based u-City implementation, the intelligent integration model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nteroperability is proposed.

      • 도시계획정보체계 개발모델 연구

        염형민,이승일,전유신 한국공간정보학회 200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0 No.1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성장으로부터 도시공간의 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투명한 도시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며 조화로운 공간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도시공간내 토지이용에 관한 계획수립체계가 변화되고 보다 강화되었다. 그거나, 강화된 도시계획수립체계가 순기능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에 환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 정리, 분석하여 도시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계획 분야에서의 이리한 요구와 수요는 다양한 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관리하고 이를 공간상의 분포현황 등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G[S관련 정보기술의 발달로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법을 근거로 하여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정보화 요구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도시계획정보체계의 기본구상을 제시하고, 최근 GIS관련 정보기술동향을 활용한 도시 계획정보체계의 개발모델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prevent indiscreet urban growth and harmonize urban development with environmental preservation, it is strongly required in Korea that urban planning should be reasonable and transparent. From this societal demand, the urban planning system was changed to be strengthened for the establishment of harmonious land-use order in urban space. However, implementation of the urban planning system demands a lot of information to analyze and estimate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urban area. For this purpose, the information should quickly be collected, managed and analyzed. The urgent demand of information in urban planning field is able to be fulfilled with recent GIS and its relevant information technique, which can quickly, accurately and conveniently collect various spatial and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alyze and manage them, and visually present the result of spati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and its basic implementing scheme to support the urban planning system with GIS and presented a development model of the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recent GIS and its relevant information technique.

      •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정보모델 - 지상.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김은형,Kim, Eun-Hy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1

        The adop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is increasing for the realization of new effective u-City services. u-City is defined as a next-generation informatization city that can innovate a city's various functions, such as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citizenry, ensuring safety based on systematic urban manage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and increasing convenience in city life, by merging cutting-edg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s with urban space. There is therefore a need to recognize that a successful u-City implementation strategy involves developing the previous UIS into a ubiquitous technology-based UIS and integrating UIS's various urban informations with effective u-City services. In this paper, for UIS-based u-City implementation, the intelligent integration model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nteroperability is proposed.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은 도시정보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이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는 기존 지자체GIS 서비스를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시공간정보에 대한 연계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시시설물의 효율적 관리와 상호운용성 기반의 센서기반 도시정보 활용을 위한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정보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김은형,Kim, Eun-Hy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3

        최근 u-City와 같은 신도시는 물론 기존 도시에서도 다양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면서, 이들 서비스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의 보급 및 서비스 적합성 평가가 요구된다.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표준 확산을 목적으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이 필요하다. 이 평가모델 수립은 기존의 적합성 개념 검토 등 개념정의에서부터 출발하여 국내외 적합성 관련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토대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및 서비스 표준체계에 입각하여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어 구체적으로 상황인지 상수도 상수유량모니터링에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확산 및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의 적용방향을 모색하였다. As demands of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increasing in u-Cities, development and use of service standards for the cities are required to make the services interoperable. Conformance tests can be conducted for the standards to implement the services more interoperably and consistently. To improv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valuation model for services in a perspective of conformance tests. In the context, this study reviews the related references and establishes a conceptual model of the conformance tests for the service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of the model to a monitoring service for flowing water quantity to prove its usefulness.

