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 수용자 연구 - 일제강점기부터 제5공화국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조장원 ( Jang Won Jo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6

        한국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대중음악이 발생하였고 광복 이후에는 미국 문화와의 접촉이 직접적이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서 서양문화의 분위기와 특성을 모방하는 대중음악들이 양산되었다. 1960년대 이후 매스미디어가 본격적으로 들어서며 점차 대중사회의 특성을 갖추지만, 정치적으로 검열제도가 매우 엄격하여 대중가요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1980년대부터 부가 축적되며 1990년대에는 대중음악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1990년대 말부터 오프라인 음반시장은 쇠퇴하고 온라인 음원시장으로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대중음악의 생산과 소비형태는 급속하게 변화하였다. 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음악 산업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고 대중음악 수용자들도 대중음악에 대해 매우 개인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갖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적 흐름에서 한국 대중음악사를 사회·정치적 배경과 매체 보급 상황 및 수용자의 태도와 특성을 고려하여 일제강점기부터 제5공화국까지의 시기를 구분하고 수용자들의 변화과정을 정리해보았다. 대중음악 수용자에 대한 이해는 대중음악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로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학문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Korean pop music has occurred based on the periodical background, Japanese occupation. However, after the independence, direct and extensive contact with the American culture influenced to produce pop music culture that was emulating the Western world’s mood and characteristics. After 1960s, South Korea was gradually forming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ociety since mass media was taking a place. On the other hand, political censorship has been very strict, so it became an hindrance to the development of pop music. From 1980s, wealth accumulated and 1990s, pop music grew quickly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Since the late 1990s, declination of the offline music market and rise of online music market rapidly changed the wa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op music. Advances in media technology have completely changed the paradigm of the music industry and pop music adopters have a very personal and diverse need for pop music.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Korean pop music history’s time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cal period to the fifth Republic Governments by its social/political background condition and consumer’s characteristic and attitude. On top of that, also it organized consumer’s process of changing. Comprehension of pop music consumer is a study to prepare for development of pop music culture industry, so it will require a active academic approach.

      • KCI등재

        K-POP 주류(Mainstream)에 의한 한국대중음악산업의 변화에 따른 실용음악교육 개선에 대한 소고

        이선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6

        Currently,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on the mobile and online digital music and performance industry with a strong connection with music management industry based on the sound source rather than on the sound disc. With the emergence of the online music market,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started in early 2000, which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the digital music market. This market was dominated by TV Drama in the first generation, followed by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wave of the K-POP throughout the Asian market. Even though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s now under development in the pop music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pop music industry which focuses on the training of entertainer and the sale of the goods, as well as developing the college education that gears toward the goals of training musicia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Korean pop music industry and explored how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K-POP, its business strategies, and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K-Pop artists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network of pop music due to the combination of K-POP and SN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he growth of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colleg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 two different careers; second,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third, the employment of lecturers with professional experiences in colleges. 현시대는 음반 중심이 아닌 음원을 기본으로 한 모바일 및 온라인 중심의 디지털 음악 산업과 음악공연산업이 매니지먼트 산업과 연계되어 집중되고 있다. 온라인 음악시장의 등장으로 인해 2000년대 초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제 되면서 디지털 시장이 확대되었고 이는 1차는 드라마의 아시아 진입을 통해, 2차 K-POP 주류의 시대가 되었다. 대중음악의 산업 속에 실용음악교육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으나 연예인 양성과 상품의 판매로 수익을 목적으로 한 대중음악산업과 뮤지션을 육성하기 위한 대학의 실용음악 교육의 실질적인 교육방향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K-POP 주류의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변화된 과정을 통해 현 실용음악교육의 개선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을 살펴본 결과 K-POP의 운영 및 사업화 전략의 변화가 두드려졌고, K-POP 아티스트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K-POP과 SNS의 결합에 의한 대중음악시장의 유통망의 변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 주류의 한국 대중음악 산업과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첫째, 진로방향에 따른 커리큘럼 개발, 둘째, 산학 프로그램의 활성화, 셋째, 실무경력 중심의 전문 강사의 채용의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해외에서의 케이팝(K-Pop) 학술 연구

