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행정기록물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서주은,이성신 한국비블리아학회 202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of improving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sent records management situation of college and department in an university which is operating archives. To achieve the purpose, survey and interview of the persons in charge of producing and managing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of college and department were conducted. Furthermore,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of records management of college and department and university archiv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1) lack of sufficient records management by college and department, 2) lack of understanding of tasks by processing staffs, 3) operational problems of university archives.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by operating staffs. Seco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aff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nd set up guidelines for records management by college and depart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xecute reorganization and supplement the personnel of university archive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을 운영 중인 대학의 단과대학 및 학과 수준의 실질적인 기록관리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단과대학 및 학과의 체계적인 기록물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K 대학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학과에서부터 단과대학까지 업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행정기록물들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산, 관리되고 있는지를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면담 조사와 대학기록관의 기록관리 현황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부 중심의 기록물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처리과 직원의 인식이 부족하였다. 셋째, 대학기록관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수반되는 기록업무를 포함하여 대학사 기록관리 업무 및 아카이브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기록연구사 한명이 감당하기에는 업무가 과중하였으며, 이는 대학기록관의 운영상의 한계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업무분장에 기록관리를 명시하여 부수적인 업무가 아님을 처리과 직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처리과 직원도 기록물관리 업무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업무담당자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단과대학 기록물과 학과 기록물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업무담당자의 의견을 통해 대학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K 대학기록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수반되는 업무 이외에 대학사 기록물관리에 수반되는 업무, 아카이브 기능까지 하고 있어 현재의 인력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으므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사 기록물, 공공기록물을 관리하는 기록연구사가 각각 배치될 필요가 있으며 전자기록물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전산센터와의 협업이 아닌 전산 요원이 기록관에 배치되어야 한다.

      • KCI등재

        폐교 사립대학 기록물의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재영,정연경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0 No.3

        Records at closed private universities are simply kept in stacks without the use of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s. Howeve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uch records is needed as these are important records that have legal and evidential value during the litig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recordkeeping at closed private universities aiming to eliminate unnecessary follow-up procedures that may occur because of the absence of a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develop practical tools for managing records at closed universities. To this end, Seonam University, among the 13 transfer records kept by the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was selected as the example for this study. The peculiarities of the closing processes and the catalogs of the transfer records were reviewed, and a business func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Guidelines for Prescribing Retention Period of University Records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closed private universities was proposed for the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to handle the uniqueness of closed universities. 현재 폐교 사립대학의 기록물은 기록물분류체계가 부재한 상태로 문서고에 단순 보관되어 있는 상태이다. 폐교대학 기록물은 차후 쟁송과정에서 법적⋅증거적 가치를 가진 주요기록물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물분류체계 부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후속작업을 제거하고,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도구로 폐교 사립대학 기록물의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폐교 사립대학의 기록물 전담기관으로 지정된 한국사학진흥재단에서 보관하고 있는 13개교의 이관기록물 중 유일한 종합대학인 서남대를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하여 업무기능분석을 실시하고, 이관기록물 목록과 폐교과정에 대한 특이사항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가기록원과 교육부의 『대학기록물 보존기간 책정기준 가이드』를 참고하여 폐교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한 폐교 사립대학 기록물분류기준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록관 인식현황 및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이정은,강주연,김은실,김용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The records and archives center provide a varie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an effort to get closer to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archiv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sers of archives. Given th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otential users of archives as well as to suggest methods to activate the use of records and archiv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s such, this study surveyed 182 university students at J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items referred to 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MORI) (2003) as a part of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 (MLA) and Cho’s study (2008).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four major areas: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experience with records and archives or reasons of not using them, requirements for the use of archives by potential users, and efficient method of promoting archiv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re indifferent to record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it is highly important to manage records that are related to historical values and archives that are relevant to information values. In addition, they showed a positive intention to use the archives in the future; thus, it is highly likely for them to be converted into active users through appropriat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activating the use of the archives to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ed methods to activate the archives in terms of us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user segmentation. 기록관은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견학, 전시, 교육등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록물과 기록관의 인식 부족 문제가 늘 제기되고 있다. 기록관의 이용을 활성화하기위해서는 기록관의 이용자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록관의 잠재 이용자 중 대학생을 한 범주로 설정하고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대학생 집단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집단은 대학도서관과 대학기록관 등의 연구에서 특정한 이용자로 연구대상이 되어 왔는데, 물리적으로도 대학 기록관과 가장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향후 기록관의적극적 이용자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목적은 대학생 집단의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특징을 도출하여 기록관의 이용 활성화 방안 개발에 따른 특징을 반영한 고려사항 및 이용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전북지역 J 대학교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2003년도에영국 MLA(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일부로 MORI(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2003)에 의해 진행된설문조사 보고서와 조윤희(200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 문항을 참고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기록물 및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및 기록관이용경험과 비이용 요인, 기록관 이용 요구사항, 기록관의 효율적인 홍보방법 등 크게 4분야로 구성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 집단은 대부분 기록물에 대하여 무관심하며, 기록관의 인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록물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록물은 역사적 가치에, 기록관은 정보적 가치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또한, 향후 기록관의 이용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의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서비스를 통하여 적극적인 이용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집단임을 알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집단의 기록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고려사항을 알아보았고, 이용자교육 측면, 프로그램개발 측면, 이용자 세분화 측면에서 기록관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 분석과 EAC-CPF 적용에 관한 연구 : 기록물 기술규칙과 데이터구조표준의 융합을 중심으로