      • KCI등재

        유비쿼터스 도시에서의 자가전기통신설비 설치 목적외의 사용문제에 관한 연구

        박완규(Pak, Wan Q)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2

        현재 유비쿼터스도시는 부산, 동탄, 파주, 광교, 흥덕 등 전국 50여 군데에서 추진되고 있다. 그간 유비쿼터스도시 건설에 대한 근거법령의 부재로 각종 인허가 취득의 어려움, 서로 다른 기술 기준, 유비쿼터스도시 개념상의 혼란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난 해 3월 28일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 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같은 해 9.29일자로 시행되었다. 유비쿼터스도시에서는 각기 다른 정보, 기술, 관리주체 간에 상호 연계성, 통합성, 호환성 등의 기능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구현될 필요가 있다. 정보통신망은 설치목적에 따라 자가전기통신설비와 사업용전기통신설비로 나뉜다. 전기통신기본법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자신의 전기통신을 위해 설치된 자가전기통신설비가 그 설치 목적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자가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한 정보의 상호 연계 등의 서비스를 구현하려면 같은 설비의 설 ‘목적외 사용’도 필요하다. 관건은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 자가전기통신설비의 ‘목적외의 사용’에 관해서 ‘다른 법률의 특별한 규정’에 해당되는 지 여부이다. 해당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합 법률에는 자가전기통신에 관한 직접적이고 명시적 규정이 없을뿐더러 법 전체를 놓고 유기적으로 해석하더라도 같은 법이 전기통신기본법상 ‘다른 법률의 특별한 규정’으로서 자가전기통신설비의 ‘목적외 사용금지’의 예외규정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u-City 법에 의하더라도 u-City에서의 자가 전기통신설비의 ‘목적외의 사용’은 여전히 금지된다. 지난 5월 국토해양부의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안)에서는 자가전기통신설비를 같은 법에서 규정한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통신망‘에 포함시켜서 논란이 되었다. 이는 자가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한 상호 연계 등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같은 설비의 ’목적외 사용‘을 금지하는 전기통신기본법과 충돌되기 때문이다. 다행히 지난 9월 1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시행령에는 같은 조항의 자가전기통신설비가 삭제되어 논란은 일단 가라앉은 듯하다. 그러나 최근 국회일각에서는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한법률의 일부 개정을 통해 자가전기통신설비의 ’목적외 사용‘을 허용하도록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즉, 자가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행정기관, 공공기관 간에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특례규정을 신설하자는 것이다. 법 개정(안)대로 된다면 유비쿼터스도시의 전국적 사업규모를 볼 때 정보통신산업에 미칠 영향이 지대할 것이다. 또한 자가전기통신설비의 ‘목적외의 사용’ 금지는 오랜 기간의 정보통신정책이 반영된 결과이므로 이는 국가 정보통신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전략방향과 계획의 틀 안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할 일이지 단편적으로 유비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자체만의 문제로 인식해서는 않될 것이다. 법 개정 노력에 앞서 진정 서둘러야 할 것은 여타 정보통신정책과의 관계에서 자가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정책을 면밀히 검토하여야 할 것이고 그에 터 잡아 규제의 존폐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잘못된 판단으로 인한 사회적 비효율과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Ubiquitous cities(“u-City”) are now being constructed and will be constructed in over 50 c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usan, Dongtan, Paju, Kwangkyo, and Heungduck. The lack of law directly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u-cities caused many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obtaining necessary permits, inconsistent technological standards, and confusion as to the concept of u-City, etc.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Act’ (“UCCA”) was enacted last March 28th and became effective as of September 29th.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rchangibility are the functional traits of u-City and such traits needs to be realized amongst different information types, technologies, and administrative entities through information network. Under the Telecommunications Framework Act(“TFA”), information network i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installation purposes either as private telecommunications facilities (“PTFs” hereafter) or business telecommunications facilities(“BTFs” hereafter). Particularly Article 21 of TFA strictly restricts PTFs to be used only as their installation purposes prescribe unless “a special provision in other statutes” provides otherwise. In order to accomplish u-City's functional traits, it may be necessary to use PTFs beyond their installation purposes. The question is whether the UCCA provides for “a special provision in other statutes”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21 of TFA. It is not so. UCCA does not provide any provisions for PTFs at all let alone it does not provide for a “special provision”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21 of the TFA. Therefore, UCCA may not be interpreted as abolishing the restriction on PTFs under Article 21 of TFA. The Ministry of Land and See attempted to lift the restriction on PTAs. The proposed presidential decree by the agency contained a controversial provision that included PTAs as one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vided for under UCCA. If PTAs are to be used to accomplish u-city's functional traits without restriction, it may frustrate Article 21 of TFA. However, this controversial provision was modified later by insert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instead of PTFs. Another attempt to lift restrictions are being made in the parliament. Some parliamentary members has proposed to amend UCCA so that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ublic institutes may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through PTFs. I suggest there be ample and serious discussion and consensus amongst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citizens, relevant industry leaders, policy makers, and scholars concerning the PTFs policy before such amendment is made. Considering the magnitude of u-Cities nationwide, the impact that such deregulation will bring to society as a whole as well as telecommunications industry is too great to think lightly. The policy regulating PTFs has not been made in a few days, and abolishment of it also should not be.

      •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시와 지역정보화 연구

        이상윤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6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2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스마트사회가 시작되고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는 지역의 도시정보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부산지역의 선도적인 글로벌 스마트도시를 꿈꾸고 있는 부산 센텀시티의 도시정보화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곧 더욱 진화될 스마트사회와 유비쿼터스 시대에 합당한 부산 센텀시티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메터데이터로서 행정공간정보화된 정보의 활용 측면을 제안하였으며, 부산 센텀시티의 성공적인 지역정보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국 2030년 무렵에도 여전히 부산 센텀시티가 선도적인 정보화 스마트도시로 남기위해서는 현재의 도시정책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정공간정보화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도시정보시스템에 제공하여 대민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미래도시와 공간정보: 쟁점과 의제