        이규탁 ( Gyu Tag Lee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대중음악이 학문의 영역으로 편입된 후 세계 학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동아시아 지역의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는 지금껏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남아 있다. 그것은 대중음악 및 대중문화에 관한 연구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영미 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 큰 원인이 있지만, 그와 더불어 동아시아 대중음악이 해외 학계의 주목을 끌 만큼 해외 음악계에 널리 알려진 경우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케이팝의 경우 주변부,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음악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해외 수용자에게 널리 알려지고 있는 음악으로 점차 학계의 주목을 받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케이팝에 대한 진지한 접근은 주로 해외의 저명한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케이팝이 현재의 영미대중음악이 갖지 못한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용자들에게 일종의 ‘대안(代案)’으로서 다가갈 수 있다는 관점과 아울러 케이팝 산업의 규격화되고 정형화된 시스템에 주목하며 이 시스템에서 나오는 음악과 가수는 ‘예술’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공장 상품에 더욱 가깝다는 비판적인 관점을 아울러 제시하고 있다. 향후 케이팝 연구는 수용자와 팬덤에 관한 연구, 음악 자체에 관한 질적 연구 및 산업적 관점에서의 접근과 아울러 디지털 미디어와 케이팝 세계화의 관련성 등을 중심으로 학술적 접근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Scholars from diverse parts of the world have studied a number of music since popular music became a field of academic research. However, East Asian popular music has been a ‘forgotten area’ of the popular studies.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this overlooking is that while East Asian popular music studies have been written by their local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and Chinese, all of which are not familiar to Anglo-American scholars whose academic interests are usually Euro-centric. Also, contrary to African and/or Latin American popular music which has attracted international scholars’ attention, East Asian popular music does not have a history of world-wide success that might be able to appeal its existence to global scholars. However, since the late 2000s, K-Pop is becoming one of the global popular music in the world, which is a unusual case for the music from the periphery. Since it is a recent phenomenon, discussions about K-Pop phenomenon has been done mostly by media rather than academia until recently. They have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First, they consider that K-Pop can be an alternative popular music to the global audience tired of Anglo-American pop music, for K-Pop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it from the contemporary global (Anglo-American) pop music. And second, they note that the system of K-Pop industry is too much factory- like, therefore the result produced by the system is nothing but the industrial product rather than the meaningful culture. Therefore, the future of the K-Pop studies may concentrate on themes such as fandom, audienc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usic itself, comparaitve research between K-Pop and Anglo-American industrial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Pop. Among them, digitalization will be an important keyword of international studies on K-Pop.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 수용자의 양상 및 수용인식 연구: 1990년대를 중심으로

