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통령기록관리제도 시행의 의의와 과제

        이영학(Lee, Young-Ha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3 No.-

        이 연구는 2007년 4월 27일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대통령기록법」으로 약칭함)이 제정되고, 2008년 4월에 대통령기록관이 개관하면서, 대통령기록관리제도가 시행되게 된 과정과 그 의의 및 과제를 살펴본 글이다. 2007년 4월에 「대통령기록법」이 제정되고, 이 법률에 의거하여 11월 30일 대통령기록관 직제를 신설하고, 2008년 4월에 대통령기록관을 개관하게 되었다. 「대통령기록법」이 시행됨으로써 대한민국 역사에서 대통령기록물을 관리하는 법적인 토대가 처음으로 마련되었으며, 대통령기록관리의 체계가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대통령기록법」의 제정과 대통령기록관의 설립은 대통령기록관리의 중요성을 명문화하고 대통령기록관리의 제도화를 시작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98년 김영삼 정부 때까지 50년 동안 정부기록보존소에 이관한 대통령기록물은 총 13만여건이었으며, 1999년「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김대중 정부에서는 20만건의 대통령기록물을 이관하였다. 반면에 2007년에 「대통령기록법」을 제정한 노무현정부는 280 여만건의 대통령기록물과 530 여만건의 웹기록을 이관하였다.대한민국사에서 대통령기록물 이관의 신기원을 연 것이다.2007년에 「대통령기록법」이 제정되고, 그 다음 해에 대통령기록관을 개관하면서 대통령기록관리제도를 시행하게 되었지만, 1년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었다. 대통령기록관리제도의 첫 발을 디뎠을 뿐이지, 그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대통령기록관리제도를 시행하면서 나타난 주요 쟁점은 대통령지정기록물보호제도 문제,전직 대통령의 대통령기록물 열람권 문제, 대통령기록관의 독립성과 전문성의 문제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관리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들이 완수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먼저 대통령기록관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해가야 한다. 아울러 대통령기록관리위원회를 시급히 구성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운영을 컨설팅해야 한다. 기록관리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가 양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기록물을 제대로 이관받거나 수집해야 하며, 관리하고 있는 기록물을 국민 및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해야 할 것이다. On April 27th, 2007 there were enacted laws about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ct」, and in April, 2008 presidential archives was opened. As these incidents happened, this paper is to see the process of how it established and to look into significance and task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s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April 2007, Government made the organization of an office in Presidential Archives. In April 2008, Government opened Presidential Archives. As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ct」 took effect, there was the first legal ground to manage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n history. Also, presidenti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was settled from that time. The enactment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ct」 and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archives give big significance in two points, which are stipulation of the importance in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systematiza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management. From 1948 (Formation of Korean government) to 1998 (Government of Young-Sam Kim), presidential records had been transferred about 130,000 in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s Service(政府記錄保存所). Also, government of Dae-Jung Kim, which established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ition Act(공공기 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transferred 200,000 presidential archive. On the other hand, government of Moo-Hyun Roh, which enacted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Law」, transferred about 2,800,000 presidential rchives and 5,300,000 web records. It means a new epoch in transferal of presidential records in Korea history.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ct」was enacted in 2007,and Presidential Archives was opened in 2008. We operated the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butwe suffered the trial and error for one year. Nowadays we only made the first step in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e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settle down it. In operating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issue in dispute is the protection of Presidential Records, the former President's Access about Presidential Records, Independence and speciality of Presidential Archives. we must accomplishment the follow task. First, we must strengthen the Independence and speciality of Presidential Archives. We must consitute Presidential Records Committee and consult the Presidential Archives' administration. We must station the Archivist and educate them in Presidential Archives. After the Presidential Records must be transferred and be collected in Presidential Archives, they must be opened and serviced to the researcher and people.