        김문경,구정화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록관의 특성에 맞는 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를 제안하되, 온라인 환경 에서도 활용가능한 EAC-CPF와 융합한 기술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근거로 전거레코드를 구축한 실례를 제시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의 기능에 따른 조직의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록물 생산자별 주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표준인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지침과 국제표준인 ISAAR(CPF) 2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기록 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들을 제안하되, 이를 다시 EAC-CPF와 매핑하여 최종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끝 으로, 제안된 기술요소를 토대로 실제 전거레코드를 구축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기록물 생산자의 맥락정보를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요소들을 제안하고 이를 데이터표준구조와 융 합하여 온라인 환경에서도 생산자 맥락정보의 검색이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 aims to suggest descriptive elements for developing archival authority records in university archives through converging archival information descriptive rules with EAC-CFP, data structure standards.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phases: first,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cord producer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both functions and organizations of the university. Second, to analyze the descriptive elements by comparing the rules between ISAAR(CPF) and the guidelines of the authority records of NAK and suggest descriptive elements to build archival authority records. Finally, to suggest the finally deducted descriptive elements by matching up with those of EAC-CPF.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to provide both standardized access points to retrieve university records and to search the contextual information of record produc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s by converging the data standard structure, EAC-CPF.

      • KCI등재

        대학특별사업단 기록물 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J대학을 중심으로

        최효영,김찬영,김용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50

        This study presents the problems in the records management of special project teams at J University. Methods for the improvement plan were also proposed in this stud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ive special project teams from J University, which were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selected. To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twelve staff members and experts were then interviewed. The records produced by the projects should be managed as evidence of the project evaluation and transparent budget execution. Proper management can be a good material for research. However, the management of project teams is vulnerable in comparison with the records of other universities. The main reason is that although the project team produces various types of records,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the Department of Processing. Another reason is that the project teams are temporary institutions and do not possess authority over the entire project process.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plans in the following aspects: institutional, cognitive, administrational, and systemic. In the institutional and cognitive aspects, policy and regulation were set up. In the administrational aspect, the relation and role of each element were defined. In conclusion, the plans for building the Combined Archives System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methods on how to connect with the KORUS—which will be introduced in 2017—and the system currently being used are proposed. 국가의 재정지원은 대학의 구성원인 교수·학생·연구원에게 양질의 교육 및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국가적 예산의 유입과 한시적인 성격이라는 특수하게 조직된 대학특별사업단의기록물은 또한 특별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조직된 대학특별사업단에서 생산되는 기록물은 사업의 평가와 투명한 예산 집행의 증거로써 관리되어야 하고 연구의 결과물로써 활용 될 수있음에도 불구하고 타 대학기록물에 비해 관리가 취약하다. 이유는사업단이 기록물을 생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처리과로 인정되지않고 한시적 기관의 특성으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점들로 기록물관리가 미흡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 J대학에서 수행되고 있는 대학특별사업단(이하 사업단)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고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지원하는 5대 사업단을 연구대상으로선정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한 선행연구조사를 시작으로 사업단 담당자 및 전문가 등 총 1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현황분석과도출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사업단 기록물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개선방안을 제도적·인식적·관리적·시스템적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제도적 측면과 인식적 측면을 통해 관련 제도 및 규정을 정립하여 기록물관리가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 근본적인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관리적 측면에서 각 요소들이 체계적인 기록물관리를 위하여 이루어진 관계와 주어진 역할은 무엇인지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시스템적 측면에서 통합아카이브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방안과 현재사용되고 있는 시스템 및 2017년 도입될 “코러스”와 연계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의 학과기록물관리 현황과 과제 -D대학교 조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희(Sung Hee Lee),윤유라(You Ra You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학과기록물은 대학 본부 차원에서 생산⋅관리되는 기록물과 더불어 대학의 투명한 행정체계와 명확한 학사관리를 위한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하고 있다. 체계적인 대학기록물의 관리를 위해서는 학과기록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세심한 관리전략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과 단위에서 생산되는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학과기록물의 유형을 전자형태와 비전자형태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전자형태의 경우, 전자문서와 전자파일로, 비전자형태의 경우는 종이기록과 행정박물로 유형화하였다. 연구방법은 학과기록물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해 실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D대학교의 학과조교 1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전자문서’를 포함한 대부분의 학과기록물은 학과의 업무담당자인 조교의 임의판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각 학과마다 기록의 분류 체계, 보존 방식, 폐기 방식 등이 모두 상이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과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 및 지침이 부재함을 지적하고, 향후 문제점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대학 차원에서 학과의 기록물관리체계의 정립하고, 관련 표준 마련 및 교육 강화를 제안하였다.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of Academic department records, this study divided the types of Academic department records into electronic type and non-electronic type, referring to the kind and content of each type of college archives and categorized the electronic type into e-documents and e-files and the non-electronic type into the paper records and administrative artifacts.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interview and survey with 14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charge of departmental administrative work in ‘D’ University. As a result of a survey, most Academic department records, including ‘e-documents’ managed through a system were managed by the discretionary judgment of an assistant, the person in charge of departmental work, and it was noted that according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conservation method and discarding method in each depar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present status of this Academic department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lack of measures and guideline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Academic department records as a cause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poor Academic department records management. Thus, as measures for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in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d the preparation of the related criteria,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 KCI등재

