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신입대학생들의 고등학교에서 제공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김경화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Since Korea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required high education institutes to accep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a special admission program in 1995,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tering colleges. Th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provided by secondary schools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in order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into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students’ ratings of the perceived level of how important they consider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how much they receiv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provided from secondary schools, and how satisfied they feel regarding the received education and services. The targeted participants were freshmen with disabilities who enrolled in top 100 universities through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data solicted from 207 survey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sidered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important. However, they perceived that th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provided by secondary schools were not enough as well as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received education and services.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perceptions of the extent of the received education and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such education and servi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by types of disabilities, types of high schools, and school rankings.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고등교육의 전환을 위해서 고등학교에서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장애학생들이 인식하는 중요 정도,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를 교육받았던 정도,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교육 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12학년도 장애인을 위한 대학입학 특별전형을 통해 들어온 상위 100위권의 4년제 대학에서 한 학기를 보낸 장애를 가진 대학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애학생들은 고등학교에서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장애학생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중요 정도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교육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는 부족하였으며, 고등학교에서 제공 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장애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성별, 장애영역, 소속학교급, 학교순위)에 따라 고등학교에서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중요 정도, 교육받았던 정도, 그리고 받았던 교육에 대한 만족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성별 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

        NCS 기반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분석에 기초한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으로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관성은 교과내용 측면에서의 일치 정도를 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계량화하였다. 연관성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관성 = 여기에서 SUBk: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상 과목과의 일치도N: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 2009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83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49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론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78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실무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30 둘째,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높여야하며, 이를 위해 학과별로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에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산업체 인사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한다. ∙ 실무 관련 교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교수․학습과정에 활용한다. 특히 NCS 기반으로 만들어진 학습모듈을 주교재와 함께 활용하여 이론과 실무 내용을 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수․학습방법을 능력중심 교육으로 개선한다. 실무 능력을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학습, 모듈식 교수-학습, 문제중심학습 방법에 의한 수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 산업체 현장실습을 의무화한다. 일정 기간의 산업체 현장실습을 통해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의무화하여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거나 체험해 보는 경험을 갖게 한다. ∙ 교육과정에 대한 주기적 평가 및 피드백을 실시해야 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교원양성기관 평가요소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과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정도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evance between the curriculum of business and financial subject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The relevance was first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levance was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results were quantified. The relev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Relevance = SUBk: Match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N: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relevance analysis are as follows. ∙ The relevance of the 2009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83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49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theoretical subjects: 0.78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practical subjects: 0.30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are as follows. ∙ When reorganizing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nection with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iculum committee should be formed for each department, and the committee should include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personnel. ∙ Develop a variety of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and use them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specially, the learning module based on NCS is used together with the main tex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theory and practical contents evenly. ∙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 ability-based education. To increase practical skil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eaching by project, modular teach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 Industrial field practice should be mandatory in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industry experience through a field worksh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y have experience of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industrial field. ∙ Periodic evaluation and feedback on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degree of relevance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and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CI등재

        미국에 있어서 원격교육 관련 법제

        李光眞 법무부 2004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21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그 기반시설이 널리 확대되면서 원격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그리고 1999년 제정된 평생교육법이 제22조에서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전문대학 또는 대학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의 설치를 허용함으로써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인에게 원격교육을 실시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평생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고, 同條에 근거하여 2001년 3월 8개의 전문대학 또는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의 설치가 인가되면서부터이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지금 총 16개의 원격대학이 운영되고 있고 일부 대학교의 경우에는 졸업생을 배출하는 단계에 와 있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고등교육법에 규정된 학교의 형태인 국립대학, 공립대학, 사립대학, 방송통신대학과 평생교육법상의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비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경우는 원격대학과 관련한 별도의 법령을 두고 있지는 않다. 다만 특히 교육시설에 대한 것은 주정부에서, 교육품질에 대해서는 인증협회에서 담당하도록 하고 교육품질에 대한 인증을 받은 경우에만 학위를 수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에서의 원격대학을 포함하는 사립의 고등교육기관에 관한 설립 등의 권한과 교육품질의 인증에 관한 부분을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있는 부분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사이버대학은 물론 기존의 일반대학교의 교육개방과 관련된 국제경쟁력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T and the enlargement of its basic equipment, we are interested in distance education increasingly. 3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there are 16 distance university and some of them entered a phase to produce graduates. In relation to it, there are many arguments abou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prescribed under the Higher Education Act - national, public, private University. Besides air and correspondence university - and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Act :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med of distance college. In U.S.A., they have separate statutes, but, they adopt dual system. So to speak, state government undertakes deucational equipments and DETC is in charge of educational quality. It is possible to grant degree on condition of accreditation. I think that this type of distance education in America gives us considerable suggestions in many respects.