      • KCI등재

        미국대통령기록관의 역기능에 관한 연구

        조민지 한국기록학회 2009 기록학연구 Vol.0 No.20

        If there are pyramids in Egypt for ancient pharaohs, there are presidential libraries, in other words presidential temples, in America for modern ex-presidents. An American presidential library is a monument-but also a history museum and an archive. These libraries are their unique commemorating way for American ex-presidents. These reflect and explain their presidency with their own point of views through museum exhibitions. However, the history presented in the museums of presidential libraries often lacks balance and critical perspective, and offer public access selectively. The presidential libraries, nothing but American business, made from American heroism and self-confidence tradition. In that point, we have to recognize american commemorating cultures are americans, while benchmarking american system. The importance is balanced views and critical perspectives when we accept advanced other country's systems. 복합민족국가 미국의 신속한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주요 시발점이 되었던 대통령기록관은 미국이라는 한 자본주의 국가가 자신의 대통령을 기념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분명 미국이기에 가능했고, 또한 미국이기에 이해되는 것들이기도 했다. 미국이 대통령기록관시스템을 통해 그 어떤 행정기록보다 풍부한 자원을 확보하고 이용 가능하게 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기록보다는 박물 전시에 치중하며, 이를 통해 국가적 애국심을 고착시키며 야기 시켰던 역기능들은 여전히 간과할 수 없는 요소들로 자리하고 있다. 이집트에 고대 파라오를 위한 피라미드가 있다면, 미국에는 전직 대통령을 위한 성전인 대통령기록관이 있다는 역사가들의 비유는 미국 대통령기록관이 자의적 역사해석을 통해서 퇴임 대통령을 긍정적으로 그리기 위해 얼마나 극도로 노력해왔는지를 보여준다. 그 영웅화가 가능하게 된 배경에는 미국식 소유관념과 미국식 낙관주의 문화가 있었음을 배제할 수 없다. 미국대통령기록관이 비록 그들의 방식으로 제도화하고 발전되었지만 거기에는 우리가 기꺼이 배울 점도 있고, 도저히 따라가서는 안 되는 점도 공존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균형 잡힌 시각으로 외국 사례를 수용하고 제대로 직시하는 시야를 갖는 것이다.

      • KCI등재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강민정,이승휘 한국기록학회 2015 기록학연구 Vol.0 No.46

        A Collection Policy provides a direction to an archive, but also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actical measures of planning and collecting process. In terms of a Collection Policy, it enables detail collection as regulations or codes cannot be as defined as the level of collection, thus, it allows systematic and strategic approaches in collecting former presidents’ records. In the case of United States, where the same presidential system exists as South Korea, although the individual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have different periods of collections, the Collection Policy was implement a half century ago that is used as a foundation data for record collection. However,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do not have a Collection Policy implemented that the collection is based on ‘collection regulations’ and ‘collection plans.’ In the comparison of the Collection Policy at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llection regulation” and “collection plan” at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it shows that while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Collection Policy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residents that the collection comprises the records from more than the appointed period that it includes various personal records of relating figures, events, regions, and even personal interest; the records are written in detail to the detailed scale and procedure. On the other hand,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South Korea, the records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regulations’ and ‘collection plans’ do not sufficiently apply 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former presidents that the collections remain as general and unclear. This is due to the absence of a Collection Policy that systemizes and sustains professionalism and consistency of collection plans and procedures. Hence,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collection policy implementation measures by analyzing the Collection Policy of the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ying implications for applying individual president characteristics. 기록관에서 수집정책은 수집을 위한 지침서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기록관의 업무계획 수립과 업무절차 실행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된다. 또한, 수집정책은 법률이나 규정에서 모두 다룰수 없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수립할 수 있으므로 기록물 수집 시에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우리나라와 동일한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은 개별 대통령기록관마다 수립된 시기는 상이하지만 이미 반세기 전부터 수집정책을 수립하여 기록물 수집을 위한 근거자료로서 활용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국내 대통령기록관은 아직까지 수집정책을 수립하지 않고 있으며, ‘수집규정’ 및 ‘수집계획’에 기반하여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과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수집규정’ 및 ‘수집계획’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대통령의특성을 반영하여 재임기간 생산하여 이관 받은 기록물 이외에도대통령과 관련한 인물·사건·지역뿐 아니라 개인적 관심사를 반영한 개인기록물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그 범위 및 절차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반면,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수집규정’과 ‘수집계획’은 개별 대통령에 따른 기록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일반적이고 모호한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일관되고 전문화되어야 할 수집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개별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 사례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개별 대통령에 따른 수집정책 수립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 KCI등재

