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퇴 절단 장애인용 디지털 소켓 디자인 연구

        권칠용 ( Chilyong Kwon ),고창용 ( Changyong Ko ),유제청 ( Jeicheong Ryu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연구배경 대퇴 절단 장애인을 위한 소켓은 수제작 공정으로 인해 소켓에 대한 사용 만족도 편차가 크다는 문제점과 소켓 제작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생산성의 문제점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수제작 공정을 디지털 공정으로 대체하여 소켓의 제작 품질을 표준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소켓 스캔 데이터베이스 구축, 디지털 소켓 모델링 테스트, 사용성 평가의 세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켓 스캔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는 치수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디지털 소켓 모델링 테스트에서는 대퇴 절단 장애인 3명을 섭외하여 모델링 테스트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평가에서는 착용감에 대한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형상 편차 비교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켓 스캔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는 특징 형상 구분이 가능하도록 치수화 된 45개의 소켓 스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디지털 소켓 모델링 테스트에서는 대퇴 절단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공정을 활용하여 소켓을 제작하였다. 사용성 평가에서는 안정적인 좌골 안착감을 제공하며, 압박감 및 피팅감은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임을 확인하였으며, 일부 통증과 관련된 불편감을 유발하는 부위가 국부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소켓 데이터베이스화를 기본으로 하는 디지털 소켓 제작 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했으며, 소켓 제작에서 이루어지는 석고 모델링을 디지털 모델링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풍부한 소켓스캔 데이터 DB를 확보하여, 많은 케이스의 적용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manufacturing quality of sockets and increase productivity by replacing the hand-made process with a digital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 productivity and the variation in satisfaction of using the socket for the disabled with femoral amputation. Method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ocket scan database, dimensioning work was carried out, and in the digital socket modeling test, thre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recruited to conduct a modeling test study. In the usability evaluation,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fit and a quantitative shape deviation comparison were conducted. Results In the socket scan database construction, 45 socket scan databases were constructed, and in the digital socket modeling test, sockets were produced for three persons with disabilities with amputation. In the usability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provided a stable sciatic seating feeling, and that the feeling of pressure and fitting were generally goo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socket manufacturing technique. In a subsequent study, a rich socket scan data DB is secured, and application of many cases is required.

      • KCI등재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효율화를 위한 링 버퍼에 관한 연구

        송민규(Min-Gyu Song),김효령(Hyo-Ryoung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6

        본 논문에서는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는 TCP/IP 기반 링 버퍼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우리가 제안한 방식에서 각 전파천문대의 백엔드 시스템에서 UDP 프레임으로 생성 및 출력되는 관측 데이터 스트림은 클라이언트 시스템 내의 소켓 버퍼를 경유해 대용량 링 버퍼에 UDP 패킷으로 저장된다. 이후 목적지에 해당하는 상관센터로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이는 다시 TCP 패킷으로 송신되고 상관센터 내의 서버 시스템은 해당 패킷을 소켓 버퍼에 수신받아 이상이 없을 경우 대용량 링 버퍼에 저장한다. 패킷 손실, 중복 및 순서 역전 등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 TCP의 흐름 제어를 통해 패킷은 재전송되며 상관센터에 도착한 데이터는 신뢰성을 보장받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성능 불안정으로 인한 혼잡 회피 발생 시 병렬 스트림 적용을 통해 성능 저하가 소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 TCP/IP based ring buffer system that can stably transfer bulk data streams in the unstable network environments. In the scheme we proposed, The observation data stream generated and output by each radio observatory s backend system as a UDP frame is stored as a UDP packet in a large capacity ring buffer via a socket buffer in the client system. Thereafter, for stable transmission to the remote destination, the packets are processed in TCP and transmitted to the socket buffer of server system in the correlation center, which packets are stored in a large capacity ring buffer 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packets. In case of errors such as loss, duplication, and out of order delivery, the packets are retransmitted through TCP flow control, and we guaranteed that the reliability of data arriving at the correlation center. When congestion avoidance occurs due to network performance instability, we also suggest that performance degradation can be minimized by applying parallel streams.

      • KCI등재

        웹소켓을 이용한 병원 접수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손만근(Man-Geun Son),박기성(Ki-Seong Park),공용해(Yong-Hae K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1

        병원에서 특정 시각 대에 집중하는 외래환자 접수상황을 효과적으로 해당 진료과에 전달하는 기술적 방식이 기존의 병원 접수시스템에 부재하다. 따라서 모든 진료과는 접수상황을 알기위해서 병원접수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반복적으로 순차탐색하게 되고 이는 병원정보시스템 성능저하의 큰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병원 접수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위해 웹소켓을 이용한 주키전송 일괄처리시스템과 접수정보전송에 의한 실시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주키전송 일괄처리시스템은 기존의 순차탐색시스템에 비해 데이터베이스 조회속도를 크게 단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접수환자 수에 무관한 빠른 조회속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접수정보전송 실시간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지 않고도 기존의 요청/응답 접수시스템의 대기환자 갱신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During hospital peak times of outpatients, an effective mechanism that informs the newly receipted patient information to corresponding medical departments is lacking in current hospital reception systems. Since every department repeatedly searches entire patient reception database in sequential manner to acquire its reception information, this is a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factor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hospital reception system efficiency, we developed two web socket based systems, a primary key transmitting batch system and a recep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real time system. The former reduced database access time compared to sequential search system as well as kept search time low regardless of receipted patient number. The latter effectively reduced waiting list updating time in request/response patient reception system by eliminating database access.