        조장원 ( Jang Won Jo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1990년대는 폭발적인 대중음악의 성장 시대로 기록되고 있다. 이는 국내의 경제성장, 전 세계적으로 번져가는 자유민주주의의 물결,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결과라 할 수 있다. 90년 대에는 댄스음악을 선두로 하여 힙합, R&B, 레게, 테크노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국내로 들어왔으며, 대형 기획사들이 설립되며 체계화된 시스템을 통해 아이돌 가수를 키워내기 시작했다. 90년대 대중음악이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멈추지 않았기에 대중음악이 중심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었고 세계적인 K-pop의 탄생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90년대 대중음악의 수용자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대중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작용하였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단순히 당시의 유행가나 소비 성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욕구가 그러한 결과를 낳았는지, 그렇다면 대중들이 그러한 욕구를 갖게 된 공통의 역사적 경험 등에 대해 이해를 높일 것이다. 본문에서는 신세대의 부상, 팬덤문화와 인디문화의 등장, 그리고 기성세대의 수용방식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90년대의 수용자를 분석하였다. 이 네 부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1990년대 이후 국내 대중음악 산업은 음원시장의 디지털화와 함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따라서 90년대 이후의 대중 음악 수용자에 대한 연구는 시기를 더욱 세분화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1990s are recorded as the era of explosive popular music growth in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This is the result of domestic economic growth, the worldwide wave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90’s, starting with dance genre, other various genres, such as Hip-Hop, R&B, Reggae, and Techno were introduced. In addition, large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ies were established and began to train idol through systematic system. Popular music has become the heart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It was possible because 90’s korean pop music never stopped trying new things and challenges.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audience of 90’s pop music, how the situation of the time was accepted and applied to the public. Through this study, not simply listing the trends of music and consumption from the time, but what needs actually caused the result. It will als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that led to this desire. The text analyzed the 90’s Korean pop music consumer by dividing them into four parts: the rise of the new generation, the emergence of fandom and indie culture, and the acceptance of older generation. These four parts played an independent and organic rol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Since the 1990’s,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has changed rapidly because of the digitalization of the music market. Therefore, the study of Korean pop music consumer after 90’s will require a more specific and approach.

      • KCI등재후보

        미국 저널리즘의 한국 대중음악 인식 - 롤링스톤 선정 ‘한국 대중가요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곡’ 기사의 텍스트마이닝적 해석