        최진무,조창현,황철수,김형태,안재성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3

        Geo-spatial information is presumed to be the essential infrastructure maintaining the urban function in the future society. Korean government plans to implement the 4th Master Plan of the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rom 2011. The paper suggests future policy issues and related research agenda by projecting vision of the future city and reviewing experiences of the relevant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s. First, urban spatial inform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it can resolve the social segregation regarding the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The urban spatial information of future should contribute to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This implies that urban spatial information is the key factor of the future city that overcomes the disjointed modern spatial environment. Secondly, concept of the space should be reformulated for the future due to the changes in spati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 more fundamental research effort is urgently required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physical space by strategic corporation with cyber space and user participation. ‘ 공간정보’는 미래사회 및 미래도시에서 도시기능 유지를 위한 필수적 하부구조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 정부도 2011년부터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실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도래할 미래도시의 상을 논의하고 이에 필요한 공간정보 기술과 그 적용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적 이슈와 학문적 아젠다를 발굴하였다. 첫째, 미래도시에 있어서 디지털정보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분리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도시공간정보가 구축되어야 한다. 즉, 미래의 도시공간정보는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하여야 한다. 이는 파편화된 공간의 단절성을 엮어줄 수 있는 핵심적 요소로서 도시공간정보가 미래도시의중심이 될 것임을 의미한다. 둘째, 공간정보와 정보기술의 변화는 미래도시공간에 대한 공간개념의 재정립을 요구하고있다. 특히 가상공간의 유기적 연계에 따른 현실공간 확장과 수요자의 직접적인 참여에 기초한 매래도시공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정보기술에 의한 도시공간의 재구성

        임석희(Yim, Seok-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05 공간과 사회 Vol.24 No.-

        정보기술의 발달이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형성된 우리 사회와 공간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변화의 방향은 대단히 논쟁적이다. 이 글은 정보화가 사회와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시적인 담론보다 구체적인 경제활동의 변화를 통하여 정보기술에 의한 도시공간의 재구성을 좀 더 미시적인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정보기술의 적용이 생산체계의 측면에서 기업 입지의 유연성을 가져오지만 현상적으로는 대도시와 그 주변지역에의 선택적 집중을 가져오고 있으며 사무활동의 분화와 더불어 반복적 사무활동의 분산이 나타나고 있지만 의사결정이나 기획·구상과 관련된 핵심 사무활동은 여전히 도심 집중의 경향을 갖는다. 도시 경제활동 영역에서 정보화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유통과 금융서비스 활동으로 일상적인 서비스 활동의 모습은 자동화되어 기계로 대체되거나 전자공간에서 수행됨으로써 물리적 실물공간에서 사라져가는 추세이다. 아울러 개인적 차원에서도 근로양식의 유연화는 근로 장소와 근로시간을 특정하지 않는 경계의 이완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자화된 도시공간은 여전히 물리적 도시공간에 고착되어 있다. 여전히 고정성과 고착성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도시의 전자공간 역시 산업사회의 사회문화적 틀과 물리적 하부구조의 전제하에 구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certain that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bringing about significant changes of society and space built up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nineteen century. Nevertheless, the direction of changes is still a problematic matter. The aim of this article is concretely to consider the reconfiguration of urban space in the Information Age through analyzing the impact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economic activities.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given flexibility of location to companies in an aspect of production system. However,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accelerated the selective concentration of location to large cities and their nearby areas. Similarly front office activities have a strong trend of concentration to downtowns of large cities, while some back office activities are de-concentrating from inner cities in metropolitan areas with diversification of office activities. retail and banking activities are outstanding in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urban economy. Their routine activities are annihilated in physical real space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flexible work place and time is also appearing in personal working system. This means that the border between work place and home is coming loose. However, such electronic urban space is stiil rooted on physical space. It is because that the physical infrastructure of urban space and the socio-cultural frame of industrial society are a prerequisite for the construction of former.

      • KCI등재

        도시공원의 양적·질적 평가를 통한 공원서비스 수준 분석- 제주특별자치도 동지역을 중심으로 -

        홍경아,임현우,박수국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1

        Urban parks create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city and offer a space for city residents to stay healthy and take a rest. They are also urban facilities designed to improve city dwellers’ emotional aspects. Currently, urban parks need qualitative management as well as quantitative supply due to changes in the national land and urban policy paradigm, and a shift in perspective to consumer-centeredness is needed. In this study, the service levels of urban parks for citizen were evaluated: (1) quantitative supply adequacy was analyzed based on the urban population, and (2)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ark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arrangement of urban parks is judg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service levels of urban parks, the highest serviced urban parks were found in urban housing development sites and recently established par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cently created parks improved the qualities of the parks by installing various facilities. I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urban park service supply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applie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it will be a more effective park and green space plan. 도시공원은 도시 자연경관을 형성하고 도시민의 건강과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민의 정서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도시계획 시설이다. 현재 도시공원은 국토 및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양적확보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수요자 중심으로의 시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이 공원으로부터 받는 서비스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인구 수요에 맞게 양적 공급적정성을 분석하고, 조성된 공원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바탕으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판단하였다. 도시공원의 양적 공급서비스 수준과 질적 평가 결과, 도시택지개발로 공원의 부지가 확보되고 최근에 공원이 조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에 조성된 공원일수록 다양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공원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방법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 시 양적·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인 공원녹지계획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