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정책의 한계와 의미: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기왕,양애경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overnment-driven university-led afterschool policy was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nd what limitations it had, and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policy promotion. For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fficials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after-school lecturers, teachers, and after-school social enterpri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gic of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of competitive bidding at the lowest price was applied to university-led afterschool schools, and the original purpose and purpose of the policy were distorted.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university-led afterschool pro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financial support and support organizations for after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interest in education. Second, afterschool should go to cooperative governance with schools, universities, local communities, and offices of education, rather than a bidding method.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for the university and the school to coexist, rather than the method in which the university directly operates the afterschool. Last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afterschool system that activates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and to supplement the necessary legal systems. This study ca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led afterschool project to start again and g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이명박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어떻게 현장에 적용되었고 어떠한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정책추진에 주는 실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청 관계자와 강사, 방과후학교 담당 부장교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관계자를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질 개선과 대학과 학교의 상생발전의 기회 갖도록 하고자 추진되었지만 최저가 경쟁 입찰이라는 사교육 시장의 논리가 적용되면서 사업의 본래 취지와 목적이 왜곡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프로그램과 강사의 질이 낮아지고 방과후학교의 목적과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보다는 학교와 업체라는 두 당사자 간의 거래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재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교육의 공공성과 공익적 관점에서 방과후학교에 대한 재정지원 및 방과후학교 후원을 활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방과후학교가 위탁 입찰방식이 아닌 학교-대학-지역사회-교육청이 함께하는 협력거버넌스로 가야한다 셋쨰, 방과후학교에서의 대학의 참여는 방과후학교 운영 방식이 아닌 대학과 학교가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방과후학교의 발전을 위한 대학의 참여를 활성화 하는 방과후학교 체제를 마련하고 필요한 법적 제도적 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민간참여 방과후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김수동(Kim, Soo D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방과후학교가 장기적으로 계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운영 프로그램의 질 제고와 현장 학교의 업무 부담 경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이론적, 실제적 배경과 비전, 목적, 전략 및 다양한 참여주체별 역할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구체적 실태를 파악하고, 요구, 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육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22개 대학의 법인(2012년의 1차 사업에 선정된 기관)의 사회적기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초, 중, 고 현장 담당 교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초, 중, 고 담당 교원(6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함으로써,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다각적인 운영 실태와 성과 2가지 및 문제점 3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개선방안을 ① 육성사업 성격 명료화, ② 육성사업의 질관리, ③ 육성사업의 구체적 특성 확인, ④ 자체 수익모델 개발 노력, ⑤ 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⑥ 효율적 운영 모델 개발, ⑦ 지나친 양적 확대와 수익성 확장 경계의 7가지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4가지로 제시했다. In order to secure a long term development of after- school,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ograms and the business burden reduction of the field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are needed. For that purpose, the theoretical, practical background, & the vision, goals,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need to be affirmed and a variety of participation subjects need to confirm their own rolls. Also, in order to affirm the concret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elicit needs, outcomes, problems &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the survey of the teachers in charge in th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of the field which participate in the 22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s is practic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67 teachers in charge in th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of the field. And by analysing survey results, many kinds of current status, 2 products, 3 problems are derived by the researcher. After that, 7 improvement strategies such as ① manifestation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s character, ② quality control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③ a specific character affirmation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④ effort for self profit model development, ⑤ program development reflecting demander needs, ⑥ efficient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management model development, ⑦ warning of excessive quantitative enlargement & profit enlargement, are suggested. Finally, 4 conclus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연구

        김태근(Kim Tae Geun)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3 No.2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현재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된다. 사회적 협동조 합이나 사회적 경제법 등이 여야를 막론하고 언급하는 것은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또한 교육부의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은 이러한 노력과 연결된다. 대학과 방과후학교와 사회적기업을 연결하는 정 책은 매우 의미가 있다. 진리를 추구하고 그 진리를 현장에서 검증하는 대학 과 사교육의 절감과 농·어촌 학생의 학업수준을 제고하는 방과후학교와 취약 계층을 고용하여 수익을 내고 이익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사회적기업은 매우 긴밀하게 서로의 가치를 공유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관성에 주목하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 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Social enterprise of Korea is evaluated to reach its limit. What Social cooperatives or social economic law is mentioning without questions the opposing parties is a part of effort to find a new breakthrough. Also university-led social enterprise for after-school education is connecting to this effort. Policy leading both after-school and social enterprise is very meaningful. Because university seeking and verifying the truth,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 after-school enhancing educational level of rural students, social enterprise hiring vulnerable social group and making a profit and returning to society are sharing their value. Concentrating this connec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ways that university-led social enterprise for after-school education is progressing

      • KCI등재

        서울지역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음악교육프로그램 만족도 및 요구분석연구

        조원경,한정섭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conducted a Satisfaction and Demander Requirement analysis survey on the students and faculty who are participating in a music education programs after school hours in the Seoul area through a university-led after school (preliminary) social corporation discovery/promotion project along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pro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as for perception on the tuition level,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and was helping with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of the students and school parents. Th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class environment was mostly high.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n the teachers and overall music education programs showed a decline as the school year increased, and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overall music education program, the satisfaction was higher for more frequent participation and time. In terms of improvement points, results showed long-term music activities support and various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and in the case of students, various program development was the highest answered. As for participation motivations, the highest reason was that the programs are in favor with the demanders. In order for the music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led after school social corporation to develop for a mid/long term period, appropriate tuition levels should be maintained and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the school scene through various program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school year at the requests of the demand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fter school classes focused on the demanders. Also, long-term support enabling comparatively frequent education should take place to allow enjoying music and making it a wa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