      • KCI우수등재

        대학의 자율성과 고등교육 관련 법 개정의 기본 원칙 및 방향 ― 고등교육법 총칙 개정을 중심으로 ―

        이시우(Lee, See Woo)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7 No.1-2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가와 대학은 새로운 지식의 창출, 새로운 지식과 교육의 연계, 새로운 지식의 정보기술과 커뮤니케이션기술을 통한 전파 그리고 이의 산업화로의 연계 등을 구현시킴으로써, 이제 과거 산업화 시대와는 다른 합리적이고 능동적인 체계를 확립하는 데에 진력해야 것이다. 그리고 이제 대학은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구조 뿐만 아니라 대학의 자율성 보장의 전제하에 대학운영의 합리성과 효율성 원리도 감안해야 한다. 국가도 대학을 단순히 관리․감독하는 과거시스템에서 탈피하여 보다 효율적인 체제로 재구조화하여 대학 역량의 낭비 없이 사회를 위해 대학이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고등교육관련 각종 법령들에 관한 검토와 개선을 통한 법제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특히 고등교육법은 대학교육의 핵심적 법률로서 그 중심에 있다고 하겠다.헌법상 대학의 자율성이란 대학의 규칙제정권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의 연구와 교수에 관련되는 모든 행정조치들을 대학이 자신의 고유한 기관을 통하여 자신의 책임으로 또한 외부의 지시에 기속됨이 없이 유지할 수 있는 권능과 그리고 대학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기능에 맞게 대학자치에 참여할 수 있는 권능을 포함하는 것이다.고등교육 관련 법률 개정의 기본방향으로는 첫째, 사회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대학의 생존과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규제완화와 고등교육기관의 운영에 관한 자율성을 보장하고 확대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율성 확대는 동시에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요구를 강화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 운영의 투명성 내지 재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법적 감독권 확립 등은 필요한 입법방향이라고 하겠다. 셋째, 대학도 이제는 시대적 상황에 잘 대응해 나가야 한다.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대학교육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의 요청 같은 것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대학의 자율성의 법적 의미와 고등교육 관련 법률 개정의 기본방향에 따라 고등교육법 개정에 관한 구체적인 안을 제시해 본다. 이는 목적조항의 개정, 학교 대신 대학이란 용어의 사용, 대학의 법적 지위 및 대학자치 명문화, 대학의 설립 및 경영의 자유 확대, 대학에 대한 국가의 감독권을 포괄적 감독권에서 법적 감독권으로 전환시키는 것, 교육재정법률주의 보장 및 고등교육재정교 부금법 제정 근거의 마련, 평가규정의 보완 및 개선, 산업대학 규정의 폐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Die Entwicklung zur Wissensgesellschaft und das Wirtschaftswachstum sind offensichtlich in hohem Maße abhängig von vier miteinander zusammenhängenden Elementen: Schaffung neuen Wissens, Einbringung dieses Wissens in die allgemeine und berufliche Bildung, Verbreitung mittels Informations- und Kommunikationstechnologien und Nutzung durch die Industrie. Die Hochschulen spielen demnach die Schlüsselrolle in diesem neuen Prozess. Der Staat soll auch diese Rolle durch einen Aktionsplan zur Hochschulautonomie und eine Änderung des koreanischen Hochschugesetzes und Privatschulgesetzes ergänzt.Unter Hochschulautonomie ist nicht nur die Rechtsetzungsautonomie uns schon gar nicht nur Grundordnungsgewalt zu verstehen, sondern die Verwaltungsautonomie, alle Verwaltungsmaßnahmen, die mit Forschung und Lehre sachlich unmittelbar zusammenhä ngen, eigenverantwortlich weisungsfrei durch eigene Organe wahrzunehmen. Darüberhinaus beinhalt die Hochschulautonomie die Mitwirkungsrecht der Hochschulmitglieder zur Hochschulautonomie.Soweit sich aus der Garantie der Hochschulautonomie ein Änderungsbedarf im koreanischen Hochschulgesetz ergibt, ist die Änderungsrichtung des koreanischen Hochschulgesetzes folgendes: Änderung des Zielklausel, Ausdrückliche Bestimmung über die Rechtsstellung der Hochschule und die Hochschulautonomie, Erweiterung der Privathochschulgründungs- und -betriebsfreiheit, Aufstellung der staatlichen Rechtsaufsicht, Geseztliche Garantie der Bildungsfinanzierung, Begründungsbestimmung des Hochschulfinanzsubventionsgesetzes, Qualitätssicherung durch die Bestimmungsänderung über die Evaluation und die Akkreditierung, Deregulierung durch die Bestimmunsaufhebung über die koreanische Industriehochschule.