      • KCI등재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기록 성능 향상을 위한 Zero Copy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송민규(Min-Gyu Song),김효령(Hyo-Ryoung Kim),강용우(Yong-Woo Kang),제도흥(Do-Heung Je),위석오(Seog-Oh Wi),이성모(Sung-Mo Lee),김승래(Seung-Rae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6

        Zero-copy는 메모리 무복사로도 불리는 기술로서 이에 대한 사용을 통해 사용자 영역과 커널 영역 간 컨텍스트 스위칭을 줄여 CPU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소규모의 랜덤한 파일을 전송하는 용도에 그치고, 대용량 파일 전송에는 아직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를 경유한 대용량 파일 처리에 있어서 Zero-copy의 실질적인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Zero-copy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 저장할 수 있는 소규모 테스트베드 구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세부 성능 평가를 통해 적용된 기술의 유용성을 세부 검증하고자 한다. Zero-copy is a technology that is also called no-memory copy, and through its use, context switching between the user space and the kernel space can be reduced to minimize the load on the CPU. However, this technology is only used to transmit small random files, and has not yet been widely used for large file transfers.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zero-copy in processing large files via a network. To this end, we first developed a small test bed and program that can transmit and store data based on zero-copy. Afterwards, we inten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applied technology in detail through detaile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멀티홈 모바일 호스트상에서 스트라이핑 전송계층 연결을 위한 적응형 버퍼튜닝기법

        파라즈 ( Faraz Idris Khan ),허의남 ( Eui-nam Huh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4

        최근 무선네트워크 기술은 이동 응용프로그램을 위해 이종통신망 연결패스 상에서 병렬로 스트라이핑 데이터 기술을 이용해 고속 데이터를 전달을 가능케 한다 [2]. 전통적으로 대역폭지연프로덕트(BDP) 기반에서 고속전송은 송신자 측에서 다중 TCP소켓의 튜닝을 요구한다. 더욱이, 메모리와 네트워크 요구의 균형을 유지하는 ATBT같은 기술은 유선기반의 단일 소켓상에서 하나의 플로우만 가정하여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여러 무선 패스를 경유하는 이종 무선네트워크 상에서 고속전송을 가능케하는 스트라이핑 전송기술에 적합한 버퍼튜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기술은 이동성, 링크손실, 대역폭변동성 등의 특징을 지닌 무선 멀티홈 모바일 호스트상에서 작동하는 전송계층에서의 자원관리기술이다. 실험을 통하여 유선기반의 ATBT를 본 환경에 적용한 것보다 메모리, 평균 전송량에 있어 제안 기술의 성능이 우수하다. Recent advancements in wireless networks have enabled support for mobile applications to transfer data over heterogeneous wireless paths in parallel using data striping technique [2]. Traditionally, high performance data transfer requires tuning of multiple TCP sockets, at sender`s end, based on bandwidth delay product (BDP). Moreover, traditional techniques like Automatic TCP Buffer Tuning (ATBT), which balance memory and fulfill network demand, is designed for wired infrastructure assuming single flow on a single socket. H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buffer tuning technique at senders end designed to ensure high performance data transfer by striping data at transport layer across heterogeneous wireless paths. Our mechanism has the capability to become a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transport layer connections running on multi-homed mobile host supporting features for wireless link i.e. mobility, bandwidth fluctuations, link level losses. We show that our proposed mechanism performs better than ATBT, in efficiently utilizing memory and achieving aggregate throughput.

      •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한 미아 위치 정보 시스템

        이현태,이구연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9 産業技術硏究 Vol.29 No.B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place information system for missing children using embedded board. In the implementation, the embedded boar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GPS satellites, parsing GGA information which includes current time and location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information and sends them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he server locates a missing chil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embedded board together with server database. We implement an application program for the system. The program shows current location of a child and its moving path and browses the corresponding map from coordinates mapping.

      •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한 미아 위치 정보 시스템

        이현태(Lee, Hyeon-Tae),이구연(Lee, Goo-Yeon)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9 産業技術硏究 Vol.28 No.B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place information system for missing children using embedded board. In the implementation, the embedded boar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GPS satellites, parsing GGA information which includes current time and location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information and sends them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he server locates a missing chil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embedded board together with server database. We implement an application program for the system. The program shows current location of a child and its moving path and browses the corresponding map from coordinates mapping.

      • 풍력발전기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개발

        차장현,이정완,유능수,남윤수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6 産業技術硏究 Vol.26 No.A

        In this paper,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wind turbine is developed.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data acquisition for wind sensor, and monitoring for site environment. In order to accomplish effective monitoring, the system uses Datasocket, SMB, FTP, Web Server, and G Web Server. Two computer system - one is data acquisition computer using Windows-XP and the other is monitoring computer using UNIX - constraint the distribute system with individual tasks. By using this system, one can perform various monitoring and control tasks in Wind-Turbine application, efficiently.

      • 풍력발전기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개발

        차장현,이정완,유능수,남윤수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6 産業技術硏究 Vol.26 No.B

        In this paper,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wind turbine is developed.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data acquisition for wind sensor, and monitoring for site environment. In order to accomplish effective monitoring, the system uses Datasocket, SMB, FTP, Web Server, and G Web Server. Two computer system - one is data acquisition computer using Windows-XP and the other is monitoring computer using UNIX - constraint the distribute system with individual tasks. By using this system, one can perform various monitoring and control tasks in Wind-Turbine application, e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