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물실험을 통한 스마트폰 대피안내시스템 효율성 분석

        배영훈,손종영,이혜경,박춘욱,최세휴,홍원화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2 No.1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changes in the standards of fire fighting facilities have come. As development of firefighting faciliti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ecomes possible, research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smartphon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 on the systemic perspective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experim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martphone evacuation guidance system. Evac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20 adults, and the evacuation time, the frequency of entry into the danger zone, and the decision time at the interse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use of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reduced the evacuation time, the frequency of entry into the danger zone, and the decision time at the intersec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martphone evacu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real experiments,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smartphone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진해일대피안내판의 정보디자인 개선방향 연구

        이호숭,김미경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3

        A tsunami evacuation sign is a facility that is of great importance for evacuation in case of tsunami. But there are a lot of problems with the tsunami evacuation signs that are currently installed in tsunami hotspots in South Korea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s with tsunami evacuation signs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Two different beaches in the region of Busan were selected in this study. Busan is bordered both by the East Sea and the Southern Sea that a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tsunami if it takes place in the western sea of Japan. Specifically, residential areas and tourist facilities are concentrated on the seashore of the city, and special cautions are required to prevent maritime disasters in this region. The two selected beaches, which were Gwanganri Beach and Haeundae Beach, are the most-visited marine tourist attractions in this urban community, and the emergency shelters on the beaches are relatively larger in size than the same places in other areas which are installed by the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s for research method, an on-the-spot survey was conducted using checklists. The checklists were produced to make a close analysis of information design and other diverse problems to determine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and two different checklists that respectively dealt with basic elements and information design were prepared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the results of a pilot on-the-spot survey. Concerning the former checklist, seven basic elements were covered, which were the fundamental requisites for a tsunami evacuation sign. As to the latter of information design, eight items were covered, which focused on information design and were related to pictogram, diagram and illustration. And 24 things were suggested as ways to improve the information design of the tsunami evacuation signs after their problems were analyzed. If tsunami evacuation signs a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uggestions, the new signs are expected to have a more practical effect on the prevention of disasters than existing ones. 지진해일대피안내판은 지진해일 발생 시 대피에 있어 중요도가 높은 사인시설물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 지진해일위험지구에 설치되어 있는 지진해일대피안내판은 정보디자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진해일대피안내판의 문제점을 정보디자인 측면에서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지는 부산 지역의 해수욕장 2곳을 선정했다. 부산은 일본의 서해에서 지진해일 발생 시 한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인 동해와 남해가 모두 속한 곳이다. 특히 해안가에 주거시설과 관광목적의 시설들이 밀집 조성되어 있어 해양성 재난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대상지로 선정된 광안리해수욕장과 해운대해수욕장은 부산전역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해양관광지이며, ‘부산광역시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설치한 긴급대피장소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지역이다. 연구방법으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현장조사 방법을 사용했다. 체크리스트는 연구범위의 정보디자인 및 다양한 문제점을 심도있게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체크리스트는 선행연구와 사전현장조사를 통해 기본요소와 정보디자인 두 가지로 제작되었다. 기본요소의 항목은 7가지이며, 지진해일대피안내판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를 중심으로 제작했다. 정보디자인 항목은 8가지이며, 정보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픽토그램, 다이어그램, 일러스트레이션과 관련된 항목으로 제작했다. 연구결과로 문제점 분석을 통해 지진해일대피안내판 정보디자인 개선사항 총 24가지를 제시했다.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접목하여 지진해일대피안내판을 디자인한다면 현재 지진해일대피안내판 보다 실질적인 방재기능이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적외선 센서정보기반 실시간 실내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로토타입

        남현우,곽수영,전철민,Nam, Hyun-Woo,Kwak, Su-Yeong,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실내공간에서 화재, 붕괴 등의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대피시뮬레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주로 대피시뮬레이터의 활용은 건축물의 설계과정에서 피난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피난안전성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결과를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하기에 몇 가지의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기존 대피시뮬레이터는 가상의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실제 재난 상황에서는 실제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필요한 점이다. 둘째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시간이 길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결과를 산출하기 어려운 시간제약적인 조건이다. 셋째는 재실자의 구조활동 및 대피안내에 최적화된 결과데이터의 산출이 어려운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제약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가능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사전에 수많은 인원분포에 따른 대피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DBMS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기본으로 하며, 적외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 내 실제 재실자 인원분포를 파악하고 이와 유사한 인원분포로 수행된 결과데이터를 질의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Indoor fire simulators have been used to analyse building safety in the events of emergency evacuation. These applications are primarily focused on simulating evacuation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building structural problems in normal time rather than in real time situations.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in handling real-time evacuation events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existing models mostly experiment the artificial situations using randomly generated evacuees while real world requires actual data. Second, they take too long time in operation to generate real time data. Third, they do not produce optimal results to be used in rescueing or evacuation guidance.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suggest a method to build an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real-world emergency situations. The system performs numerous simulations in advance according to varying distributions of occupants. Then the resulting data are stored in DBMS. The actual person data captured in infrared sensor network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data in DBMS and the querried data most closely is provided to the user. The developed system is tested using a campus building and the suggested processes are illustrated.