      • KCI등재

        독일 고등직업교육의 확대와 대학 이원화 및 삼원화 직업교육제도

        김춘식 한국독일사학회 2023 독일연구 Vol.- No.54

        현재 독일은 성공적인 모델로 정착된 대학 이원화 교육을 통해 대학에서의 이론과 기업체에서의 실습이 연계된 고등직업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문 고등직업인력의 감소 및 산업의 고도화로 고등직업교육제도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첫째로 산업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는 고등직업교육기관이 일반 직업학교(Berufsschule)과 연계해 4년 동안에 아우스빌둥 자격(Ausbildung)과 학사학위(Bachelor)를 함께 취득할 수 있는 대학 이원화교육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소위 대학 삼원화교육(Triales Studium)으로 기존 일반 직업교육인 아우스빌둥과 대학의 학사과정을 연계해 학사학위 취득, 나아가 마이스(Meister) 자격도 취득할 수 있다. 대학 삼원화교육제도는 주로 수공업, 건축, 기계 및 전기 분야에서 마이스터자격(Meisterbrief)을 취득할 수 있는 대략 18개의 직업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대학 삼원화교육은 독일의 일부 고등직업학교(Berufskolleg)과 대학 이원화 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독일의 고등직업교육대학들 사이에서 이 제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기에 향후 확장성이 매우 높다. 독일에서 대학 이원화 교육제도와 삼원화 교육제도를 시행하는 대표적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는 한국에서는 강소기업대학 혹은 중소기업대학을 잘 알려진 독일 빌레펠트에 본부를 두고 있는 ‘미텔슈탄트대학교(Fachhoschule des Mittelstands, FHM)’와 공립 ‘함부르크 고등직업교육대학교(Berufliche Hochschule Hamburg, BHH)’를 들 수 있다. 특히 FHM은 몇 년 째 독일의 최우수 고등직업교육대학교로서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독일의 고등직업교육제도는 인구감소와 산업수요의 변화에 따라 항상 진화해 오고 있다. 특히 고등직업교육기관이 일반 직업학교와 연계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독일의 고등직업교육제도의 교육과정은 현재 확대일로에 있는 한국의 ‘고교학점제’와 같은 고교-대학 연계교육과정에 매우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상대적으로 짧은 교육기간인 4년 반에 아우스빌둥과 학사학위, 그리고 자격 취득 후 해당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거나 자신의 작업장을 개설하는 등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마이스터자격까지 취득할 수 있는 통합 고등직업교육과정인 독일의 대학 삼원화 교육제도는 현재 지역 특성화를 포함해 고등교육의 구조개편 등 변화일로에 서 있는 한국의 고등(직업)교육기관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Currently, Germany has a successful model of dual study, which combines theory at universities with practical training in companies to create a highly skilled workforc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country has been trying to change the system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industrial progress. The most notable changes are, on the one hand, the introduction of the "dual study program", which allows students to earn both an apprenticeship and a bachelor's degree in four years in conjunction with vocational school, and on the other hand, the so-called "trial study program", which allows students to earn a bachelor's degree and even a master's degree by combining existing general vocational training with a university bachelor's degree program. The Triales Studium consists of around 18 vocational areas in which students can obtain a master craftsman's certificate, mainly in the fields of crafts, construction, mechanics and electricity. Currently, the Triales Studium is being implemented in some of Germany's upper secondary vocational colleges and dual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the interest of German vocational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is system is growing, so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further expansion. Two of the best-known vocational universities of applied sciences in Germany that offer dual and trial studies are the 'Fachhoschule des Mittelstands(FHM)' based in Bielefeld, which is known in Korea as a universit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 state-run 'Berufliche Hochschule Hamburg(BHH)'. The FHM in particular has enjoyed a reputation for many years as the best Germa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for vocational training. It is well known that the German VET system is constantly evolving to respond to demographic changes and industry demands.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of the German VET system, which is developed by VET institutions in coope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schools and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systems such as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currently being expanded. In addition, the German vocational higher education system, which is an integrated tria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obtain an apprenticeship, a bachelor's degree and a master's certificat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four and a half years, and enjoy economic freedoms such as working independently in the field or opening their own busines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currently undergoing changes such as regional specialization and structural reform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회계분야 특성화고-전문대학-대학 연계교육운영방안 :안산지역 소재 A전문대학과 B상업계 고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중,노희천,이유선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와 회계저널 Vol.23 No.5