        서영호 재단법인 문화영토연구원 2023 문화영토연구 Vol.4 No.2

        미국의 주요 팝 음악 매체인 ‘롤링스톤’은 ‘한국 대중가요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곡’을 선정하고 각 곡에 대한 코멘터리를 담은 특집 기사를 발표했다. 이에 이 연구는 이 기사를 통해 드러나는 미국 저널리즘의 한국 대중음악 인식을 100곡의 코멘터리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CONCOR, TF, TF-IDF, N-gram, Semantic network 분석 등을 통해 밝혀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롤링스톤의 선정 목록은 그것이 한국 대중가요 역사 전반을 다루고 있음에도 다분히 아이돌 그룹의 음악에 치중되어 있다. 둘째, 곡에 따라 인기, 상업적 성공, 음악사적 가치, 미학적 성취 등이 주요 선정 기준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동시대의 영미권 팝음악을 수 용하고 그 표준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내놓는 것을 한국 대중가요 진화의 궁극적 방향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케이팝의 성과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의미 부여되고 있다. 넷째, 이와 같은 관점에서 90년대를 포함해 2000년대 이전의 음악사가 현재의 케이팝 산업으로의 진화나 발전이라는 맥락 속에서 의미를 부여받고 있으며 특히 이와 관련해 60-70년대의 신중현의 음악적 성과가 부각되고 있다. 다섯째, 아이돌 음악 관련 장르 이외의 장르에 대한 논의나 로컬 콘텐츠로서 한국대중가요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으로 나타나는 이 기사는 아직 미국 저널리즘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최근의 케이팝 현상에 치중되어 있으며 케이팝 담론 이외의 관점에서 한국대중음악의 역사나 미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이해된다. Rolling Stone, a major American pop music media outlet, selected the ‘The 100 greatest songs in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and published a special article containing commentary on each song. And this article is to examine American journalism's perception of Korean popular music revealed through this article by text mining analysis of the commentary of 100 songs. The key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ling Stone's selection list focuses on the music of idol groups. Second, it can be seen that popularity, commercial success, music historical value, and aesthetic achievement served as major selection criteria. Third, the article finds the goal of the ultimate evolution of Korean pop music history in the achievements of today's K-pop. This means that the dire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is seen as conforming to Western standards. Fourth, from this perspective, most of the music history before the 2000s, focusing on the 90s, is given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evolution or development of the current K-pop industry. In particular, Shin Jung-hyeon's musical achievements in the 60s and 70s are highlighted in this regard. Fifth, discussions on genres other than idol music-related genres or meaningful insights into Korean pop music as local content appear to be relatively poo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American journalism'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Korean popular music is still limited and focused on the recent K-pop phenomenon, and that there is a lack of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r virtues of Korean popular music from perspectives other than K-pop discourse.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 대표적인 중창단의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박호정(Hojeong Park),홍성규(Sungkyoo H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1950년 6·25전쟁 이후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며 탄생하게 된 미8군 쇼 무대는 한국에 미국 대중음악이 유입되는 배경이 되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현실 속에서 음악가들이 설 수 있었던 가장 크고 수입이 좋은 무대였던 미8군 쇼 무대에서는 미국의 최신 유행곡을 최대한 원곡에 가깝게 연주해야 했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음악가들은 AFKN 라디오를 통해 미국의 대중음악을 접하며 미8군 쇼 무대에 올랐다. 당시 미국에서는 중창단이 유행이었고 이 여파로 미8군 쇼 무대에서도 중창단이 등장하게 된다. 1960년대 초기에는 미8군 무대뿐만 아니라 일반 무대에서도 중창단이 등장하게 되며 민영 방송국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한국 대중음악계에는 중창단 붐이 일어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대중음악의 유입과정에서 특히 1960년대 중창단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다. 1960년대 초기 이전까지 한국 대중음악계는 주로 솔로 가수가 활동하였으나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으로 중창단 활동이 유행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당시 중창단의 활동 양상을 대표적인 곡들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음악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1960년대를 대표하는 중창단들의 대표곡을 대상으로 성별, 장르별, 성부의 편성에 따라 분류하여 음악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춤과 악기 연주 등의 기능상 특징 및 무대 위의 연행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은 독창에 익숙했던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계에 서구 전통 중창 형태를 토착화시킴으로써 음악적 표현 방식의 다양화를 가져다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중창단은 기존 트로트 양식과는 다른 7음 음계와 3화음을 사용하였고 재즈나 블루스, 가스펠 느낌의 서구식 창법을 구사하였는데 이는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이 가창 중심적 방식의 음악을 형상화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은 1960년대 초기 활동했던 중창단들을 중심으로 이후 서구식 중창 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었으며 1970년대 청년문화가 유입되면서 포크 듀엣, 트리오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중창단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것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변화시키며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해왔다. 따라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중창단이 최초로 태동한 1950년대 이전과 오늘날 1세대 아이돌 그룹이 출현한 1990년대까지 대중음악사의 흐름에 따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향후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With US troops stationed in Korea following the Korean War in 1950,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 Show” was created, which facilitated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pop music into Korea. The show was the largest and most profitable stage for musicians amid the postwar ruins, where performers played the latest American pop music in a way that most resembled the original songs. In these circumstances, musicians listened to American pop music via AFKN radio to perform in these shows. As vocal ensembles were in fashion in the US at the time, they featured in the show. In the early 1960s, vocal ensembles started to appear in general shows beyond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 Show,” and thanks to mass private broadcasting, they began to thrive in the Korean pop music scene. This paper primarily examined vocal ensembles’ activities in the 1960s in Korea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during the inflow process of American pop music. Noting that American pop music led to the boom of vocal ensembles in Korea, where solo artists had been the dominant players prior to the 1960s, this study analyzed vocal ensembles’ most popular songs and their musical traits. After categorizing the 30 most popular songs in the 1960s by gender, genre, and voice part formation, their musical tra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ance moves and musical instruments, and performance methods were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Korean vocal ensembles were able to bring variety to musical expressions by integrating the traditional Western vocal ensemble style with Korean pop music. In contrast to traditional trot, Korean vocal ensembles utilized a seven-note scale and a third chord, and adopted a Western singing style that resembled jazz, blues, and gospel. This demonstrates that Korean mainstream vocal ensembles embody a vocally focused style of music. With a focus on vocal ensembles in the early 1960s, Korean vocal ensembles were able to settle into a Western style, which developed into folk duets and trios as the culture of the young generation emerged in the 1970s. Vocal ensembles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as they embraced and evolved with new trends along the way.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transition,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from the period prior to the 1950s-when vocal ensembles were first created-to the 1990s-when first-generation idol groups were introduced.