        국내 통합 대통령기록관 및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의 대통령기록물 서비스 현황 연구

        이영지,오계윤,정상준,윤은하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service of the Unified Presidential Archives and the civilian memorial hall, which manages the country’s presidential records. For this purpose,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individual private memorial halls were surveyed on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online and off-line servic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records. Based on thi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Unified Presidential Archives and individual private memorial ha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Presidential Archives and individual private memorial halls and that the two agencies sought basic research to develop cooperative relations. 본 연구는 국내의 대통령기록물을 관리하는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의 현황 및 서비스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 재단의 특징 분석 및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을 대상으로 소장 기록물, 온․오프라인 서비스, 법․제도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이 지닌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시도했다는 점과 두 기관이 협력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송나라,이성민,김용,오효정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cent leak.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moved to Sejong in line with its desire to provide public-friendly services. This study will help users access the archives and utilize archiving inform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all middle schools have began conducting since 2016.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ill unfamiliar with archives,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accessing archives and records. Although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archives, existing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show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well as its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presidential archives. Second, through website analysi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46 education programs of institution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udent-led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eign archives as well as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domestic libraries and archives.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our types of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and provided concrete examples.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국가 국정운영의 행정투명성과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적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최근 잇따른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건으로 인해 국민들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종 신청사 이전으로 국민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대통령기록관의 목적에 맞춰 본 연구는 이용자가 기록관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중학생은 한 학기동안 외부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있게 되었다. 이는 기록관이 낯선 중학생들에게 기록관과 기록물에 접근할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기록관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이나 아직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국내·외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적용가능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함으로써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의정의 및 유형을 이해하고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의 대통령기록관에 연계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하였다. 둘째, 웹사이트 분석과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국외 기록관과 국내 도서관 및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국외 기록관은 학생 주도의 교육프로그램, 국내 도서관및 기록관은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46곳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과 구체적 적용 예시까지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록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오주영,김지현 한국공공사회학회 2019 공공사회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perception of archives by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method to examine 1,452 newspaper articles from 2007 to 2018 found in the 4 newspaper databases (Chosun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with keywords, "National Archives" and "Presidential Archives". As research processes, a code table was created from several pretests at first, and then 1,452 newspaper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d tabl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type of newspaper articles, pages where articles were reported, writers, and the number of comments about articles.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articles reported social issues related to archive management rather than the general reports about the function of archives. Most of newspaper articles were reported in social and political pages, and the negative aspects of political controversy have been highlighted. The newspaper articles also were mostly written by reporters rather than archive experts with partial information about the archiv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archives. 본 연구는 신문에 보도된 기록관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기록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고 기록관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기사에서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여 기록관 관련 기사 총 1,452건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절차는 기록관 관련 신문기사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범주 표를 작성하여 기록관 관련 신문 기사를 분석하고, 기사특성에 따른 조사를 위해 ‘기사유형’, ‘기사면’, ‘글쓴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의 기록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기사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록관 관련 신문기사는 ‘기록관리 관련 논란’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신문에서 기록관에 대하여 꾸준히 보도하기보다는 주로 사회적 이슈 위주의 시의적 보도가 많았다. 또한, 정보전달 위주의 ‘뉴스’에 해당하는 기사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기사가 사회면과 정치면에 분포되어 있어 기록관 관련 기사는 정치적인 논란과 연관되어 상당 부분 부정적인 모습으로 비치고 있었다. 기사내용도 기록 전문가보다 기자에 의해 쓰인 기사가 많아 기록관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 제공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의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발전적인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대통령기록디지털아카이브 플랫폼 연구