        Since 2017, the government announced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ster Plan” and “College Innovation Plan”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such educational policies are limited to the promising fiel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cluding vocational education in the accounting field. Although both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are institutions aiming for vocational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is 64%, enter Colleges or universities. Suppose education to train professionals through articulated curriculum cooperation with a four-year university course is provided. The employment age will decrease, and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will increase while satisfying the desire of the students to enter universities. In particular, recent government polic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regarding colleges allow the graduates to earn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for specific technical fields. Through the cooperation of advanced educational institutions, building an advance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 the accounting field will be a foundation for training professional accounting officers. This study will present an articulated vocational education model in the accounting field to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4-year course universities. Such an articulated model enable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o simultaneously gain industrial work experience and improve workability through one learning process in which they work and study simultaneously.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he accounting industry in general by training human resources and enhance the expertise in the accounting industry itself.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articulated curriculum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iculums of commercially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ccounting-related certificates. The analysis is compared with the study made by Yoon Woo-young and Lee Tae-jung (2019) on a qualification-based curriculum to propose an articulated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train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The research aims to be the cause to establish articulated curriculum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hopes to spread not only to the accounting field but also to all fields of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2017년부터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평생직업교육마스터플랜]과 [전문대학혁신방안] 등 직업교육 및 전문대학에 대한 다양한 교육정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제시된 교육정책은 4차산업 유망분야에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회계분야 직업교육 정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특성화고등학교는 직업교육을 목표로 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졸업생 중 64%가 대학진학을선택하는 현실에서 특성화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까지의 직업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내실 있는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을 제시한다면, 청년층의 입직연령을 낮추는 동시에 직업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면서 특성화 고교생의 대학진학 욕구를 동시에 해소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근래의 정부정책은 전문대학에서 특정 기술 분야에 대하여 학사학위와 석사학위과정까지 설치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바, 현재 운영되는 고등교육기관의 협력을 통해 회계분야의 고등직업교육체계를 구축한다면, 회계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 회계인력의 양성 및직무능력향상을 도모하여 회계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와 전문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으로 연계되는 회계분야 직업교육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계모형은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일과 학업을 동시에수행하는 일학습병행을 통하여 산업체 근무경력과 직무능력의 향상을 동시에 증진 시킬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회계분야의 고숙련인재를 양성하게 함으로서 회계 산업 전반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계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특성화고등학교의상업계 학과 교육과정 및 회계 관련 자격증 현황을 분석한 후 윤우영과 이태정(2019)이 제시한 자격기반 교육과정 연구를 기반으로 고숙련 실무형 전문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특성화고-전문대학- 대학의 연계체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가 고교와 전문대학 및 대학 간 연계교육의 시발점이 되며, 회계분야 뿐만 아니라 직업교육 전반에 걸쳐 확산되길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고교-대학 연계에 관한 대학생 인식 탐구