      • KCI등재

        문화적 혼존성 관점으로 본 대중음악 연구-아메리카 대륙의 문화 융합을 중심으로-

        이창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Since emancipation from Japanese colonial, division of territory and the Korean war, Korea has accepted American capitalism and been influenced by American culture. And Korean pop music has accordingly passed into the pop cultur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centered around America. Korean pop music that emerged under America’s influence has spreaded throughou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mud-1990s, and is now becoming more widespread even into America, the very country that had affected the Korean pop music, as well as South American and European countries. Finally Korean pop music, now called as K-Pop, is ready to enter American pop music market. It is needed, at this point, K-Pop display a tendency of more complicated hybridity rather than seeking for a one-way directivity limited either from domestic to international market or vice versa in the globalization of K-Pop. To understand the hybridity, it is required to identify what kind of American pop cultures we accepted, which of them affected Korean pop culture, what cultural orientation they had in their pop music, and which of them are preferred. To view and understand American pop music, in this study, technological perspective would not only be appled, but historical and musical perspectives would be applied, especially by analyzing genres and styles of pop music, and identifying what cultural orientation American pop music has and what music preferences Americans ha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wo results as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in understanding the American popular music: fusion through hybridity of whites and blacks which are the two conflicting views, and separation through exclusiveness. 한국은 1950년대는 해방과 분단, 전쟁을 거치고 난 후 본격적으로 미국의 자본주의 체제로 편입 되면서 그 문화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였고 대중음악 또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대중문화에 직접 편입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미국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된 한국의 대중음악은 1990년대 중반이후에 아시아 지역을 넘어서 남미와 유럽, 그리고 우리에게 영향을 준 미국에까지 확산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시점에서 K-POP의 글로벌화에 중요한 관점중 하나는 단순히 밖에서 안으로 혹은 안에서 밖이라는 단일한 방향성이 아닌 보다 복잡한 혼종성의 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그 혼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어떤 대중음악문화를 우리가 차용하게 되었고 영향을 받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떤 대중음악의 문화적 성향을 가지고 있고 선호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야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미국의 대중음악을 알고 이해하기 위해 단순 기술적 관점이 아닌 역사적 관점과 음악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며 특히 대중음악의 장르와 스타일을 통해 그들이 어떤 문화적 성향을 가지고 있고 어떤 음악을 선호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 하여 미국 대중음악을 이해하는 것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으로 두 가지의 대립된 관점인 백인과 흑인의 혼존성을 통한 융합 그리고 배타적 성질을 통한 분리라는 결과를 제시한다.