        폐교 사립대학 기록물 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영,정연경,Lee, Jae-Young,Chung, Yeon-Kyoung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9 No.4

        최근 인구절벽의 위기 속에 학령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대학의 입학충원율도 급감하면서 교육부는 향후 3년 내 국내 대학의 38개교가 폐교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는 등 현재 한국의 대학은 폐교라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폐교대학에서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후속조치 및 관리에 대한 문제는 대학기록물 자체가 갖는 법적 행정적 역사적 정보적 가치를 고려할 때, 주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사항 중에 하나이다. 그러므로 폐교대학 기록물 역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는데, 현재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에 관한 실질적이고 뚜렷한 법제적 기준이 부재하고, (폐교)대학기록물이라는 특성 및 개별 학교의 현실과 특수성에 부합하는 관리기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리기준이 모호한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의 개선 방안으로 통합관리체계를 제시하였다. The recent demographic cliff caused the schooling population to steadily decline and the number of college admissions to sharply drop, which led to the predi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erein 38 universities in Korea will be closed within the next 3 years. As such, the legal, administrative, historical, and informational values of university record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follow-up process and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lthough closed university records need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according to legal procedures similar to other public records, there is no practical and clear legal standard for the management of such records at present. Moreover, management standar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nd individual universities' situations and specificity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the ambiguous standards for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and analyzed relevant problems. Furthermor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suggested as a way to improve the records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ies.

      • KCI등재

        사립대학 기록물 관련 규정의 현황과 과제

        이혜경(Hye Gyeong Lee),윤유라(Youra You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concerning how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archives of private four-year colleges in Busan have been enacted and discuss measures for improvements in the future. Research results two characteristic phenomena and problems derived from them could be found. First, most of the target universities of the investigation did not enact “Regulations on Archival Management” alone, but they managed archives through “Regulations on Document Management.” Second, it was noted that regulations related to archives were distributed broken up into several regulations in the universities. To impro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put the contents related to archival management into one place and to enact independent regulations related to the archives. Second, in reality, if vast contents cannot be combined by a single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guide or search method to which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task can refer as regulations related to archived. Through these improve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the grounds for the establishment and standardization of business procedures of archival management in private universities in Busan and prepare the grounds for the installation of university archives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archives. 본 연구는 현재 부산지역 4년제 사립대학의 기록물 관련 규정이 어떻게 제정되어 있는지 그 실태를 알아보고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두 가지 특징적인 현상과 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조사대상 대학의 대부분이 「기록물관리 규정」을 단독으로 제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서관리규정」을 통해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었다. 둘째, 기록물과 관련한 규정이 대학 내의 여러 규정 안에 분산되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록관리와 관련된 내용을 한곳으로 정리하여 독립적인 기록물관련 규정을 제정해야한다. 다음으로 현실적으로 하나의 규정으로 방대한 내용을 통합해 낼 수 없다면, 업무담당자가 기록과 관련된 규정을 참고 할 수 있는 안내 혹은 검색 방법을 고민해 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통해 부산지역 사립대학의 기록관리 업무절차 확립 및 표준화에 근거를 제공하고, 나아가 대학 기록관 설치와 전문적인 관리 운영을 위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사립대학 기록관리 개선방안 연구

        이경원,우지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3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6