        남혜선(Hyesun Nam),이현구(Hyungu Lee),심우정(Woo-jeong Shi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는 고교-대학 연계 관점에서 대학 학업 적응과 관련된 고교의 교육 경험과 학업 성과를 비교적 최근에 고교에서 대학으로 이동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 1, 2학년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전공계열별 선수교과목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교과 학습을 통한 전공기초지식, 국어 교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초학습능력,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권장하는 수업방식과 학생주도의 활동을 통해 길러진 주도성, 사회성 등을 대학 수학과 연계되는 고교교육 경험의 지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연계의 지점에서 연계 정도에 대한 인식도 드러났다. 전공기초 지식 습득과의 분명한 연결고리에도 불구하고 고교 교과 이수는 대학 전공 선택과 연계되지 않았고 고교와 대학 교수학습방법의 극명한 차이는 고교-대학이 연계되기보다 단절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교육 간의 연계가 아직은 느슨함을 시사하며, 향후 대학 모집 단위 또는 전공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선수과목 안내, 대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사전 안내와 오리엔테이션 강화 등과 같이 고교-대학 교육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outcomes of high schools that are perceived to contribute to college readiness and adjustment.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30 college students who recently experienced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re conducted. Our finding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ies acquired through taking Korean language courses as well as course-taking relevant to students’ field of study helped in the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at college. High school leadership and extracurricular experiences were also perceived to connect to college adjustment by enhancing the students social and human skills. A disconnect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was also noted: High school course-taking was not guided by the students’ choice of college majors or information on college learning, and education was not well provi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ink betwee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llege education is yet a loose one.

      • KCI등재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김대석(金大石),홍후조(洪厚祚)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요구한 모집단위와 요구하지 않는 모집단위의 대학 중도탈락률 및 자퇴율(이하 중도탈락률) 차이를 분석하여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요구여부에 따른 대학 중도탈락률 차이분석에서, 중도탈락관련 다른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고교 교육과정,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 및 대학 전공이 연계된 경우 일관되게 낮은 대학 중도탈락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대학의 중도탈락률을 줄이고 보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고교교육과정과 대학 전공이 연계되게 공부한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학입학 때부터 전공 적응도가 높은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며, 고교 교육과정부터 희망 대학전공과 관련된 고교 선수 교과목이 적성에 맞아 꾸준히 공부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입시 및 대학 교육과정이 연계되어야 한다. 삼자가 연계된다면, 고교 때부터 대학전공과 관련된 고교 선수 교과목이 적성에 맞아 공부한 학생은 대학에 가서도 중도탈락하지 않고 잘 적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examined 142 college drop-out rates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 examined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college prerequisite subjects are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in order to claim the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 the study of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Korean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however,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th shows contrary results. In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Math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however,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English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international studies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studies, however,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when the students’ high school courses consist in their college entrance test’s subjects and college majors, their college dropout rate hit a record low. This means that college drop-out rates problem could be approached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 could predict that students study well in college without drop-out if they have studied well college preparatory course with interest and aptitude in high school.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eded to categorize high school’s courses with college majors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 KCI등재