      • 중국풍 대중음악에서 활용 및 구현된 전통 요소에 대한 고찰

        金希(Xi Jin),김현태(Hyuntai Kim) YIXIN 출판사 2023 Journal of China Studies Vol.1 No.4

        중국 대중음악은 일종의 ‘수입품'으로 여겨지며 스케일이 짧고 이해하기가 쉬고, 다양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이들 음악 내용이 현실과 밀접하기 때문에 중국 대중들에게 널리 사랑받고 있다. 최근 대중음악이 세계적으로 전파되면서 중국 음악가들이 서양 대중음악을 참고하고 흡수하면서 곡조, 배경 악기, 가사 등에 중국 전통적인 요소를 융합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독특한 개성을 지닌 중국풍 대중음악 작품들이 쏟아져 나왔다. 음악가들은 대중음악을 중국의 민족문화와 접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받아들여 중국 국내외에서 오래가는 생명력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본 연구는 중국 현지의 문화 역량을 기반으로 문헌 고찰법을 활용하여 음악 ‘중국풍’ 대중음악의 다양한 스타일을 분석하고, 대중음악에서 활용된 중국전통 요소인 민요, 연극, 민족 선법, 민족 악기, 중국 고대 시가, 중국 역사 인물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Chinese pop music, often regarded as an ‘imported’ commodity, possesses concise compositions, easy comprehensibility, and a diverse range of styles. Due to its relatable content mirroring everyday life, it enjoys widespread adoration among the Chinese populace. In recent times, with the global proliferation of pop music, Chinese musicians have embarked on integrating traditional elements from Chinese culture into their melodies, background instruments, and lyrics, while drawing inspiration from and assimilating Western pop music. Consequently, this fusion has birthed distinctive works of Chinese-style pop music, each bear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Musicians have embraced the perspective that amalgamating pop music with China’s rich cultural heritage is pivotal, foreseeing its potential for enduring significanc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employs a literature review approach, leveraging China’s cultural prowess, to analyze the diverse styles encapsulated within Chinese pop music. Furthermore, it scrutinizes the in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such as folk songs, theatrical performances, ethnic musical modes, indigenous instruments, as well as elements from ancient poetry and historical figures.

      • KCI등재

        재즈 영향력에 의한 C-Pop 문화의 변천과 이행

        방수경,이우창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Jazz started in New Orleans, Louisiana,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by African Americans who came from Europe. Since its inception, Jazz had become a typical American art and gradually exercised a huge influence on Asian music. After 1920s in China, music fields became subdivided along with the country’s political changes, and many attempts to fuse various music genres were made. Jazz influenced Chinese musicians who adhered to the established popular music at the time, thereby eliciting a natural, musical fusion of the popular music and Jazz. Until today, the unique melody and harmony of Jazz continue to influence Chinese popular music, and C-Pop attempts to embrace other musical genres in various ways. C-Pop refers to popular music that is popular in mainland China, Hong Kong and Taiwan. C-Pop has developed by applying or combining western music or Jazz composition techniques on the basis of the musical elements in mainland China. Even though Jazz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Pop, reviews or research on the Jazz’s influence on the change and transition of C-Pop have not been made comprehensively. This is the case even for publications relevant to C-Pop composition primarily discussing styles and elements of Jazz in them. This study categorizes the change and transition of C-Pop into four time periods and analyzes the Jazz’s influence and C-Pop music’s strength to grow on its own.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times of the organic combination of Jazz and C-Pop, C-Pop’s challenges in the present and its potential in the future. 재즈는 유럽에서 건너 온 아프리카계 흑인들을 중심으로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 주의 뉴올리언스에서 시작되었다. 시작과 동시에 재즈는 미국의 전형적인 예술 장르가 되었고, 이후 점차 아시아 음악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1920년대 이후, 중국은 정치적 변화와 더불어 음악 분야가 세분화되었고, 다양한 음악적 결합이 시도되었다. 재즈는 이 시기에 기성의 대중음악 스타일을 고수하던 중국의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이로써 대중음악과 재즈의 자연스러운 음악적 결합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물론 현재까지도 재즈 특유의 멜로디와 화성은 중국의 대중음악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이를 계기로 더욱 다양한 음악 장르까지 수용한 C-Pop의 여러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Pop은 중국 대륙과 홍콩, 타이완 등에서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는 유행 음악을 통칭한다. C-Pop은 중국 본토의 음악 요소에 서양음악과 재즈의 작곡 기법을 응용 내지 결합하여 발전하였다. 그런데 재즈가 C-Pop의 창작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재즈 영향력에 의한 C-Pop 문화의 변천과 이행에 대한 비평 및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C-Pop 작곡 관련 서적에는 재즈 스타일과 재즈 요소를 비중 있게 취급하고 있음에도 그러하다. 이 논문에서는 C-Pop 문화의 변천과 이행을 네 시기별로 의미 있는 분류를 하면서 재즈의 영향력과 C-Pop의 자생력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재즈와 C-Pop의 유기적 결합의 시대적 의의와 현실적 과제, 발전 가능성 등을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