      • KCI등재

        일본의 재해 대피 표지판에 대한 한국인 관광객의 이해 증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의미 전달 기법

        이현정,백장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aning transfer method of Japanese disaster evacuation signboard which detects the pictogram and the text spots, which include an evacuation area, on the Japanese disaster evacuation signboard and informs Korean tourists where to evacuate in case of specific disaster. The proposed method detects the pictogram and text regions using deep learning 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Using results of pictogram detection, we extract the purpose of the disaster evacuation signboard. For text regions, texts are recognized using the Tesseract text recognition algorithm. Through the text recognition, the evacuation site can be identified when a disaster occurs. Using pictogram detection results and character recognition results, Korean visitors are informed about 'where to go when a kind of disasters occurs' in Korean. Through the experiment, the proposed algorithm could detect and classify the pictogram and character area of ​​the Japanese disaster evacuation signboard correctly. Also, the proposed algorithm recognized Japanese characters in the text area of ​​the disaster evacuation signboards in Japan, and the recognized Japanese characters are translated so that Koreans could understand them. 본 논문에서는 일본 재해 대피 표지판에서 픽토그램 및 대피 장소가 적힌 문자영역을 검출하여 한국인 관광객에게 특정 재해 발생 시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일본 재해 대피 표지판 의미 전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심층신경망 기반의 객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픽토그램과 문자영역을 검출한다. 픽토그램을 검출하여 해당 재해 대피 표지판의 목적을 추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문자영역에 대해서는 Tesseract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한다. 문자 인식을 통해 재난 발생 시 대피장소를 알 수 있다. 픽토그램 검출결과와 문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한국인 관광객에게 ‘어떤 재난 재해 발생 시 어디로 이동해야 하는 지’에 대해 한국어로 의미를 전달한다. 실험을 통해 일본 재해 대피 표지판의 픽토그램과 문자 영역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분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일본 재해 대피 표지판의 문자 영역에 대해 일본어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한국어로 변환하여 한국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적외선 센서정보기반 실시간 실내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로토타입

        남현우,곽수영,전철민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2

        Indoor fire simulators have been used to analyse building safety in the events of emergency evacuation. These applications are primarily focused on simulating evacuation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building structural problems in normal time rather than in real time situations.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in handling real-time evacuation events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existing models mostly experiment the artificial situations using randomly generated evacuees while real world requires actual data. Second, they take too long time in operation to generate real time data. Third, they do not produce optimal results to be used in rescueing or evacuation guidance.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suggest a method to build an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real-world emergency situations. The system performs numerous simulations in advance according to varying distributions of occupants. Then the resulting data are stored in DBMS. The actual person data captured in infrared sensor network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data in DBMS and the querried data most closely is provided to the user. The developed system is tested using a campus building and the suggested processes are illustrated. 실내공간에서 화재, 붕괴 등의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대피시뮬레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주로 대피시뮬레이터의 활용은 건축물의 설계과정에서 피난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피난안전성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결과를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하기에 몇 가지의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기존 대피시뮬레이터는 가상의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실제 재난 상황에서는 실제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필요한 점이다. 둘째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시간이 길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결과를 산출하기 어려운 시간제약적인 조건이다. 셋째는 재실자의 구조활동 및 대피안내에 최적화된 결과데이터의 산출이 어려운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제약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가능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사전에 수많은 인원분포에 따른 대피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DBMS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기본으로 하며, 적외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 내 실제 재실자 인원분포를 파악하고 이와 유사한 인원분포로 수행된 결과데이터를 질의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 KCI등재

        재난 상황을 고려한 실내 대피경로 안내기술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비교연구

        Yun, Younguk,Kim, Nammoon,Choi, Jae-hyuk,Park, Ji-hye,An, Deock-hyeon,Kim, Youngo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2

        본 논문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객 및 대피자에게 안전하게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외 논문과 국내특허를 주로 살펴보았으며, 최근 15년 이내의 국내외 논문 31편, 국내 특허 29건, 논문을 통한 기 수행된 국가과제 9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는 대피 유도 시스템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대피자 관점에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의 실내 재난 대피 기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 공간에서 위치인식 기술의 부재 또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로 본 논문에서는 실내 위치인식기술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실내 재난 상황을 고려한 새로운 시스템 연구 및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the trend of evacuation path providing or guidance systems for safety on disaster situation is analyzed. For trend analysis, 31 paper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29 patents of domestic, and the finished 9 national funded projects, which have been performed for recent 15 years are analys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performed in the view of the guidance systems, but there is no study that can be used for peoples in dangerous situation until now. Also it has technical limitations in using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for people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o use the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for developing a novel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peoples in dangerous situation. It can be utilized to develop a novel evacuation guidance system which is considered indoor disaster situations.