        김서연,임설화,김규석,송민지,위수아,양인호 한국기록학회 2023 기록학연구 Vol.- No.76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establish a ‘Presidential Digital Archive Platform’ that actively shares and opens related information and data by linking and integrating the presidential knowledge infrastructure. The Presidential Digital Archive Platform can promote the quality and value of presidential records as a “Governance Platform” where “Presidential Archives”, “Presidential Archives-related Institutions” and “users” can interact through presidential records. And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paradigm. For this purpose,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analysis’ and ‘Presidential Archives-related Institutions analysis’ will be conducted to identify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when establishing the Presidential Digital Archive Platform. In addition to deriving implications through ‘Digital Archive Platform case analysis’ at home and abroad, measures to strengthen presidential archival reference services were discuss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 step-by-step implementation strategy for platform construction was presented. 본 연구는 대통령 지식 인프라를 연계하고 통합하여 관련 정보와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공유 및 개방하는 ‘대통령디지털아카이브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대통령디지털아카이브 플랫폼은 대통령기록을 매개로 ‘대통령기록관’, ‘대통령 관련 기록 소장기관’ 그리고 ‘이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거버넌스 플랫폼’으로 대통령기록의 특성과가치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대통령기록포털 분석’과 ‘대통령 관련 기록 소장기관 분석’을 진행하여 대통령디지털아카이브 플랫폼 구축 시 개선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국내외 ‘디지털아카이브 플랫폼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대통령기록서비스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플랫폼 구축을 위한 단계별 실행전략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통령기록관 장애인서비스 현황 및 개선방안

        정힘찬,최두원,양동민,오효정,김용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Presidential archives and to propose methods to solve those problem.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surveys such as existing researches, laws and surveys o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ed case studies on domestic institutions that provide similar services with archives and US Presidential Archives. Also,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was made to the service representatives in Presidential Archives and we analyed the current status of offline services for the disabled who visited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As a result, the problems were found in terms of space and facilities, assistive devices, programs and manpower and we proposed the methods to improve the services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 관련 기존 연구, 법령, 실태조사 보고서 등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기록관과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기관과 미국대통령기록관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통령기록관 서비스 담당자를 대상으로 정보공개청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 그리고 정보공개청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통령기록관 장애인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 및 시설, 보조도구, 프로그램, 인력 측면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를 둘러싼 쟁점과 제도적 과제

        김유승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3 No.2

        The study aims at provid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ongoing issues concerning presidential records. It reviews a history of legislation about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discusses issues on protection and disclosure of access-restricted presidential records. Four major issues—presidential records’ category, management authority, designated representative, and production control—are argued.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solutions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gency and to innovate a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process.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을 둘러싼 현재 진행형의 문제들에 대한 제도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 관련 법령의 연혁을 살펴보고, 대통령지정기록제도를 중심으로 한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에 관한 이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2013년 4월 입법 발의된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일부개정법률안)의 의의와 문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대통령기록을 둘러싼 대통령기록의 범주, 관리주체, 지정대리인, 생산 관리 등 4가지 쟁점을 논의하고,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대통령기록관리기관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리기관의 전문성 및 중립성 확보, 위상과 기능 회복 및 강화, 대통령기록관리 책임 주체의 임기와 신분 보장이 요구되며, 대통령기록관리의 혁신을 위해 생산 관리의 강화와 보호 및 공개의 강화가 시급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기록관의 견학 프로그램 - 대통령기록관을 사례로 -

        이혜원,이해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1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5 No.3

        Archives should promote services to users using various outreach service methods. Although the archives’ tour program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of services,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the archival tour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archival tour programs and tried to suggest a desirable tour program, with the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as a case. For this study, four U.S. Presidential Libraries’ tour progra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tour programs offered in similar organizations in Korea, such as Kim Daejung Library,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were analyzed. Current tour programs offered by the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were also analyzed and some limitat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which will be moved to independent building in Sejong City soon, desirable direction to organize tour programs for various user groups were suggested. 기록관은 다양한 확장서비스 방법들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에게 홍보를 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견학은 유용한 서비스 방법이나, 기록관 견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기록관 견학에 대해 연구하고 바람직한 프로그램을 제안해보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사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대통령기록관 네 곳의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하였으며, 국내의 유사기관으로 견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김대중 도서관, 외교부 외교사료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의 견학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대통령기록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견학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곧 세종특별시에 단독청사로 이전할 대통령기록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바람직한 견학프로그램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