        고등교육분야 교육규제개혁 처리현황과 과제

        노기호 유럽헌법학회 2015 유럽헌법연구 Vol.17 No.-

        우리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대학의 자치를 실현하고 고등교육의 질의 향상과 대학 경쟁력의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고등교육분야의 규제개혁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교육부가 규제개혁으로 건의된 사항들 중 수용하여 규제를 완화하거나 수용한 건수는 그리 많지 않다.이러한 미온적인 수준의 고등교육분야의 규제개혁 실적으로는 규제개혁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급변하는 국내외적인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은 끊임없는 자기 혁신과 발전의 변화를 강요받고 있다. 대학 스스로의 노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규제의 완화 및 개혁과 적극적인 대학에 대한 지원과 지지를 아끼지 않는 것이다. 물론 대학 본연의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여야 하며, 교육의 공공성에 어긋나는 대학의 운영과 행정에 대해서는 그에 따른 적절한 제재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따라서 고등교육분야에서의 규제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그 방향의 설정이 올바르게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존의 규제방식과는 다른 원칙의 정립이 요구되는데, 기본적 금지의 원칙에서 기본적 허용의 원칙으로의 전환이나 사전적 규제에서 사후적 규제로의 전환 그리고 타율적 규제에서 자율적 규제로의 전환 등과 같은 새로운 규제원칙이 요구된다. 이러한 원칙하에 정부는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한편 국민과 사회의 고등교육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규제개혁 방안으로서의 과제를 선정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대학정원 및 학생선발 방법에 대한 규제개혁이나 대학등록금 상한제 규제개혁 등과 같이 대학운영 주체와 학생 및 학부모와의 이행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사항에 대한 규제의 개혁에 있어서는 당사자들의 의견수렵 절차와 함께 이익형량과 공익의 우선 등 사회적 기본원칙의 존중도 요청된다. Ministry of Education accepts the recommendations of the requirements for regulatory reform, and not much deregulation or accepts a number. The ratio of the number of accepted recommendations suggested regulatory reforms in the education field is the total number appears low furnace 26% acceptance rate at which high school, continuing education is only about 11%. And the number that corresponds to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August 31, 2014 based on recommendations by the Regulatory Reform Regulatory Reform Sinmungo is registered with a total of 118 cases, 36 cases received double the number corresponds to a 30.5% acceptance rate, but among the in high school, accommodate the number of continuing education sector is only about 11 cases. This results in deregulation of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lukewarm will not be able to achieve the goals to be achieved through regulatory reform.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rapidly chang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are forced to change in the magnetic constant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order to support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not spare himself in institutional support and support for reform and aggressive mitigation and University of unnecessary regulations. Of course, it should be the duty and the University of inherent social responsibility, we will not be forced for the university's operating and administrative contrary to the public interest in education is accompanied by appropriate sanctions accordingly. Therefore, the settings of the direction should be established properly in order to reform the regul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the existing regulatory system and are required is the establishment of other principles, such as the new default transition to a post o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r regulation ex ante regulation in the transition to the basic principles of licensing and regulation as in tayuljeok transition to self regulation regulatory principles is required. These principles should be carried out under a government chosen as regulatory reform projec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higher education while the people and the community as much as possible to ensure the autonomy of the university. Garden and University students, such as regulatory reform, regulatory reform and university tuition cap for university operating principals and student selection methods and benefits with the opinion of the parties in the reform process of hunting regul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details of sharply conflicting relationships with parents respect of the sentence and the basic principles of public interest and social priority may be requested.

      • KCI등재

        진로교육 차원에서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탐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 가정교과-생활과학대학 전공 연계를 중심으로

        전소현,김서현,고영신,정수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2

        In the modern society, the adolescence needs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hich makes them probe changing social phenomenon critically and use the given environment and resources progressively. Thus, adolescence should be offered with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education, but the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s remains as school entrance coaching focusing on the academic clique and career coaching as a mere job education. As a result, the study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was destroyed and it caused students' study-unfitness and dropouts after the university entrance. Hence, career education to culture major sui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ew paradig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high school-university connection. So, this study developed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the professor of college of human ecology, a home economics specialist, undergraduates majoring in human ecology, and a high school student, using the ADDIE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this study searched for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for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reinforc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program arranged the newest issues of each department of human ecology to make high school students come in contact with and study them easily, aiming at cultivation of major sui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study establish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is managed by the high school-college of human ecology committee. Fourth, this program will be the good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departments of human ecology to check their major suitability.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은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주어진 환경과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진로개발역량 교육을 제공해야 하지만, 학교현장의 교육은 학벌에 치중한 진학지도와 직업교육에 불과한 진로지도에 머물러 있다. 그 결과, 고등학교와 대학 간의 학습 연속성이 단절되었고 대학 입학 후 학생들의 학업부적응과 중도탈락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고등학교-대학의 연계를 통해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진로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과학대학 교수, 가정과 전문가, 생활과학 전공 대학생, 고교생의 협력으로 고등학교 가정교과와 생활과학대학이 연계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은 생활과학 분야의 각 학문 영역별 최신이슈를 고등학생이 쉽게 접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셋째, 고등학교-생활과학대학 협력체가 운영주체인 본 진행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구성하였다. 넷째, 본 프로그램은 생활과학분야 전공에 흥미가 있는 학생들이 전공적합성을 확인할 기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