      • KCI등재

        재난 상황을 고려한 실내 대피경로 안내기술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비교연구

        Younguk Yun,Nammoon Kim,Jae-hyuk Choi,Ji-hye Park,Deock-hyeon An,Youngok Kim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2

        본 논문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객 및 대피자에게 안전하게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동향 분석 에 관한 연구이다.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외 논문과 국내특허를 주로 살펴보았으며, 최근 15년 이내의 국내외 논문 31편, 국내 특허 29건, 논문을 통한 기 수행된 국가과제 9건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는 대피 유도 시스템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대피자 관점에 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의 실내 재난 대피 기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실내 공간에서 위치인식 기술의 부재 또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로 본 논문에서는 실내 위치인식기술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실내 재난 상황을 고려한 새로운 시스템 연구 및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the trend of evacuation path providing or guidance systems for safety on disaster situation is analyzed. For trend analysis, 31 paper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29 patents of domestic, and the finished 9 national funded projects, which have been performed for recent 15 years are analys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performed in the view of the guidance systems, but there is no study that can be used for peoples in dangerous situation until now. Also it has technical limitations in using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for people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o use the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for developing a novel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peoples in dangerous situation. It can be utilized to develop a novel evacuation guidance system which is considered indoor disaster situations.

      • KCI등재

        건물 대피안내도를 활용한 실내 네트워크 구축 기법 연구

        박슬아,김성용,유기윤,김정옥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7

        복잡한 형태의 대형 건물이 증가하고, 실내 측위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내 길안내 서비스와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실내의 보행 가능 공간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쉽게 취득이 가능한 실내 대피안내도를 활용하여 실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은 대피안내도에 포함되어 있는 출입구와 경로 정보를 딥 네트워크를 통해 추출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노드와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출입구에서 복도까지 연결되는 추가 링크를 생성하여 실내 모든 공간에서 층의 주출입구까지 이동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하정보 뿐 아니라 실제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속성 항목들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서울대학교 31동의 4개 층에 대한 실내 네트워크의 기하와 속성정보를 구축하여 방법론의 적절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location-based services such as indoor navigation systems. For such service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n indoor network of walkable spac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construct an indoor network using evacuation maps that can be easily obtained in most buildings. Since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information for movement represented in the evacuation maps through the deep learning, indoor network can be generated efficiently. In addition, we designed the attribute tables of the network for utilization to actual services directly. We verifi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thodology by constructing an indoor network of part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노후학교 건축물 스마트 재난경보방송시스템 구현

        안병덕,오정택,박기연,안용준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최근 들어 지진, 화재 등의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노후화된 학교 건축물은 재난 발생 시 안전성 위험에 심각하 게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후학교 건축물의 위험도를 실시간 감시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면 재실자와 관계자에 정보를 전달하여 건축물의 위험 상황을 진단하거나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마 트폰이 없는 대피자를 위해 건물의 구내방송장치에 연동하여 대피 안내 경보방송을 수행한다.

      • KCI등재후보

        재난 상황을 고려한 실내 대피경로 안내기술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비교연구

        김영억,안덕현,박지혜,윤영욱,김남문,최재혁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2

        In this paper, the trend of evacuation path providing or guidance systems for safety on disaster situation is analyzed. For trend analysis, 31 paper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29 patents of domestic, and the finished 9 national funded projects, which have been performed for recent 15 years are analys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performed in the view of the guidance systems, but there is no study that can be used for peoples in dangerous situation until now. Also it has technical limitations in using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for people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o use the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for developing a novel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peoples in dangerous situation. It can be utilized to develop a novel evacuation guidance system which is considered indoor disaster situations. 본 논문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객 및 대피자에게 안전하게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외 논문과 국내특허를 주로 살펴보았으며, 최근 15년 이내의 국내외 논문 31편, 국내 특허 29건, 논문을 통한 기 수행된 국가과제 9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는 대피 유도 시스템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대피자 관점에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의 실내 재난 대피 기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 공간에서 위치인식 기술의 부재 또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로 본 논문에서는 실내 위치인식기술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실내 재난 상황을 고려한 새로운 시스템 연구 및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