        In Korea,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was enacted in 1999. and after the Act was amended 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2007,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began. The Act was enacted with the aim of preserving and managing records produced and receiv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as of 2023, revisions have been made,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proper record management culture in Korea. According 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ince a university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belonging to a public i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properly manage records at the university. however, record management at universities is not high compared to record management at other public institutions. this problem is more severe in private universities, not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striving to establish a proper culture of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through the distribution of the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Guidelines’, but most universities are not properly manag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record management of foreign universities with a well-established culture of university record management. and,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record management at ‘A’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we would like to help ‘A’ University and universities that are not properly managed by presenting records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A’ University.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에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2007년에 해당 법안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로 개정된 이후에 기록관리의 제도 발전이 시작되었다. 해당 법안은 공공기관이 생산하고 접수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취지로 제정되었고, 2023년 현재까지도 개정 등이 이루어지며 대한민국의 올바른 기록관리 문화 확립에 기여하고 있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자면, 대학은 공공기관에 속하는 교육기관이기 때문에, 대학에서도 올바른 기록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대학에서의 기록관리는 다른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와 비교해 봤을 때 그 수준이 높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는 국·공립대학이 아닌 사립대학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대학기록물 관리지침」 등의 배포를 통하여 올바른 대학기록물관리문화 정착에 노력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대학은 적절한 기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록물관리문화가 잘 확립된 외국 대학의 기록관리 사례를 제시하고, A대학의 기록관리 현황에 대해 살펴본 후, A대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기록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A대학 및 기록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역사관의 개관과 운영 : 한양대학교 역사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황나영(Hwang Na-young),김유리(Kim You-ri)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8 고문화 Vol.91 No.-

        대학역사관은 대학의 역사와 정체성을 보존하는 아카이브이며 이를 교내구성원 및 동문, 외부 방문객에게 알리는 홍보의 공간이다. 최근 20여 년간 기록 관련 법규의 제정과 대학 내 기록학 관련 학과가 설립되면서 대학 내 기록관이 설립되는 경우가 늘어났다. 주로 역사기록물의 수집, 보존, 활용을 담당하는 기록관에는 일부 전시공간을 통하여 자교의 역사를 소개하는 전시공간을 마련하기도 한다. 기록관이 없는 대학의 경우 본관, 도서관이나 박물관의 공간을 활용하여 대학의 설립과 발전에 관련한 기록물을 전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학역사관으로서 수집과 보존, 정리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전시공간을 운영하는 대학은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한양대학교는 2008년 대학본관을 역사관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한 이래 역사관 개관을 위하여 대학기록실이 운영되었으며 2014년 역사관 개관추진 위원회가 발족되며 본격적으로 역사관 개관 준비가 이루어졌다. 2015년 11월 역사관을 개관한 이후에도 역사관 관람 프로그램의 운영, 역사관 서포터즈 하이디의 선발과 운영, 다양한 행사 개최를 통하여 역사관을 활발하게 운영해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양대학교 역사관을 중심으로 대학역사관의 개관 과정과 운영을 살펴보고 역사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역사관은 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홍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한양대학교 역사관 역시 전시실 업데이트 및 콘텐츠 개발과 제공 등 앞으로 진행해야할 과제가 남아 있다. 한양대학교 역사관 개관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시행착오와 경험을 통하여 앞으로 타 교육기관의 향후 역사관 개관 및 운영에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개관 후 2년 동안의 운영 현황을 정리하여 앞으로 한양대학교 역사관이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A university history museum is an archive that preserves the history and identity of a university, as well as a place that promotes such information to university members, alumni, and visitors from the outside. As applicable laws have been legislated and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majors in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over the last two decad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for a university to establish a history museum on its campus. A history museum, which primarily collects, stores, and utilizes historical records, uses display space to introduce a university’s history. A university that does not have a history museum as a standalone establishment uses its main building, library, or museum to display historical records about its establishment and progress. Nonetheless, universities that use a history museum to not only collect, store, and organize historical records but also display them are rare; two examples are Korea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Since it decided to use its main building as a history museum in 2008, Hanyang University has operated its university archives for the opening of its history museum; it launched the History Museum Establishment Committee in 2014 and preparations for the opening have been under way. Since the history museum opened in November 2015, the university has actively engaged with visitors and the community by providing museum tour programs, selecting and coordinating HY : D supporters, and holding a variety of events. This paper examines the opening process and operation of a university history museum based on the case of the Hanyang University history museum and highlights the roles and challenges that a university history museum must address. A history museum plays a role as a public relations institution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university in addition to other challenges that it must undertake, such as updating a display hall and developing and providing content. As a result of trial and error and various experiences during the opening process, this university history museum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opening of history museums in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evaluate the museum’s operation status for the past two years whi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museum to carry out more activ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